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에 따른 가톨릭교육의 국내 연구동향

        이후희(HooHee Lee),전보라(Bo-Ra Jeon),원형준(Hyoung Jin Won) 한국종교교육학회 2024 宗敎敎育學硏究 Vol.76 No.-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학술논문 검색기를 통해 ‘가톨릭’, ‘교육’, ‘가톨릭교육’, ‘신앙교육’ 등의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 중 가톨릭교육에 대한 중요 키워드, 중심성 및 CONCOR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가톨릭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문헌연구 및 고찰 방식과 달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이라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 방법에 기반하여 키워드 간 관련성을 중심으로 가톨릭교육의 연구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 가톨릭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의 주요 키워드에 대한 연결중심성 분석으로 ‘가톨릭교회’, ‘교육’, ‘교리교육’, ‘신앙’, ‘그리스도’ 등의 키워드를 확인하였고, 키워드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TF-IDF 분석에서는 ‘종교교육’, ‘청소년’, ‘한국’, ‘신학’, ‘인격’ 등이 상위로 나타났다. 끝으로 가톨릭교육 연구 관련 CONCOR 분석에서는 ‘교리교육의 역사 및 방향’, ‘교육자 및 학교의 인성교육’, ‘가톨릭학교의 전인교육’, ‘실천적 신앙교육’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가톨릭교육 연구동향 분석은 통합적 관점에서 가톨릭교육의 이해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톨릭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Objectiv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nalysis of Catholic education research trends by utilizing multiple academic paper search engines. Through keyword searches such as ‘Catholic,’ ‘education,’ ‘Catholic education,’ and ‘faith education,’ we identified important keywords, centrality, and performed CONCOR analysis among the papers retrieved. This enabled us to gain insights into the research trends in Catholic education. Departing from conventional literature reviews, it aimed to explore the evolution of research in Catholic education, emphasiz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keywords through an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 of keyword network analysis. [Cont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entrality of major keywords in academic journal articles related to Catholic education included terms such as ‘Catholic Church,’ ‘education,’ ‘catechesis,’ ‘faith,’ and ‘Christ.’ In the TF-IDF analysis indicating keyword importance, terms like ‘religious education,’ ‘youth,’ ‘Korea,’ ‘theology,’ and ‘character’ emerged at the forefront. Finally, the CONCOR analysis related to Catholic education research defined groups such as ‘history and direction of catechesis,’ ‘ethical education of educators and schools,’ ‘holistic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and ‘practical faith educa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nalyzing the trends in Catholic education is expected to broade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atholic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dditionally, it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 Catholic education research through this comprehensive analysis.

      • KCI등재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

        이후희 ( Hoo-hee Lee ),황순영 ( Soon-young Hw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총 356명으로부터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t검증을 통해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공통적으로 발견된 특징은 모든 구성원들이 모두 ‘수평적 의사소통’을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공동체의 핵심적인 구성원 중 하나인 특수교사가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교육공동체를 실제 구축하는데 유용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a suggestion on how to form an education community by conducting a needs analysis on the feedba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orming a warm education community. To achieve this, a total of 356 teachers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teachers specialized in special education were surveyed on both the critical factors to achieve a warm education community and also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Method: First through a t-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critical factor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was statistically verified. Second, the priority rank of the factors was established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equation. Third,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actors of requirements were proposed using a 2D coordinate graph. Fourth, the results of the models above were summarized to deduce the primary priority factors and the secondary priority factors. Results: The common factor was that all members for each of the school types perceived “non-hierarchical horizontal communication”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be improved on to become a warm education commun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set of practically applicable information for how to implement a warm education community at education sites by analyzing the requiremen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a core member group of the education community, regard to be critical in forming warm education communities.

      • KCI등재

        지적장애학교 음악교과 운영에 대한 중등부 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이후희(Lee H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음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어려움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효율적인 음악교육 활동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적장애특수학교 중등부의 음악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2020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부산·울산·경남 지역의 26개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음악을 담당하고 있는 중등부 교사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주안점을 두는 음악교육 목적은 소통 및 공감능력 향상으로 나타났다. 음악교과 지도 시 가장 힘든 점으로 학생들의 장애특성에 따른 음악교수-학습의 어려움이라고 나타났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음악교과전담교사가 필요한 이유는 음악교과의 지식과 기능적 전문성 제고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ICT 자료를 이용하면 기능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해결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효율적인 음악교육을 위해서는 장애특성에 맞는 음악교과 지도방법 개선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과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형태의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과 보조적 자료 등의 지원을 통해 지적장애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음악교과 지도가 실행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perceptions of music curriculum management of middle school in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an objective analysis of specific difficulties and efficient music education activities for teachers in charge of mus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The improvement plan was searched. A survey was conducted on 143 middle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music at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st difficult point when teaching a music subject was the difficulty of teaching-learning music according to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re was a high recognition that a music subject dedicated teacher was needed. The most difficult point when teaching a music subject was the difficulty of teaching-learning music according to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re was a high recognition that a music subject dedicated teacher was needed. For the efficient music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ponse to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subjec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a curriculum that respects the professionalism of the music subject should be operated and improved so that music subject instruction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support of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auxiliary materials.

