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먀찐과 고골의 러시아 - 자먀찐의 작품에 나타난 고골의 영향

        문준일 ( Moon Joonil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8 유럽사회문화 Vol.0 No.20

        Zamyatin’s dystopian novel We (My) earned him fame in the literary world. Looking at the whole body of his work, however, We (My) seems far removed from his previous creative activity. His early works, such as A Provincial Tale (Uezdnoe) and A Godforsaken Hole (Na kulichkakh), were full of fantasy and satire, apparently influenced by Gogol. As mentioned in Zamyatin’s autobiography, Gogol was a childhood friend, and Zamyatin once stated: “I think that, under his influence, I was inclined to the cartoonish, the grotesque, the synthesis of fantasy with reality.” Scholars often mention the potential influence of Gogol on Zamyatin, bu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is topic.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Gogol in the early works of Zamyatin helps illuminate the creative philosophy of Zamyatin and its changes throughout his career.

      • KCI등재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사

        문준일(Joonil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3 동유럽발칸연구 Vol.47 No.2

        16세기 에르막(Ермак)이 시베리아 원정을 떠난 이후, 17세기 전반부에 이미 러시아는 오호츠크해에 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포야르코프(В. Поярков)와 하바로프(Е. Хабаров)가 이끈 원정대는 프리아무리에(Приамурье) 지역의 광대한 영역을 조사하였고, 그 영토를 복속시키기 시작했다. 러시아의 이러한 팽창은 진출의 길목에 있던 중국과의 충돌을 불러일으켰고 그 결과 1689년 중국과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어 국경선을 정리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러시아는 아무르강 유역에 대한 영유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후 극동에서의 러시아 국제정치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네르친스크 조약 이후 잃어버린 아무르 연안 지역에 대한 회복이었다. 러시아 정부는 1689년 이후 수차례 중국과 보다 정확한 국경선을 확립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중국과의 무역 중단이라는 위협이 상황을 어렵게 하였다. 아무르강은 시베리아 내륙에서 태평양 연안으로 빠져나가는 유일한 통로이다. 하지만 시베리아 내륙과 태평양을 연결시킬 수 있으려면 아무르강 하구 지역에서 선박의 운항이 가능해야 한다. 태평양에서 아무르강 하구를 통해 항해를 할 수 있어야 교통로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이다. 19세기 네벨스코이의 탐사 이전까지 몇 번의 탐사가 내린 결론은 아무르강 하구는 항해가 불가능하며 사할린은 반도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것에 의문을 품은 젊은 장교 네벨스코이는 정부의 허가 없이 독단적 탐사를 진행하고 결국 기존의 결론을 뒤집는 발견을 하게 된다. 이 논문은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네벨스코이의 아무르 탐사의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도출하려고 한다. After Ermak left the Siberian expedition in the 16th century, Russia had already reached the Sea of Okhotsk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In the process, an expedition led by V. Poyarkov and E. Khabarov surveyed vast territories in the Priamourie region and began subjugating the territory. This expansion of Russia caused a conflict with China, which was on the way to advance, and as a result, the border line was cleared by signing the Treaty of Nerchinsk with China in 1689. In the process, Russia lost sovereignty over the Amur River basin. Afterwards, the most important issue of Russian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Far East was the recovery of the Amur coastal region lost after the Treaty of Nerchinsk. The Russian government tried several times after 1689 to establish more precise borders with China, but the threat of cessation of trade with China made things difficult. The Amur River is the only passage from Siberia to the Pacific Ocean. However, in order to be able to connect the Siberian inland with the Pacific Ocean, ships must be able to operate in the Amur River estuary. This is because it must be able to navigate through the mouth of the Amur River in the Pacific Ocean to have a function as a transportation route. Prior to the 19th century exploration of Nevelskoy, several expeditions had concluded that the mouth of the Amur River was navigable and that Sakhalin was a peninsula. However, questioning this, the young officer Nebelskoy proceeds with an independent exploration without government permission and eventually makes a discovery that overturns his previous conclusions.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and contents of Nevelskoy’s Amur exploration, which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Russia's advance into Siberia, and tries to derive its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톨스토이의 평화론과 동양사상 : 노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문준일(Moon Jooni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이 연구는 톨스토이주의에 영향을 미친 동양의 사상들을 조명해보려는 노력의 하나이며, 그중 특히 톨스토이의 평화론에 미친 노자의 사상을 밝혀보려 하였다. 톨스토이는 기성의 모든 제도화된 권력과 폭력에 맞서 싸웠다. 톨스토이의 사상의 기반은 비폭력주의, 평화주의이다. 이러한 톨스토이의 평화론에는 매우 흥미로운 지점이 있다. 그것은 종교적 원리에 기반을 둔 신념체계라는 것이다. 하지만 톨스토이가 몰두했던 종교를 통한 구원은 기존의 러시아정교와는 접근 방법이 다른 그만의 독특한 종교적 추구였다. 이를 위해 그는 러시아정교의 교리뿐만 아니라 동양의 사상까지 두루 섭렵하였고, 불교, 유교, 도교의 사상까지도 포괄하였다. 톨스토이에게 이러한 동양의 사상을 대표하는 국가는 바로 중국이었다. 톨스토이는 도(道)가 참다운 자유에 이르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노자의 무위(無爲)의 개념으로 자신의 비폭력 무저항주의 사상을 발전시켜 나간다. 톨스토이는 힘은 항상 악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노자를 자기 식으로 해석을 하면서 노자의 사상에서 자신의 비폭력 무저항 사상의 근거를 찾고 있다. 또한 그는 노자의 도 사상이 인류의 영원하고 근본적인 삶의 법칙일 뿐만이 아니라, 기독교적 자유의 사상과도 유사함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톨스토이는 노자의 형이상학적 원리에는 눈길을 두지 않고 그의 이념과 공명하는 것을 추출해서 그의 이념적 근거로 썼다. 대안적 사상으로서 톨스토이 아나키즘과 평화론이 20세기 초 동북아시아 각국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는 자신의 이상을 정립하기 위해 동양의 사상을 받아들인 것이다. Tolstoy fought against all established institutional powers and violence. His ideas were based on nonviolence and pacifism. There is a very interesting point in Tolstoy’s theory of peace. Although it was a belief system based on religious principles, salvation in Tolstoy’s religion was a unique religious pursuit that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Russian Orthodox church. To this end, he embraced not only Russian orthodox doctrine, but also Eastern thoughts, as well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For Tolstoy, China represented this Eastern thought. Tolstoy thought that the Tao was the way to true freedom. And he develops his own nonviolent non-resistivism based on concept of Lao-tzu. Tolstoy thought that power was always evil. While interpreting Lao-tzu in his own way, “Strength is the way of death, and weakness is the way of life,” he also suggested that Lao-tzu s Taoism was not only the eternal and fundamental law of life for humankind, but also the idea of Christian freedom. As an alternative idea, Tolstoy’s anarchism and peace theory influenced each country in Northeast Asia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ut he embraced Eastern thought to establish his idea.

