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미진(Mijin Park)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among low income older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solated older adults' social isolation rate an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by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with low economic status. This study used the Gijang Welfare Network study(2009). The sample consisted 256 older adults 65 and older residing in Busan(Gijang). As statistical method,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ed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in reducing social isolation for older adults with low economic status. We need to emphasize social rela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s as well as outreach program for high-risk elderly of social isolation. In addition, Findings suggested that community based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ded to protect older people, especially poor elderly from social isolation.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고,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인식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장복지네트워크 조사연구(2009) 자료를 활용하였고, 이 자료중 부산시 기장군에 거주하고 있는 기초생활 수급대상자 또는 1,2종의 의료보호 대상자이면서 65세 이상 노인 256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에 의한 매개효과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조사대상노인의 5.5%는 극도의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였고, 조사대상의 31%가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회인식은 사회적 고립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지역사회개입과 노인들의 사회참여 및 사회관계를 강조한 사회적고립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사회적 고립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박미진(Mijin Park) 한국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연구 Vol.21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ntrol factors (age, gender, education, public assistance status), personal factors (perceived health,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housing ownership, type of housing), community factors (the number of people over 65 in a community, neighborhood poverty, the number of social services agencies for older adults, the incidence of elderly abuse) on social isolation among the elderly. Towards this end, this study uses panel dat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e data of 3,831 respondents aged over 65 are used to this analysis by the SPSS 19.0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ower cognitive function, non-ownership of housing, and housing type result in higher social isolation among respondents. However, community factors results in greater social isolation than personal factors, and are more significantly predictive of social isolation in adults over 65. Lastly,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offer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부성휴가제도가 남성 돌봄시간에 미치는 영향 - 노동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미진(Park, Mi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0

        본 연구는 부성휴가제도와 남성의 돌봄시간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검토하고, 노동시간이 그 관계를 조절하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 가족양립을 다룬 대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일 · 가족양립의 주체로 여성만을 상정하여 분석한 한계를 드러내었고, 일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도 미시적인 가구 내 역할분담에만 초점을 두어,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남성의 일 · 가족양립 문제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의 2015년 근로환경조사를 활용하여 25개국의 7,169명을 대상으로 다수준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남성돌봄시간의 결정요인을 다차원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노동시간이 짧은 남성들에게는 제도의 발달이 돌봄시간을 증가시키는 정적 효과를 나타낸 반면, 장시간 노동을 하는 남성들에게는 제도의 발달이 오히려 돌봄시간을 큰 폭으로 낮추는 기제로 작동되었다. 따라서 남성의 일 · 가족양립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 · 가족양립정책의 발달뿐만 아니라 노동시간단축 등 노동환경의 변화가 동시에 뒷받침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ity leave and paternal childcare time, while considering any moderating effects of working hour. Empirical evidence on the aspects of paternal childcare time from a broader perspective is sparse. This study used multilevel modeling and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5 European Working Condition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paternity leave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aternal childcare time. Conversely, this study found that longer work hour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lower paternal childcare time, supporting the time availability theory. Finally, the length of working hour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ity leave and paternal childcare ti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ternity leave policies alone may not be sufficient to improve paternal childcare time. The moderating effect suggests that working hour needs to be also considered. To be specific, reducing working hours may not only help male caregivers extend their childcare time directly, but also reinforce the impact of paternity leave.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new role of men for balancing work and family.

      • KCI등재

        한·독 죽음 완곡어 및 위악어의 인지 구조와 기능

        박미진 ( Park Miji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2 독일언어문학 Vol.- No.98

