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의 적용

        박경영(Kyoung-Yo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라쉬분석을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SchoolFunction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척도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국내 사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및 경기, 충청 지역의 만 7세~12세(초등학교 1학년~6학년)인 98명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보호자 및 담임·특수교사 또는 작업치료사와 직접 면담 또는 전화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라쉬분석을 통하여 단일차원모형(unidimensionality)에 대한 적합통계치(fitstatistics)를 제시하였다. 또한, 라쉬분석의 평정척도모형(ratingscalemodel)을 이용하여 평정척도의 적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라쉬분석 결과각 25개 하위척도 내 총 328개 항목 중 단일모형 적합통계치가 부적합한 항목은 PartII 과제지원 영역에서 총 4개였고, PartIII 신체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8개, 인지/행동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모든 평가 하위영역의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평정척도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부적합 항목이 발견되어 앞으로 국내 타당도 확립과 준거제시를 위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lidation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SFA) for Korean Version using Rasch analysi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98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oul, Kyoung-Ki, Chung-cheung.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Rasch analysis to investigate unidimensionality and rating scale model. The 4 items out of SFA Part II were found to be misfts. The 18 items out of physical tasks, the 14 items out of cognitive/behavioral tasks in Part III were found to be misfit. All rating scale in SFA was appropriat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validity and criterion cut-off score for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농촌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솔비 ( Sol-bi Park ),박경영 ( Kyoung-young Park ),김현준 ( Hyeon-june Kim ) 대한통합의학회 2021 대한통합의학회지 Vol.9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unctional disability for the elderly in rural Korea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or 76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rural area and above 65 years. We assessed cognitive function, functional disability, depression using LACLS, WHODAS 2.0, SGDS-K.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pearman’s correlation among LACLS, SGDS-K, WHODAS 2.0, age, educational level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find influencing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WHODAS 2.0 total score was 50.59, summary score was 9.94 and functional disability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is in the 70th percentile. The highest level of disability occurred in areas related to ‘life activities (household)’,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the lowest level of disability occured in areas of ‘self-care’, ‘getting along with people’. Functional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r=.398), cognitive function (r=-.547), depression (r=-.563) but not educational levels (r=-.215). Finally, we confirmed that depression (β=.371), cognitive function (β=-.263), widowed status (β=.303), age (β=.272), non-participation of community program (β=.165) was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52.80 %.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important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these factors when we developed program related to health for the elderly (aged > 65 years) in rural Korea. Further, we need to standardize WHODAS 2.0 in order to enhance its applicability in clinical practices.

      • 복지용구의 사용 만족도와 필요도에 관한 연구

        박경영 ( Kyoung Young Park ),김민선 ( Min Seon Ki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0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노인들의 복지용구 사용현황과 사용에 관한 만족도, 필요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2002년 미국작업치료협회(AOTA)의 작업치료 영역과 시행체계 (OT framework: domain and process)에서 정의한 기본적 일상생활활동(ADL)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의 분류영역에 따라 42개의 복지용구를 선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009년 9월 3일부터 9월 20일까지 강원권 영동 북부지역에 거주하시는 65세 이상 노인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 용구와 사용에 대한 만족도, 그 외에 필요로 하는 복지용구에 대한 필요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로 설문 응답자 111명 중 복지용구를 사용하는 노인은 80.2%로 나타났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용구에 대한 만족도는 66.7%, 지금 사용하는 복지용구 외에 다른 복지용구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78.4%로 나타났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복지용구는 틀니(39.6%), 확대경(36.0%), 허리보호대(16.2%), 지팡이(14.4%) 순으로 나타났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는 손목혈압계가 6.3%로 높게 나타났다. 노인들이 필요로 하는 일상생활활동별 복지용구는 건강관리를 위한 손목혈압계 (24.3%)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안전손잡이와 확대경(18.9%), 미끄럼방지매트, 실버카, 허리보호대, 돋보기 발톱깎이(17.1%) 순으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65세 이상 노인 분들은 현재 복지용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사용하는 것 외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복지용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주로 안전, 건강관리, 식사, 이동성과 연관된 것이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the need of assistive devices in everyday life of the elderly. Method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111 subjects over 65 years old that live in northern Yeongdong area of Gangwon-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2 items selected in ADL/IADL areas of Occupational Therapy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OTA, 2002) and we investigate whether they have used assistive devices, satisfied and needed assistive devices. Results: 80.2% of the subjects used assistive devices and 66.7% of an assistive devices user was satisfied. But 78.4% of them need another assistive devices in addition to current assistive devices. The most used assistive devices for ADL was denture(39.6%) followed by magnifier(36.0%), back supports(16.2%), and cane(14.4%). For IAD, sphygmomanometer was 6.3%. The most needed assistive devices were sphygmomanometer(24.3%) for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Safety grip and magnifier(18.9%), non-slip mat, silver car, back supports, and toe-nail scissors with magnifier(17.1%) in daily life were needed.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most of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have used or are using assistive devices, but they need another assistive devices for safety, health management, personal device for poor physical condition and mobility.

