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무’(佾舞)의 상징과 스토리(story)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제언(提言)

        박정련(朴貞連),권태욱(權泰旭)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3

        Dasan(茶山) Jung Yak-yong(丁若鏞, 1762∼1836) published a unique theoretical book 『Akseo-gojon』(樂書孤存), which is the only historical book representing research on music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Furthermore, there is another importance on the title of the book Akseo-gojon(樂書孤存), which means ‘Music book(樂書) is lonely but should exit in itself’ by Dasan himself impressing the value of the existence. He analyzed various problems of traditional music book which had accepted Chinese music theory after Bun-seo Geng-yu(焚書坑儒 historical disaster firing books and bury scholars during Chinese Emperor Chin Si-Hwang in BC 213) without any edition for country revision. He analyzed and revealed the distorted contents of the traditional music books in his research. The major content list of the book Akseo-gojon consists of Non(Discussion)[論]․ Byeon(Argue)[辨]․Bak: (Debate)[駁]․Sa Examination)[査]․Jeong(Correction)[訂] type item structure with additional discussion on the subject 「Mu-eui」(舞義-rightness of dance)․「Napeon-eui」(納言義-Rightness of concerning). I focused on the additional discussion on 「Mu-eui」 which described the origination of ancient Ilmu(佾舞-line dance), the performance style, and an opinion on new pattern of the dance by Dasan, which showed a new vision concerning Jongmyo-Jaerae(宗廟祭禮) ritual performance until present. Especially, Dasa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herent story and the symbolic motion of the dance in Ilmu of Jongmyo-Jaerae in the discussion of the book 「Mueui」 pointing out the teaching as assignment to his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al meaning of traditional Ilmu dance music in Dasan Jung Yak-yong’s aspect for ancient Chinese concept in ‘Ak’(樂-music) and ‘Mu’(舞-dance), and reviewed Dasan’s opinion and suggestions on Ilmu of Jongmyo-Jaerae music. He pointed out the distorted meaning of descended Ilmu dance in Jongmyo-Jaerae of Korea that we need to refer the logical or reasonable understanding on Dasan’s suggestion over simple change of the music theory. I hope this study may present a meaningful motivation to the next researchers and examine the general contents of Dasan’s suggestion in Ilimu to find reasonable elements as a persuasive logical theory for Korean Jongmyo-Jaerae music to be descended and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게’(偈)의 초창기 연행형태와 성격에 대한 검토 : 『묘법연화경』을 중심으로

        박정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1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Entrained Phrases of Early Types in Gae(偈) - focused on Lotus Sutra](妙法蓮華經) - Park, Jeong-Ryen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analyse the original feature of Yeongsan-hoisang(靈山會上) in Myobub-yeonhwa-gyeong(妙法蓮華經=法華經) which described the buddhism song of Yeongchuisan. Especially,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Gae’. To analyse, chapter two(II) reviewed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he 28 Pum(form)s, and chapter three(III) classified these ‘Gae’s into ‘Gae-song’(偈頌: recite), ‘Gae-chan’(偈讚: praise) and ‘Gae-eon’(偈言: saying) as the characteristics. ‘Gae-song’ was consisted of five sayings, which forms a short verse form with 8-24 phrases. ‘Gae-chan’ was consisted of verse form which have four or five sayings showing more short phrase pattern compared to ‘Gae-song’, and showed a chorus form singing together or solo. ‘Gae-eon’ was consisted of longer verse form compared to ‘Gae-song’ or ‘Gae-chan’ and composed of 22 forms among 28 forms in Myobub-yeonhwa-gyeong, which illustrate typical formation of Yeongchuisan-hoi-sang. In addition, this Gae-eon' showed more diverse forms of song such as solo, chorus, and bridge song, or AABA form compared to show ‘Gae-song’ or ‘Gae-chan’.

