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야 이상춘의 신소설 연구

        배정상(Bae, Jeong-S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1 No.-

        백야 이상춘은 신소설 작가 중에서도 보기 드문 이력을 가진 흥미로운 인물이다. 그는 『박연폭포』와 『서해풍파』라는 꽤나 인상적인 작품을 저술했지만, 평생을 교사이자 국어학자로 살았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신소설 작가 이상춘이 『매일신보』와 『청춘』의 현상문예에 당선된 특별한 이력이 있다고 정리한 바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상춘의 이력에 대한 오류를 바로잡고, 같은 시기 동일한 이름을 사용했던 두 명의 이상춘(李常春)이 존재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신소설 작가이자 교육자였던 개성의 이상춘과 『매일신보』와 『청춘』의 현상문예 당선자이자 『매일신보』 기자였던 경성의 이상춘은 같은 이름을 사용했던 각기 다른 인물이었다. 신소설 작가 이상춘은 개성에서 태어나 한영서원에서 수학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그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박연폭포』와 『서해풍파』는 고향인 개성을 주된 공간배경으로 삼고 이를 핍진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작품 속 무대를 일본과 미국, 더 멀리 남극에까지 확장하고자 했다. 또한 한영서원에서 배운 근대 지식과 기독교 사상, 외국어 등은 작품 속 주제로 형상화 되었다. 한편, 택견 유단자와 매력적인 장애인 여주인공, 조선학과 항해학을 전공하고 남극탐험에 도전한 인물 등 이전의 신소설에서는 보기 드문 새로운 인물형상을 창조한 것도 중요한 특색이다. 이처럼 이상춘과 그가 남긴 신소설은 1910년대 신소설의 다채로운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의미 있는 사례가 된다. ‘Baekya’ Lee Sang-chun is an interesting character with a rare history among ‘Sinsosul’ writers. Although he wrote quite impressive works called ‘Bakyeonpogpo’ and ‘Seohaepungpa’, he spent his entire life as a school teacher and Korean language scholar. In the research so far, it has been summarized that ‘Sinsosul’ writer Lee Sang-chun has a special history of being selected for the prize-winning literary arts of ‘Maeil Shinbo’ and ‘cheongchun’.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re were two Lee Sang-chun (李常春) who used the same name at the same time by correcting these errors in Lee Sang-chun’s history. Lee Sang-chun of ‘Gaeseong’, who was ‘Sinsosul’ and educator, and Sang-chun Lee of ‘Gyeongseong’, who won prizes for ‘Maeilsinbo’ and ‘cheongchun’ and ‘Maeilsinbo’ and reporter, were different people who used the same name. ‘Sinsosul’ writer Lee Sang-chun was born in Gaeseong and studied at ‘Hanyeongseowon’, and this exper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his work. ‘Bakyeonpogpo’ and ‘Seohaepungpa’ use his hometown ‘Gaeseong’ as the main spatial background and depict it richly, and he wanted to extend the stage in his works to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further to Antarctica. In addition, modern knowledge, Christian thought, and English learned at ‘Hanyeongseowon’ were embodied as themes in the work. Another important feature is the creation of a new character, which is rare in previous ‘Sinsosul’, such as ‘Taekkyeon’ master, an attractive female heroine with a disability, and a person who majored in shipbuilding and navigation and took on the challenge of exploring Antarctica. In this way, Lee Sang-chun and the ‘Sinsosul’ he left behind serve as meaningful examples for understanding the colorful aspect of the ‘Sinsosul’ of the 1910s.

