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지평—『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전망에 부쳐—

        이상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논문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지령 100호를 맞아 이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어 연구가 어떤 경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한국어학 관련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연구의 역사적 변천을 살핀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어학 연구의 결실을 바탕으로 향후 『민족문화연구』의 미래를 위해 새롭게 모색해야 할 과제와 전망에 대해 ‘한국학 연구의 발자취와 새로운 방향 모색’이라는 주제로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우선 논의의 전제로 ‘민족문화’와 ‘민족어’로서 한국어의 위상 문제를 간략하게 다루었다. 또한 본론에서는 한국학, 한국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성과를 시대별로 조망하였다. 1970년대 이전부터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그리고 201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어학적 성과를 전통적인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시대별로 두드러진 어학적 성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시대적 의미를 한국어학사의 시선에서 평가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민연의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중심의 한국어학사이다. 물론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가 지난 60년의 한국어학사 전체를 대변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통해서 한국어학사 전체의 한 줄기의 맥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이 논문은 한국학으로서 한국어학 연구의 다양성과 확장을 보여주는 학술지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민족문화연구』). After identifying the Korean language as the national language that manifests the national culture, I discuss what has been done and what needs to be done more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studies. More specifically, I examine said papers based on different time periods: pre-1970s, 1970s, 1980s, 1990s, 2000s, and 2010s. The papers are then further categorized based on research trends and linguistic achievements, which in turn are evaluated within a broader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history. While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cannot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 is no denying that we can identify some trends by chronologically examining the papers. Overall,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of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evaluates the depth, diversity, and expansion of traditional Korean language studies.

      • KCI등재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고지혜 ( Ko Ji-hy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조지훈의 학술 활동을 조감하고 당대의 담론 지형 안에서 그 위치를 가늠해 보면서 ‘학인 조지훈’을 역사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4년에 조지훈은 단독저서 1권과 공동저서 2권을 출간하고 잡지 및 학술지에 3편의 논고를 발표 했으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으로서 학술지 『민족문화연구』를 창간하고, 『한국문화사대계』를 기획 및 출간했다. 이러한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민족이라는 주체의 삶을 이루는 ‘거의 모든 지식’을 체계화하는 작업, 이른바 ‘학(學)으로서의 민족문화’를 수립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즉, 조지훈은 ‘민족지 구축’과 ‘민족문화사 다시 쓰기’라는 방법론을 통해 민족문화학을 세우고자 했는데, 이러한 작업의 배면에는 면면히 이어 왔어야 할 단일민족의 전통과 문화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1920년대생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언제나 ‘일본’ 혹은 ‘식민의 경험’을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에, 결국 조지훈이 몰두했던 것은 식민사학이 그토록 부정했던 ‘단일한 실체로서의 국가/민족’이 상정되고 작용될 수 있는 지식체계를 만드는 일이었으며, 이러한 ‘탈식민을 위한 욕망’이야말로 학인 조지훈을 추동하던 원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지훈의 탈식민 민족문화학에 대한 구상은 식민지 조선학운동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특히 최남선의 학술적 작업을 상당 부분 계승하고 있는 조지훈의 작업은 우리 민족문화(사)에 내재해 있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고 발현시키는 학술 활동이야 말로 민족의 독자성과 존재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을 전제한다. 이는 196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이기도 했다. 즉, 조지훈은 민족을 주체로 하는 ‘계보의 서사’를 상상하고 창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작업에는 보편에의 충동, 달리 말하면 한국문화사/문학사에도 형이상(사상)이 있음을 증명해내고픈 욕망이 잠재해 있다. 이는 식민과 탈식민이 교차하고, 분단과 냉전체제 안에서 치열한 담론 투쟁이 일어나던 1960년대의 시대정신이기도 하며, ‘한국적인 것’을 탐구하고 찾아내야 했던 (한)국학 연구자로서의 자기정립을 향한 의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cholar Cho Ji-hoon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by seeing the entire view of his academic activities in the 1960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arena of that time. In 1964, Cho Ji-hoon published one single-authored book, two co-authored books, and three research papers in periodical and academic journal, issued the academic journal Korean Culture Studies as the Research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and planned and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Civilization. His academic activities are converged into establishing the project of systemizing ‘almost all knowledge’ that comprise the life of ethnic group, so-called ‘national culture as academic studies’. In other words, he tried to establish national culture studies by ‘establishing ethnography’ and ‘rewriting national culture studies’. There underlain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radition and culture of a single race, which should have been passed on continuously, were not properly succeeded. Since the academic activities of Cho Ji-hoon who was born in the 1920s had no other choice but to rely on either ‘Japan’ or ‘colonial experience’, he focused on making a knowledge system that can introduce and apply ‘country and race as a single substance’, which was totally denied by the colonial academia. Such a desire for decolonization was an impetus for him. When it came to study contents and methodology, he substantially succeeded the academic projects of the 1920s colonial era Joseonhak movement, especially Choi Nam-seon. Here underlain the thinking that academic activities succeeding and manifesting mankind’s universal value inherent in the Korean ethnic culture history is the project of identifying race’s identity and existence value. This wa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ntrinsic development which began to be discussed from the late 1960s. In other words, Cho Ji-hoon aimed to conduct the work of imagining and creating ‘description of genealogy’ which became the root of nation. Here underlain universality orientation―desire to prove that metaphysics exist i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history. This is the spirit of the 1960s when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combined and fierce discourse struggle took place in division and the Cold War and the will toward establishing oneself by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who had to explore and discover ‘Korean things’.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 연구와 『민족문화연구』—『민족문화연구』를 통해 본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동향—

