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관규칙 분석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 시공단계의 결함발생규칙 규명

        박정은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Defect in construction sit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causes economic loss, such as schedule delay and cost overrun due to rework. But, quali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phase depends on the method of repair through an inspection of the work results, rather than preventing defects in advance. Thus, many studies have made an effort to prevent defects by identifying the single causes of defect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es. However, since there are too many types of defects and combinations of causes, preventing all causes of defects is very limited in construction site. Particularly if a generated defect in previous work type is continued onto after work type, defect in after work type can happens due to defect in the previous work type. However, the quality manager has not been able to grasp the generation structure of defects that may occur in connection with other defects, because they conduct preventative activities based on own experiences. Therefore, to support an effective performance of qual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generating rule of defects that may occur in next work types after a defect occurs in the previous work type using the data mining method. The process and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existing studies conducted for defect prevention were considered in three aspects (i.e., type and properties of defect, defect management and work process, and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single cause of defects). Thus, need for this paper was proposed by identifying problems of defect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phase and limitation of the existing studies. Second, current status of defects were analyzed for each of the 13 work types based on 9,054 defect cases from domestic 31 construction fields. Also, to additionally analyze current status of defect type, defects that may occur in 13 work type were categorized into 66 defect types. Third, generating rules of defects that may occur in next work types after a defect occurs in the previous work type were deduced using Association Rule Analysis. In order to deduce the generation rules between such defects, following procedure was used to conduct an analysis. (1) 9,054 defect cases were transformed as a sparse matrix in categories of 0 and 1 in order to conduct an association rule analysis. (2) An association ru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structed sparse matrix data. And as a result, 1,237 rules were deduced. (3) Among the 1,237 deduced rules, the rules determined to have no association based on the values of Support, Confidence, and Lift and the rules different to the construction sequence were eliminated. Thus, 216 rules were deduced. Fourth, the association rule analysis not only remind existing knowledge, but also has advantage of discovering new knowledge. However, since the methodology only considers frequency, it has the disadvantage of deducing multiple unnecessary rules. Thus, 216 ru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rule types (expectable rule, unexpectable but explainable rule, and unexpectable and unexplainable rule) based on the opinions of professionals conducting quality inspection. 64 rules that opinions between professionals were inconsistent on the 216 rules were eliminated. Therefore, a total of 152 rules(71 expectable rules, 22 unexpectable but explainable rules, and 59 unexpectable and unexplainable rules) were identified. Fifth, the logical validity of identification of the defect generation rule, effectiveness of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an interview with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generation rules between defect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preventative activity due to the many types and causes of defects that must be managed, and the problem that the defects are manag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quality manager. The generation rule between defects as