      • KCI등재

        개화기 서포의 소설 출판과 상품화 전략 - 신문 게재 소설 광고를 중심으로

        배정상 ( Bae Jeong S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 연구는 개화기 주요 신문 매체에 수록된 소설 광고의 목록을 정리하고, 각광고에 담긴 다양한 정보들을 통해 이 시기 서포상들의 소설 출판과 상품화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개화기 소설 광고는 대체로 책제목, 저자이름, 표제, 발행 및 발매소, 가격, 분량표기 등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책의 내용 및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광고 문안을 수록하고 있었다. 소설 광고가 포함하는 이러한 정보들은 소설이라는 문학적 글쓰기 양식을 화폐와 교환이 가능한 하나의 상품으로 변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소설 광고 문안에는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호출된 소설을 출판·유통시킨다는 공적인 사명과 이를 상품으로 제작·판매하여 이윤을 얻어야하는 상업적 입장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개화기 소설 광고는 급박한 시대적 조류 속에서 새롭게 호출된 소설이라는 문학적 글쓰기 양식이 근대적 출판·인쇄 기술을 바탕으로 성립된 자본주의적 유통 질서 속에서 맥락화 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t the list of novel advertisements collected in major daily newspapers in the opening period of Korea, and to explore bookstore managers`` novel publication and commodification strategies at the time through diverse information in various advertisements. Novel advertisem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consisted of elements such as book titles, author names, entitlements, publication and selling agents, prices, volume size, etc., and contained different advertisement copies according to book``s content and character. The information that novel advertisements include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a manner of literary writing, named novels into a product exchangeable for money. In the advertisement copies of novels, a publicly appointed task of publishing and distributing novels called out as a way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a private situation in which profits should be obtained through publishing and selling them as products were intricately entangled. Novel advertisements at the time were efficiently shows the process of contextualization of literary writing newly called out as novels in the distribution order of capitalism established on the basis of modern publication and press technologies in the rapid current of the times.

      • KCI등재

        딱지본 대중소설의 작가 철혼 박준표 연구

        裵定祥 ( Bae Jeong-sa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7 No.-

        철혼 박준표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대표적인 작가이다. 그는 딱지본 대중소설 작가로 활동하면서, 소년소녀 잡지의 발행과 다양한 실용서적들을 저술하기도 했다. 그의 딱지본 대중소설은 외국소설의 번역 및 번안, 근대소설의 모방 및 대중적 확산, 신소설의 지속과 변용, 고소설 다시 쓰기, 정사 사건의 반영 등 다채로운 특징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의 작품들은 순수한 창작이라기보다, 원작이 있는 작품을 번역 및 번안하거나, 둘 이상의 작품을 복합적으로 모방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은 자본주의 시장 안에서 하나의 상품으로 기획된 딱지본 대중소설의 일반적인 특성과도 연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술출판 활동이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에 상당한 활력을 불어 넣거나 독서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Cheol-Hon(哲魂) Park Joon-pyo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Ddakjibon popular novels. He has worked as a Ddakjibon popular novelist, publishing boy and girl magazines and writing various practical books. His Ddakjibon popular novels show various features such as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foreign novels, imitation and popular spread of modern novels,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 of Sinsosoel(新小說), rewriting of Korean traditional novels, reflection of a lover's suicide affairs. However, most of his works are not pure works, they are translated and adapted works with the original works, or imitat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works. This is also connected to the general character of Ddakjibon popular novels designed as a commodity in the capitalist market. Nonetheless, it is hard to deny that his writing publishing activities have contributed enormous vitality to colonial book publishing culture or popularized reading.

      • KCI등재

        『제국신문(帝國新聞)』 소재 이해조 소설 연구

        배정상 ( Jeong Sang Bae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1 東洋學 Vol.49 No.-

        This study examined Lee Hae-jo`s novels serialized in Jeguk Sinmun. Most of previous studies on Lee Hae-jo`s novels were focused on those published in separate volume,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it has been difficult to access the materials of Jeguk Sinmun since 1907. Thus,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 and discourses of Jeguk Sinmun as a medium and Lee Hae-jo`s novels through exhaustive analysis of the newspap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Lee Hae-jo`s novels serialized in Jeguk Sinmun show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the publication of Lee Hae-jo`s novels in the newspaper is closely connected to the radical expansion of space and the change of system of the newspaper in May 1907. Second, experiments on new styles of fictions distinguished from old novels were continued under various titles including ``play novel,`` ``political novel,`` ``family novel,`` and ``detective novel.`` Third, the novels actively weaved various classes of readers like newspaper readers and book readers, old novel readers and new novel readers, etc.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Lee Hae-jo`s novel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 KCI등재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 연구

