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소형 살포기의 살포량 측정에 따른 성능 분석

        민병로,홍준택,이대원,김재열,Min, Byeong Ro,Hong, Jun Taek,Lee, Dae Weon,Kim, Jea Youl 한국축산환경학회 2013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is to promote domestic environmentally appropriately conditions for the range 60~70 m, the developmen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sprayer ability measurement that can be used as a general-purpose paddy fields, orchards, and not consolidated areas. The sprayer designed and manufactured that can spraying effectively distance to within 60~70 m. Distribution of sprayed pesticid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by measuring the weight. Performance analysed using the buckets were placed horizontally 12.5 m, 70 m vertical intervals by $5m{\times}2.5m$, so total 68 buckets were placed. Total amounts of sprayed quantity was $2,000{\ell}$ and maximum spray distance was about 70 m. Reasonably sprayed region was 5 m~10 m vertically symmetrical. Showed a lot of spraying water in 5 m~40 m distance, and in 45~60 m tended to spraying water decreased slightly. Maximum spraying distance was 70 m.

      •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민병로,서광욱,최희철,이대원,Min, B.R.,Seo, K.W.,Choi, H.C.,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시의 젖소 50두 이상사육농가 4,198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두 이상 전업농가에서 344,514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50~99마리 사육규모가 78.9%로 대부분이었고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82.1두 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년 9월로타 축종에 비하여 노후한 편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740.0\;m^2$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후리스톨 5.1%, 계류식+톱밥 운동장 17.3%, 기타 4.4%이었다.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소규모 농가에서 톱밥우사가 많은 반면, 대규모 농가에서는 후리스톨이 10.9%로서 소규모 농가의 후리스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착유시설은 파이프라인 41.5%, 헤링본 22.8%, 탠덤 35.8% 이었으나 50~99두의 소규모 농가는 파이프라인이 48.0%로 많은 반면, 200두 이상에서는 헤링본 38.3%, 탠던 48.9%로 착유실 착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사 바닥은 깔짚이 94.9%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대규모 농가에서는 스크레파가 13.1%로 소규모 농가의 6.4%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유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5%, 비닐 16.3%, 썬라이트 11.1%, 판넬 10.9, 함석 8.8, 강판 8.3%로 조사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995년 이후 비닐지붕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농가에서도 비닐지붕이 23.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많았다. 우사 외벽 재질은 개방식이 83.3%이며 윈치커튼이 26.8%로 대부분 개병형 우사 이었다. 젖소 사육시설의 사용년수는 착유기 9.2년, 사료자동급이기 7.9년, 급수기 9.2년, 전기시설 10.4년으로 최근 사료자동급이기의 시설개선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research dairy cattle barn facilities what are 4,198 houses hold over 50 heads were surveyed by scale and province. Full-time farms hold over 50 heads breed total 344,514 heads. Each of Farms holds 50 to 99 heads were 79.8 percent and breed average 82.1 heads. Dairy cattle barns were constructed september 1995 averagely. Each of barns have $1,740.0\;m^2$ scale.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ring+li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he litter barn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But in large farms, freestyle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hng+l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ype of dairy cattle robotic milking system was pipeline 41.5%, herringbone 22.8% and tandem 35.8%. The pipeline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which have 50~99 heads. But in large farms which have over 200 heads, tandem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Proportion of floor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type 94.9%. Scraper type was popular in large farms than in small farms. Proportion of roof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slate 32.5%, vinyl 16.3%, sunlight 11.1%, panel 10.9, zinc plate 8.8 and steel plate 8.3%. Roof type was lots of slate type before 1995. But vinyl type is increasing after 1995. Proportion of wall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open type 83.3% and winch-curtain 26.8%. Utilization period of dairy cattle barn was 9.2 years about milker, 7.9 years about automatic feeder, 9.2 years about waterer and 10.4 years about electric facilities. In this results, there were lots of improvements about automatic feeder.

