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계작전을 위한 공중급유기 적정 대수 산정 연구

        박세훈,정의창,정제훈,Park, Sehoon,Chung, Ui-Chang,Chung, Je-Hoo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9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8 No.1

        공중급유기는 앞으로 공군 작전의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공중급유기의 도입으로 전투기의 항속 거리 및 항속 시간이 증가되어 작전 가능 시간이 향상될 것이라 기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중급유기를 도입하는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지만 아직은 그러한 논의가 부족한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BM(Agent Based Modeling) 기법을 활용하여 초계작전 시 공중급유기의 적정 대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때 실제 대한민국 공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항공기의 제원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의 신뢰성을 높였다. 적정 대수를 산정하기 위한 최적화 툴로써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뮬레이션 툴에 내장되어 있는 OptQuest를 사용하였고 적정 대수 산정결과는 4대이다. Air refueling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ir force operations. This follows from the introduction of air refueling aircraft, which should to increase operational time by increasing the range and duration of fighter jets.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the air refueling air crafts, the astronomical costs of adapting the air tankers call for careful discussions on whether to acquire any air craft and if so, how many. However there is no academic study on the subject to our knowledge. Thus, we use the ABM(Agent Based Modeling) technique to calculate the optimal number of air tankers during patrol operation. We have enhanced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by enter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current aircraft operated by the Korean Air Force. As an optimization tool for determining the optimal number of counts, we use OptQuest built into the simulation tools and show that the optimal number of air tanker is 4.

      • KCI등재

        소비 목표와 자아 해석이 구색 크기 선호에 미치는 효과

        박세훈 ( Park Sehoon ),김채영 ( Kim Chaeyeong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 소비 목표와 자아해석이 구색 크기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전의 연구는 큰 구색(vs. 작은 구색)의 바람직함에 주목하여서 큰 구색(vs. 작은 구색)의 선호를 예상해왔으나, 최근의 연구는 큰 구색(vs. 작은 구색)이 제공하는 의사결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오히려 작은 구색(vs. 큰 구색)을 더 선호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의 상반되는 예측들을 소비 목표와 자아해석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소비자가 제품 구매를 위해 가질 수 있는 목표를 쾌락적 목표와 실용적 목표로, 소비자가 사회적 맥락에서 자아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독립적 자아해석과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으로 분류하고,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소비자가 쾌락적(vs. 실용적) 소비 목표를 가지고 있을 경우 큰 구색(vs. 작은 구색)을 더 선호할 것이고, 이러한 효과는 큰 구색(vs. 작은 구색)이 제공하는 의사결정의 바람직함(vs. 어려움)의 상대적 중요도에 의해 매개될 것이다. 또한 소비 목표가 쾌락적(vs. 실용적)인 소비자일 경우, 그리고 자아해석이 독립적(vs. 상호의존적)인 소비자일 경우 감성(vs. 인지)에 기반한 의사결정 모드를 더 활성화할 것이지만, 서로 다른 활성화 과정으로 인하여 소비 목표와 자아해석이 의사결정 모드의 유발에 미치는 효과는 서로 독립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비 목표와 자아해석이 구색 크기 선호에 미치는 효과는 서로 독립적이고, 서로 다른 매개 경로가 발생할 것이다. 가설 검증을 위해 아이스크림 상점을 대안으로 활용하여 두 차례의 실험을 실시했다. 2(소비 목표: 쾌락 vs. 실용) x 1의 집단 간 요인 설계를 이용한 실험 1을 통해, 쾌락적(vs. 실용적) 소비 목표의 조건에서 큰 구색(vs. 작은 구색)이 더 선호되고, 이 효과는 의사결정의 바람직함(vs. 어려움)의 상대적 중요도에 의해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2(소비 목표: 쾌락 vs. 실용) x 2(자아해석: 독립적 vs. 상호의존적)의 집단 간 요인 설계를 이용했다. 결과 분석을 통해, 소비 목표와 자아해석이 의사결정 모드의 유발에 있어 독립적 역할을 하고, 쾌락적(vs. 실용적) 소비 목표 조건과 독립적(vs.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조건 하에서 감성(vs. 인지)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더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소비 목표와 자아해석은 구색 크기 선호에 있어서도 독립적인 역할을 하고, 여기서 소비 목표 효과는 의사결정 모드와 바람직함(vs. 어려움)의 상대적 중요도에 의해 각각 직접적으로 매개되는데 반해서, 자아해석 효과는 의사결정 모드를 직접적으로 거쳐서 혹은 의사결정 모드와 바람직함(vs. 어려움)의 상대적 중요도를 순차적으로 거쳐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밝히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consumption goal and self-construal on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assortment size.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consumers’ preference for larger(vs. smaller) assortments because having a larger number of options to choose from can increase desirability of the larger assortment. On the other hand,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consumers can prefer rather smaller assortment by focusing on larger assortment’s feasibility(i.e., the difficulty of choosing from a large set) compared to larger one’s desirability.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ill explain the conflicts among those predictions through consumption goals and self-construals. Categorizing consumption goals as hedonic and utilitarian and self-construals as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proposed. First, we predict that consumers with hedonic(vs. utilitarian) consumption goals will prefer larger(vs. smaller) assortments, and this effect will be mediated by the relative importance of desirability(vs. difficulty) of decision making. We also predict that consumers will use feeling-based(vs. reason-based) decision making mode when their consumption goal is hedonic(vs. utilitarian) and when self-construal is independent(vs. interdependent), but these effects will be occurred independently because of their different activation procedures.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s of consumption goal and self-construal on preference for assortment size will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with the different mediation pathways.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chieved by using a 2 (consumption goal: hedonic vs. utilitarian) x 1 between-subjects design, supported our predictions that larger(vs. smaller) assortments are preferred in hedonic(vs. utilitarian) consumption goal’s condition, and this effect is mediated by the relative importance of desirability (vs. difficulty) of decision making. In experiment 2, we used a 2(consumption goal: hedonic vs. utilitarian) x 2(self-construal: 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between-subjects design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consumption goal and self-construal independently affect relative reliance on feelings versus reasons in decision making. Under the hedonic(vs. utilitarian) consumption goal condition and the independent(v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ndition, participants tended to make feeling-based(vs. reason-based) decision. Moreover, it is revealed that consumption goal and self-construal play independent roles in preference for assortment size. Specifically, the consumption goal effect was directly and respectively mediated by decision making mod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desirability(vs. difficulty), whereas the self-construal effect was directly mediated by decision making mode or sequentially mediated by decision making mod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desirability(vs. difficulty).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provide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이용한 공군 수송비용 최소화를 위한 차량 적정 대수 산정 연구