        이만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This paper lay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academic practic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s been publish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To this end, first, the academic status which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ccounts for was analyzed through a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the Dong Bang Hak Chi, the Daedong Munwha Yeon'gu, and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ve been published by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since the 1950s or 1960s. As a result, unlike the Dong Bang Hak Ch and Daedong Munwha Yeon'gu, which attempted to form an academic network with countries around Asia,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intended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integrate and unite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which can be said to be the foundation of Koreanology—within the magnetic field of ‘National Culture.’ Second, how research trends have changed by period was reviewed by diachronically examining the inclusion aspects by major and of modern literature papers, with respect to the papers included in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nographs fro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all papers included. It is interpreted that this could be the result coming out because of not only the absence of researchers capable of studying and lecturing on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and modern & contemporary history but also the lack of organization of related subjects, during the 1940s and 1960s, when many four-year universities were founded. In addition, the paper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re categorized by period, which were organized into “A perio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64-1979)—A period when the work theory and writer’s theory was established as a methodology for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80-1999)—A period when research objects and methods were diversified (after 2000).” Through this, we reviewed the academic-history position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occupied for each period.

      • KCI등재

        탈(脫)식민 초기(1945.8~1950.5), 남한국가 엘리트의 아시아기행기(紀行記)와 아시아표상(表象)