      • KCI등재

        65세 이상 노인의 참여활동수준과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박경영,신수정,Park, Kyoung-Young,Shin, Su-Jung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들의 참여활동수준과 ICF에 기반한 기능장애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ACS)와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척도 2.0(WHODAS 2.0)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여활동수준에 대한 조사결과, 도구적 일상생활 영역이 75.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WHODAS 2.0 하위영역 중 사람들과 어울리기, 사회참여 영역에 어려움이 가장 많았고, 자기관리와 일상생활활동에서의 어려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참여활동 보유율과 기능장애에 대한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사회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의 참여활동수준, 직업상태(은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참여활동수준이 기능장애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표준화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and functional disability based on ICF for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Subjects were 100 senior citizens. We performed data collection using Korean Activity Card Sorting(KAC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WHODAS 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activity participation levels, retained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of instrumental activity was highest at 75.06%. Among the WHODAS 2.0 sub-domain, 'getting along with people', 'participation in society' had the most difficulties and 'self-care', 'life activities' were the lowest.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y retention rate and functional disabilit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functional disability wer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of social activity, instrumental activity and main work(retirement). We confirmed that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was important factor on functional disability. Further, we need standardization study for generalization.

      • KCI등재후보

        민영교도소 수형자의 수형생활만족도 조사

        유영재(Yoo, Young Jae),박경영(Park, Kyoung You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14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첫 민영교도소가 개소된 지 만 3년이 지난 현재 민영교도소 운영 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형자들의 수형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고 국영교도소와의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유일한 민영교도소인 소망교도소에서 복역 중인 수형자25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형생활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형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생활공간 및 제반시설에 대한 만족도, 교도소 내 활동 및 외부교류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이를 국영교도소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형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종교생활, 의복, 식생활, 교도관의 태도, 다른 수형자와의 관계, 다른 수형자와의 공동생활, 생활공간 및 시설 전반, 공동시설, 생활공간의 넓이 및 위생, 접견실 및 민원관련 시설, 강당 및 운동장, 냉·난방 시설, 운동 시간 및 종류, 교화활동 전반에서 현재 수형생활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교육 및 직업훈련 시설과 의무와 진료에 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영교도소와 국영교도소 간의 수형생활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대부분의 영역에 있어서 민영교도소와 국영교도소 간에 만족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그러나 교육 및 직업훈련 시설, 교도작업, 외부교통권, 귀휴 허가에 대해서는 민영교도소와 국영교도소 간에 만족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의무와 진료에 대해서는 유일하게 국영교도소와 비교했을 때 더 불만족하고 있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외부 의료기관 또는 지역보건소와의 연계를 통하여 의무적인 정기검진 및 진료서비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교정교화 및 교육에 따른 적절한 제반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This study, in an effort to examine the operation condition of a private prison as of the present after 3 years since the nation's first prison opened, looked into inmates' prison life satisfaction and compared it with satisfaction with a state-operated prison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got 259 inmates, who were serving their time in Somang Correctional Institution which is the nation's only private prison,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survey pris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urveyed results with a state-operated prison by measuring satisfaction with general prison life, satisfaction with living space and general facilities, and satisfaction with in-prison activity & external exchang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urveyed was satisfied with the present prison life in general, such as religious life, clothing, food, a prison officer's attitude, relations with other inmates, communal life with other inmates, living space & general facilities, common facilities, living space area & hygiene, reception room, facility related to civil complaints, auditorium & playground, cooling & heating facility, exercise hours & sorts, and reformation activity in general, but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 for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dispensary service and treatment was found to be low. In the result of comparison of priso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private prison and a state-operated prison,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the private prison and a state-operated prison. However, with regard to a facility for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correction work, outside traffic right, temporary release permission, there wasn't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the private prison and a state-operated prison. Nevertheless, the surveyed were found to be more unsatisfied with dispensary service and medical treatment only as compared with a state-operated prison. Accordingly, there is the need to expand obligatory regular checkup and medical treatment service in tandem with various outside medical institutions or district health offices, and also to expand proper general facilities consequent on correction and edification & education.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 범죄자를 위한 재활 중재접근법의 이론적 고찰

        유영재(Yoo, Young-Jae),박경영(Park, Kyoung-You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6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4