      • KCI등재

        현대적 관점에서 본 난계(蘭溪) 박연(朴堧)의 음악관

        박정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Nan-Gye Park Yeon(1378~1458), one of the three master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music, and is considered as a musical theorist who had a thorough knowledge on rhythms. But despite his reputation, few studies and interpretations have been done. After 550 years since his death I suggest a new interpretation of his view and angle. This study undertakes to examine Park's view on music on the basis of his appeal recorded in Sejongsillok. Studying his view in modern meaning could enlarge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would be helpful to reconsider and inspect our standard of value. Park's views on music: 1) He exerted himself to recover the ancient music. He pursued his ideal of internalizing the merits and ability of hwa[和] and jung[中] in real life. And his criterion of rearranging aak[雅樂] was harmonizing, combining, synthesizing yin and yang. He also applied hwa of the golden mean when he rearranged aak[雅樂] by focusing on realization of jung. 2) He had 'a practical view on music for mastering yeak[禮樂]'. Here 'mastering' refers to experiencing through body and to understanding heartily, which is a unity of body and mind. 3) Park's view on music was very pragmatic. He discarded ornamental instruments, and improved or produced new instruments for real performance. We can confirm his reasonable and flexible thinking by this episode. We should find out universality of music from his achievement if we want to make it meaningful. Though his view on recovery of the ancient music might have caused his followers to misunderstand him as a sycophant, it is resulted from a fixed idea that the ancient music belonged only to China. The foundation of the spirit of the ancient music is the order and harmony of the universe, and music reached the image of the order and harmony of human being. All interested parties in the Nangye Traditional Korean Music Festival of Yeungdong, Chungbuk should try to ponder on making his view a universal value and on reconstructing the festival as a worldwide one before claiming Park Yeon's reputation only. 조선음악사에서 큰 획을 긋는 난계(蘭溪) 박연(朴堧 1378~1458)은 오늘날 한국의 3악성(樂聖) 중 한 사람으로, 혹은 음률에 정통한 음악이론가로 평가되어진다. 그러나 악성(樂聖)이라는 타이틀에 걸맞지 않게 박연에 관한 연구는 소략할 뿐 아니라, 그를 바라보는 시각이 제한적이기에 550여년이 지난 지금, 새로운 관점과 각도에서 박연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세종실록』에서 박연의 상소내용을 중심으로 그의 음악관을 현대적 시각에서 검토해 보았고, 나아가 그의 음악관이 현대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전통음악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 오늘날 우리에게 음악에 대한 가치기준을 다시 생각하고 점검해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박연의 음악관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박연은 고악(古樂)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다. 그는 고악이 지향하는 ‘화’(和)와 ‘중’(中)의 공능(功能)이 현실에 내면화되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고, 음양의 ‘조화’와 ‘어울림’, ‘배합’, ‘합성’의 원리를 실제적인 아악정비의 기준으로 삼았다. 또 ‘중’의 실현을 강조함으로써 중도적 절제를 아악정비에 실제 응용하였다. 두 번째, 박연은 예악(禮樂)의 체득을 통한 실천적인 음악관을 지녔다는 점이다. ‘체득’(體得)이란 몸으로 익히고 마음으로 이해하여 몸과 마음이 일체(一體)되는 성격을 지닌다. 세 번째, 박연은 실용성을 중시한 음악관을 지녔다. 그는 의물(儀物)로만 존재하는 악기들을 과감히 버리고 실제적으로 연주 가능한 악기로 새롭게 제조하거나 정비한 태도에서 합리적이고 융통성 있는 가치관을 지녔다 하겠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박연이 현대에 의미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시공(時空)을 초월한 음악의 보편성을 그에게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박연의 고악회복에 대한 음악관은 혹 ‘중국사대주의자’라는 인식을 남길 수 있겠지만, 이는 ‘고악’이 지닌 사상적 함의를 중국의 전유물로 여기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악’의 정신은 우주의 질서와 조화를 근원으로 하여, 음악으로써 인류의 질서와 조화의 모상(模像)에까지 이른 것이다. 음악으로써 이를 표방하는 것은 중국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륜의 보편적 의념에 부합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오늘날 충북 영동의 ‘난계국악축제’도 박연의 특별함을 내세우기 이전, 그의 음악관이 어떻게 하면 인류의 보편적인 도덕가치가 될 수 있는지 깊이 고민하여,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는 음악문화의 재건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3, 4학년 수학 교과서의 ‘열린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조사

        박정련,홍갑주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2

        In this study, we surveyed on the 3rd and 4th grad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s towards open-ended questio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 teachers understood the purpose of open-ended question in general, but they recognized some problems in terms of open-ended question itself, difficulties found when they dealt with open-ended question in their classes, teacher's guide and teacher training. This research suggests ways of improvement of open-ended question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 3, 4학년 수학 교과서의 ‘열린 질문’에 대한 인식과 지도 실태를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열린 질문의 취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지만 교과서에 제시된 열린 질문과 그 지도상의 실제에 대해서는 교과서 열린 질문 자체, 교실 수업에서의 실행, 교사용 지도서와 교사연수 등에 걸쳐 여러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열린 질문’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5년 개정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독도교육을 위한 음악교과 활용-초등학교 6학년 8종 음악교과서 독도관련 노래와 국악곡을 중심으로-

