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환경윤리의 전개와 동아시아의 생명 사상

        박소정 ( So Jeong Par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7 No.-

        환경윤리는 철학의 하위 분야로서 20세기 중후반이 되어서야 생겨난 새로운 학문 영역이지만 그 영향력은 대단히 빠르게 확대되어왔다. 이제까지 환경윤리와 관련한 수많은 학술연구가 이루어졌을 뿐 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대학 교육 과정에도 필수적인 내용으로 자리 잡아가는 추세이다. 환경윤리가 학문 영역으로서 자리 잡기 시작했던 초기 과정을 살펴보면 동아시아 사상 전통에 대한 서구학자들의 폭발적인 지지와 열띤 관심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환경윤리에 대한 주류 담론에서 동아시아 사상의 자리는 제한적이며, 나아가 환경윤리가 실제 교육 과정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 사상은 종종 소외된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많은 학자들에 의해 생태적 민감성을 길러준다고 인정되었던 동아시아의 전통이 어째서 정작 환경윤리를 가르치는 기본적인 교과목에서는 배제되는 것일까? 여기에는 동아시아 담론에서 주목해야 할 복합적인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고 본다. 이에 싱가포르에서 “환경윤리와 중국사상”이라는 교과목을 개발하고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생명 사상이 현대 환경윤리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 탐색하려 한다. Environmental ethics is an emerging field of philosophy born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its influence has been expanded very quickly. At the early stage, East Asian thought was regarded as an alternative outlook and was received with great enthusiasm by Western environmental pioneers, but it was observed that East Asian thought was rapidly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discourse of environmental ethics. For example, environmental ethics has become essential to the content of higher education program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East Asian thought is often neglected in the curriculum. Why is East Asian thought estranged fro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despite its widely recognized capacity of cultivating ecological sensitivity? This paper explores what is the relevant contribution of East Asian ecological outlook to the contemporary environmental discourse.

      • KCI등재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과 작업치료지원의 협력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박소정(Park So Jung),한경근(Han Kyoung G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과 협력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유아를 지도한 경력이 3년 이상인 6명의 유아특수교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한 자료를 전사하고 분석한 결과 22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상위범주를 통해 3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는 물리치료와 같이 중도장애유아들이 받는 치료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의학용어로 구성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렵고 자주 접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작업치료사와의 협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유아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와의 협력은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작업치료사와의 협력 방법으로는 주로 협력의뢰서를 통해 협력을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문서라는 한계로 인해 지속적이고 현실적인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넷째, 구체적인 협력의 어려움으로 우선 수업 외의 업무와 관리자의 승인 등의 절차상의 어려움에 대해 호소하였고 개별화 교육 계획 시 치료사의 부재, 시간과 예산의 확보의 어려움 등을 이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치료사가 참여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지원, 관리자의 인식 변화, 유아특수교사들을 위한 작업치료 관련 교사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유아특수교사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과 현재 협력 현황을 알아보고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실적인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었으며 작업치료사는 협력적 중재의 필요성을 느끼고 유아특수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작업치료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기대해 본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the cooperativ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young children undergoing occupational therapy. Upon transcribing and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3 themes were derived, with 22 subcategories and 7 upper categories. Result: First, it is recognized that occupational therapy is a treatment that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receive, like physical therapy, and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rarely encountered because it is composed of medical term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positively accepted the cooperation with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 and the occupational therapist could be ver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 in charge. Third, several requests for cooperation with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made, however, owing to the limitation of documents, continuous and realistic cooperation was not achieved. Fourth, due to the difficulty of specific cooperation, we first appealed for difficulties in procedures such as work outside of class and approval from the manager, and discussed the absence of a therapist and difficulty in securing time and budget when planning individualized education.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legal/institutional support for therapists to participate, change of manager"s perception and activation of occupational therapy-related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as necessary. Conclusion: It was meaningful tha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and the ability to hear realistic voice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field experts. We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대중매체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 헤어스타일 연구 - 20세기와 21세기를 중심으로 -

        박소정 ( So-jung Park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6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팜므파탈의 이미지와 팜므파탈이 형성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고, 팜므파탈이 새로운 아이콘으로서 형성되기 시작한 20세기 이후와 21세기에 대중 영상 매체 중 영화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 모델들의 헤어스타일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초자료로 두고 스타일을 연구하여 단순히 고객의 헤어스타일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다른 고객들과는 다른 차별화 된 스타일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그 결과로는 첫째, 20세기의 팜므파탈 이미지 헤어스타일은 솔리드 형이 많았고, 업스타일 헤어 보다는 컷 스타일이 많았다. 둘째, 21 세기의 팜므파탈 이미지 헤어스타일 역시 솔리드 형이 대체적이었고 극 중 화제 전환에 따라 업스타일로 변화를 주었다. 이 결과를 살펴 보았을 때, 팜므파탈 이미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롱 길이의 하드한 스트레이트 헤어, 단정한 솔리드 형 컷, 굵게 세팅된 정갈한 웨이브 등이 팜므파탈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를 접목한 스타일을 연구하여 기초자료를 두고 단순히 고객의 헤어스타일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다른 고객들과는 다른 차별화 된 스타일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기여되길 바라며 더 나아가 미용 산업과 교육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looked at the makes of forming a background image and a femme fatale in femme fatale, femme fatale is the 20th century began to form a new icon with the one of popular video media in the 21st century hair styles of femme fatale image model shown in the film It was investigated. With this as a basis to study the style and simply want to contribute in new ways that can recreate different styles differentiated from other customers not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customer beautifully decorated hairstyles. As a result, first, in the 20th century femme fatale image hairstyle is followed by a solid type, there were many eopseutail hair cut rather than style.Second, in the 21st century femme fatale image hairstyle it was also solid type is generally given to eopseutail changes depending on the topic of switching poles.As seen at the result, the femme fatale image appears variously hard one, but long straight hair, a neat cut-solid, bold settings, such as the jeonggalhan wave length of the femme fatale image was formed. study the style and grafting it to give a haircut beautifully decorated simply not the purpose of different customers from those hoping to be helpful in the beauty industry and contribute to the education I hope we'll see new ways to reinvent another distinctive style.