        현대사회는 여러 다양한 문제로 사회적 적응이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여러 가지 정신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신장애자의 범죄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치료감호제도를 시행하여 정신장애 범죄자를 치료 및 보호하고 그들의 사회복귀와 자립을 돕고 있다. 이러한 제도시행과 더불어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재활 분야는 점차 확대 되어 가고 있긴 하나 정신장애 범죄자들의 치료중재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범죄자들의 재활 중재접근법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해보고 그 중 가장 적합한 이론모 델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치료감호에 대한 현 시점의 치료적 접근법들은 정신병리학적 패러다 임을 기반으로 한 중재접근, RNR 모델과 이를 근거로 한 R&R2M 프로그램과 사고기술 강화프로그램, 장점 기반 접근법인 GLM-F, Tidal model 등이 있다. 이 중 정신장애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중재법은 정신병리학적 패러다임과 RNR 모델이나 이론적 접근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치료 및 재활 접근법 효과성에 관련된 국내 문헌은 거의 전무하였다. 또한, 이 두 중재 접근법은 서로 다른 관점으로 임상현장에서 상충되고 있으며, 통합적 용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장점 기반 접근법 중 Good Lives Model(GLM)이 있다. 이 모델은 기존의 중재접근법과 달리 범죄를 넘어서 “좋은 삶”을 성취하고 개인의 목표와 장점을 고려함으로써 재범에 대한 위험을 관리하고 동시에 범죄자의 개인적 목표를 성취하고자 한다. 아직 부족하긴 하나 국내 연구들 중 GLM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통해 GLM은 범죄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으로 전환할 수 있는 좋은 삶의 순환고리를 만들 수 있는 중재접근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정신장애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접근법으로 GLM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GLM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성 검증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In modern society, because of various complex problems it is difficult to adapt socially. So, many people have mental illness, simultaneously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commit a crime. The crime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have been repeated, the media has emphasized awareness and countermeasure of these problems. Currently, the nation have forensic mental health system as security measure instead of punishment for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The purpose of cure-custody system is to return to their community and treat psychiatric symptoms of MDOs and to protect community from violence of MDOs. Until recently, fields of forensic rehabilitation with MDOs has been expanded but there is a paucity of literature on theoretical basis for MDOs Therefore, We reviewed literatures on intervention approaches with MDOs. We identitified that there are three broad approaches to forensic rehabilitation; treatments targeting mental illness and other psychological issues, R&R2M program and enhanced thinking skills program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Risk-Need-Responsivity(RNR) model and GLM-FM, Tidal model based on strength-based intervention. But despite of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there are little literatures on efficacy of intervention with MDOs. Also, there is lack of theoretical background on psychophathological paradigm and RNR model Recently, there is emphasis on GLM model of strength-based approach but little research applying GLM model for MDOs except sex offenders and adolescent under probation. Therefore, Further study will have to establish theoretical model for MDOs and need to investigate efficacy of programs based on each intervention approach.

      • 독거노인을 위한 관계형성 집단활동프로그램

        수현 ( Su Hyun Park ),박경영 ( Kyoung Young Park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4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심리 예술분야의 집단프로그램을 알아보고 작업치료의 관점에서 의미있고 목적지향적인 활동 수행과 함께 심리사회적 지지망을 형성해 가는 Mosey의 심리사회이론을 근거로 한 관계형성 집단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 예술활동 프로그램 및 사회성에 관한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 선행연구들의 대부분은 음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와 같은 집단활동 프로그램이었고, 이 프로그램을 통해 독거노인의 우울감 감소, 자아존중감 증진 등의 효과가 검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성과 관련해서 게스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 체계망 치료에 관한 연구들이 존재하나 작업치료 관점에서 집단의 관계형성을 위한 Mosey의 이론이 유용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결론 : Mosey의 이론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관계형성 프로그램이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group activities programs for living-alone elderly and to suggest Mosey’s approach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 Methods : We investigated literatures about Group activities programs(ex, Music therapy, Art therapy, Horticultural therapy) and social support or networks for living-alone elderly. Results : In mostly preceding research, Group activities programs was effective for depression, self- esteem, social integration. But Except Gestalt relations program and social network therapy, liateratures of social support or interpersonal relations was insufficient. In future, Mosey’s approach is need to use for living-alone elderly because Mosey theory can apply in order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nclusion : Mosey’s approach is useful program of interpersonal relations for social network of living- alone elderly.

      • KCI등재

        지역사회 치매노인 대상 스토리텔링기반 인지재활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권규준(Kyu-Joon Kwon),박경영(Kyoung-Young Park),수현(Su-Hyun Park),이윤희(Yun-Hee Lee) 김정란(Jeong-Lan Kim)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1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based on storytelling for people with dementia at hom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use and distribution of programs within the community. The study was conducted by face-to-face interview at home on 33 people with dementia from June 2020 to October 2021, once a day for 60 min,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6 week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balance funct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storytelling revealed that cognitive function (p<.001) and quality of life (p<.05) significantly improved, whereas depression (p<.001) significantly deteriorated. In conclusion,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storytelling is a medium that promotes voluntary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ementia and is effective in maintaining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y life of people with dementia at home by inducing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collaborator and participants.

      • KCI등재

        감각조절장애 아동을 위한 가정 프로그램의 효과

        이성아,김지연,조은희,박경영,Lee, Sung-A,Kim, Ji-Youn,Cho, Eun-Hee,Park, Kyoung-Young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3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 No.1

        Objective :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f home-based outcomes in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simple case study. The subjects were three children diagnosed as developmentally delayed who 14 month and 26 month males and a 15 month female. After initial evaluation, parents were educated on sensory diet and Wilbarger protocol method for 30 minutes twice for home-based treatment and asked to make out daily treatment planning. To measure improvement of children, we used for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Results : After the home-based program, the scored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were higher rather than initial evaluation after the home-based program. Conclusion : The home-based program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but parents had to be educated by therapist specific evaluation and treatment in sensory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