        죽음은 대표적인 터부영역으로 우리는 대개 죽음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회피하거나 은폐하고자 한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죽음에 관해 이야기해야 할 때는 언어적 대체수단을 사용한다. 죽음의 언어적 대체수단에는 그동안 주요 연구대상이었던 완곡어뿐만 아니라 위악어도 해당될 수 있는데, 특히 언어학에서 위악어는 완곡어와 대척점에 있는 주변적인 개념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문체층위와 언어사용 측면에서 보면 완곡어뿐만 아니라 위악어 역시 죽음이라는 추상적 대상에 대한 독립적인 대체수단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죽음 위악어와 완곡어를 모두 분석대상으로 삼아 한국어와 독일어에 나타난 죽음 완곡어와 위악어를 개념적 은유이론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에 토대를 둔 표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두 언어에 반영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인식 및 상이한 인지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죽음 완곡어와 위악어가 의사소통 상황에서 어떤 기능과 효과를 지니는지도 고찰하였다. Im vorliegenden Beitrag werden Euphemismen und Dysphemismen für Tod in bezug auf konzeptuellen Metaphern und Metonymie analysiert. Tod ist ein repräsentativer Tabubereich und ist besonders eng mit dem sprachlichen Tabu verbunden. Man spricht nicht direkt vom Tod, aber wenn nötig, benutzt man anderen sprachlichen Alternativen, d.h. Euphemismen und Dyphemismen. Diese beide Begriffe sind als sprachliche Substitutionsinstrumenten sind wertvoll als Gegenstand der Linguistik. Koreanisch und Deutsch haben gemeinsame konzeptuelle Metaphern, und zwar [Tod als Bewegung], [Tod als Schlafen], [Tod als Ende], [Tod als Verlust]. Aber unter den konkreten metaphorischen Ausdrücken gibt es Unterschiede zwischen dem Koreanischen und dem Deutschen, weil die konkreten Ausdrücken abhängig von der Kultur sind. Die konzeptuellen Metonymie können sich in [Teil als Ganzes] und [Ganzes als Teil] unterteilt werden. Die Euphemismen und Dysphemismen kommen sehr oft als [Ganzes als Teil] vor. Besonders Dyphemismen erscheinen mehr in der Metonymie als in der Metaphern. In diesem Beitrag wird außerdem analysiert, welche Funktionen und Effekte der Euphemismen und Dysphemismen auf den Tod haben. Deren Funktionen und Effekte sollen im Zusammenhang mit außersprachlichen Kontexten betrachtet werden.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과의 관계: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

        박미진 ( Park Mijin ),현안나 ( Hyun Anna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연계기술에 지역사회복지관 조직풍토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 자원연계기술, 성찰적 사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전수를 대상으로 이들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설문조사방법으로 실시하였고, 52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는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사들이 조직풍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원연계기술의 활용정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과의 관계에서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연계기술향상과 성찰적 사고의 실천적 방안들을 제언하고, 실천적 함의 및 추후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 resource linking skills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se relationship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we set up a research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resource linkage skills, and reflective thinking of social wor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mail surveys, and data from 526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workers` resource linkage skills. In other words, the more the social workers recognize positively about the organizational climate, the more the utilization of resource linkage skills increases. Second, reflective thinking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resource linkage skills of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ed resource linkage skills and reflective thinking of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suggest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실천 척도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박미진 ( Mijin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성찰적 실천 모형의 개념화와 관련한 요인구조를 파악하여 성찰적 실천척도의 타당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산지역 사회복지관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430명의 설문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209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2개의 하위요인 구조로 나타났다. 221명의 응답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요인구조의 구성타당도와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찰적 실천 척도와 성찰적 사고 척도와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성찰적 실천 척도의 활용에 대한 연구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scale by identifying the factor structure related to reflective practice in social work field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430 social workers who affiliated with community welfare centers registered with the Busan Regional Social Welfare Community Center Association were us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using the data of 209 respondent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wo sub factor structure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construct,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data of 221 people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flective practice scale and the reflective thinking scale. Through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n the use of the reflective practice scale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생성지향모델의 일치감과 노인 우울과의 관계

        박미진(Park, Mijin)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일치감이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혹은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조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88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이뤄졌고, 측정도구는 우울척도(CES-D), Antonovsky의 일치감척도, 사회재적응 평가척도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자료 분석은 t검증, 일원분산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치감은 교육정도가 높거나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는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일치감과의 부적관계를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나타났다. 따라서 일치감은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일치감은 상호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the sense of coh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88 elderly in Pusan and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CES-D scale, Orientation to Life Questionnaire,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This study utilized t-test, one way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e sense of coherence was significant the higher level of the education or economic status, group with spouse. Second, depression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tress when it was to the simple model without mediating factor. However, with the sense of coherence included in the models as mediating factor, the stress influenced the sense of coherence, and this influenced on the depress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nse of coherence in the relation to the stress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es and practices.