        임종명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2 No.-

        탈식민 시기 한국인들은 인종·지역 중심의 인식틀에서 아시아를 자신의 정체성 구성과 향후 발전전망 모색의 자원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인식은 아시아를 구주와 특히 미국의 대항적, 대안적 실체로 인식하는 것이었다. 대안적 실체로서의 아시아 인식은 전후 남한에서의 미국 패권의 구축을 인식론적으로 위협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 남한의 지배엘리트들은 아시아를 재구성하여 주류적 아시아 인식을 수정하여야 했고, 또 실제로 다양한 문화적 사업과 그 사업물의 생산을 통해 수정하고자 시도했다. 당대의 기행문 역시, 당대 주류적 인식과 마찬가지로 아시아를 전통시대 종교·철학·문화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또 근대시기 제국주의 희생의 역사를 공유하는 민족들로 구성된, 장구한 역사의 실체로 표상한다. 나아가 관련 기행문은 공통한 역사·문화·이익을 가진, 또 순전하게 단결해야 할 실체로서의 아시아상(像)을 구축하였다. 이렇게 아세아·동양은 '장구한 역사와 자랑스러운 문화'를 가진 단일한 실체로 표상된다. 기행기는 동시에 아시아를 '서구주의적 문명론의 관점'에서, '전(前)근대·비(非)문명의 공간'으로 표상한다. 즉, 전(前)근대공간으로서의 아시아상(像)은 역사적으로 과거의 공간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세·봉건적(封建的)인, 고대적(古代的)인 공간'으로 표상된다. 전(前)근대적 아세아상(像)은 다시 한번 '고대적인 동양상(東洋像)'에 의해서도 보강된다. 즉, 관련 기행기는 東洋(the Orient)의 대표적인 나라인 이집트를 오래된 나라로, 나아가 고대의 나라로 변형시키면서, 이집트에 의해 대표된 동양을, 아시아를 고대화한다. 그런데, 아시아의 현재를 고대화하는 것은 두개의 시간, 즉 현재와 고대를 하나로 통합하면서, 동일한 시간성의, 나아가 시간이 정지한, 변화 없는, 정체(停滯)된 아시아를 표상한다. 정체된 공간으로서 표상된 아시아가 자연화되는 것은 필지(必至)의 것이었다. 이와 같이, 아시아는 세계기행기 속에서 자연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간상으로 원시적 공간으로, 또 문화·문명론상에서 비(非)문화적 공간으로 표상되고 구성된다. 이로써, 아세아는 시간상으로 원시적 공간으로, 또 문화·문명론상에서 비(非)문화적 공간으로, 따라서 문화·문명이 없는 자연의 공간으로 표상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연화된 아시아는 관련 기행기에 의해 자신의 단일성 마저 부인될 운명에 처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각종 기행문은 서양에 대(對)해서 단일한 실체로서 구축했던 아시아상(像)을 스스로 부인한다. 즉, 관련 기행기는 상호 생면부지(生面不知)인 나라들로 구성된 "亞細亞"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세아·동양은 각각 "자기 나라 고유의 문화"를 갖고, 따라서 다양한 생활문화를 가진 나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의 만남조차도 '미안함과 창피함, 불만, 그리고 어색함과 당황스러움, 또 불만과 낙심(落心)'이, 나아가 쌈판 같은 소란이 동반(同伴)하는 곳이 아시아이었다. 나아가 기행기는 아시아를 인종적으로도 순일(純一)한 공간이 아닌 것으로 표상하고 있었다. 이러한 속에서 앞서 구축된 아시아상(像), 즉 '단일한 실체로서의 아시아'는 의심되고 동요되어진다. 뿐만 아니라, 그것의 공동한 이해(利害)와 단결의 필요성조차 의심되고 반박된다. 아시아 기행기의 '순일한 아시아'의 부인은 당시 상상되던 구미, 특히 미국의 대안적 실체로까지 인식되던 아시아를 해체시키는 것이었다. 단일한 실체성 부인은 당대의 상황에서 동시대 한국인의 구미(歐美), 특히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대안의 존재를 원인 무효화하는 것이었다. 바로 이러한 것이 당대 남한국가 엘리트들의 아시아기행기가 갖고 있는 정치적 함의의 하나라 한다면, 또 다른 정치적 의미는 그 기행기가 구주와 미국, 특히 미국의 헤게모니를 남한사람으로 하여금 수용하도록 촉진하는 것과 관련된다. 다시 말해서, 아시아기행기의 아시아상 구축은 독자로 하여금 당대 '최고의 문명국'으로 인식되던 미국문명의 실현을, 달리 말해서, 미국의 문명적 지도를, 요컨대 미국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사전작업이었다. 이러한 점에 유의할 때, 우리는 당대 남한국가 엘리트의 아시아 기행기가 남한국가와 미국의 '유대', 또는 탈식민지 남한에 작동하는 미국의 패권을 인식론적으로 정당화하는 문화작업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그 기행기가 초(超)인종·지역적인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표상된 냉전의 초기 진행에서 미국 블록(bloc)의 일원이 된 남한국가를 민주주의 이념·담론과, 또 마찬가지로 초(超)인종·지역적인 이념·담론인 근대주의와 문명주의로 정당화하는 작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것이 탈식민 초기 남한 지배엘리트의 아시아기행기가 갖고 있는 역사적 의미였다. From the race-and region-oriented view of the world, not a few post-colonial South Korean texts conceived the Aisa as the foundational entity for their own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This meant that the Asia was imagined as an entity alternative to the contemporary hegemon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imagination threatened to nullify the epistemology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ates as a hegemon over East Asia and also South Korea. Faced with this problematics, ruling elite of contemporary South Korean state had to reconstruct the major imagination of the Asia shared by multitudes of South Korean