      • KCI등재

        메타픽션으로서의 「우리들」 - 자신을 찾아가는 글쓰기 여정

        문준일 ( Moon¸ Joonil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20 유럽사회문화 Vol.0 No.25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interpret Evgeny Zamytin’s We, which was evaluated only as utopian literature and dystopian literature, with a new reading method. We is a very complex and interesting text from a genre perspective. Genre experimentation is done to the extreme in We. If you look closely at this novel, covered with a utopia, the genre elements of love novels, adventure novels, and psychological novels are organic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nd they have a structure that finally results in a philosophical novel. So,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genre provides decisive moments for the interpretation of We. The reason is that this text is not simply a combination of several genre elements, but an organic complex genre structure that allows in depth interpretation of this text only by applying a frame of various genre structures. The important point in this context is that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genres do not proceed in parallel within this text, but organically, in such a way that one genre flows from another genre. The most basic genre structure in We as such a complex genre is the metafiction genre. This is because the novel begins when the protagonist D-503, the construction engineer of the Integral, decides to write an epic about the greatness of the One State on the first page of the novel. In other words, We is “a novel about writing novels,” and this genre’s characteristics determine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of this work. However,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 epic poem, an unexpected transformation of D-503, that is, a transformation from mathematician to poet occurs. This transformation process causes ontological confusion of D-503, and is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agitation and pain. Interest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fiction genre structure and the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it become the device that can best capture the change in the psychological state of D-503. So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ovels, the structure of the metafiction genre works as the basis for the birth of new novels, that is, psychological nove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ole of metafiction genre elements, which is the most basic genre structure of We, in the semantic structure of works, and to reveal the process of metafiction genre transforming into a psychological novel.