        박세훈 ( Sehoon Park ),김도희 ( Dohee Kim ),사공훈 ( Hoon Sakong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9 로지스틱스연구 Vol.27 No.1

        공군은 핵심전력인 항공기의 안전하고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 항공기에 필요한 충분한 물량의 수리부속 보급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공군은 총 수송량의 93.9%를 육로 수송에 의존하고 있다. 한정된 시간과 자원으로 원활한 수송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송 차량의 운용이 최소의 비용과 최선의 효율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하여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Agent-Based Modeling, ABM)을 이용하여 공군 육로 수송비용 최소화를 위한 수송 차량 적정 대수 산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도 공군 군수사령부 육로수송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지형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이용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고, 총 수송비용 최소화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최적화 실험을 하였다. 최적화 실험 결과 각각의 기지 B-03에 22대, B-10에 20대, B-12에 13대의 차량 배치와 총 비용 9,278.5억 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차량이 경유를 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 점과 물량 및 차량 적재기준을 부피 측면에서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존재하나, 복잡한 공군 육로수송체계를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활용하여 모델링 하였고, 이는 공군뿐만 아니라 타군 및 민간의 물류 수송 분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In the modern warfares, it is important to secure excellent technology and weapon system, but equally important is the ability to utilize them in the right places. Moreover, in the case of the Air Force, in order to carry out the safe and successful mission of the aircraft, which is the core power, sufficient spare parts and supply of the necessary components of the aircraft shall be promptly provided. The Air Force is highly dependent on land transport, which is 93.9% of its total volume. In order to carry out smooth transportation operations with limited time and resources,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s must achieve the minimum cost and the best efficiency.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on the proper number of transportation vehicles for minimizing land transportation cost of the Air Force, using ABM(Agent Based Modeling)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ur simul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2017 Air Force Logistics Command land transportation data, and an optimiz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goal of minimizing total transportation cost. As a result of the optimization experiment, 22 trucks, 20 trucks, and 13 trucks were deployed respectively in each of the bases B-03, B-10 and B-12, and a total cost of 927.85 billion won was derived. In this study,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and the cargo and vehicle loading criteria are not considered in terms of volume, the ABM is used to model the land transportation system of the Air Force. Moreover,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o the field of logistics transportation for other services and for the civilians.