people and actually did so with a veriety of cultural projects and products such as travelogues to the Asia written by South Korean elite in governmental, political, cultural and other realms. As the major imaginations concerned did, the travelogues also spatialized the Asia as the long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hat is, the texts represented the Asia as the entity of long history which shared the common traditional religion, philosophy and culture, and the modern experience that Asian people got victimized by Western colonialism, and accordingly were to unite for their common interest. In a word, The travelogues identified the Asia as the entity of common interests caused by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travelogues represented the Asia, in terms of 'civilization', the space with no civilization. This civilizational representation was followed by historical representation. That is, the Asia was represented as what it historically belonged to the past, in other words, the ancient or feudal. This temporalization was illustrated in the representation of Egypt, where the country was presented as the old state, and, one step farther, as the ancient one. The imagination of Egypt rendered ancient the Orient represented by Egypt, and the Asia in extension. This series of temporal identification of the Asia meant that the area has stagnated with no historical development. This temporalization of the Asia, in turn, was to represent it as an ahistorical space, and accordingly as the space of no culture insofar as contemporarily culture was conceived as historical achievement of humans. This constructed Asia, however, was never stable nor settled, it was always contested within the text per se. The text contained the fissures and collisions within itself. That is, the text denied the imagined homogeneity of the Asia against its other of the West/Oxident, and even within the self of the Asia. The text represented Asia as the space composed of different races with different cultures. This representation meant that they had no common interest which united them. Ultimately it led to nullification of the Asia as an entity and accordingly the contradiction of the necessity of their solidarity. This nullification and contradiction epistemologically de-constructed the Asia which was contemporarily imagined as the entity alternative to hegemonic America. It is this de-construction that determined one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Other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could be confirmed in their politics that they had the cultural potentials of persuading South Korean masses to embrace the hegemony of the "highly modernized" States in terms of civilization and modernism. In this sense, what the travelogues constructed constituted the preliminary work for the ultimate construction of the American hegemony over South Korea and the East Asia in extension. With this in mind, we can conclude the travelogues were the cultural products for the ideational justification of the 'alliance' of South Korean state with regionally new hegemon in the post-colonial era, the States. Also we can say that the travelogues meant to ideologically justify the positioning of South Korean state in the American bloc with the seemingly trans-racial and -regional ideologies of modernism and civilization. These justifications constitute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to the Asia produced by the contemporary ruling elite in post-colonial and post-War era.

