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에서 분리한 Diaporthe tectonae에 대한 보고

        박상규,이승열,이재진,백창기,이향범,정희영,Park, Sangkyu,Lee, Seung-Yeol,Lee, Jae-Jin,Back, Chang-Gi,Lee, Hyang Burm,Jung, Hee-Young 한국균학회 2017 韓國菌學會誌 Vol.45 No.1

        전북 전주시 완산구의 토양으로부터 국내 미기록종인 균류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 및 ITS영역, ${\beta}-tubulin$, $EF1-{\alph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 결과, 토양에서 분리한 균류는 Diaporthe tectonae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D. tectonae가 국내에 존재함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An unrecorded fungal species in Korea, Diaporthe tectonae was isolated from soil in Jeon-ju of Korea. The isolate was characterized morphologically, and 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a combined dataset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beta}-tubulin$, and elongation factor $1-{\alpha}$ sequences indicated its similarity to D. tectonae strains reported previously.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D. tectonae in Korea.

      • KCI등재

        식물 발달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ERF 유전자군의 다양한 역할과 조절기작

        박상규(Sangkyu Park),김다혜(Da-Hye Kim),박성옥(Sung-Ok Park),이종렬(Jong-Yeol Lee),임선형(Sun-Hyung Lim) 한국육종학회 2017 한국육종학회지 Vol.49 No.4

        APETALA2/ethylene response factor (AP2/ERF) transcription factors are involved in biological and abiotic stress response, plant development, and growth. AP2/ERF genes are classified into five families (AP2, DREB, ERF, RAV, and soloist), and most genes belong to DREB and ERF families. So far, genomic analysis of DREB and ERF family genes of various plant species has been performed, and classifications based on the homology of AP2/ERF-specific DNA binding domain, arrangement of exons and introns, and similarity of group-specific conserved motifs have been conducted. These classifications provide plausible information for the prediction of AP2/ERF gene function. In this paper, an overview of the classification, structure, evolution, and function of AP2/ERF genes is described, and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ERF family gen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re summarized by group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Arabidopsis ERF family genes. This shows that group-specific conserved motifs of Arabidopsis ERF family genes are closely linked with group-specific functions and regulatory mechanisms, indicating that the effective functional prediction of ERF family genes through such a classification scheme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trait improvements of various pla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타포괄이익과 그 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

        박상규(Park, Sangkyu),박원(Park, W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2

        본 연구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의 의무적용으로 포괄손익계산서 본문에 공시되기 시작한 기타포괄손익 및 그 구성요소가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당기순손익과 총포괄손익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을 확인하고, 당기순손익에 더하여 기타포괄손익의 증분적 가치관련성을 확인한 후, 이러한 가치관련성이 K-IFRS 도입 전후에 달라졌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타포괄손익 구성 요소의 증분적 가치관련성을 확인한 후, 이들 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이 K-IFRS 도입 전후에 달라졌는지를 확인하였다. 2012년말 현재 거래소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비금융업)의 과거 5년간 5,949개(기업-년) 표본을 대상으로 Ohlson(1995)모형을 이용한 연구모형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uong(1989)의 Z검증을 통해 확인한 당기순손익과 총포괄손익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당기순손익에 더하여 기타포괄손익의 증분적 가치관련성은 유의적이었고, 이러한 증분적 가치관련성은 IFRS 도입 후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타포괄손익의 구성 항목들 중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및 재평가잉여금변동은 당기순손익에 더하여 증분적 가치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항목들은 증분적 가치관련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타포괄손익이 재무제표의 주석 혹은 재무제표의 본문에 보고되는 시기 즉, 재무 제표에 기타포괄손익이 실제 공시되기 시작한 이후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타포괄손익 및 그 구성 요소의 가치관련성 그리고 IFRS 도입 전후 이들의 가치관련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IFRS 도입 전후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변화를 가치관련성 측면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other comprehensive income(OCI) and its components provide value-relevant information to investors in Korea. Using a large sample listed on Korea Exchange over the pre-IFRS period (2008-20010) and post-IFRS period (2011-2012), we find that by and large, OCI and its items are value relevant and their value relevance increases in the post-IFRS period. Our main results are then threefold. We first provide evidence that there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between net income(NI) and comprehensive income(CI) tested by Vuong (1989)"s method. Second, our results show that aggregate OCI is value-relevant, and has incremental value relevance beyond NI, and its value relevance increases in the post-IFRS relative to pre-IFRS period. Finally, we find that the incremental value relevance of OCI components relative to NI is observed in unrealized gains and losses from available-for-sale securities(AFS) and change in revaluation surplus(REV), but not in unrealized gains and losses on cash flow hedge derivative instruments(CFH) and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adjustments(FCT). We attribute our results to “visibility effects” that the increased transparency on reporting OCI in the statement of CI in the post-IFRS period rather than pre-IFRS footnote disclosure may have warranted a stronger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share price, OCI and/or its components.