      • KCI등재

        자원고갈이 가격-품질 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세훈 ( Sehoon Park ),손용석 ( Yong Seok Sohn ),오유진 ( Youjin Oh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자아조절자원의 고갈 여부가 가격-품질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즉, 제품의 품질을 판단할 때 소비자들은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조건에서는 노력을 들이지 않고 직관적인 가격-품질 휴리스틱에 의존함으로써 가격의 영향력이 높지만,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지 않은 조건에서는 노력을 들여서 제품속성 정보를 심사숙고하는 감시조정과정을 실시하므로 제품속성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소비자들은 제품의 품질을 판단할 때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비고갈)된 조건에서 가격(제품속성) 정보에 대한 의존이 더 클 것이다(가설 1). 본 연구에서는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서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삼원분산분석 결과, 자원고갈 여부와 가격 간의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이는 햄버거 제품의 품질 판단에 있어서 가격의 영향은 비고갈 조건보다 고갈 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자원고갈 여부와 제품속성 매력도 간의 이원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고, 이는 햄버거 제품의 품질 판단에 있어서 제품속성 매력도의 영향은 고갈조건보다 비고갈 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실험 1은 가설 1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실험 2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첫째, 실험 2는 자원고갈 여부가 가격-품질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 1이 채용한 판단 패러다임이 아닌 선택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재현하고자 했는데, 실험 2의 결과는 가설 1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실험 1이 보여준 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둘째, 실험 1의 결과에 대하여 자원고갈 여부의 조작이 해석수준의 변화를 야기하고 그 결과 품질 판단에서 가격과 제품속성의 상대적 영향의 변화가 일어났다는 주장을 제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대안적 설명을 배제하기 위해서 실험 2는 실험 1과 달리 자원고갈 여부의 조작 후에 물어본 BIF 질문들에 대한 피험자들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서 해석수준이 아닌 자원고갈 여부 자체가 품질 판단에서 가격과 제품속성의 상대적 영향의 변화를 야기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the price-quality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self regulatory resource(depletion vs. no depletion): Consumers in depletion condition may not process product attributes information effortfully and thus rely more on the price-quality heuristic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hereas those in no-depletion condition may process attributes information by more effortful processing called monitoring process and thus judge the product quality mainly based on attributes information. Accordingly, we predict the following: When inferenc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consumers would have greater reliance on price (product attributes) information in resource depletion (no-depletion) condition (hypothesis 1). In this research,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1. In experiment 1, a 2 × 2 × 2 ANOVA on judgments of the likely tastiness of the hamburger revealed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s with the resource-depletion manipulation. First, a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between price and resource depletion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price was stronger in the depletion than in the no-depletion condition. Seco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ttribute attractiveness and resource depletion confirmed that the attribute attractiveness of the hamburger had a greater impact on taste judgments in the no-depletion than in the depletion condition. In experiment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selected the high-price, less attractive coffee-milk as being the tastier 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letion condition than in the no-depletion condition, supporting hypothesis 1.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이용한 공군 항공수송 경로 최적화에 관한 연구

        박세훈 ( Sehoon Park ),김태호 ( Taeho Kim ),정희진 ( Heejin Jung ),최운기 ( Woonki Choi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8 로지스틱스연구 Vol.26 No.3

        본 논문에서는 ABM(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이용하여 공군 수송기의 항공수송 경로 최적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변동성이 있는 화물과 인원의 수송 수요에 대하여 기존에 사용 중인 고정된 수송 스케쥴을 사용하는 것(ASIS 모델)이 아니라, 차량경로문제(VRP)에서 차용한 개념과 수송 수요를 고려하여 수송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케쥴을 생성하는 휴리스틱 알고리듬을 생성하였고, 이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항공수송을 실시하는 개선된 경로 모델(TOBE 모델)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에이전트 기반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공군 군수사령부의 항공수송 실적자료를 수집하여 그 수송수요를 이용하여 확률변수로 발생시켰고, 동일한 수요에 대하여 ASIS 모델과 TOBE 모델에 대하여 각각 100회씩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고, ASIS 모델과 TOBE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 총 비행거리, 화물 및 인원 운송량에 대하여 대응표본 검정으로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ASIS 모델에 비해 TOBE 모델의 총 비행거리가 약 22.31%만큼 대폭 감소하고, 화물 운송량은 약 0.5% 감소, 인원 운송량은 약 0.7%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공군 정기 항공수송 경로 계획을 수립할 때 활용될 수 있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한 M&S 방법론으로 사용한 ABM은 공군의 항공수송 경로 최적화뿐만 아니라 유사 분야에서 효율적인 경로 최적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ovided a means of optimizing air transport routes for Air Force, using agent-based modeling. To improve the routes, we modified routes (TOBE model) using our heuristic algorithm. Using the real air transportation data collected by Air Force Logistics Command, we made transport demand as random variables. To compare the current route (ASIS model) and the TOBE model, the Monte Carlo simulation performed 100 times the same demand. Comparison of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ASIS model and the TOBE model was compared with the total flight distance, freight and traffic volume. The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the total flight distance of the TOBE model decreased by about 22.31% compared to the ASIS model, and the freight traffic volume decreased by about 0.5% and the traffic volume increased by approximately 0.7%.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future Air Force and will help improve the air transport routes to achieve higher performance than current routes.