      • KCI등재

        ‘북방텍스트’에 나타난 에벤키족의 샤머니즘과 생태사상

        문준일(Joonil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4 동유럽발칸연구 Vol.48 No.1

        본 논문은 시베리아 샤머니즘 중에서도 에벤키족의 샤머니즘적 세계관과 그 세계관과 연관된 생태사상을 시베리아 소수민족 작가들의 문학 텍스트 속에서 고찰해보는 것이 목표이다. 시베리아는 샤머니즘의 원형을 간직한 곳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엘리아데의 샤머니즘론이 대표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인식되면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기원이나 특수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위축되고 샤머니즘의 개념이 애매모호하게 변했으며 이 과정에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원형과 본질이 왜곡되는 결과를 낳았다. 시베리아 소수민족들의 샤머니즘은 해당 종족의 종교관뿐만 아니라 예술적 체계를 보여주는 의례와 의식, 신화, 도덕적 윤리관, 생태주의 생활철학 등을 담고 있는 총체적인 삶의 양식으로서 주변의 자연 환경, 인문사회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정서, 심리, 의식의 원형구조 속에 자리 잡게 된 종교현상이다. 소비에트 시기 무신론적 사회주의에 의한 사회개혁과 러시아화 정책으로 샤머니즘과 시베리아 민족들의 전통과 관습은 침탈당하게 되었다. 소비에트 붕괴 이후 자신들의 문화를 서구나 러시아 연구자들의 결과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의 눈으로 바라보려는 소수민족 출신 연구자와 작가들이 등장하였고, 그들의 전통적인 샤머니즘적 세계관이 표현되는 문학작품들이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시베리아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가 문학에 의해 조명될 수 있는 조건이 조성되었다고 불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시베리아 에벤키족에 대한 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시베리아 소수민족의 샤머니즘적 세계관과 생태 사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hamanic worldview of the Evenki people among Siberian shamanism and the ecological ideas associated with it in the literary texts of Siberian ethnic minority authors. Siberia is perceived as a place where shamanism originated. However, as Eliade’s theory of shamanism has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research methodology, empirical research on the origin and specificity of Siberian shamanism has been stifled, and the concept of shamanism has become ambiguous, resulting in a distortion of the origin and nature of Siberian shamanism. The shamanism of Siberian ethnic minorities is a religious phenomenon that has become embedded in the archetypal structure of their emotions, psychology, and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as a holistic way of life that includes rituals, rituals, myths, moral ethics, and ecological life philosophy, as well as artistic systems. During the Soviet period, shamanism and the traditions and customs of Siberian ethnic groups were increasingly usurped by social reform and Russification policies under atheistic socialism.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writers from ethnic minorities who sought to see their culture through their own eyes, rather than relying on the findings of Western or Russian researchers, emerged and produced literature that expressed their traditional shamanic worldview. It can be said that conditions have been created for the study of Siberian shamanism to be illuminated by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literary texts about the Siberian Ebenki people to explore the shamanic worldview and ecological ideas of this Siberian ethnic minority.

      • KCI등재

        시베리아 에벤족의 불 숭배 연구

        문준일(Moon, Joonil)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0 러시아학 Vol.- No.21