      • KCI등재

        모바일 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상규(Sangkyu Park),이동원(Dongwon Lee)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6 지능정보연구 Vol.22 No.4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확산과 더불어 앱의 보급도 크게 늘어나면서 우리 일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게임, 생활, 엔터테인먼트, 정보,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앱이 생겨나고 있으나, 그들 중 대부분이 사용자의 구매 선택조차 받지 못하고 있으며, 구매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많은 수는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고 외면당하고 있다. 사용자가 앱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 연구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앱을 선별적으로 추천하는 데에 활용됨으로써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앱 개발자나 배포자 및 사용자 모두에게 기여하는 실무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앱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앱 유형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앱을 구매하고 사용한 경험, 구매 시 참고한 앱에 대한 객관적 평가인 별점,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상품의 소개 화면에 노출되는 배지(Badg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용자의 앱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설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사용기록이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는 반면, 본 연구는 특정한 기간 동안 사용자의 실제 사용기록 전체를 측정하고 수집하여,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양한 앱을 설치해놓고 이들 중 자신의 필요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카테고리 별로 다를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다변량 프로빗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앱 카테고리 별로 달라지는 것과 앱 카테고리 선택 간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사용자의 앱 사용 목적에 따라 쾌락성(Hedonic)과 실용성(Utilitarian)으로 구분지어 설명하였다. For a long time, mobile phone had a sole function of communication. Recently however, abrupt innovations in technology allowed extension of the sphere in mobile phone activities. Development of technology enabled realization of almost computer-like environment even on a very small device. Such advancement yielded several forms of new high-tech devices such as smartphone and tablet PC, which quickly prolif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diffusion of the mobile devices, mobile applications for those devices also prospered and soon became deeply penetrated in consumers’ daily lives. Numerous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released in app stores yielding trillions of cumulative downloads. However, a big majority of the applications are disregarded from consumers. Even after the applications are purchased, they do not survive long in consumers’ mobile devices and are soon abandoned. Nevertheless, it is imperative for both app developers and app-store operators to understand consumer behaviors and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aiming to make sustainable business by first increasing sales of mobile applications and by also designing surviving strategy for applic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consumers’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in a frame of substitution/supplementary of application categories and several explanatory variables. Considering that consumers of mobile devices use multiple apps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adopts multivariate probit models to explain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and to derive correlation between categories of applications for observing substitution/supplementary of application use. The research adopts several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data, user experiences of purchased applications that reflect future purchasing behavior of paid applications as well as consumer attitudes toward marketing efforts, variables representing consumer attitudes toward rating of the app and those representing consumer attitudes toward app-store promotion efforts (i.e., top developer badge and editor’s choice badg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plained in hedonic and utilitarian framework. Consumers who use hedonic applications, such as those of game and entertainment-related, are of young age with low education level. However, consumers who are old and have received higher education level prefer utilitarian application category such as life, information etc. There are disputable arguments over whether the users of SNS are hedonic or utilitarian. In our results, consumers who are younger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level prefer using SNS category applications, which is in a middle of utilitarian and hedonic results. Also, application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angible assets, such as banking, stock and mobile shopping, are only negatively related to experience of purchasing of paid app, meaning that consumers who put weights on tangible assets do not prefer buying paid application. Regarding categories, most correlations among categori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This is because someone who spend more time on mobile devices tends to use more applications. Game and entertainment category shows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re exist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ame and information, as well as game and e-commerce categories of applications. Meanwhile, categories of game and SNS as well as game and finance have shown no significant correlations. This result clearly shows that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is quite clearly distinguishable – that the purpose of using mobile devices are polarized into utilitarian and hedonic purpose. This research proves several arguments that can only be explained by second-hand real data, not by survey data, and offers behavioral explanations of mobile application usage in consumers’ perspectives. This research also shows substitution/supplementary patterns of consumer 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