propos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a prior comprehension of the types of defects that require intensive management by regularizing the many types of defects. The rules that could not be ascertained by the quality manager’s experience alone were additionally identified, and thu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d a new direction in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quality management. Meanwhile, si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e of the generation of defects based on defect cases occurr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it has the restriction of the difficulty of being applied in other types of facilities. Furthermore, it is determined that additional comprehensive study will be needed on the 81 rules classified as unexpectable rules. 건설현장에서의 품질결함은 재시공으로 인한 공기지연, 비용증가 등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중요한 관리요소이다. 하지만 시공단계에서의 품질관리는 결함을 사전에 예방하기보다 작업결과에 대한 검사를 통하여 보수하는 방법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기존 연구들은 통계분석을 통해 결함의 단일원인들을 규명하고, 발생 원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결함을 예방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관리해야할 결함의 유형뿐만 아니라 발생 원인들의 조합들도 너무 많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 모든 결함의 원인들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특히, 이전 공종에서 발생한 결함을 조치하지 않고 후행 공종으로 넘어갈 경우, 이전 공종에서 발생한 결함으로 인해 후행 공종에서의 결함이 연계되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의 품질관리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예방활동을 하고 있어 실제로 연계되어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발생규칙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의 효과적인 품질관리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연관규칙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선행공종에서 결함이 발생한 후 후행공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발생규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함예방을 위해 수행되었던 기존 연구들을 세 가지 측면(결함 유형 및 특성분석, 결함관리 및 업무프로세스 개선, 결함의 근본원인 및 원인 간 관계분석)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결함의 유형 및 시공단계 결함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결함예방에 대한 연구들의 한계점을 도출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31개의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된 9,054건의 결함사례를 바탕으로 13개의 공종별 결함 발생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13개의 공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유형을 66개로 분류하여 발생 현황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연관규칙 분석(Association Rule Analysis)을 활용하여 선행공종에서 결함이 발생한 후 후행공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들의 발생규칙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함 간 발생규칙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1) 연관규칙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명목형 변수인 9,054건의 결함사례를 0과 1로 구분하여 희소행렬로 재구축하였다. (2) 구축된 희소행렬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관규칙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237개의 규칙들을 도출하였다. (3) 도출된 1,237개의 규칙들 중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값을 토대로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된 규칙들과 공사순서와 상이한 규칙들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216개의 규칙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216개의 규칙들을 저자의 판단과 품질검사를 수행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세 가지 규칙유형(Expectable rule, Unexpectable but Explainable rule, Unexpectable and Unexplainable rule)으로 분류하였다. 216개의 규칙들을 바탕으로 저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하여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규칙 64개를 제외하였다. 이를 토대로 Expectable rule 71개, Unexpectable but Explainable rule 22개, Unexpectable and Unexplainable rule 59개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총 152개의 규칙을 규명하였다. 다섯째,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본 연구의 결함발생규칙 규명의 논리적 타당성과 도출된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함들이 품질관리자의 경험에 의해 관리된다는 문제점과 관리해야할 결함의 유형 및 원인들이 너무 많아 예방활동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함 간 발생규칙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결함 간 발생규칙은 많은 결함 유형들을 규칙화하여 중점관리가 필요한 결함 유형을 사전에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품질관리자가 경험을 통해서 알 수 없었던 규칙들을 추가적으로 규명하여 품질관리 연구 및 실무분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결함사례를 바탕으로 결함발생규칙을 규명하였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시설군에서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Unexpectable로 분류된 규칙 81건에 대한 심층적인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신체의 훼손을 소재로 한 소설창작 기법연구