      • KCI등재

        한정 수량 희소 촉진이 자원고갈과 급속배송(vs. 표준배송)의 선호에 미치는 효과

        박세훈(Park, Sehoon),김채영(Kim, ChaeYeong) 한국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연구 Vol.34 No.2

        과거에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자원의 희소성이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기업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수량을 제한하거나 시간을 한정하는 촉진으로 인한 제품의 희소성이 발생한다. 제품의 희소성이 소비자들의 경쟁을 유발시킨다는 이전의 연구들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예상하였다. 한정 수량을 강조하는 희소 촉진(vs. 한정 수량을 강조하지 않는 통제 촉진) 조건에서 소비자들은 더 큰 자원고갈을 나타내고, 이 효과는 희소 촉진의 유형(한정 수량 vs. 한정 시간)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또한, 이 효과는 초점 제품의 획득에 대한 소비자들의 성급함에 의해 매개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희소 촉진의 효과가 시간과 관련된 자아통제 과업 중 하나인 또다른 제품의 배송방식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한정 수량을 강조하는 희소 촉진(vs. 한정 수량을 강조하지 않는 통제 촉진) 조건에서 소비자들은 자아통제의 감소로 인해 급속배송(vs. 표준 배송)을 더 선호할 것이고, 희소 촉진의 유형은 이러한 효과를 조절할 것이다. 또한, 이 효과는 소비자가 느끼는 성급함과 자원고갈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될 것이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1 요인(촉진 유형) 3 수준(한정 수량 희소 촉진 vs. 한정 시간 희소 촉진 vs. 통제 촉진)의 집단 간 요인 설계를 활용하였다. 아이폰7을 초점 제품으로 선정하여 촉진 광고물을 세 수준으로 제작하였고, 공기청정기를 급속배송 혹은 표준배송의 제품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은 모두 지지되었다. 즉, 한정 수량을 강조하는 희소 촉진(vs. 통제 촉진) 조건에서 소비자들은 더 큰 자원고갈을 나타내었지만, 한정 시간을 강조하는 희소 촉진(vs. 통제 촉진) 조건에서 소비자들은 더 큰 자원고갈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이 효과는 성급함에 의해 매개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더해서, 한정 수량을 강조하는 희소 촉진(vs. 통제 촉진) 조건에서 소비자들은 급속배송(vs. 표준배송)을 더 선호하였는데, 이러한 효과는 한정 시간을 강조하는 희소 촉진(vs. 통제 촉진) 조건의 소비자들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예측한 바와 같이, 한정 수량 희소 촉진(vs. 통제 촉진) 조건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성급함과 이로 인한 자원고갈이 급속배송(vs. 표준배송)에 대한 선호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밝히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past,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caused the scarcity of resource, but nowadays the companies’ promotions that intentionally limit the available product quantity or the available time to obtain product causes the scarcity of product.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at the scarcity of product can foster considerable competition between consumers,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proposed. First, we predict that consumers exposed to a scarcity promotion highlighting limited-quantity(vs. a control promotion that does not highlight limited-quantity) will be more depleted. We also predict that this effect will be moderated by the type of scarcity promotion(limited-quantity vs. limited-time) and will be mediated by consumers’ impatience to obtain the focal product. Postulating that the effects of scarcity promotion can affect the choice of shipping method of another product, we propose that consumers exposed to a scarcity promotion highlighting limited-quantity(vs. a control promotion that does not highlight limited-quantity) will be more likely to prefer expedited shipping(vs. standard shipping) because of decreased self-regul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effect will be moderated by the type of scarcity promotion and will be sequentially mediated by consumers’ impatience and resource depletion. To test our hypotheses, we used one-factor(promotion type) three-levels(limited-quantity vs. limitedtime vs. control) between-subjects design.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one of the three types of ads describing promotional sales of Apple iPhone 7 and then asked to choose between the two shipping methods(expedited vs. standard) of air cleaner. The results of experiment supported all our predictions. That is, we found that the consumers exposed to a scarcity promotion highlighting limited-quantity are more depleted than the consumers exposed to control promotion, and this effect is mediated by their impatience, whereas the consumers exposed to a scarcity promotion highlighting limited-time are not more depleted than the consumers exposed to a control promotion. Results also showed that consumers exposed to a limited-quantity scarcity promotion(vs. a control promotion) prefer expedited shipping(vs. standard shipping) of air cleaner, whereas consumers exposed to a limited-time scarcity promotion(vs. a control promotion) do not prefer expedited shipping(vs. standard shipping). Consistent with our theorizing, it was revealed that the preference for expedited shipping(vs. standard shipping) under a limited-quantity scarcity promotion(vs. a control promotion) is sequentially mediated by consumers’ impatience and resource depletion.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provide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소비자들이 자신 대(對) 타인을 위한 선택 시에 행하는 목표관리: 목표진행이 선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선택맥락과 진행 프레이밍의 조절적 역할