      • KCI등재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5 No.-

        본고는 중세적 정전 체계가 해체되고 근대적 정전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20세기 전반 고전소설이 봉건적 잔재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다가 점차 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민족문화의 유산으로 재평가되기에 이르는 과정, 곧 고전소설의 정전화 과정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2절에서는 근대 이전의 정전 체계에서 소설이 지니고 있었던 위상에 대해 논의했다. 소설은 중세적 정전 체계에서 배제되어 엘리트층의 비주류 문화 혹은 여성·중하층의 통속 문화로서 존재했으며, 조선 후기로 갈수록 후자의 성격이 더욱 강화되어 갔다. 3절에서는 1900~10년대 들어 소설이 무지한 대중을 근대적 국민으로 계몽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진보적인 장르로 "재발견"되었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고전소설은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되기에 이르렀음을 검토했다. 이러한 고전소설 부정론은 여성이나 중하층 독자들을 계몽의 대상으로만 파악했던 계몽적 지식인들의 엘리트주의의 산물이지만, 동시에 식민화의 고착과 민족의 소멸을 타개하고자 했던 그들의 탈식민적 저항의 실천이기도 했다. 4절에서는 1920~30년대 들어 고전소설이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민족문화의 소중한 유산으로, 근대적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재평가되는 과정을 검토했다. 우선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앞서 주로 이방의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고전소설의 번역과 해외 출판이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식민지 지식인들에게 일정한 자극을 주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근대 초 계몽적 지식인들 가운데 드물게 고전소설에 관심을 보였던 인물로 최남선과 안확을 들고 이들의 국학적 고전 연구를 검토했다. 고전소설에 대한 본격적이고도 근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고전적 가치를 널리 인정받게 된 것은 1930년대 전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성제대에서 근대적 연구방법론을 익힌 김태준의 연구는 고전소설을 그 역사적 조건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그것을 현재적 맥락에서 재평가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전소설에 대한 근대적 연구와 재평가를 촉발하고 고무시킨 것은 1920년대 초반부터 거세게 불기 시작한 문화민족주의 바람과 그에 기반한 "조선학" 운동, 그리고 그러한 식민지 지식인들의 열망을 제도적으로 수렴하면서 근대 학문의 권위를 통해 그것을 지배하거나 학술계 밖으로 배제하고자 했던 일제의 "조선연구"였다고 여겨진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고전소설 연구의 학문적·제도적 기초는 "조선학"과 "조선연구"의 길항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the modern reperception and cano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The Korean classical novel-it had been called Soso(小說) or Faeso(稗說) and so on- had been excluded in the medieval canon system, was present as non-mainstream or popular culture. The value of the novel was "rediscovered" and reassessed between 1894~1910. It was charged with the enormous responsibility of enlighting the nation. But the Korean classical novel was evaluated more negatively why it entangled the ignorant masses in blindness. Changing attitudes towards the Korean classical novel had to await the Korean Studies movement of the 1930's. This movement rose at the intersection of several trends that was prevalent in the 1920's~1930's; cultural nationalism, Marxism,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says such trends. Kim Tae-jun stood on the cutting edge of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in the 1930's. In his work of "History of the Korean Novel" he attempted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e-evaluation for some works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Kim Tae-jun's interpretation was one which brought theoretical tools to the then trend to publish classical novels; by doing so, he established them as canonical works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가족종교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종교문화