      • 영상처리를 이용한 광역방제기 팬의 성능실험

        민병로,김동우,서광욱,홍준택,김웅,최준홍,이대원,Min, B.R.,Kim, D.W.,Seo, K.W.,Hong, J.T.,Kim, W.,Choi, J.H.,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8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본 마루야마에서 재발된 방제기의 최대 살포 거리가 120 m 이기 때문에 140 m 이상 살포할 수 있는 방제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넓은 지역에 살포가 가능한 광역방제기 팬의 성능에 대하여 현장실험을 하여 얻은 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분석한 후 현장에 보급하는 것이다. 살포된 색소의 분포도는 육안에 의한 분석을 할 수도 있지만 정확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이치화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방제기 팬은 최고 살포거리가 140 m이고 유효 살포거리가 100 m가 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실험은 10 m 간격으로 지상에서 1 m 위치에 A4 용지를 부착한 후 용지에 흡착한 용액을 2치화 영상처리를 하여 살포량 및 살포거리를 측정하였다. 용지를 수거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이치화 하였다. 그레이레벨은 0에서 255로 나타냈다. 흑색은 0, 백색은 255로 이치화 하였다. 10 m의 경우는 용지에 방제액의 살포량이 많아서 떨어졌고, 30 m 부분은 색소가 흘러내려 흑색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20{\sim}100m$까지 그레이레벨이 200 이하로 방제가 균등하게 이루어졌으며, 180 m까지 살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하여 축산농가의 구제역 등 방제작업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test and analyze capacity of the long distance sprayer fan in large livestock farmhouses. Long distance sprayer was manufactured to be able to spray a lot of water, which was a solvent for agricultural chemicals and black dye with the maximum spraying distance of 140 m and the effective spraying distance of 100 m. The spraying quantity and the distance were measured the intensity values of images within A4 papers, which absorbed the agricultural chemicals by spraying by binary image processing. These A4 papers were fixed upon the height of 1 m from soil ground at regular 10 m interval. After the A4 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tensity values of gray level. Gray level was ranged from 0 to 255, where 0 was black and 255 was white. A4 paper was fallen down from the stick at 10 m distance, because there were too large amount of sprayed water with black dye. Also, the paper showed low gray level at distance 30 m because of dropping lots of black water. The intensity value of gray level was showed almost less than 200 on the A4 papers between the distance 20 m and 100 m, which meant equality of spraying quantity. Additionally, it was possible to spay agricultural chemicals of until 180 m. Throughout this research, long distance sprayer could apply for preventing hoof-and-mouth disease in large livestock farmhouses.

