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축의 보조사료 개발을 위한 Bacillus spp.의 분리 및 특성

        박해석,조승화,임은정,김윤순,문성현,조호성,김현영,조용식,조성호,Park, Hae Suk,Jo, Seung Wha,Yim, Eun Jung,Kim, Yun Sun,Moon, Sung Hyun,Cho, Ho Seong,Kim, Hyun-Young,Cho, Yong Sik,Cho, Sung Ho 한국미생물학회 2015 미생물학회지 Vol.51 No.4

        가축산업분야에서 항생제의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질병 예방을 통한 축산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료첨가제인 미생물제재의 개발과 같은 예방적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료 분해 능력이 좋고 항균활성이 뛰어난 포자 형성 Bacillus 균주 3종인 B. sutilis LCB7, B. licheniformis SHS14, B. amyloliquefaciens LCB10을 우수 균주로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발한 Bacillus 3종을 1:1:1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종균을 제조하여 항균시험(in vitro) 결과, 단일 3종 및 lincomycin과 비교하여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송아지를 이용하여 항균활성 시험(in vivo)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lincomycin 투여 대비 90% 수준의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개발한 혼합 종균의 안정적 보존을 위해 혼합 종균을 제조하여 다시 증균을 통하여 미생물군집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초기 군집비율과 증균 후 군집비율이 매우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이로서 본 연구에서는 선발된 Bacillus 균주 3종을 이용하여 제조한 혼합 종균이 사료첨가제용 미생물제재로서 이용 가능함을 최종 확인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solate spore-forming Bacillus strains that exhibit high digestibility and anti-pathogenic bacteria toward feed for calves. Total 136 spore-forming strains were isolated from finished feeds and their ingredients. Among them, 93 strain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ecies when analyzed by 16S rRNA sequencing. For industrial use, three strains named as Bacillus licheniformis SHS14, B. subtilis LCB7, B. amyloliquefaciens LCB10 were selected after evaluating the industrial standards that are related with heat and acid resistance, enzyme activities, and anti-pathogenic activities against Samonella dublin ATCC15480 and E. coli K99. After each culture, 3 selected strains were mixed together at 1:1:1 (v/v/v) ratio and then prepared as the mixed starter culture for feeding. The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were analyzed via 16S rRNA metagenomics. The initial community ratio among three strains was maintained even after manufacturing into final products. Also, in vitro, enzymatic and anti-pathogenic activities were almost same as those when cultured in single culture, and results of anti-pathogenic activities conducted with calves showed 90% activities against lincomycin, which would be indicative of a promising feed starter.

      • KCI등재

        논문 : 기계적 성질 ; 경질박막소재의 계면접합력 평가를 위한 압입자 이동시험의 미세역학적 분석

        박해석 ( Hae Seok Park ),서룡운 ( Yong Woon Seo ),권동일 ( Dong Il Kwon ) 대한금속재료학회 ( 구 대한금속학회 ) 1996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4 No.11

        The critical loads in scratch test are used for the comparison of adhesion in film/substrate systems. But the critical loads are strongly affected by various parameters such as scratching speed, indenter tip radius and film thickness. Therefore, to assess the reliable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the stress generated by sliding circular indenter was analyzed by considering the static indentation stress, frictional stress and residual stress. Static indentation stress consists of the elastic stress and blister stress generated by plastic deformation of substrate. On the basis of the stress analysis, the elastic deformation energy of film was evaluated under the condition of strain matching criterion at the interface.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energy stored in film reaches the critical value, this energy will be released by delamination and spallation of film. Thus the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in terms of work of adhesion can be evaluated by extracting the surface energy generated by spallation from the elastic deformation energy. The work of adhesions of PECVO-prepared DLC film on WC-Co substrate were evaluated. In spite of the distinctly different critical loads measured with the change of scratching speed and film thickness, the comparatively constant work of adhesions were obtained.