        박종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5 No.-

        In order to fully explore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religions, it is necessary to compare internal perceptions and external perspectives on them, and to note how the individuality of religious culture is continuously reconstructed in various historical developments and complex cultural contex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trends that apply to various categories of Korean culture beyond the category of religious culture. This article presuppos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ligious amalgam, which is reflected in the eyes of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as the intercultural action of the 'family of religions’ that many religious traditions in Korea have constituted. I reviewed some patterns of ‘family religion’ in which various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s were complex and stratified at specific historical moments and cultural contexts. This study discusses the appropriation of filial piety and family values in a different context. ‘Family religion’ was developed as an aspect of family culture emphasizing kinship based on blood ties. In modern Korea, the symbolism, rituals, doctrines, and cultural aspects of religious culture are already changing from father- centered family religion to mother-centered family religion, moving from one-centered to dual/pluralist centers, and shifting from the vertical to the horizontal.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the continuing and transformation of family religion in Korean religious culture by examining these cases. 한국종교의 문화정체성을 온전하게 탐색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내부의 인식과 외부의 시선을 비교 검토하고 종교문화의 개성이 다양한 역사적 전개와 복합적인 문화적 맥락에서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주목하면서, 그러한 흐름이 종교문화의 범주를 넘어서서 한국문화의 다양한 범주에서도 적용되는 양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외국 개신교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타자의 눈에 비친 혼성적 한국종교문화의 특징을 한국의 종교가 구성해온 ‘종교가족’의 상호문화적 작용으로서 전제하고, 다양한 개별적 종교전통들이 특정한 역사적 계기와 문화적 맥락에서 복합적이고 중층적으로 구성해온 ‘가족종교’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특히 의례문화와 공동체문화 뿐만아니라 개별종교의 교리 전개에도 일정하게 끼친 영향과 더불어 각 종교들의 차별화된 맥락에서 효와 가족의 가치들을 재전유하는 양상을 논의하였다. 또한 ‘가족종교’의개성이 혈연적 유대관계를 강조한 가족문화의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로 와서 종교문화의 상징과 의례, 교리와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서 이미 아버지 중심의 가족종교에서 어머니 중심의 가족종교로, 일원적 중심에서 이원적/다원적 중심으로, 수직적 측면에서 수평적 측면으로 이행하는 흐름을 통해 한국종교문화에서 가족종교의 지속과 변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문화" 개념과 "성차" 관련 개념들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페미니즘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김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페미니즘 문화연구는 단일한 하나의 학제적 카테고리라기보다, 학제와 학제를 가로 지르며, 맥락화된 현실과 이론을 오가는 두 연구 분야가 만나거나 혹은 경합하며 이론을 생산해내는 장(field)이다. 따라서 지난 20여년간 한국 사회에서 이루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작업을 검토하는 이 글은 핵심적인 개념인 "문화"와 "성차" 관련 개념들을 나침반 삼아 그 변동과정을 따라가보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우선 서구 사회 "문화"와 "성차"관련 개념 변동 지형은 첫째, 문화 개념을 경유한 남성우월체계와 그 논리비판, 둘째, 구조기능주의적 논의에서 "성차별적 문화"의 섹스-젠더 환원성, 셋째, 문화연구의 등장과 함께 가능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 활성화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국 사회 변동의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 모순"에 대한 대당 개념으로서의 "문화" 와 주변적 위치로서의 "여성" 개념 등장, 둘째, 성정치론자들의 "섹슈얼리티"와 규범적 "성문화"에 관한 문제제기, 셋째, 성정치론자들의 문제제기와 문화연구 프레임을 받아들인 페미니스트들이 분석하는 성별과 섹슈얼리티의 교차성 그리고 대중문화. 이러한 "성차" 관련 개념과 "문화" 개념의 변동 속에서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외연은 확대되었지만, 매체의 다변화, 문화산업의 양적 성장이라는 조건들 속에서 더욱 조밀하고 복잡해지는 성차의 의미망들을 관련 체제들과 연관지어 분석, 비판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도래했다. Feminist Cultural Studies is rather an interdisciplinary field producing theories by different areas traversing contextualized reality and theories than a homogeneous disciplinary category. Therefore, this article which examines tasks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in Korean society for over twenty years takes the essential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s a compass and follows their changing process. To begin with, the changing topography of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in Western society was grasped by 1) the criticism on male supremacy and its logic via culture concept 2) sex-gender reduction of "sexist culture" concept in structural functional discussion 3) the increased Feminist Cultural Studies enabled by the advent of cultural studies. In addition,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1) the advent of "culture" concept as a anti idea against "main cause of problem of Korean society" and "women" concept as a marginal position 2) sexual politics 'raising a question about "sexuality" and normative "sexual culture" 3) intersection of gender and sexuality and popular culture analyzed by feminists who accepted sexual politics' question and the frame of cultural studies. In the aforementioned changes of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nd "culture" concept, the scope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has been extended. Yet, under the conditions of diversified media and quantitative growth of cultural industries, the new task of analyzing and criticising the denser and more complicated semantic net in the association with related system has arrived.