      • KCI우수등재

        인간의 존엄과 미출생 생명의 헌법상 지위

        민병로(Min Byung-Ro, 閔炳老) 한국공법학회 2007 공법연구 Vol.35 No.3

        본고에서는 최근의 생명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헌법학이 직면하고 있는 미출생 생명의 헌법상의 지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즉 미출생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수정란의 생성 및 잔여배아(embryo)의 폐기, 태아(fetus), 체세포배아복제 등의 문제에 대해 생명의 시기를 언제로 볼 것인가? 또한 생명권과 인간의 존엄을 결합하여 볼 것인가, 아니면 분리하여 볼 것인가 등의 헌법적 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기존의 독일의 통설과 판례는 듀리히(D?rig)의 객체공식(Objekt formel)에 근거해서 미출생 생명에 대해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을 결합시켜 고찰함으로써 생명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헌법상의 문제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하지 못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온 튜리(M. Tooly)의 Person론이나 엔겔하트(H. Engelhardt)의 수정된 Person론도 자기의식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못한 태아나 중증장애인 등에 대해서 인격이라 할 수 없게 되어, 헌법상의 인간 존엄성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논리적 귀결에 이르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독일의 최근의 학설처럼 미출생 생명의 헌법상의 지위는 인간의 존엄과 분리시켜서 생명권으로부터의 파악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만, 필자는 생명을 ‘생물학적 의미의 생명’과 ‘인격적 의미의 생명’으로 구분하고, ‘인격적 의미의 생명’의 시기에 대해서는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여 원시선이 나타나는 14일 전후가 아니라, 개체의 자기동일성 즉 인격이 형성되는 뇌생 이후의 시기로 보아야 한다는 점과, 뇌생 이전의 ‘생물학적 의미의 생명’은 장래 세대의 보호를 위해 객관법적 보호대상이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templates current issues on unborn life’s position in constitutional law which has bee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There is especially an argument on which period we should consider the beginning of life and whether we should provide human embryos with human dignity and right to life altogether, or with them separately. In Germany, the common view and the judicial precedents for unborn life have accepted D?rig's Objekt formel that considers human dignity and right of life altogether. However, D?rig's view on unborn lives does not seem to account for the constitutional problem of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lthough Tooly's Theory of Person and Engelhardt's revision of the Theory of Person attempt to overcome the constitutional problem due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their view concludes that fetus or seriously-handicapped person without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interaction is not the subject of human dignity in the constitution. That view is personally unacceptable. An acceptable view from H. Dreier argues that unborn life should only be considered their right to life, separating it from human dignity in the constitution. However, even though H. Dreier's overall view is acceptable, his view of the beginning of life from about fourteen days differs from my personal point of view that the beginning of life should be accounted for the period of brain formation in about twelve weeks.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issue.

      • 축산 농가용 광역방제기 팬의 성능실험 및 분석

        홍준택,민병로,김동우,서광욱,김웅,이승기,김성엽,이대원,Hong, J.T.,Min, B.R.,Kim, D.W.,Seo, K.W.,Kim, W.,Lee, S.K.,Kim, S.Y.,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축산 농가에 적용할 광역방제기를 개발하는데 있어 선행되어야 할 팬의 성능을 실험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방제기 팬은 최고 살포거리가 140m이고 유효 살포거리가 100 m가 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따라서, 멀리 살포될 수 있도록 설계된 팬의 풍량은 $3,600\;m^3/min$, 정압은 100 mmAq로 하였다. 이러한 팬의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덕트를 이용한 풍동실험장치를 구성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풍량 $600\;m^3/min$, 전압 500 mmAq을 요하는 팬을 이용하여 기초 실험으로 수행하였다. 덕트 끝단에 설치된 스로틀 밸브를 통하여 풍량을 조절하며, 송풍출구와 정류격자 사이에 설치된 피토관을 이용하여 전압과 정압을 측정하였다. 풍량은 5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풍량에서 덕트 단면 내의 10개 지점에서 피토관 측정을 하였다. 이렇게 풍동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를 예측된 결과와 비교하여 방제기 팬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풍량에 따른 축동력은 예측한 성능곡선과 비교하였을 때 실험 팬의 최적설계사양과 같은 최소의 오차가 났으며, 동력 효율이 최대로 나타났다. 소음측정 결과는 92.1 dB로 나타나 환경기준인 85 dB에는 미달되지만 밀폐된 실험장소를 감안한다면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test and analyse the capability of a fan for development of a sprayer in actual livestock farm. A fan was designed and made to be able to spray agricultural chemicals within 140mm in a maximum scattering range and 100m in an effective scattering range. Accordingly, its' flow rate was $3,600\;m^3/min$, and static pressure was 100 mmAq for a wide area sprayer to be sprayed widely and far. Fan performance, which was given $600\;m^3/min$ flow rate and 500 mmAq total pressure, was tested fur basic experiment. As the result, the axial power showed minimum error, which be designed to keep the fan performance. And power efficiency was the maximum. Sound level was 92.1dB that wasn't enough to environmental standard. If we take the sealed place into consideration, sound level is suitable for environmental standard.