        배정상(Bae, Jeong-Sa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본 연구는 딱지본 대중소설 중 일인칭 서술 시점이 활용된 작품들을 소개하고,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장안에서 이들 작품이 지닌 특징과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일인칭 시점은 1920년대 이후 유학생 지식인들이 주로 잡지에 게재된 단편소설을 통해 실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인칭 서술 시점은 번역 및 번안의 경로를 통해 더 이른 시기부터 실험되었으며, 특히 『(신소설)형월』(1915)의 일인칭 시점 서술은 번역 및 번안이 아닌 신소설의 서사 전통을 계승한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라 주목할 만하다. 1920년대 이후 몇몇 딱지본 대중소설은 소위 고급문예의 장에서 적극 활용되던 일인칭 시점의 서술방식을 수용하여 이를 대량생산의 장으로 확산시키고자 했다. 특히,『(가정소설)해혹』,『(신소설)표랑의 루』,『(애정소설)애루몽』은 일인칭 시점의 서술방식을 딱지본 대중소설에서 실험한 보기 드문 사례에 해당한다. 이들 작품이 일인칭 시점 서술을 통해 각기 다른 의미와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예컨대, 『(가정소설)해혹』 은 도덕과 윤리로 포장된 주인공의 호의가 실제로는 지루한 일상에 새로운 자극을 원하는 성적인 욕망을 품고 있었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신소설) 표랑의 루』는 화자인 ‘나’를 실제 작가와 일치시켜 독자로 하여금 화자의 내면고백과 소설 이야기에 더욱 몰입하도록 기능한다.『(애정소설)애루몽』의 경우,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는 룸펜 지식인의 고뇌와 좌절을 통해 제국주의 침탈의 역사적 맥락이나 자본주의 체제의 냉혹함을 날카롭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독자에게 고급문예의 내용과 형식을 확산시키는 한편, 소위 고급문예의 독자를 딱지본 대중소설의 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시도였다. 이처럼,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은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다층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흥미로운 사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works in which the first person narrative view is utilized among six-pence pop novels, and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ithin the ground of colony book publishing culture.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first person view was experimented by intellectuals with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since the 1920s, mainly through short stories published in magazines. However, the viewpoint of first person narrative was experimented from an earlier period through the path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first person view narrative in a new novel, Hyeongwol (1915) was written while inheriting the narrative tradition of the new novel, not translation or adaptation. Since the 1920s, several six-pence pop novels tried to expand the narrative method of first person view, which was actively used in the so called high-level literary field, into the field of mass production. In particular, “(family novel) Haeok”, “(new novel) Ru of Pyorang”, and “(affectionate novel) Aerumong” correspond to rare cases where the narrative of first person view was experimented in a six-pence pop novel. It is noteworthy that these works generate different meanings and effects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first person view. For instance, “(family novel) Haeok” effectively reveals that the protagonist"s favor, wrapped in morality and ethics, actually had a sexual desire for new stimulation in boring daily life. “(New novel) Ru of Pyorang” functions to make readers more immersed in the narrator"s inner confession and novel story by matching the speaker "I" with the actual author. In the case of “(affectionate novel) Aerumong”, through the agony and frustration of the lumpen intellectuals who have passed down various profession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imperial invasion and the harshness of the capitalist system are sharply revealed. This attempt spreads the content and form of high-level literature to readers of the six-pence pop novels whereas it was an attempt to draw the so-called high-level literary readers into the ground of the six-pence pop novels. As such, the six-pence pop novel from the first person perspective is an interesting example for understanding the multi‐layered nature of colony book publishing culture.