        박정은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Bodily discourse was already initiated in ancient period in the western world. However, studies about bodily discourse had actively been started after the last half of the industrial period in Korean literature. Discourse derived from dichotomy theory of body/soul by Platon was reflected on the novel in Korean literature. Therefore, sick society and the phases of the times were described as the handicapped with physical injuries. They were materialized as a neglected class in society only due to physical damage and hence were isolated and excluded. This is the structural perspective on the bodily discour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llapse the framework of body damage in the creative novel based on post-structuralism by Jacques Derrida and Michel Foucault. Jacques Derrida is a philosopher representing the post-structuralism. Derrida had a similar critical mind with other advocates of post-structuralism but systematically criticized traditional metaphysics. Derrida represented de-constructivism based on "deconstruction strategies," Here, deconstruction showed contradiction of the existing ranking system. Derrida intended to completely destruct the dichotomy conflict clauses and insisted a complete deconstruction so that other dichotomy could not be occurred in a course of deconstruction. This study has adopted it for the creative novel based on Derrida's theory that was related to whether there was or was not body damage. Whether there was or was not body damage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ism led to the superiority or inferiority and was shown as plus or minus in the novel.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beyond the existing conflicting relationship. Collapsing the perspective as to how the body damage was related to inferiority, this study also aimed to collapse the structure of how not having body damage won on the positive image. Therefore, this study was ultimately intended to be totally free from all types of dichotomy in order to make whether there was or was not body damage as something to have or have not and to express how all these matters led to be nothing. In order to express them all, each chapter was configured with a particular objective. Chapter 1 examined a flow and objective of the study on the body damage in novel in the history of Korea, motivation for creation, and post-structuralism by Jacques Derrida and Michel Foucault. Chapter 2 identified technical features used on three short creative novels. Chapter 3 examined three creative novels based on aforementioned creative theory. Three creative novels were 「A Man with Hat」, 「Mask」, and 「Evening with Smell of Bread」. Among them, the narrator in the first novel of 「A Man with Hat」 was bald-headed and had a distinctive feature. This distinctive feature is not of an inconvenience for daily life but has dichotomy structure leading to conflict from whether there is or is not damage or from superiority or inferiority. Characters with damage tend to experience a sense of isolation and exclusion. However, unlike other novels, bald-headed characters in the 「A Man with Hat」 are now shown as an inferior existence anymore. Breaking the dichotomy on whether there is or is no damage, they are free from social conventional wisdom and are not belonged to any categories on whether there is or is no damage. Narrator in the second novel 「Mask」 suffers from leprosy. This collapses the boundary in the creative novel even though dichotomy exists due to complete body damage. Facing the risk of death due to body damage, narrator found the way out to the life and started having a new wish. This development of the story collapsed the existing dichotomy framework refreshing the image of body damage. Furthermore, it shows how having damage could be of a positive factor and hence how having or not having damage could be equal. Narrator from the third creative novel 「Evening with Smell of Bread」 has a distinctive feature of infertility. It was invisible body damage but represented damage on the social gender role through infertility. Narrator pursued to deconstruct the dichotomy in society full of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However, after realizing how another dichotomy was created while dissolving the existing dichotomy, narrator became to be in a phase of 'nothing' by dreaming to completely stay away from whether there was or was no damage. All three creative novels commonly had characters with body damage that caused conflict. Conflict is a dichotomy deeply rooted in the existing social order. Characters with body damage tend to stay away from the boundary of body damage by dissolving dichotomy leading to whether there is or is no body damage.