        박정련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 독도연구 Vol.- No.27

        이 논문은 범교과 주제로서 독도교육의 현실적 한계와 문제를 극복해 보는 차원에서 독도교육과 음악교과와의 연계성, 좀 더 구체적으로는 초등음악교과서 내의 독도관련 노래와 국악곡을 중심으로 독도교육과의 연계가능성을 개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8종 음악교과서에서 독도와 관련된 직접적인 악곡이 있는지 우선 검토해보았고, 있다면 그 악곡의 구체적 내용과 독도교육에 맞는 통합교육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독도교육의 내용요소에 맞는 키워드를 설정하여 음악교과서 내의 국악과의 연계 및 활용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8종의 음악교과서에서 국악과 관련하여 1회 정도는 독도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해 보면서 학교현장에서 음악교과를 통한 독도교육의 연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This paper aims to overcome the pract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Dokdo education as a subject of subject matter, and to link Dokdo education with music subjects, and more specifically to this article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linkage with. To this end, the eight music textbooks were reviewed for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music to confirm the direct music contents related to Dokdo, and if so,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usic and th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suitable for Dokdo education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inkage and utilization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by setting keywords suitable for the content elements of Dokdo education.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help the connection of Dokdo education through the music subject at the school site by presenting the contents of Dokdo education about one or two times related to Korean music in eight music textbooks.

      • KCI등재

        「陶山十二曲」을 통해 본 退溪의 音樂觀 - 「도산십이곡발문」과 「도산십이곡」 <언지>의 노래를 중심으로-

        박정련 영남퇴계학연구원 2008 퇴계학논집 Vol.2 No.-

        이 글은 퇴계(退溪)가 창작한 노래인 「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 을 바탕으로 그의 음악관을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산십이 곡발문」과 퇴계의 뜻을 노래한 「도산십이곡」 <언지>(言志)를 중 심으로 그가 지향하는 노래관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퇴계가 지 향하는 노래관은 첫째,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고, 춤으로 표현할 수 있는 흥취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인간으 로서의 풍격(風格)을 표현해 내어야 한다는 점인데, 여기서 그의 풍격은 ①자연을 좋아함이 고질병이 되다시피 한 ‘천석고황’(泉石 膏?)’에서 찾을 수 있고, ②퇴계가 노년기를 맞이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남은 생애를 허물없이 살기를 바란다는 자성(自省)과 겸허함에서 그의 정신적 고상함과 아름다운 면모를 읽을 수 있다. ③그의 풍격은 고아한 언어를 사용함으로서 드러나는데, 어느 한 구절 가벼이 쓴 말이나 현란한 것이 없고, 일상의 말이면서 참된 의미전달에 충실한 용어의 활용에서 느낄 수 있다. 계속해서 퇴계 가 지향하는 노래관 세 번째는 타인과 사회, 만물과의 융화와 화 해를 위한 것이며, 네 번째로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것이 퇴계가 지향하는 노래관이다. 퇴계는 그 스스로가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넉넉한 인정을 갖을 수 있는 노래’[溫柔敦厚]를 불렀으며, 많은 사람들의 마음도 이와 같이 변하기를 희망하였다. 퇴계의 삶의 행보는 철학적, 문학적, 정치적, 교육이라는 영역을 초월하여 어쩌면 음악이라는 대중의 예술체계에서 그의 학문적이고 인간적인 면모의 총체성을 읽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의 예술, 특히 음악관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인류가 지향해야할 목표를 뚜렷이 제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뿐 만 아니라, 퇴계학의 세계화를 위한 우리의 자산이 될 것이라 확 신한다.

      • KCI등재

        12律名의 의미와 전승 현황에 대한 문헌 검토 - 『國語』․『淮南子』․『史記』․『漢書』를 중심으로 -

        박정련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硏究 Vol.- No.61

        이 글은 중국 춘추시대부터 한나라까지 12율명의 의미를 다양하게 언급한 『국어』․『회남자』․『사기』․『한서』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 문헌들을 인용한 중국의 여타 문헌의 종류들을 검토해본 것이다. 이 네 문헌은 12율명의 의미를 다양하게 언급한 최초의 문헌들이기에, 후대 중국의 여타문헌에서 12율명의 의미에 대한 본원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자주 인용되었다. 이 글에서는 『국어』․『회남자』․『사기』․『한서』에 언급된 12율명의 의미를 각각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석도 해보았으며, 또 네 문헌이 수록된 중국 후대의 여타 문헌들에서 한 글자도 빠뜨리지 않은 완전인용의 형태를 띠는지, 아니면 부분인용의 형태를 띠는지를 분류하고, 나아가 시대별 분류를 통해 그 흐름의 특징도 검토해 보았다. 『국어』․『회남자』․『사기』․『한서』에서 12율명의 의미는 각기 다르지만, 문헌간, 율명간에는 유기적인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 후대 중국문헌에서는 시대적으로 가장 오래된 『국어』에서 12율명의 의미를 가장 많이 인용하였는데, 이는 그 본원을 파악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또 12율명의 의미를 가장 많이 인용한 시대는 청․송․명대인데, 이 시대에는 음악의 정비작업이 보다 활발하였고, 아울러 12율명의 의미에 대한 본원을 파악함으로써 ‘악’(樂)의 본질과 그 정신을 계승하려는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twelve yul-myong(notes) and some literatures which contain articles on the meaning. I checked among them Gugeo(『國語』), Hoenamja(『淮南子』), Sagi(『史記』), Hanseo(『漢書』). These four books are the earliest ones that have mentioned the meaning of the twelve yul-myong respectively,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their explanations in a various way. There are other books that cited the four books as their primary references. I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welve yul-myong collectively in Gugeo, Hoenamja, Sagi, Hanseo and also checked over the total or partial citations in the other Chinese books which cited the four books. Furthermore, with periodization,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iods were considered, though briefly. The twelve yul-myong has originated in the ancient Chinese system of value, and the spirit and meaning of it have been cited continuously. It also was adopted by Korea, which made it very relevant to the Korean classical music. Hopefully, the twelve yul-myong would be the moment of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spiritual tradition of our own and be a little help to understand the other side of Korean classical music.