      • KCI등재

        ‘국학’에서 ‘한국학’으로, 새로운 진로의 모색—『민족문화연구』 한국사(전근대) 연구의 회고—

        오치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re-modern Korean history,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Korean Cultural Studies” (RIKS) from its inaugural issue to the 99th issue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Korea University. This is intended to commemorate the publication of the 100th issue of RIKS and, on the other hand, to review 60 years of research history leading up to 2024, anticipating the 60th anniversary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4. Quantitatively, the review results show a total of 186 articles in the field of pre-modern Korean history, with 17 of them being data releases. When classified by field, there are 5 articles on archaeology, 7 on art history, 10 on folklore, and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there are 22 articles on ancient history, 22 on the Goryeo period, 18 on the early Joseon period, 76 on the late Joseon period, and 7 on the somewhat ambiguous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ith 2 on the pre-modern period. Among the 147 articles in the field of pre-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era and topic, the most preferred topic by researchers is political history. In contrast, social history does not seem to be prominent, especially in the Goryeo period. Additionally, economic history is heavily biased towards the late Joseon period, except for one article on the Goryeo period,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elds. Next, the review of content and topics identified several research trends. Firstly, before the year 2000, foundational research laying the groundwork for Korean studies and various papers by scholars from diverse disciplin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were published. Critiques of the heteronomy and notion of stagnated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expressions of pride in Korean culture were emphasized. Secondly, since the 1960s,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hat emerged while criticizing the heteronomy and notion of stagnated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iography has been critically inherited. Thirdly, around the year 2000, there was a shift in direction from ‘國學’ (national studies) to ‘韓國學’ (Korean studies). In addition, 18 special features and 31 studies related to pre-modern Korean history were conducted, and 17 resources were introduced under the title “Introduction to Overseas Korean Studies Materials.” 본고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하는 『민족문화연구』의 창간호부터 99호까지의 논문 가운데 한국사 전근대사 분야에 한정하여 연구성과를 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것은 『민족문화연구』의 100호 발간을 기념하고, 한편으로는 1964년에 창간된 이후 2024년을 앞두고 60년의 연구사를 검토하는 의미도 있다. 정량적으로 검토한 결과 전근대사 분야의 글은 총 186편에 이르며, 이 가운데 자료해제는 17편이 있다. 논문을 분야별로 나누어 보면 고고학 5편, 미술사 7편, 민속학 10편이 있고, 한국사 분야는 고대사 22편, 고려시대 22편, 조선전기 18편, 조선후기 76편과 시기 분류가 다소 애매한 조선시대 7편, 전근대 2편이 있다. 전근대사 분야 147편을 대상으로 각 시대별, 주제별 분류 결과에 의하면, 연구자들이 가장 선호한 주제는 정치사이다. 국제관계사와 사상사의 경우 고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시기를 불문하고 비교적 고르게 관심을 받고 있는 반면에 사회사는 고려시대의 경우 보이지 않는다. 또한 경제사는 고려시대 1편을 제외하면 조선후기에 편중되어 있어 분야별 차이가 심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다음으로 내용과 주제를 검토한 결과 몇 가지 연구경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2000년 이전에는 한국학의 초석을 다지는 기초적인 연구,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전공자들의 논고가 게재되었으며, 식민사학에 대한 비판과 한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 표출이 강조되었다. 둘째, 1960년대 이후로 식민사관의 타율성과 정체성론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내재적 발전론이 비판적으로 계승되었다. 셋째, 2000년을 전후로 ‘국학’에서 ‘한국학’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밖에 전근대사 분야와 관련하여 18개의 특집, 31편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해외한국학자료 소개>라는 제목으로 17개의 자료 소개가 있었다.

      • KCI등재

        게일의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한국민족사』, 1927), 문학적 관점에서의 접근 필요성에 대한 고찰

