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연수,최동호,강대흥,오정태,오백만 한국강구조학회 2002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14 No.5
본 연구는 강한 반복하중하에서 강부재가 파괴에 이르는 손상과정을 규명하고 , 손상과 관련된 인자들을 이용하여 손상지수를 제시하며, 이와 관련된 해석 기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안된 손상평가 방법은 변형이 가장 심하게 집중된 단면에 있어서 국소 변형율의 이력에 초점을 맞추어 유도되었다 . 해석모델은 좌굴변형의 발생 방향을 가정한 켄틸레버형 강상자형 부재이다 . 파괴에 이르는 중심 압축하중과 일정 압축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반복 제어변위가 작용하는 강부재에 대해 비선형해석을 실시하였다 . 본 해석에 적용된 주요 변수는 하중 재하패턴, 강종이다. 각 변수가 파괴모드, 변형능력, 그리고 손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였고 , 각각 강종에 따른 파괴 과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강한 반복하중하에서의 강부재의 파괴는 국부좌굴에 의해서 결정되고 특히 파괴와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국 소 소성변형율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damage process of steel parts experiencing failure under strong repeatedloading. Likewise, a damage index us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damage was proposed. An analysis method for evaluating the damage state was also developed. The damage assessment method focused on the local strain history at the cross-section of the heaviest concentration of deformation. Cantilever-type steel parts were analyzed under uniaxial load combined with a constant axial load, considering horizontal displacement history. Loading patterns and steel types were considered as the main parameters in analyzing the models.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on the failure modes, deformation capacity, and damage process as seen from the analysis results were also discussed. Each failure proces was compared as steel types. In addition, the failure of steel parts under strong repeated loading was determined according to loading. Results revealed that the state of the fail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local plastic strain.
박연수,김홍률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1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간에 유지산업을 대상으로 지난 10년간 무역구조와 비교우위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결과 한국은 동물성유지에 비교우위가 있고, 일본은 식물성유지에 비교우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유지산업은 일본으로부터 많은 무역적자를 실현하고 있으나 일본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품목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류의 영향으로 스킨, 로션 등 기초화장품의 수출특화 및 경쟁력이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한・일 FTA 등이 체결되면 양국은 자국이 경쟁력이 있는 분야나 핵심 기능은 국내에서 제조하고 나머지 기능은 체결국에서 가치사슬(value chain)을 구축할 가능성이 커 유지산업에도 산업 분업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trading structure and comparative advantages for the last 10 years between Korea and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fats and oils industry.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Korea has comparative advantages in animal fats and oils, while Japan has comparative advantages in vegetable fats and oils. The fats and oils industry in Korea yields trade deficit, but increasing number of products keeps competitiveness in Japan. In particular, the export specialty and competitiveness increase in skin care cosmetic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If Korea–Japan FTA is entered, the two countries would focus on competitive areas or core functions for domestic manufacturing, and value chains would be constructed for other functions in the counterpart country, which might promote rapid industry specialization for the fats and oils industry.
지적재조사사업과 도시재상사업 간 연계 추진의 가능성 연구
박연수,박기헌,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1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an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ve different physical aspects of the project, but they have many common aspects such as project subjects and spatial objects. Therefore, if we look at the common features 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projects and find a way to link them together, we can expect a great benefit both nationally and natio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rough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cost, project content, period and procedures related to the linkage between the two proj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degree of compensatory amount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from the aspect of the cost point showed that the linkage promotion effect is effective. In terms of project contents, it is expected that efficiency of project promotion is expected when there is overlapping part in project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eriod from approximately 30 days to 60 days in project period. 지적재조사업과 도시재생사업은 사업의 물리적 대상이 다르지만 사업 주체와 공간적 대상 등에서 공통적인 면도 많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두 사업 간의 공통점과 각기 다른 특성을 검토하여 두 사업을 연계해 추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면 국가적으로나 국민적으로 많은 편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사업의 연계 추진에 따른 소요 비용, 사업내용, 사업 기간 및 절차 등에 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해 연계 추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소요비용적 측면에서 지적재조사사업의 조정금 발생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연계추진의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내용적 측면에서는 사업공정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있어 연계 추진할 경우 업무 추진의 효율성이 기대되고, 사업기간에 있어서도 대략 30일에서 길게는 60일까지 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