      • KCI등재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 탐색

        이후희(HooHee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관련자 면담 자료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핵심적인 이슈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및 관련자5인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성인의 평생교육(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을 때 어려웠던 점, 개발 방향을 설정할 때 필요한 부분 등에 대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Textom과UCINET을 통하여 출현 빈도 분석, 연결중심성, TF-IDF, CONCOR 등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성인의 삶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국가와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 체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key issues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conduct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expert and stakeholder interview dat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xperts and stakeholders to gather information on the challenges faced in implementing lifelong education(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necessary aspects to consider in establishing development direction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language network analysis using Textom and UCINET,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TF-IDF, and CONC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in seeking integrated and systematic support approaches at both national and community levels, aimed at sustaining the liv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이후희 ( Lee Hoo-hee ),황순영 ( Hwang Soon-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자연적 발화를 통하여 발화 속에서 나타나는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징이 어떠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3~6학년 5명의 ADHD 아동들의 학교에서 쉬는 시간에 발화하는 것을 녹음하고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ADHD 아동과 또래와의 발화 횟수 및 발화 소통 방향을 분석하고 시각화 그림을 통해 발화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의 발화 특성에 따른 또래관계를 살펴보면, 노드들의 방향성에서 눈에 띄는 점은 ADHD 아동과 또래들의 발화 네트워크가 양방향이 아닌 한 방향으로 나타난 노드들이 많이 나타난 것이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ADHD 아동의 학교적응 나아가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천적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pathy patterns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th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five ADHD children in third to sixth grade were recorded and observed during the breaks at school. Based on the data selection procedure, the major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 attributes and centrality of the entire network we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s: The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ADHD we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nodes of the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peers were not bidirectional, and there were many nodes in one dire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meaningful that the suggestion of the practical program and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children with ADHD to make a positive change in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relations in the future wa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실태와 중재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황순영 ( Soonyoung Hwang ),이경림 ( Kyungrhym Lee ),이후희 ( Hoohee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학급 장면에서 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 실태와 교사들이 사용하는 문제행동 중재방법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 경남지역의 특수학교, 일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문제행동 중재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지 문항 구성 및 선정의 근거를 찾기 위해 행동수정에 관한 책들을 분석하고, 연구자들 간에 상호 검토하면서 내용을 결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바탕으로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이 문항들이 실제 설문에 응답해야 하는 조사대상자들에게 적절하게 측정되고 이해할 수 있는 단어들로 제작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특수교사 10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PSS for win 21.0을 사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이 수업 시간에 가장 많이 나타내는 문제행동은 주의산만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문제행동 중재를 했던 대표적인 사례는 공격행동에 관한 것이었으며, 문제행동에 대한 처치유형은 행동수정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교권 관리를 위하여 학교 내에 대응지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신 학교상담일지 작성이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급 장면에서 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 중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behaviors types and its intervention practices in classroom scen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their teachers`` recognition. 350 teachers in Busan and Gyeongnam, who were working in a regular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school, were survey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for win 21.0. First, Mo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used the most ``distraction`` problem behaviors. Second, teachers usually used behavior intervention to allegate an aggressive behaviorwho and their most preferred practice for behavioral problems was behavior modification. Also, Teahcers usually kept counselling records, but there weren``t any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guidelin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hools . Therefore, We suggested the need of developing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guideline to establish educational authority of teachers ASSP.

      • KCI등재

        건강한 학교에 대한 청소년의 암묵적 지식탐색

        황순영 ( Soon Young Hwang ),이상수 ( Sang Soo Lee ),김대현 ( Dae Hyun Kim ),이유나 ( Yu Na Kim ),이후희 ( Hoo Hee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건강한 학교란 어떤 학교인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살펴보면서 건강한 학교 생태계에 필요한 구성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단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한 중·고등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같은 지역의 중·고등학생 1,010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문항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성분 분석을 통해 건강한 학교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은 건강한 학교는 ‘활기’, ‘친밀감’, ‘열정’, ‘안전’, ‘상호존중’, ‘자율성’ 등의 총 6개 요인이 포함된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 환경 모습과 비교해가면서, 청소년들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건강한 학교 생태계 조성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mplicit knowledge of healthy school in adolescents. For the study, self-reports data were collected from 1295 students for 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organization.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among student`s 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organiz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was shown b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 resilience is the variable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Therefore, it suggests to establish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공동체를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 척도 개발

        황순영(Hwang, SoonYoung),박재국(Park, JaeKook),이후희(Lee, H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를 만드는데 필요한 특수교사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특수교사 역량 척도의 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들의 이론적 검토와 전문가 논의를 바탕으로 총 30개 문항의 척도를 1차로 개발하였다. 이후 내용타당도를 통한 2차 예비문항 개발하고, 2016년 11 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통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특수교사 30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들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민주적 참여 및 책임감’ 7문항, ‘소통을 통한 공유된 목표’ 8문항, ‘정서적 관계’ 9문항으로 3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Cronbach s α 계수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항양호도를 검토할 수 있는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를 살펴본 결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본 척도는 교육공동체를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scale for educational community. A primary draft of the scale that consisted of 30 items was developed after analyzing related theories and having a discussion with experts, and a secondary draft was developed after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imary one was checked 308 selected peopl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cal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made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making the factor analysis, three sub-factors that were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seven items, shared goals through communication eight items, emotional relationship nine items. When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Cronbach s α coefficients, the scale turned out reliable. In addition, distribution of item response and item discrimination were measured to evaluate item quality, and the scale turned out to be good in that regard. Therefore this scale could be said as one of good scales to analyz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scale for education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