      • KCI등재

        Tumor Necrosis Factor-α 억제제(Etanercept)로 호전된 Pustulotic Arthro-osteitis

        박해석 ( Hae Seok Park ),김종훈 ( Jong Hoon Kim ),김혜원 ( Hye Won Kim ),김수찬 ( Soo-chan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19 大韓皮膚科學會誌 Vol.57 No.7

        Pustulotic arthro-osteitis (PAO) is a rare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characterized by inflammatory osteitis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and palmoplantar pustulosis. Here, we report a case of PAO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 TNF-α inhibitor. A 45-year-old man presented with a 3-month history of pustular eruption on the palms and soles. Physical examination showed multiple erythematous papulopustules on the palms, back, and left shin, accompanied by sternoclavicular joint swelling and tenderness. Skin biopsy showed intraepidermal pustules filled with neutrophils on the palm. Bone scintigraphy revealed increased uptake in the bilateral sternoclavicular and other axial joi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made the diagnosis of PAO. Even after 6-month treatment of oral steroids and cyclosporine, skin manifestations insufficiently improved, so etanercept therapy was started. Complete clearance of skin lesions and joint pain were achieved after 3 months of etanercept therapy. (Korean J Dermatol 2019;57(7): 378∼382)

      • 순창지역 자연누룩과 가양주 제조 실태 조사 및 누룩미생물 분리 동정

        박해석 ( Hae Suk Park ),정도연 ( Do Yeon Jeong ),조성호 ( Sung Ho Cho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순창지역의 자연누룩과 가양주 제조방법 조사 및 누룩으로부터 약주제조에 적용가능한 우수 발효균주 선별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순창군 순창읍과 7개면에서 누룩 11점과 가양주 8점을 수거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하였고, 더불어 자가생산제조자에게 제조방법을 조사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순창군에서 수거한 자연누룩으로부터 세균 22종, 효모 20종 및 곰팡이 6종을 선별하여 약주 제조에 가장 적합한 미생물을 선발한 결과, 효모 Sacharomyces cerevisiae KAL9와 곰팡이 Aspergillus oryzae JHM9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Aspergillus oryzae JHM9는 코지 제조용으로, Sacharomyces cerevisiae KAL9는 알코올 생산용으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선발한 균주를 이용한 약주제조 연구에 활용할 예정이다. 추가로 선별된 효소활성이 우수한 Bacillus속의 경우 향후 누룩제조시 Aspergillus oryzae와 함께 혼용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Pichia속 효모의 경우도 Saccharomyces cerevisiae와 혼합발효를 통하여 풍미를 향상시키는 연구에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Nuruk and Yakju as well as screening the microorganisms from Nuruk. We screened 48 microorganisms` strains, which were 22 bacteria, 20 yeasts and 6 molds from Nuruk collected from Sunchang area in Korea. Out of 48 strains, 4 strains showed high amylase activity or alcohol contents. Moreover, we analyzed 11 Nuruk sample`s pH, acidity, water content and total aerobic count and 8 Yakju`s pH, acidity and brix value. Finally, we selected Aspergillus oryzae JHM9 for making Koj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KAL9 for brewing. This selected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ITS sequencing and biochemical tests. Our study showed that selected strains may be used as microbial sources for Nuruk starter or alcohol producing starter with good quality in brewing.

      • KCI등재

        제주·호남권 전통된장과 고추장의 미생물 군집구조의 분석

        조성호,박해석,조승화,임은정,양호연,하광수,김은지,양승조,정도연,Cho, Sung Ho,Park, Hae Suk,Jo, Seung Wha,Yim, Eun Jung,Yang, Ho Yeon,Ha, Gwang Su,Kim, Eun Ji,Yang, Seung Jo,Jeong, Do Yeon 한국미생물학회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1