      • KCI등재

        실내·외 임시주거시설의 성능 가이드라인 도출에 관한 연구

        주재성,박지용,곽동화,박미진,Ju, Jaeseong,Park, Jiyong,Gwak, Donghwa,Park, Miji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3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performance guidelines for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o improve the residential habit of the victims caused by a disaster. Method: Performance items were set up by analyzing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prior study for eliciting performance guidelines and conducting field surveys of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and interviews of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eliciting relevant performance guidelines. Results: The performance of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in and out of the country was largely classified as techn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and each presented performance guidelines. The derived performance guidelines were generally similar, although some were similar due to indoor/outdoor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e performance guidelines present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residential habit of the victims are applied in practi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through feedback of results is requir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난재해로 인하여 발생한 이재민 거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내 실 외 임시주거시설의 성능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재난재해 대응체계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성능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위하여 임시주거시설 현장조사와 임시주거시설 이용자 인터뷰를 진행하여 성능 항목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살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성능은 크게 기술성, 환경성, 사회성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성능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도출된 성능 가이드라인은 실내/실외의 특성상 일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대체로 유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이재민 거주성 향상을 위하여 제시된 성능 가이드라인을 실질적으로 적용하여 개선을 진행하고, 결과의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 KCI등재

        고령친화형 공공주택 리모델링 계획에 관한 연구

        염태준 ( Yeom Taejun ),박미진 ( Park Mijin ),홍은기 ( Hong Eunk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처럼 60세 이상 노인들의 50% 이상은 공공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자 사고 중 61.5%가 주택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고령자 주거를 개선하기 위한 관련 기준들을 제안하고 있지만 고령자가 거주하는 공공주택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축물의 노후화와 초기 설계 단계에서 고령자의 신체적 여건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계획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공공주택은 규모가 작기 때문에 고령자 주택 기준의 적용에 어려움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주택의 고령친화형 리모델링 계획방향과 이를 적용한 계획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후화된 공공주택의 활용과 고령화사회의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고령자의 안전과 주거 불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국내의 고령자 주택 관련 기준의 비교분석을 통해 기준별 특징과 리모델링 시 적용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공공주택의 단위 공간 분석을 통해 국내의 고령자 주택 기준을 고려한 리모델링 계획방향을 도출하였으며 고령친화형 공공주택의 계획방향을 적용한 리모델링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전용면적 59m<sup>2</sup> 정도의 공공주택에서는 휠체어 활동공간 1,500mm×1,500mm 확보가 어려우므로 보행 보조기구의 활동공간으로 1,200mm×1,200mm 확보가 적절하였다. 둘째, 화장실 및 욕실은 2개를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실에서 접근하는 화장실에는 샤워 기능을 포함한다. 세면대 및 변기는 건식으로 설치하고 샤워부스는 방수가 뛰어난 홀딩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셋째, 1,200mm~1,500mm 유효면적 확보가 어려운 발코니는 인접한 실의 확장을 통해 부족한 실내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넷째, 높이조절 가구, 핸드레일, 미끄럼방지 마감재 등 기준에 제시된 안전대책 외에도 가구, 벽체 등 코너 보호대, 핸드레일 높이까지 푹신한 마감재 사용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다섯째, 단위 공간 계획에 있어 발생하는 데드스페이스는 활동공간 확보에 의해 부족해진 수납공간으로 계획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결론) 공공주택 리모델링 계획방향을 통해서 현재 거주하는 주택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단위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고령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고령자 가구의 주거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is expected to reach super-aged society by 2026. More than 50 percent of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0 live in housing. In particular, caution is needed as 61.5 percent of elderly accidents occur within homes. In response, related standards are proposed to improve housing for the elderly. In response, Elderly-friendly standards are proposed to improve housing for the elderly. However, in housing, where the elderly reside, they face a planned problem that, deterioration buildings and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elderly have not been taken into account at the initial design stage.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size of housing is small,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he housing standards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elderly-friendly remodeling of housing and a plan for its applica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solve the problems of the elderly' safety and housing inconveniences that have emerged as social problems in the aging society and the use of aging housing. (Metho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riteria related to housing for the elderly in Korea,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ndard and problems with its application in remodeling.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the unit-space of housing, the plan for remodeling was derived considering the standard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applied to the planning direction of elderly-friendly housing was propo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difficult to secure 1,500mm×1,500mm of wheelchair activity space in housing with a exclusive area of housing 59m<sup>2</sup>. Therefore, 1,200mm×1,200mm was secured as an active space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second, It is desirable to plan two bathrooms and approaching from the living room includes showering. It is appropriate to install a dry process washbasin and toilet and a well-waterproof holding door for shower booths. third, Balcony, which is difficult to secure an effective area of 1,200mm to 1,500mm, is advised to secure insufficient interior space through the expansion. fourth, Safety measures are installed as specified by the criteria, such as height-controlled furniture, handrail and slip-resistant finishing materials. It is appropriate to secure safety through the use of soft finish materials up to the height of handrail. fifth, For unit-space planning, it is appropriate to plan dead space as a storage space that is insufficient due to the securing of activity space. (Conclusions) A plan for remodeling of housing was applied to the unit-space that is continuously habitable in the current dwelling. This is expect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for the elderly and improve housing welfare.