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construct the dichotomy formed in overall societ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ost-structuralism and connect it to the body damage for representing the category of how there is or is no damage. 몸 담론은 이미 서구 고대시대부터 시작됐지만 한국문학에서 본격적인 연구는 후기 산업사회 이후부터이다. 한국문학은 철학자 플라톤 정신/몸 이분법의 사상에서 유래된 담론이 소설 속에 반영되었다. 따라서 병든 사회와 시대상을 신체 훼손이 있는 불구자로 그려냈다. 이들은 신체 훼손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사회적 약자로 형상화 돼, 소외되고 배제 되었다. 이것은 몸 담론에 대한 구조주의적인 시각으로, 본 논문은 자크 데리다, 미셸 푸코의 탈구조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소설 창작 속 신체 훼손의 틀을 허물었다. 자크 데리다는 탈구조주의의 대표적인 철학가이다. 데리다는 다른 포스크구조주의자와 유사한 문제의식을 가졌으나, 전통적 형이상학을 체계적으로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데리다는 “해체전략”을 중심으로 해체주의를 보이는데, 여기서 해체는 기존의 서열 제도의 모순을 드러내는 것이다. 데리다는 이분법적 대립항을 철저히 파괴하고자 했고, 해체 과정에서 또 다른 이분법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한 해체를 주장했다. 본고는 이러한 데리다의 이론을 바탕으로 소설 창작에 도입했는데, 이것은 곧 신체 훼손의 없음/있음과 연관된다. 구조주의 시각에서 이어진 신체 훼손의 없음/있음은 우등/열등으로 이어지고, 소설 속에서 ‘+’(플러스)/‘-’(마이너스)로 나타난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 주장의 대립관계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신체 훼손의 있음이 열등으로 고착된 것을 무너뜨리고, 반대로 신체 훼손의 없음이 긍정적 이미지에서 승리하는 구조 역시 무너뜨리고자 했다. 따라서 신체 훼손의 없음/있음이 없음-있음으로 되기 위하여 모든 이분법에서 벗어나 완전한 자유로움을 꾀했고, 결국엔 이 모든 것이 무화(無化)되는 과정에 이르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것들을 표현하기 위해 각 장마다 목적을 두고 살펴봤다. 제 1장에서는 우리나라 역사 흐름과 관련하여 소설 속 신체 훼손의 흐름과 연구 목적, 창작 동기, 자크 데리다와 미셸 푸코의 탈구조주의 이론을 살폈다. 제 2장에서는 창작 한 세 편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각 창작 소설에 사용된 기법적 특성을 살폈다. 제 3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창작 이론을 배경으로 한 창작 소설 세 편을 살폈다. 세 편의 창작 소설은 「모자 쓰는 남자」, 「탈」, 「빵 냄새 풍기는 저녁」을 실었는데, 그 중 첫 번째 창작 소설 「모자 쓰는 남자」의 화자는 대머리의 변별자질을 갖고 있다. 이 변별자질은 살아가는데 불편함을 주진 않지만, 훼손의 없음/있음의 대립이 미/추, 우등/열등으로 이어지는 이분법적 구도를 갖고 있다. 훼손 있는 인물들은 사회에서 소외와 고립을 경험한다. 하지만 다른 소설과 달리, 「모자 쓰는 남자」 속에서의 대머리 인물들은 더 이상 하등한 존재로 비춰지지 않는다. 결손의 있음/없음의 이분법을 해체하여, 그동안 겪었던 사회적 통념에서 자유로워지고, 훼손의 있음/없음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두 번째 창작 소설 「탈」의 화자는 문둥병을 앓고 있다. 이는 완벽한 신체 훼손으로 이분법이 존재하지만 창작 소설에는 그 경계를 허문다. 신체 훼손 있음으로 죽음으로 향하던 화자는 생의 출구를 발견하고 새로운 희망을 갖게 된다. 이는 기존의 이분법 틀을 깨는 전개로, 신체 훼손의 이미지를 환기시킨다. 오히려 훼손 있음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따라서 훼손 있음과 없음은 서로 대등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세 번째 창작 소설 「빵 냄새 풍기는 저녁」의 화자는 불임의 변별자질을 갖고 있다. 눈에 보이는 신체 훼손은 아니지만, 불임을 통해 사회적 성(性) 역할의 훼손을 보이고 있다. 화자는 차별과 억압이 만연한 사회에서 이분법의 해체를 꾀하지만, 결국 해체 과정에서 또 다른 이분법을 낳는다는 것을 깨닫곤, 훼손의 있음과 없음에서 완전한 탈피를 꿈꾸며 무화(無化)과정에 이른다. 세 편의 창작 소설은 공통적으로 신체 훼손이 있는 인물들로, 몸으로 인해 갈등이 일어난다. 갈등은 기존 사회 질서 속에서 굳게 자리 잡은 이분법이며, 이분법 해체를 통해 신체 훼손의 인물들은 신체 훼손의 있음/없음의 굴레에서 벗어나, 신체 훼손의 있음-없음에 도달한다. 즉, 본 논문은 탈구조주의의 관점을 창작 기반으로, 사회 전체에 형성된 이분법의 구도를 해체하고자 했으며 그것을 신체 훼손과 연결하여 훼손 있음-없음의 변주를 나타내고자 했다.

      • 농업환경 오염원 경감을 위한 Paraquat와 Diquat의 분해

        박정은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농업의 생산성은 화학비료와 농약, 고도의 기계화 작업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그 후 토양의 쇠퇴, 환경오염, 농약과 비료의 과잉투입으로 생산되어진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지속농업의 일환으로 친환경 농업이 추진되면서 인공합성 농자재의 투입을 최소화하려는 정책이 범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초제 관련 현황파악, 액상 플라즈마 시스템을 적용하여 paraquat와 diquat의 분해 효율, 분해 속도 및 실험 조건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paraquat, diquat를 플라즈마의 실험조건(volt, µ/s, kHz)을 달리하여 paraquat와 diquat에 적합한 분해처리 조건을 찾고, 그 조건을 이용하여 paraquat와 diquat의 농도, 용액의 pH의 변화, TiO₂의 첨가량에 따라 paraquat와 diquat의 분해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Paraquat의 분해 처리에 가장 효과적인 플라즈마의 조건은 230v, 5µ/s, 30kHz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이를 기본 조건으로 하여 paraquat와 diquat의 농도를 20ppm, 100ppm, 200ppm으로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또한 100ppm paraquat 250ml와 100ppm diquat 250ml의 pH를 pH 3.0, pH 7.0, pH 9.0으로 변화하여 실험을 했으며, pH 3.0 조건에서는 전극이 심하게 타는 냄새와 텅스텐 전극에서 불꽃이 많이 튀어 실험을 중단하였다. 