        박세훈 ( Park Sehoon ),손용석 ( Sohn Yong Seok ),이나래 ( Lee Narae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초점목표가 건강관련 목표인 자신과 타인을 위해서 소비자가 맛은 없지만 건강에 좋은 선한 대안들과 맛은 있지만 건강에 좋지 않은 악한 대안들에 동시에 노출된 상황에서 각각 여러 개의 대안을 동시에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맥락(자신 vs. 타인)에 따라서 목표 진행 수준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서로 다른 초점목표의 진행수준(낮음 vs. 높음) 하에서 목표 진행의 프레이밍(이제까지 이뤄진 진행 vs. 앞으로 남은 진행)이 소비자의 대안(악한 vs. 선한) 선택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선택맥락(자신 vs. 타인)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점목표의 진행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타인보다는 자신을 위해서 선택하는 조건에서 소비자의 악한(vs. 선한)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을 위해서 선택하는 조건에서는 초점목표의 진행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목표 진행의 프레이밍이 앞으로 남은 진행보다 이제까지 이뤄진 진행에 초점이 맞춰질 경우 소비자의 악한(vs. 선한)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증가한 반면, 타인을 위해서 선택하는 조건에서는 초점 목표의 진행수준이 낮건 높건 관계없이 목표 진행의 프레이밍에 있어서 이제까지 이뤄진 진행조건과 앞으로 남은 진행 조건 간에 소비자의 악한(vs. 선한)대안의 선택 점유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Many of the most significant choices that people make are between vices and virtues. In choosing between vices and virtues, consumers sometimes buy several items on one shopping trip.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1) choice context (consumers` choices for themselves vs. others) will moderate effects of level of goal progress on the relative choice share of tasty but fattening vices (vs. virtues) when consumers buy multiple items for themselves and others; (2) choice context (consumers` choice for themselves vs. others) will moderate interactive effect of level of goal progress (low vs. high) and framing of goal progress (completed vs. remaining) on consumers` choice between vices and virtues. In conclusion, when consumers buy multiple items for themselves and others, our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d that (1) the difference in choice share of vices (vs. virtues) between the high progress and low progress conditions was larger for consumers choosing for themselves rather than for others; (2)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level of goal progress and the framing of goal progress was significant in the choice-for-self condition but not in the choice-for-other condition.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한국 의료서비스산업의 시장지배력과 생산성에 관한 실증분석

        박세훈(Sehoon Park),강주훈(Joo Hoon Kang),정용식(Yong-Sik Ju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4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논문은 Hall(1990)과 Basu(1997)의 모형에 근거하여 생산성추정모형을 설정하고, 분석기간 1975:1-2010:4에 걸쳐서 의료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생산성을 5개의 형태로 측정한 다음 생산성의 순환성을 밝히고 실질임금과 측정된 생산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시장지배력을 제거하고 규모의 보수를 고려하여 솔로우잔차항을 측정한 결과 의료서비스 산업에서 시장지배력이 크게 존재하고 있으며 생산측면에서 규모의 보수가 크게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장지배력을 제거하는 경우 솔로우잔차항은 강한 경기순행성에서 강한 경기역행성으로 전환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지배력을 나타내는 대리변수인 산업별 마크업의 경기역행적인 특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실질임금증가율과 생산성과의 관계를 분석할 때 생산성지표로서 노동생산성이나 본래의 솔로우잔차항 또는 시장지배력을 제거한 총비용에 근거한 솔로우잔차항이 적정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establishes the empirical model based on Hall′s(1990) and Basu′s(1996) models, estimates the five types of productivity in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over the period 1975:1-2010:4, and analyzes the cyclicality of measured productiviti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industrial real wage.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proved to be substantial market power in pricing and returns to scale in production for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Second, the three types of productivity among 5 types showed to be procyclical. Third, the average labor productivity, the original Solow residual, and the cost-based Solow residual are expected to provide reasonable indexes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ity and real wage.