      • < 전시-P-79 > 국내 주요 침엽수재의 terpene 방산특성

        김재우 ( Jaewoo Kim ),박미진 ( Mijin Park ),양지윤 ( Jiyoon Yang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최근 목재에서 방산되는 향기성분인 정유의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나무의 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생성이 되고 방산이 되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항균활성 및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목재가 실내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목재에서 방산되는 terpene의 농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시시료로는 소나무, 잣나무, 편백, 일본잎갈나무로 산림조합중앙회 중부 목재유통센터에서 원목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저온건조한 후 크기는 가로, 세로, 두께는 각각 160, 160, 12mm로 제재하여 사용하였다. 판재를 실내 환경에 노출시킨 후 2주 간격으로 tedlar bag에 넣어 밀봉한 후 산소를 주입하고 6시간 후 공기흡입펌프(Sibata Σ100)를 사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포집하였다. 포집된 시료는 TD-GC/MS(Agilent 7890, Agilent 597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1년 동안 terpene 방산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1년간 평균 방산량의 경우 소나무에서 2.08ng/L/㎠, 잣나무에서 1.05ng/L/㎠, 편백에서 0.79ng/L/㎠, 일본잎갈나무에서 0.67ng/L/㎠으로 방산되었으며, 1년 동안 목재에서 방산되는 물질의 평균농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소나무, 잣나무, 편백, 일본잎갈나무 순으로 방산량이 높았다. 1년 경과된 판재의 경우 휘발성물질의 농도는 초기대비 소나무는 78.56%로 잣나무는 70.34%로 편백은 88.18%로 일본잎갈나무는 88.06%로 감소하였다. 1년간의 측정 기간 동안 판재에서 방산되는 주요물질로는 소나무와 잣나무의 경우 Alpha-pinene, N-carproaldehyde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편백, 일본잎갈나무에서는 Ocimene, limonene이 검출되었다. 4개 수종에서 공통적으로 Alpha-pinene이 많이 방산되며 주요물질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내환경에 노출시킨 건조된 목재에서도 농도는 감소하지만 1년 이상 terpene물질이 지속적으로 방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