      • 축산 돈사에서 온실가스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

        감동환,박규현,최동윤,정만순,민병로,이대원,김진경,Kam, D.H.,Park, K.H.,Choi, D.Y.,Jung, M.S.,Min, B.R.,Lee, D.W.,Kim, J.K.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3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해 IPCC 온실가스 인벤토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축산분야 온실가스인 $CH_4$, $N_2O$가스의 배출량을 평가하고 배출계수를 산출하여 국가 Database 확보 및 측정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돈사 슬러리 피트에 샘플링 챔버를 설치 운영하기 위해 돈분뇨위에 띄울 수 있는 반구형태의 플로팅 챔버(Open chamber method or flow-through steady-state)를 고안 제작하였다. Open chamber method의 특성상 외부의 공기를 일정한 제어를 통해 챔버내로 유입시켜 돈사 슬러리에서 발생된 가스를 희석하고 정상상태의 최적조건에서 발생된 가스의 일정량을 제어하여 포집하는 장치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돈분뇨 슬러리에서 온실가스 발생 특성상 돈사 내부에 위치에 따라 10개의 챔버를 투입하여 Data의 신뢰성을 갖출 수 있게 하였다. 유입유량을 $5{\sim}9{\ell}/min$, 포집유량을 $1{\ell}/min$으로 변경하면서 포집된 가스를 GC/ECD를 통해 분석하였고 챔버로 유입되는 공기가 슬러리 표면을 직접 접촉하지 않는 방법으로 기구를 구성하고 잉여 공급공기는 챔버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으로 최적조건의 정상상태 온실가스를 샘플링 할 수 있었다. 포집 가스를 GC/ECD 분석결과 $N_2O$ 가스의 배출형태는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에 포함된 $N_2O$ 농도와 돈사 10곳의 샘플링 가스 시료의 농도를 볼 때 오차 범위 안의 농도로 슬러리 돈사내 분뇨에서는 $N_2O$의 발생은 없다고 판단된다. $CH_4$ 가스 발생량은 $0.15{\sim}1.02mg/m^2{\cdot}s$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measurement procedure and to build up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database of animal agricultural sector by assessing methane and nitrous oxide emissions according to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Ten house-made steady-state Half dome floating chambers were used to collect air samples emitted from slurry stored in the pit under the slat. Those chambers were spread out in order that air samples might represent the whole area of slurry under the slat. Fresh air was pumped into the chambers by $5{\sim}9{\ell}/min$ and air inside the chambers was sampled by $1{\ell}/min$. Surplus air by the higher flow rate of fresh air than sampling flow rate was passed through a hole on the top of chambers. Nitrous oxide fluxes measured from 10 locations would be negligible as concentrations between background air and sampled air from the chambers were within the error range. However, mean $CH_4$ fluxes were $0.15{\sim}1.02mg/m^2{\cdot}s$. The application of continuous greenhouse gas measurement techniques would be preferred if the pattern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onsidered.