마지막으로 paraquat와 diquat 250ml에 나노 사이즈 광촉매인 TiO₂를 10mg, 15mg, 20mg, 40mg, 80mg을 첨가하여 실험을 했다. 그 결과, paraquat의 농도가 100ppm일 때 플라즈마의 반응을 300분간 처리 후 24.2%로 감소하였고 100ppm diquat는 300분 후 20.04%로 분해되었다. pH 조건을 변화시켜 실험을 진행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100ppm paraquat 250ml에 TiO₂를 20mg 첨가하여 플라즈마 반응 300분 후 14.22%로 감소하였으며, 100ppm diquat 250ml에 TiO₂20mg을 첨가하여 플라즈마 반응 300분 후 38.69%로 감소되었다. 농업환경오염원을 감소하기 위하여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비선택적 제초제로 이용되어진 paraquat와 diquat의 제거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방법은 유해 생물을 가능하면 적은 노력과 경비로 효과적으로 방제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연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을 것이다.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greatly increased with the use of fertilizer pesticide and mechanized farm work. Concerns over soil degrad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food safety have risen since. Eco-friendly farming representing organic farming is being promoted as one of the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agricultural policies to minimize the input of artificially synthesized agricultural materials are being pursued over the world. This research analyzed the use of the relevant agricultural chemicals and looked into degradation efficiency, degradation speed and experiment conditions for the purpose of looking for ways to detoxify them, using the liquid plasma system.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varying experimental conditions(volt, µ/s, kHz) of plasma fit for paraquat and diquat to look for the plasma conditions which are suitable for paraquat and diquat degradation and by using them, to find out the conditions of the most degradation of paraquat and diquat, depending on varying concentrations of paraquat and diquat, varying pHs, and varying additions of TiO₂. 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plasma conditions for paraquat degradation process, I found out that the suitable plasma condition for Paraquat and Diquat degradation has 230v, 5µ/s, and 30kHz. Using it as the basic condition, varying paraquat and diquat concentrations of 20ppm, 100ppm and 200ppm were taken. In addi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varying paraquat pHs of pH 3.0, pH 7.0, and pH 9.0. With the condition of pH3, the experiment was stopped because of severe burning smell and excessive sparks from the tungsten electrode. Finally, varying Nano size TiO₂s of 10mg, 15mg, 20mg, 40mg, and 80mg were added for the experiment. To reduce with the paraquat concentration of 100ppm, the most effective degradation of paraquat (from 100% to 24.2%) resulted when the plasma reaction was processed for 300 minutes. The plasma process of diquat of 100ppm for 300 minutes reduced its concentration from 100% to 20.04%. This shows that varying pHs don’t make any meaningful differences. Finally, the most effective degradation of paraquat (from 100% to 14.22%) resulted with the addition of 20mg of TiO₂. 38.69% concentration of diquat resulted when the plasma process of 300 minutes was applied to diquat of 100ppm with the addition of nano size TiO₂s of 20mg. To reduce the source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pollution, employing plasma, which is one of chemical engineering practices, is effective for removing paraquat and diquat which have been used as non-selective herbicide. This will help control harmful organisms effectively with the minimum efforts and expenses possible,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eserve natural ecosystems.

      • 셀/모듈 일체화 기술을 적용한 버스바리스 태양광 모듈 제작에 관한 연구