      • KCI등재

        출판인 송완식 문학 연구

        배정상 ( Bae¸ Jeong-s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남송 송완식은 척박했던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장 안에서 장르와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저술출판활동에 매진했던 작가이자 출판인이었다. 처음 영창서관을 통해 다양한 저술 작업을 시도하던 송완식은 이후 동양대학당과 문화사를 직접 운영하며 서적의 출판과 발행에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 그는 『카이제루실기』, 『익살주머니』, 『명금』, 『의문의 시체』, 『만국대회록』, 『장작림실기』, 『손일선실기』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작품들을 비롯하여, 실용서적, 사회과학서적, 사전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의 저술과 발행을 시도한 바 있다. 또한 문화적 사명감을 토대로 이루어진 그의 출판 활동은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장 안에서 독자들의 취미를 만족시키고, 지식과 교양을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송완식이 남긴 문학 작품들은 저작자이자 출판인이었던 그의 특수한 정체성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송완식은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넘어, 출판 기획과 편집, 광고 등 책의 저술과 발행, 유통에 이르기까지 주관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개성을 지니고 있었다. 예컨대, 동시대 영웅들의 이야기를 통해 급변하는 세계정세를 이해하고 조선의 현실을 반추하도록 했다. 또한 당대의 풍경을 우스운 이야기로 포착해낸 재담집의 저술이나, 활동사진이라는 최신의 미디어 양식을 고소설의 형식으로 번역하기도 했다. 삽화를 활용한 단행본 소설을 저술하여 탐정소설의 장르를 새롭게 선도한 것도 의미 있는 성과이다. 동물연설의 서사에 사진 테크놀로지를 결합시키고, 이를 통해 당대의 사회문제를 비판한 것도 출판인 송완식 문학이 지닌 개성을 오롯이 드러낸다. Song Wan-sik, Nam Song, was a writer and publisher who devoted himself to various publishing activities, crossing genres and boundaries within the barren colonial book publishing culture. Song Wan-sik, who first attempted various writings through the Youngchang Library, expanded the area to publication of books by directly operating the Dongyangdaehakdang and Munwhasa. He has written practical books, Social science books, and dictionaries including literary works of various genres, such as Kaijeru Silgi, Farce Pouch, Myeonggeum, The Mysterious Body, Barbarian Conference Record, Jangjakrim Silgi, Sonilsun Silgi. In addition, his publishing activities, based on a sense of cultural mission, greatly contributed to satisfying readers’ hobbies and expanding knowledge and culture within the colonial book publishing culture. The literary works left by Song Wan-sik convey his unique identity as a writer and publisher. Song Wan-sik had a differentiated personality in that he supervised the contents and format of a literary work, from publication planning and editing, to the writing,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books such as advertisements. For example, through the ‘true record’ of contemporary heroes,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and reflect on the reality of korea. He also translated the writing of a collection of jaedam that captured the landscape of the time as a funny story, or the latest media style of action photos into the form of old novels. It is also a meaningful achievement to lead the genre of detective fiction by writing a book novel using illustrations. The combination of photographic technology with the narrative of the animal speech, and criticizing the social issues of the day through this, fully reveals the individuality of the publication, Song Wan-sik’s literature.

      • KCI등재

        녹동 최연택의 언론출판활동과 딱지본 대중소설 연구 ― ‘사회소설’ 『단소』와 『죄악의 씨』를 중심으로

        裵定祥 ( Bae¸ Jeong-sa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5 No.-

        녹동 최연택은 1920년대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장 안에서 나름의 개성 있는 행보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는 신문 매체에 수많은 글을 기고한 언론인이자, 출판사를 직접 설립하여 경영한 출판인이었으며, 몇 편의 특색 있는 소설 작품을 남긴 문학인이기도 했다. 예컨대, 그는 신문이라는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담은 다양한 글쓰기 방식을 시도했으며, 문창사라는 출판사를 설립·운영하며 출판활동을 통한 사회적 소명을 다하고자 했다. 또한 『단소』, 『죄악의 씨』 등 ‘사회소설’ 연작을 통해 이윤추구에 몰두하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 현상에 대한 비판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처럼 경계인 녹동 최연택의 언론·출판 및 소설 창작 활동은 식민지 시기 서적출판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흥미로운 사례가 된다. Nok-dong Choi Yeon-taek is a character who shows his own unique course in the colonial book publishing culture of the 1920s. He was a journalist who contributed numerous articles to newspapers, a publisher who founded and managed a publishing company himself, and was also a literary man who left several distinctive novels. For example, he tried various writing methods that contained his thoughts and philosophy through the media of newspapers, and tried to fulfill his social vocation through publishing activities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publishing house called Munchangsa. He also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takjibon popular novels that were immersed in the pursuit of profit through a series of ‘social novels’ such as 『Danso』 and 『Seed of Sin』, and to present criticism and alternatives to social phenomena. As such, Marginal man Nokdong Choi Yeon-taek’s media, publishing, and novel creation activities are an interesting example for understanding the book publishing cul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호외시대」 재론(再論) -『매일신보』 신문연재소설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배정상 ( Jeong Sang Ba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oe Sidae, the onlyfull-length novel written by Seohae Choe, with focus on its characteristicsas a serial novel of the newspaper Maeil Sinbo. Thus, this paper is characteristicin that it tries to take a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Ho-oe Sidae and the core elements of its narrative unfolding in terms ofthe media arrangement and strategies of Maeil Sinbo. As such, it is differentfrom existing studies that have evaluated its value in terms of literaryhistory. Ho-oe Sidae, published as a serial novel owing to the newspaper’s strategyof the independent characterization of the art and science page, is takenas a case that allows us to specifically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newspaper serial novels in the 1930s. Though he was aware of censorship,Choe tried to carry out his own counter-strategy in terms of the work, andreflected on communication with popular readers in various ways throughthe work. We can also observe that various narrative devices and descriptive techniques were used to attract readers’ interest. Above all,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nsider the negative recognitionof the bulletin fo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Maeil Sinbo or of newspaper serial novels, and more specifically clarifythe characteristics of Ho-oe Sidae as a newspaper serial novel.