      • KCI등재

        퇴계의 음악,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립을 위한 가능성 모색

        박정련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The theoretical basis of musical therapies now in practice in Korea is on the thoughts of ancient Greek philosophers. Accepting and developing a variety of techniques and methods from the Western psychological theories and musical pedagogics, Korean musical therapies have affirmative effects on Korean people and societ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the pioneers of the Western musical therapeutics, thought every disease came from the loss of order, and emphasized that the order of body and mind should be regained by the use of music. Their emphasis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musical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could be told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order and harmony. Those Joseon scholars who accepted confucianism thoroughly recognized that body and mind, social interactions, nature and all creatures are intertwined as one organism by people’s using music as a way of training their body and mind. I examined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by Toegye’s idea on music. His idea on music originated from the music of ancient saints and it stood for the order and harmony of human beings, society and all creatures. He also suggested that music should manifest human being’s good will. Toegye transcribed Hwalinsimbang in order to make people keep their health, control their emotions and live long lives together. The book says that human body has a close relation with music, and harmonized emotion through music can bring in health. Not only did he mention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health,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emotion in many writings but he led it by personal example by creating “Dosansibigok” at the age of sixty-five. The purposes of “Dosansibigok” are: First, to change an individual’s character and trait; Second, to replace obscenity, gaudiness, pride, and debauchery with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He confirmed who needs the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and mentioned clearly the ways and effects of musical therapy in the epilogue of “Dosansibigok”. The music of Toegye could be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and could be a cornerstone for healing. 현재 한국에 성행하는 음악치료의 이론적 근거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유에서 출발하여, 서양의 여러 심리이론과 음악교육방법론 등 다양한 음악치료의 기법과 방법들을 형성하며 발전하였고, 나아가 인간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서양 음악치료학의 토대를 이루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모든 질병을 질서의 상실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았고, 음악의 사용을 통해 육체와 마음 사이의 질서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동아시아의 정신세계를 오랫동안 지배해온 유가(儒家)의 음악사상, 즉 우주만물의 질서와 조화의 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유가의 사상을 수용한 조선조 선비들은 심신수양(心身修養)의 일환으로 음악을 사용함으로써 몸과 마음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맺음과 자연과 우주만물이 하나의 유기체로 형성되어 조화와 질서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철저하게 인식하였다. 필자는 한국의 유학자를 대표하는 퇴계의 음악관으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해 보았다. 퇴계의 음악관은 고대 성현들의 음악을 지향한데서부터 출발하였는데, 여기에는 인간과 사회, 천지만물의 질서와 조화를 표방한다. 또한 사람의 선한 성정의 발로체가 음악이어야 함도 주장하였다.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스스로의 감정을 잘 다스려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다 함께 오래살수 있도록 하기위해 『 활인심방』을 필사하여 전했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몸과 음악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악을 통한 조화로운 감정상태가 건강을 결정지어주는 중요한 당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퇴계는 음악과 건강, 음악과 감정과의 관계를 여러 글에서 언급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의 「도산십이곡」에서 음악의 중요성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도산십이곡」의 창작목적은 한 개인의 성정과 기질을 변화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에 전반적으로 확산된 음란하고 현란함이 묻어나는 정서와, 오만하고 방탕하며, 방자하게 희롱하는 공동체의 분위기, 세상을 희롱하며 공손하지 않는 정서를 온화하고 너그러우며 독실하고 중후한 정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퇴계는 「도산십이곡발문」에서 ‘온화하고 너그럽고, 독실하고 중후한’[溫柔敦厚] 정서가 필요한 대상이 누구인지, 그리고 음악치유의 방법과 그 기대효과가 무엇인지 명확히 언급하였다. 이는 퇴계의 음악이 치유적 측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유학자의 사유를 토대로 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