        박정은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모듈 기술은 라미네이션 공정 중 셀과 배선재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셀/모듈 일체형 공정을 적용하여 wire embedded EVA sheet 모듈을 제작하는 것이다. 버스바리스 셀의 표면조직화 공정은 세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KOH 표면조직화 방법을 통해 형성시킨 마이크로 크기의 피라미드 구조의 웨이퍼는 나노 크기의 피라미드 구조의 웨이퍼에 비해 높은 반사도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Ag 금속촉매 표면조직화, KOH와 Ag 금속 촉매를 이용한 2 step 방법을 통해 형성시킨 나노 크기의 피라미드 구조의 웨이퍼인 경우 깊은 에미터 층으로 인한 낮은 면저항 때문에 재결합율이 높아 효율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버스바리스 셀의 핑거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스크린 프린팅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수 마이크로 크기의 피라미드 구조의 웨이퍼 위에 전극을 형성시켰다. 마이크로 피라미드의 크기는 각각 1~2 ㎛의 small 피라미드 구조와 5-6 ㎛의 large 피라미드 구조인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이 때 large 피라미드 구조의 웨이퍼보다는 small 피라미드 구조의 웨이퍼에서 더 높은 셀 효율 특성을 보였다. 이는 small 피라미드 구조에서 large 피라미드 구조보다 전극 선폭이 줄어들어 그림자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단락 전류 특성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제작된 버스바리스 셀을 사용하여 wire embedded EVA sheet 모듈을 제작하였으며, 이 때 SnBiAg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모듈의 개방전압과 단락전류 특성은 모든 조건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fill factor는 효율의 변화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효율은 fill factor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50℃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제작한 모듈 효율을 비교한 결과, 170℃의 온도조건에서 19.7%의 가장 높은 효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170℃의 온도 조건에서 와이어와 핑거 전극 간 가장 낮은 접촉 비저항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우수한 전기적 접촉으로 인한 fill factor의 개선으로 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Wire embedded EVA sheet 모듈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와이어의 개수를 6, 12, 18, 24줄, 와이어의 직경은 0.26, 0.32, 0.36 ㎜로 가변하여 제작하였다. 0.36 ㎜의 와이어 직경과 12개의 와이어 개수를 갖는 모듈에서 20.28%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이는 와이어 직경이 넓어짐에 따라 광학적 손실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단락전류에 대한 손실보다는 직렬 저항 성분이 크게 감소하여 fill factor가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와이어의 개수가 많을 경우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의 핑거 전극 길이는 감소하기 때문에 핑거 전극에 대한 저항은 작아지지만 와이어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음영 영역으로 인한 광학적 손실은 증가하게 된다. 버스바리스 셀의 경우 셀 단위에서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5 버스바 셀을 이용한 태빙 모듈과 wire embedded EVA sheet 모듈에 대한 셀/모듈 특성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5 버스바 태빙 모듈 출력에 대한 산출값과 실제 모듈을 제작하여 측정한 값의 차이에 대한 비율은 약 3.245%를 나타내었으며, 해당 조건에서의 버스바리스 셀 적용 wire embedded EVA sheet 모듈 출력에 대한 이론값과 출력값 차이의 비율은 2.619%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wire embedded EVA sheet 모듈은 일반적인 태빙 공정에 의해 제작된 5 버스바 셀 적용 모듈보다 출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태빙 모듈의 단점을 충분히 보완한 고출력의 모듈 제작이 가능하였다. 또한, wire embedded EVA sheet 모듈은 고온의 태빙 공정으로 인해 태양전지에 가해지는 열 및 기계적 스트레스를 제거할 수 있어 박형 웨이퍼에 적용 가능하고, silver 함량을 크게 낮출 수 있어 태양전지의 원가 절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현악앙상블과 피아노를 위한 「시간의 고리」작곡 및 분석

        박정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박정은 작곡의 현악앙상블과 피아노를 위한 「시간의 고리」를 작곡 및 분석한 것이다. 이 작품은 음악의 본질인 “시간”을 2개의 소재로 분리하여 표현해보고자 했다. 작곡자가 분리한 첫 번째 시간의 소재는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불규칙한 시간이고, 두 번째 소재는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시간이다. 이 두 개의 시간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음악적 재료들로 표현되고 구성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서론에서 연구 소개와 연구 목적 및 방법을 제시하며, 본론에서는 작품의 형식, 음정, 음형, 화성, 리듬 그리고 부분별 분석을 통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그 방법과 소재의 연관성에 대해 정리한다. 결론에서는 연구방법과 목적에 의한 전체적인 결과를 정리하였다. 작품의 형식은 음형의 구성방식에 따라 구분하였다. 전체 단락은 I과 II의 2부분으로 구성되며 세부적으로는 단락I은 a-a'-a''의 하위단락으로 단락II는 b-b''의 하위단락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음재료와 리듬은 작품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인 음형과 리듬형으로 나누어 각 단락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화성과 악기주법의 연구방법을 첨가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음형은 주요음정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음형의 조합, 발전, 변형등을 통해서 작품을 구성하고 발전시킨 것을 다루었다. 본 논문은 앞에 언급된 음악 어법들을 이용하여 “시간”이라는 음악의 본질적 요소가 어떻게 작품을 통해 표현되고 발전되는지 연구하였다. 논문의 제 1부에서는 현악앙상블과 피아노를 위한 「시간의 고리」를 분석하였고, 제 2부에서는 총보를 제시하였다.

      • 『기억 전달자』에 나타난 통제 사회에 대한 연구