      • KCI우수등재

        1920년대 신문 ‘기자/작가’ 은파 박용환 문학 연구

        배정상(Bae, Jeong-sang)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8

        이 논문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근대 신문 ‘기자/작가’ 은파 박용환의 기자이력과 문학 활동을 통해 1920년대 문학장의 특수한 성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은파 박용환은 『매일신보』, 『조선일보』 등에서 활동한 기자이자, 『방화수류정』, 「흑진주」, 『연당의 비밀』등의 작품을 남긴 작가이기도 했다.『매일신보』의 연파기자였던 박용환은 『방화수류정이라는 소설을 저술하였으며, 이 작품은 조중환이 각색하여 김도산 일행에 의해 연극으로 공연되었다. 당시『매일신보』는 연극 공연의 상황을 생생하게 기록하여 독자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특별할인권을 지급하여 작품의 흥행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후 박용환은 『매일신보』에 장편소설 「흑진주」를 연재하였는데, 이 작품은 당시 유행하던 ‘마술’을 주된 소재로 활용하였으며, 추리소설적 요소가 강한 전형적인 신문연재 대중소설이었다. 이 작품 역시 연극공연을 염두에 두고 창작된 것으로, 윤백남이 각색하고 민중극단에 의해 연극으로 상연되었다. 또한 번안소설 『연당의 비밀』은 대중의 기호와 취미를 반영하되, 신문이라는 근대 미디어의 속성을 서사 전개의 중요한 장치로 활용한 작품이었다. 결국 박용환은 자신의 기자 경험을 바탕으로 대중의 기호와 취미를 적극적으로 작품속에 반영하고자 했으나, 오히려 대중추수적인 상업화 전략은 지속적인 문학 활동에 방해가 되고 말았다. 그는 문학과 언론 사이에 존재한 경계인이었지만, 안타깝게도 문학사, 언론사 어느 쪽에도 이름을 남기지 못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ovels in the 1920s through his records and literary activities of a modern newspaper journalist and writer, Eunpa (隱坡) Park Yong-hwan (朴容奐) who has been unknown so far. Eunpa Park Yong-hwan was a journalist who worked for "Maeil Shinbo" and "Joseon Ilbo", and he also wrote works such as "Banghwasuryujeong", "Black Pearl" and "Secrets of the Pond". Park Yong-hwan, a social affairs journalist for "Maeil Shinbo", wrote a novel called "Banghwasuryujeong", which was adapted by Jo Jung-hwan and played by Kim Do-san and his company. At the time, "Maeil Shinbo" vividly recorded the status of the play performance, which inspired the readers" curiosity and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work by paying special vouchers. After that, Park Yong-hwan wrote his novel "Black Pearl" in "Maeil Shinbo", which utilized ‘magic’ popular at the time as a material, and was a popular serial newspaper novel with strong mysterious elements. This work was also created with the play performance in mind, and was adapted by Yun Baek-nam and played by people"s play. In addition, the adapted novel, "Secrets of the Pond" rather reflects the public"s tastes and hobbies, and it was a work that utilized the properties of modern media as an important device of narrative development. In the end, Park Yong-hwan tried to incorporate public tastes and hobbies in his works based on his journalist experience, but rather the populism commercial strategies interfered with continuous literary activities. He was a marginal man between literature and journalism, but unfortunately he failed to leave a name for either literature or journalism.