        강혜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본고는 역사서로 알려진 제임스 게일의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한국민족사』)을 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이유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민족사』는 단군부터 19세기 말까지 이어진 한국민족의 역사를 서술한 책인데, 은퇴를 앞둔 게일이 1927년에 간행한 것으로, 게일 한국학 연구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역사서로서 『한국민족사』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었기에 본고는 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문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첫 번째 이유는 서명에서 드러난 게일의 집필 의도 때문이다. 서명으로 볼 때, 『한국민족사』는 ‘한국’이라는 국가보다는, 그 구성원인 ‘한국민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애초부터 국가의 흥망성쇠를 정리하기 위한 책이 아니기에, 저자의 집필 의도를 고려하여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한국민족사』에 문학적 관점이 필요한 두 번째 이유는, 게일이 ‘한국인의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한국문학’이라고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1918년에 발표한 「한국문학」은 『한국민족사』와 그 구성방식이 유사하며, 11편의 문학 작품이 공통적으로 들어있을 만큼 관련이 깊다. 문학적 관점이 필요한 세 번째 이유는 『한국민족사』에 다수의 문학 작품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한국민족사』에는 한시, 사, 부, 국문시가 등 90편이 넘는 운문이 들어있으며, 신화, 전설, 민담, 비문, 묘지, 서문, 연행록, 편지 등 다양한 종류의 산문도 50편 이상 들어있다. 집필 의도나 구성 방식에서 일반적인 역사서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한국민족사』를 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이 책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한국민족사』를 20세기 초반에 영역된 한국고전문학의 보고(寶庫)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eeks to reilluminate the literary value of James S. Gale’s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ext chronicles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from B.C. 2333 Dangun(檀君) Era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ublished in 1927, imminent of Gale’s retirement, the text can be seen as a culmination of Gale's work in Korean Studies. However, it was criticized by Richard Rutt, the editor of the 1972 annotated edition of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for its lack of historical merits and rigor. This paper revisits the text from a literary perspective. First, as hinted by the title, the text chronicles the citizenries comprising the nation of Korea, the ‘Korean People’, rather than the political entity of ‘Korea’: Gale never intented the text to be a thorough, comprehensive recount of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uthor’s intent. Next, Gale argues in the text that the inner world of Koreans is best revealed by its literature, a position similarly taken in his other works such as “Korean Literature” presented in 1918. Lastly, the text embeds a significant number of sourc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text contains various types of poetry such as Sino-Korean poetry(漢詩) and Sijo(時調) totaling over 90 works, and more than 50 works of mythology, legend, folk tale, inscription, preface, travelog and letters. Showing a composition demonstrably deviant from that of a typical history textbook, this paper revisits the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from a novel literary approach and argues its potential to be an invaluable resource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한국 고전문학 연구에 수용된 탈근대, 탈민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고미숙과 강명관의 논의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본고는 2000년대를 전후로 한국 고전문학 연구에 본격적으로 수용된 탈근대·탈민족 담론의 이론적 가능성과 한계, 정치적 효과 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특히 이 글에서 필자가 주목하고 비판적 고찰의 거점으로 삼은 것은 고미숙과 강명관이 제출한 탈근대·탈민족 담론이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탈근대·탈민족적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기존의 한국 고전문학 연구를 비판하는 고미숙과 강명관의 핵심적인 입장 혹은 논리를 탈근대주의, 탈민족주의, 탈문학주의라는 세 가지 논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해보았다. 이어서 3절에서는 고미숙과 강명관의 탈근대·탈민족 담론에서 충분히 해명되지 못했거나 간과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이를 통해 필자가 제시하고자 한 논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탈역사화된 근대 개념에 기반한 탈근대주의는 낭만적인 반근대주의·반문명주의로 치달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근대=서구적 근대=자본주의적 근대'라는 등식이 반드시 유효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보편적이면서도 다양한 '복수의 근대성'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고미숙에 의해 재구성된 연암은 표상체제의 동요를 통해 사회 현실을 내파하고자 하는 문화적 급진주의자의 형상에 가깝다. 민족/민족주의 담론 자체는 근대적인 발명품이지만, 중세에도 대외적인 종족의식과 대내적인 정치적 통합에 대한 관념은 존재했다. 탈근대적 문화 연구는 근대적 문학 연구에 의해 불구적으로 재단된 중세문학을 새롭게 재구성할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텍스트를 문화나 풍속의 한 풍경처럼 취급함으로써 텍스트에서 그 '깊이'를 제거해버리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ostmodernism/post-nationalism discourses that are in fashion within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is critique is targeted toward Go Mi-suk and Gang Myeong-gwan's discussions in particular, since they are the typical post-modernism/postnationalism theorists in the field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heir logic and positio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theses: post-modernism, post-nationalism, and post-literarism. These theses had a strong impact on both the academic society and popular readers, but they presented certain problems and issues. The absence of objective review about historical modern/modernity led to the romanticized notion of anti-modernti-civilization. Also, the equation of "modern=western modern=capitalist modern" is not always a valid one and the notion of "multiple modernities" should be considered. Surely, nationalist discourse is a modern construct, but medieval notion of ethnic and political integration that set people apart from what they have defined as the outside existed even before the modern. Post-modern cultural studies provide possibilities to reconstruct and rethink medieval literature that has been obscured and crippled by modern cultural studies, however, it also has a downside of depriving 'depth' of the textual interpretation by treating texts as mere part of some cultural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