      • KCI등재

        보상 진행률, 보상프로그램 크기, 포인트 적립크기 정보가 소비자의 보상물 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세훈 ( Sehoon Park ),김문용 ( Moon Yong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논문은 미국의 개별소비자 자료를 이용하여 제품안전 규제가 소비자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소비자들이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있는 제품들을 - 이를테면 자동차 - 소비하는 경우, 부상이나 물적 피해를 겪을 수 있다. 이렇게 예상하지 못한 부상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규제당국은 흔히 안전벨트법과 같은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과거의 일부 연구 사례 등에 따르면, 안전규제는 소비자들을 잘 보호하지 못한다고 결론을 맺어 왔다. 예를 들어 상쇄행동이론에 따르면, 안전벨트 법에 의하여 소비자들 (운전자들)이 운전 중에 안전벨트를 매게 되면 소비자 자신들은 이전보다 더 안전해 진다고 믿게 된다. 이러한 믿음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제품을 소비하는 데에 (운전하는 데에) 있어서 덜 조심하게 되고, 이는 오히려 보행자가 포함된 사고들을 더 많이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안전벨트 규제는 효과적이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안전규제가 더 강화되면 소비자들은 제품을 더욱 더 조심해서 사용하게 된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소비자들이 운전할 때 보이는 주의행위는 보행자 관련사고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음도 동시에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더 강화된 안전규제가 시행된다고 해서 반드시 소비자들이 상쇄행동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는 상쇄효과이론의 결론과는 배치된다. 본 연구 결과의 의하면, 안전규제가 완화될 경우, 소비자들은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 본 논문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 과거의 안전벨트 법과 같이 현재 소비자들의 선택사항인 에어백이라든지, 다른 안전장치들은 향후 선택사항에서 의무사항으로 가야 한다. 이는 소비자들이 운전 시 상쇄행동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Loyalty programs offer utilitarian or hedonic rewards via mediums of different magnitudes. Namely, in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s, both reward distances (i.e., points required to redeem rewards) and step sizes (i.e., points earned per dollar) are larger. In particular, the upfront price reduction (i.e., pre-discount) can be repaid through the “Save Point” program, which means that the more the consumer uses his or her card and accumulates points, the quicker they will be reimbursed. In the current research, we first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high vs. low) on consumer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ambiguous step sizes when consumers have earned 100% of the points needed to redeem rewards. Moreover, focusing on the Save Point users, we examine whether the interactive effects of program magnitud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ambiguous step sizes on consumer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differ according to the reward progress rates (i.e., reward distance; near the reward vs. far from the reward). Specifically, we make the following predictions. First, when consumers have earned 100% of the points needed to redeem rewards, we predict that the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 will lead to the increased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rewards in the ab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1-1), whereas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high vs. low) on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not be found in the pre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1-2). Next, when consumers are close to their rewards (i.e., in the rewardnear condition), we predict that the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 will lead to the increased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rewards in the ab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1), whereas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on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not be found in the pre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2). Finally, when consumers are still far from their rewards (i.e., in the reward-far condition), we predict that the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 will yield the decreased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rewards in the ab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3), whereas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on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not be found in the pre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4). In this research,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and confirm these predictions.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수요예측정확도가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세훈 ( Park Sehoon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7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18 No.3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DFA(demand forecasting accuracy) on performance in SC(supply chain) system using SD(system dynamics) methodology. The research model is very simple, but it is sufficient to observe the effect of DFA on SC performance in the model.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methodology was presented using an SD technique to dynamically analyze how DFA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system, such as the inventory level and the service rate. Secon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D, time delay and feedback effects produced by variables in the study model were observed on SC. Third, this could be modelled as a system that the realized demand and DFA are confirmed beforehand and the forecasting quantity is reflected in the inventory policy. The result demonstrates the effect of DFA on SC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S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C where causal relationship is apparent, suggesting that SD should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S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