      • KCI등재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와 딱지본 대중소설의 모방 양상 연구: 강명화 정사 사건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을 중심으로

        배정상(Bae, Jeong Sa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3 No.-

        1923년 기생 강명화와 부호 장병천의 정사 사건은 새로운 시대의 연애를 갈망하는 당시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몇몇 작가와 출판사들은 이 사건이 지닌 대중적 파급력에 주목하고, 이를 소재로 한 소설의 저술 및 발행을 적극적으로 시도했다. 본 연구에서는 강명화 정사 사건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들을 새롭게 정리하고, 주요 작품들의 서사 전략 및 모방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강명화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이 지닌 개별 작품의 특성을 넘어, 식민지 서적출판문화 속 딱지본 대중소설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방편이 된다. 이해조의 『(여의귀)강명화실기』는 당시 신문기사를 서사의 뼈대로 삼고, 그 밖의 다양한 소문을 취재하거나 허구적 상상력을 추가하여 하나의 소설로 완성하였다. 『(여의귀)강명화실기』 상편은 당시 대중적 인기를 끌어 사회문제가 되기도 하였으며, 강명화 정사 사건을 다룬 다양한 소설 텍스트의 모본이 되었다. 최찬식의 『(신소설)강명화전』은 이해조의 『(여의귀)강명화실기』을 저본으로 삼아 모방하되 딱지본 대중소설의 형식에 맞도록 기획 출판된 작품이다. 두 남녀의 운명적인 만남을 서두에 배치하고, 두 연인 사이의 사랑스러운 대화 장면을 삽입하거나, 장병천을 매력적인 인물로 묘사한 것은 『(신소설)강명화전』만의 새로움이라고 볼 수 있다. 철혼 박준표의 『(절세미인)강명화의 설음』은 『(여의귀)강명화실기』와 『(신소설)강명화전』을 복합적으로 모방한 작품이다. 『(절세미인)강명화의 설음』 압축된 빠른 사건 전개가 돋보이는, 가장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하나의 상품으로 기획된 전형적인 딱지본 대중소설이다. In 1923, the affair between the prostitute Kang Myunghwa and the wealthy Jang Byungcheon was enough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the people, who longed for a new age of romance, at the time. Several writers and publishers paid attention to the mass impact of this incident and actively attempted to write and publish novels using it. This study attempted to newly organize popular novels that were labeled as the subject of the Kang Myunghwa affair and examine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imitation patterns of major works in detail. These attempts go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of the popular novels of Takjibon as the subject of Kang Myunghwa and become a useful wa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akjibon popular novels in the colonial book publishing culture. Lee Hae-jo s 『(Yeouigui)kangmyeonghwasilgi』 was completed as a novel by using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as the framework of the narrative, covering various rumors or adding fictional imagination. The 『(Yeouigui)Kangmyeonghwasilgi』 was popular at the time and became a social issue. It became a model for various novel texts dealing with the Kang Myunghwa affair. Choi Chansik s 『(New Novel)Kangmyeonghwajeon』 was a planned and published work which imitated Lee Haejo s 『(Yeouigui)Kangmyeonghwasilgi』 as a book, but conformed to the format of a Takjibon popular novel. Arranging the fateful meeting of two men and women at the beginning, inserting a lovely dialogue scene between two lovers, or depicting Jang Byeong-cheon as an attractive character can be seen as a novelty of 『(New Novel) Kang Myung Hwajeon』. Park Joon-pyo s 『(Severe Beauty) Kangmyunghwa’s Sorrow』 is a work that mimics 『(Yeouigwi)Kangmyeonghwasilgi』 and 『(new novel)KangMyunghwajeon』. 『(Severe Beauty)Kangmyunghwa s sorrow』 is a typical Takjibon popular novel designed as a product that can be enjoyed lightly with a compressed rapid development of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