        전통방식으로 제조하는 전통 장류인 된장과 고추장은 제조하는 환경과 방법, 미생물 그리고 제조자에 따라 다양한 풍미와 특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된장과 전통 고추장의 미생물 분포도를 제주도(된장 2점, 고추장 2점), 전남권(된장 3점, 고추장 3점), 전북권(된장 7점, 고추장 5점)으로 구분하여 미생물(세균, 진균) 분포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시료는 종균을 이용하지 않고 자연발효 되었고, 1~5년간 발효 숙성된 제품으로 수집되었다. 전통 된장의 세균 분포도를 보면,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는 세균은 B. amyloliquefaciens와 Tetragenococcus halophilus이었으며, Bacillus 속은 전남권(43.16%), 전북권(64.54%)에서 주요한 우점균 이었다. 그러나 제주도의 시료는 Bacillus 속이 0.22%로 내륙과 제주도는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진균 분포도를 보면, Candida versatilis는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 하였으며, Candida 속은 전남권(64.22%), 전북권(33.68%)이었고, Mucor 속은 전북권(36.73%), 전남권(15.66%)의 주요한 우점종이었다. 그러나 제주도 시료는 곰팡이 보다는 효모인 Candida 속과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우점균이었다. 전통 고추장의 세균 분포도를 보면,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는 세균은 B. subtilis와 B. licheniformis이며, B. amyloliquefaciens는 호남권에서만 우점종 이었다. 전반적으로 고추장에서 Bacillus 속이 우점균이라는 내용과 일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Jin et al., 2007). 진균 분포도를 보면, 3개 권역의 고추장에서 공통적인 우점종이 없었으며, 제주도와 전남권은 Aspergillus 속과 Rhizopus 속이 우세하였고, 전북권은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우점종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표본에서는 전통 된장과 전통 고추장은 지역적인 특징보다는 각 시료의 군집특성에 따라 유사 군이 형성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지역적, 시료 특성별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의 군집 분포도를 정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microbial population of Korean traditional Deonjang and Gochujang produced in Jeju, Jeonnam, and Jeonbuk province area, microb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In this result, the dominant bacteria of Deonjang in three area were Bacillus amyloliquefaciens, Tetragenococcus halophilus, and Bacillus was major dominant bacteria in Jeonnam (43.16%) and Jeonbuk (64.54%) area. But in Jeju area, Bacillus was 0.22%,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two. Equally, the dominant fungi of Deonjang in 3 area were Candida versatilis. Common fungus in Jeonnam and Jeonbuk area was Candida sp., respectively, 64.22% and 33.68% and Micor sp. was a common fungus in Jeonnam (15.66%) and Jeonbuk area (36.73%). But in Jeju area, Candida sp.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were dominant than mold.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and B. amyloliquenfaciens were the preminant bacteria in the traditional Gochujang in three regions. But there were no common dominant fungi in the 3 regions. Aspergillus sp. and Rhizopus sp. prevailed in Jeju and Jeonnam region, and Zygosaccharomycess rouxii predominanted in Jeonbuk are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samples collected for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similar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ample rather than regional characteristics.

      • SCOPUSKCI등재

        메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를 이용한 사과 발효 음료 제조

        허준(Jun Heo),박해석(Hae-Suk Park),엄태붕(Tai-Boong Uhm)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5

        젖산세균을 이용한 사과 발효 음료는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젖산세균을 선발하여 발효 음료 제조를 시도하였다. 국내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된 84종의 젖산세균 가운데 사과 음료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고 항당뇨 활성이 우수한 JBE245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메주에서 분리된 JBE245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사과 발효 음료의 생균수는 24시간 배양 후 3.6×10<SUP>8</SUP> CFU/mL로 이후 생균수를 유지하였다. 항당뇨 활성의 지표인 알파 글루코시데이스 저해능은 발효전 18.5%에서 증가하여 최대 40.4%까지 증가하였다. 산화방지 활성 지표인 총 폴리페놀함량은 583.6 mg GAE/mL로 발효 전(424.5 mg GAE/mL)보다 증가하였으며, DPPH 소거활성은 52.0%로 발효 전(43.5%) 보다 높았다. 발효 음료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발효 전후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종합적 선호도는 각각 4.72, 4.22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JBE245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음료가 산화방지 및 항당뇨 기능이 향상된 프로바이오틱 발효 식품이라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Eighty-four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apple juice. Among these strains, the JBE245 strain that showed rapid growth and food functionality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This strain reached the stationary phase after 24 h fermentation at 30℃ with 1.5×10<SUP>8</SUP> colony forming unit (CFU)/mL of viable cells, and maintained its viability levels even after 14 days of storage. During fermentation,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40.4%), total polyphenol content (583.6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mL), and 2,2-diphenyl-l-picryl-hydrazyl hydrat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2%) were increased. As judged by a sensory test, the overall preference for the fermented juice (4.22) was comparable to that for the unfermented juice (4.72), indicating that fermenta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pple juice. Consequently, the fermented beverage containing L. plantarum JBE245 and apple juice is a promising functional health 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