        박정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로우리(Lois Lowry)는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기억 전달자』(The Giver, 1993)를 통해 현대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통제 양상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소설 속의 사회는 질서 정연하고 조직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예상 밖의 일이나 불편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개인은 안락한 사회에서 반복적인 일상에 길들여져 있기에 아무런 걱정 근심이 없는 듯 보인다. 하지만 국가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구성원들의 상태를 모두 동일하도록 만들었다. 개인의 이름, 배우자, 직업, 가족 구성원 수 등은 모두 사회에서 정해준다. 또한 개개인의 감정과 기억 역시 인위적으로 통제하고 있다. 로우리는 주인공 조너스(Jonas)의 눈을 통해 현대 사회가 교묘한 방식으로 개인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통제 사회에 대한 미쉘 푸코(Michel Foucault)와 질 들뢰즈(Gill Deleuze)의 연구는 조너스의 사회에 나타나는 통제 양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푸코가 징계 사회라고 불렀던 근대 사회의 통제 양상은 조너스의 사회에서 확연하게 나타난다. 푸코가 묘사한 근대 사회에서는 누구든 규율을 어기면 엄격한 처벌을 받는다. 조너스의 사회에서 행하는 “임무 해제”(Release)는 근대적 형벌의 대표적인 예이다. 조너스의 사회에는 임무 해제라는 외형적 형벌 이외에도 수치심을 주어 개인을 교화시키는 등 다양한 내적 징계체제가 이용된다. 형벌 외에도 더욱 더 효율적으로 개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원형 감옥”(Panopticon)의 원리가 이용된 감시방법이 이용된다. 감시 카메라와 스피커, 자기 고백을 통한 상호 감시, 규정집 등에서 볼 수 있는 수많은 규칙들은 개인의 자유로운 사상을 침해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제는 학교라는 장소를 통해 개인의 행동과 사상까지 침해하면서 소수의 권력에 의해 조정되는 사회 모습을 드러낸다. 들뢰즈는 감시와 징계를 통해 개인을 통제하는 근대 사회보다 사회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통제를 선택하는 현대 사회의 통제 양상에 주목한다. 조너스 사회의 구성원들은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거나 자신이 맡은 바를 수행하지 못하였을 경우 낙오자가 된다는 두려움 때문에 자발적으로 사회에 순응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그들은 선택할 수 있는 권리뿐만 아니라 기억할 수 있는 권리 역시 사회에 양도하였다. 이러한 통제로 인해 조너스의 사회에는 현대 사회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인간의 기계화와 인간성이 말살된 모습이 나타난다. 현대 사회는 과학의 발달로 인해 편리함을 추구하고 안락한 삶을 살고 있다. 따라서 21세기는 이상향을 향해 가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현대인은 다양한 감시 방법을 통한 노출된 삶에 익숙해졌기 때문에 국가가 개인을 통제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시대가 변하면서 통제하는 방법만 변화하였을 뿐 현대 사회는 여전히 더욱 더 교묘하게 개인을 통제하고 있다. 로우리는『기억 전달자』를 통해 통제 사회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다.

      • 우리나라 지방국세청의 효율성 분석

        박정은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세행정의 성과는 징세활동을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였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나라는 6개의 지방국세청으로 나누어 국세징수 및 납세자의 효율적 관리를 하며, 이들의 활동으로 인해 거두어 지는 국세를 국세청에서 관할하고 있다. 매년 국세청에서 그해의 예산을 결정하고 효과적으로 국세를 징수 관리하기 위하여 지방국세청으로 효율적 관리를 요청한다. 각 국세청은 징세활동에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선 징세비용과 납세협력비용을 최소하여야 한다. 결국 국세의 징수대비 협력비용을 최소화하여 국가이익을 최대로 달성하는 것이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세수 예산대비 징수실적은 평균 102.85%로 국세징수의 효과성을 달성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효과성이 높지만 각 지방국세청별로 나누어 그 효율을 분석한다면 각각의 청별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분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를 보완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면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6개 지방국세청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국세청 통계연보에 기록된 통계자료를 근거로 연도별 산출요소 및 투입요소에 산출기준과 투입기준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산출요소는 직접세징수액, 간접세징수액과 기타세징수액이며, 투입요소는 직접납세자 수, 간접납세자 수, 직원 수와 관할세무서 수이다 효율성 측정은 DEA의 CCR모형과 BCC모형으로 분석하였고, 규모효율성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기술적 효율성(CCR)을 측정한 결과 DMU_A가 0.95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DMU_F(0.943), DMU_D(0.876), DMU_C(0.737)의 순으로 높으며, DMU_B(0.507)와 DMU_E(0.308)는 낮았다. DMU_B은 직접납세자와 간접납세자의 증가분에 비해 세무서 수와 직원 수가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기술적 효율성에서 낮게 나타났고, DMU_E은 직접납세자의 평균이 전체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2008년 이후에는 효율성이 높은 집단(DMU_A, DMU_D와 DMU_F)과 낮은 집단(DMU_B, DMU_C과 DMU_E)이 구분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순수효율성(BCC)을 측정한 결과 DMU_B과 DMU_F의 효율성 점수는 1이거나 근접한 점수이고, DMU_A, DMU_D과 DMU_C, DMU_E은 0.9이상으로 전반적으로 순수효율성은 높게 나왔다. DMU_B과 DMU_E은 기술적 효율성이 낮으나 순수효율성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어 규모비효율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DMU_E은 간접세와 기타세액이 타 지방국세청보다 낮아 순수효율성이 떨어짐을 보여주었다. 셋째, 규모효율성은 DMU_A, DMU_F, DMU_D, DMU_C의 순으로 높고, DMU_B와 DMU_E가 낮았다. DMU_A, DMU_D와 DMU_F의 규모효율성은 1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최적 규모에 근접해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 지방국세청의 기술적 효율성은 순수효율성보다는 규모효율성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효율성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투입기준 CCR 효율성과 산출기준 CCR 효율성은 서로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투입기준 CCR 효율성과 투입기준 BCC 효율성간에는 음의 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투입기준 CCR 효율성과 투입기준 규모효율성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CCR 효율성을 높이면 규모효율성도 향상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지방국세청의 효율성을 평가함으로서 지방국세청이 자신의 경제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 영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효율적인 영어교육 모형 연구