      • KCI등재

        과수 및 가로수 병해충 방제를 위한 중소형 살포기의 성능실험 및 영상처리를 이용한 분석

        민병로(Byeong-Ro Min),최진호(Jin-Ho Choi),이규승(Kyou-Seung Lee),김웅(Woong Kim),이대원(Dae-Weo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방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과수 농가 및 가로수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살포거리가 60m까지 살포할 수 있는 실포기를 개발하고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성능실험 및 분석을 히는 것이다. 중소형 살포기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살포기의 이동거리는 5m 간격으로 0~20m까지 5개의 실험구를 두었고 살포거리는 10~60m까지 6개의 실험구 총30개의 실험구에 대한 영상 처리한 결과 다음과 겉은 결과를 얻었다. 중소형 살포기가 이동하면서 흡수지에 살포한 데이터를 이치화 시킨 후 평균한 경우 전 구간에서 살포가 잘 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살포기가 정지하면서 살포량이 낮게 나타났다. 중소형 살포기가 0.3m/s로 이동하면서 살포 한 경우 15m 이동한 경우 살포기에서 30m 떨어진 용지에 이치화 값이 121로 가장 살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동거리별 이치화 비율은 중소형 살포기가 출발하면서 살포한 경우가 살포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치화 결과에 의해 전구간에서 일정한 분포율을 나타냈다. 높게 나온 구간은 방제기가 출발한 점에서는 20m에서 50.23%, 방제기가 5m이동한 20m구간에서 50.21%, 10m 이동한 경우는 30m 구간에서 51.17, 15m 이동한 경우는 30m 구간에서 52.64%, 방제기가 정지하면서 살포한 경우는 20m의 구간에서 51.84%로 높게 나타났다. 이동거리별 검정색 비율은 방제기로부터 40m까지의 거리까지 살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제기가 15m 이동한 경우 60m의 구간에서 6.79%로 기장 낮게 나타났다. The small and medium sprayer has developed to spray well fruit trees and roadside trees with pesticides for pests control within 60 met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using image processing. While it sprayed with pesticides on the area of 20m in width and 60m in length, it was experimented 5 places by 5m from 0 to 25m width and 6 places by 10m from 10 to 60m length. The experimental image data of each sheet on places were averaged after binariz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mage data, it was sprayed on all working area. However, when sprayer moved 0.3m/s velocity, the place at 15m of width and 30m of length was sprayed more than any other sprayed area, but the place at 15m of width and 60m of length was sprayed less.

      • KCI등재

        시민사회단체의 현황과 제도적 개선방향 :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설문조사와 관련하여

        민병로(Min, Byung-Ro)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논총 Vol.27 No.2

        Until recently, South Korea had the similar legal regulation over NGOs to Japanese. Namely, under the previous legal system, NGOs in South Korea had to establish an Incorporated Association or an Incorporated Foundation under the Civil Law, or to establish a special legal entity under Special Acts, to get an artificial person. But, due to the strict position for permission of an artificial person, most of small NGOs fell into “organizations without legal entity” against their will. To solve this problem, Japan made an NPO Act in 1998, which contains a special clause to grant many NGOs an artificial person. Furthermore, one of the three administration reformations in Japan enacted a “law on the new system of public legal entity” to re-establish the system of the pubic legal entity in 2006. South Korea also enacted a “law for supporting NGOs” in 2000. But, this law does not include an article to grant NGOs an artificial person.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issues of NGOs in South Korea from the institutional standpoint, based on the survey of NGOs in Gwangju city.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fundamental reformation of regulation system over NGOs and tax reductions to NGOs is necessary to support NGO’s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일본의 사법제도 개혁의 현황과 과제

        민병로(Min Byung-Ro) 한국공법학회 2005 공법연구 Vol.34 No.2

        In Japan, after the Meiji Restoration and the postwar reform, the third reform was planned under the ideas of neo-liberalism in the 1980s and genuinely proceeded since the 1990s. This reform was based upon political reform, administrative reform, promotion of de-centralization and de-regul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form, the main task was the reform of judicial system. On July 1999, the Judicial Reform Council (JRC) was established in the Cabinet, which held deliberation meetings for sixty-three times. The JRC drew up a statement based upon the result of deliberation that was delivered to the Cabinet on June 2001. According to the statement, the reform of judicial system should be based upon plans of economic structure reform, such a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eform, promotion of de-centralization and de-regulation, and these should be combined with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The main task of the judicial system reform will therefore be the re-construction of the country's shape. According to the JRC, the fundamental task of the judicial system reform should be based upon how the spirit of law and the rule of law achieve the law of nation flesh and blood of the country and its shape. Moreover, the reform should also find out what needs to achieve the individual' right and the people's sovereignty. In order to materialize the fundamental task of the judicial system reform, the JRC indicates three main criteria, such as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base, the amplification of human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 base. The embodiment of the reform has been conducted to the introduction of Law School and Citizen Judg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Judicial Support Center, the revision of Administrative Case Litigation Law, the found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High Court, the adoption of Labor Umpire System.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reform of judicial system in Japan, and to examine its outcome in order to have some suggestion for the reform of judicial syste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