      • KCI등재
      • KCI등재

        K-뷰티의 미백 문화에 대한 인종과 젠더의 상호교차적 연구를 위한 시론

        박소정(Sojeong Park),홍석경(Seok-Kyeong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2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둘러싸고 일어난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K-뷰티의 핵심적 관습으로서의 미백이 백인 모방이라고 비판하는 입장과 오히려 그러한 비판 자체가 식민제국주의적 권력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맞서는 과정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상상력에 비판적인 재고 및 수정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더불어 논쟁이 남성 아이돌에 집중된 양상을 들여다볼 때, 백인 남성 중심의 세계 인종 및 젠더 질서 안에서 새로운 영역 및 남성성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아시아 남성을 발견할 수 있다. K-뷰티가 만들어낸 상호교차적 정체성의 수행은 향후 더 구체적인 질문을 동반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Hallyu, Korean beauty culture called ‘K-beauty’ is gaining its popularity. While K-beauty has proved its power via market figure, it also requires more qualitative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eauty norm of a society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and racial identity performance but also raises the issue of subject and power.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this study examines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the core of K-beauty conventions and explores what kind of changes and challenges it produces in terms of racial and gender imagery of Asians. Recently, some international fans of K-pop have accused the photos of K-pop idols as ‘whitewashing’, but others refute this perspective as ‘yellowwashing’, thereby triggering the critical debate on the racial identity and performativity of Asians. Moreover, as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is focused on male idols, it also raises the questions in terms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soft masculinity of Korean male idols is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gainst toxic masculinity of western society. Thus, the intersectional identity performativity produced by K-beauty needs to be recognized as a new field of research.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둘러싸고 일어난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K-뷰티의 핵심적 관습으로서의 미백이 백인 모방이라고 비판하는 입장과 오히려 그러한 비판 자체가 식민제국주의적 권력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맞서는 과정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상상력에 비판적인 재고 및 수정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더불어 논쟁이 남성 아이돌에 집중된 양상을 들여다볼 때, 백인 남성 중심의 세계 인종 및 젠더 질서 안에서 새로운 영역 및 남성성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아시아 남성을 발견할 수 있다. K-뷰티가 만들어낸 상호교차적 정체성의 수행은 향후 더 구체적인 질문을 동반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Hallyu, Korean beauty culture called ‘K-beauty’ is gaining its popularity. While K-beauty has proved its power via market figure, it also requires more qualitative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eauty norm of a society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and racial identity performance but also raises the issue of subject and power.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this study examines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the core of K-beauty conventions and explores what kind of changes and challenges it produces in terms of racial and gender imagery of Asians. Recently, some international fans of K-pop have accused the photos of K-pop idols as ‘whitewashing’, but others refute this perspective as ‘yellowwashing’, thereby triggering the critical debate on the racial identity and performativity of Asians. Moreover, as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is focused on male idols, it also raises the questions in terms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soft masculinity of Korean male idols is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gainst toxic masculinity of western society. Thus, the intersectional identity performativity produced by K-beauty needs to be recognized as a new field of research.

      • KCI등재

        학급단위의 공감기반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및 언어폭력에 미치는 효과

        박소정(Park, So-Jeong),이동형(Lee, Donghyung),소영(Park, So-Yeo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단위로 실시 가능한 공감기반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러한 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언어폭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B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의 5학년 4개 학급에 공감능력 및 언어폭력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뒤 검사점수와 학급 구성이 가장 유사한 두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 학급(23명)에,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23명)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6주간 매회 40분씩 총 18회기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기자 집단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프로그램 종료 직후(사후시점)와 추후시점(사후검사 후 8주 후)에, 인지적, 정서적, 의사소통적 공감능력 및 언어폭력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6주간의 학급단위의 공감기반 독서치료 적용 후(사후시점), 초등학생의 정서적 및 의사소통적 공감능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프로그램 종료 후 8주가 경과된 시점에서도 여전히 통제집단 학급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반면, 인지적 공감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또한 초등학생의 언어폭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효과는 사후시점에서만 유의하였고, 추후시점에서는 통제집단과 더 이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 대상의 공감기반 독서치료가 정서적, 의사소통적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언어폭력을 감소시키는 학급차원의 중재로 효과적이라는 증거를 제시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lasswide empathy-based bibliotherapy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empathic abilities and verbal violence. Method: An 18-session bibliotherapy program was administered to a 5th grade class of 23 students (intervention group) for 6 weeks, while no treatment was given to a wait-list control group. Results: Mixed-design ANOVAs revealed that emotional and communicative empathic abilities of the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the end of program completion (post-test) and the follow-up (8 weeks following post-tes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emphatic ability. The verbal violence of the program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the post-test, but not at the follow-up.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the empathy-based bibliotherapy is an effective classwide intervention for increasing emotional and communicative empathic abilities and decreasing verbal viol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