        박정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and to suggest some effective ways to teach English with English literary texts in the classroom. It is often said that teaching English literature in language classrooms does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improving the four skills of speaking,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This is because a lot of teachers use the literary text concentrating on reading. So far, English teaching in Korea has focused on translating English texts into Korean, not on the overall and integrated English competence. So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effective teaching ways to improve the overall english competence of four skills. Chapter Ⅲ presents the ways how to use English texts in the classroom. There must be some activities for effectively teaching English texts in the classroom. The activities in pre-reading stage are previewing, skimming, answering some questions, exploring key vocabulary and so on. And the activities in the while-reading stage are outlining or summarizing key ideas and examining the emotions and attitudes of key characters. Lastly, there comprehension questions, completing a graphic organizer (e.g. table, chart, grid), role play, simulation, rewriting, and using a chart in the post-reading stage. In Chapter Ⅳ, this thesis deals with why Charlotte's Web, Fantastic Mr. Fox, Charlie and the Chocolate company are selected. The selection is based on the view that the texts should be modern ones in comprehensive style for learners and contain not only extensive values but also interesting contents. Futhermore I present a variety of authentic and meaningful activities for effective English teaching through the three literary texts in the classroom. Finally, Chapter Ⅴ summarizes the discussions in the previous chapter and draws a conclusion of this study. What is highlighted here is to provoke an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 texts, and between students and a teacher. Furthermore it can be concluded that English literary texts should be recognized as valuable resources and should be applied in the classroom as authentic materials of improving the overall English proficiency.

      • Developmental toxicity of chlorpyrifos-methyl and its primary metabolite, 3,5,6-trichloro-2-pyridinol to early life stages of zebrafish (Danio rerio) : 초기 발달 단계의 제브라피시를 이용한 클로르피리포스 메틸과 그 대사 산물인 3,5,6-트라이클로로-2-피리돈의

        박정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기인계 살충제는 농업 해충들을 방제하기위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클로르피리포스 메틸 (chlorpyrifos-methyl, CPM)은 티오인산계 살충제 중 하나로 농업 환경에서 다양한 미생물을 통해 1차 대사 산물인 3,5,6-트라이클로로-2-피리돈 (3,5,6-trichloro-2-pyridinol, TCP)으로 대사된다. CPM은 독성이 강하다 알려져있고 TCP는 환경 중에 잔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두 물질의 환경에 대한 독성 평가는 필요하다. 특히, 두 물질이 살포 후 유실되어 수계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계 환경에 대한 독성평가는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CPM와 TCP를 제브라피시의 배아에 처리하였을 때 CPM의 경우 반수치사농도가 2000 μg/L 이상이었고, TCP의 경우에는 612.5 μg/L 이었다. 부화율의 경우, CPM을 처리한 개체들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TCP를 처리한 개체들의 경우에는 500 μg/L 의 처리구에서부터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CPM을 처리한 배아의 경우, 수정 후 48시간 째에 심낭부종과 출혈이 발생된 것을 관찰하였으나, 이 후에는 회복되었다. 수정 후 72시간에 500 μg/L TCP를 처리한 개체들에서 심낭부종과 난황부종이 발생하였다. 또한 TCP 500 μg/L을 처리한 후에 Tg(cmlc2:EGFP) 배아에서 심장 발달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심장 박동수가 급격하게 떨어졌다. TCP 500 μg/L를 처리한 배아는 수정 후 96시간에 심장 발달 관련 유전자인 gata4, myl7 그리고 cacna1c의 mRNA 발현 정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TCP를 처리하였을 때, 소포체 스트레스와 inflammasome과 관련된 유전자인 chop과 il-1β의 발현이 올라가는 것을 확인했다. TCP를 처리한 후 발현이 증가된 이러한 유전자들은 어류의 1차 독성 메커니즘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 결과들을 종합했을 때, TCP는 제브라피시 배아에 대해 모화합물보다 더 독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기 단계의 수생 척추동물에 심장 발달 독성과 inflammasome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바탕으로 TCP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