        고래로부터 인류는 불을 숭배했다. 혹독한 겨울을 이길 수 있게 해주는 온기의 원천이며 포식자 짐승들로부터 보호해주는 불은 인류의 생존에 가장 일차적인 요소였다. 그래서 불은 꺼트려서는 안 되는 소중한 존재가 되었고, 동굴이나 천막의 중심에 위치해서 구성원의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불에 대한 숭배는 매우 자연스런 현상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시베리아 에벤족의 불 숭배의 모습과 의미를 고찰한다. 에벤족에게 불은 가족과 부족을 보호하는 신이었다. 에벤족의 천막 중심에 위치한 화로불은 거주공간의 성스러운 중심이며 불의 영이 거주하는 장소이다. 불 숭배는 시베리아 민족들에게 널리 퍼져 있는 현상이다. 불에게 여러 일을 의논하였으며, 성공적인 사냥 이후엔 불을 대접했다. 하는 일이 잘 되기를 빌기 위해서, 또 지역의 주인령들이 그들을 잘 받아들여 달라고 불에게 기원을 하였다. 불 숭배는 에벤족의 명절에서 반드시 행해지는 정화의식으로 나타난다. 일상생활에서도 불 숭배의 모습은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샤먼의 모든 의식도 불의 영과 관련이 있다. 불의 영이 인간을 악령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 숭배는 불이 가지는 정화기능과 연관된다. 또한 불은 신과 인간의 중개자로 등장한다. 인간의 기도와 제물을 하늘에 전해주고 신의 은총을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역할을 한다. 불의 중개자로서의 역할은 불이 인간들에게 미리 예언을 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한다. 불은 타이가의 주인령이 말하는 전달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불이 가지는 이러한 정화와 수호의 힘, 예언의 능력은 에벤족에게 불을 신의 격으로 올리게 되었다. Since ancient times, humanity has worshiped fire. The source of warmth that allows us to overcome the harsh winters and the fire that protects against predator beast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human survival. Therefore, fire became a precious being that should not be extinguished, and it became the center of members by being located in the center of a cave or tent. This worship of fire seems to be a very natural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the appearance and meaning of fire worship among the Siberian Evens. For the Evens, fire was a god protecting families and tribes. The hearth,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ven’s tent, is the sacred center of the living space and the place where the spirit of fire resides. Fire worship is a widespread phenomenon among the Siberian peoples. They discussed various things with the fire, and after a successful hunt, he served fire. In order to wish for a good job, they prayed to the fire to receive them well the spirit of the local areas. Fire worship appears as a ritual of purification that is always practiced on the holidays of the Evens. Fire worship can be seen in everyday life. And all shaman rituals are also related to the spirit of fire. Because the spirit of fire protects man from evil spirits. This worship of fire is related to the purifying function of fire. Also, fire appears as a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It plays the role of delivering human prayers and offerings to heaven and bringing God’s grace to humans. Its role as a mediator of fire gives fire the ability to prophesy in advance to humans. Because fire can convey what the taiga’s master spirit says. The power of purification, protection, and prophecy of fire made fire a god for the Evens.

      • KCI등재

        “러시아인의 행진”, 현대 러시아 민족주의의 한 단면

        문준일 ( Moon Joonil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2

        소비에트 체제 붕괴 후의 이념의 공백 상태를 파고든 것은 민족주의였다. 1990년대 대두된 러시아 민족주의와 민족 문제는 러시아 사회에 엄청난 속도로 확산되어 사회 담론의 많은 부분을 규정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 초 러시아 민족주의는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된다. 경제는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점차 안정되어갔고, 정치는 푸틴 대통령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정치 환경에서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립할 어떤 것이 요구되었다. 2004년 러시아 정부에 의해 11월 4일이 “국민단결의 날”로 지정되자 우파민족주의자들은 이날을 기념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진을 기획하게 되는데 이것이 “러시아인의 행진”의 시작이다. 이 행사는 정부로부터 허가 받은 최초의 우파민족주의자들의 행사였으며,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을 가진 우파민족주의 단체들이 처음으로 함께 모여서 자신의 이념적 선전을 대중을 향해 펼쳤던 기회이기도 했다. 본 논문은 현대 러시아 민족주의와 연관된 흥미로운 사회현상들 중 하나인 “러시아인의 행진” 발생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쇠퇴의 원인을 살펴봄으로서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우파민족주의의 모습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It was nationalism that penetrated the ideological vacuum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regime. Russian nationalism and ethnic problems that emerged in the 1990s spread rapidly in Russian society and defined many aspects of social discourse. However, in the early 2000s, Russian nationalism faced a serious crisis. The economy gradually stabilized due to the surg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in politics, president Putin’s power was strengthened. In this new political environment, something was required to form and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In 2004, when November 4 was designated as “National Unity Day” by the Russian government, right-wing nationalists organized a march to commemorate the day, and this was the beginning of the “Russian March”. This event was the first right-wing nationalist event licensed by the government, and it was also an opportunity for right-wing nationalist groups with diverse ideological spectrums to gather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nd spread their ideological propaganda to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status of right-wing nationalism in Russia during the Post-Soviet period by examining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cause of the decline of the “Russian March”, one of the interesting social phenomena related to modern Russian nationalism.

      • KCI등재

        러시아 우주론과 니콜라이 표도로프의 불멸사상

        문준일 ( Joonil Mo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러시아 철학에서 매우 독특한 사상이었던 러시아 우주론과 그 창시자 니콜라이 표도로프의 사상을 살펴보고, 그 사상의 도전적 함의와 현재적 의미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표도로프 우주론의 주요 사상인 만민부활, 자연의 통제, 우주로의 진출, 형제애를 표도로프의 저서를 통해 분석하였다. 표도로프에게 만민부활은 선조들에 대한 부채의식과 기독교 도덕의 완성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자연의 통제는 자연력을 조정하여 인간에게 복종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부활을 통해 불멸을 얻은 인류는 시공간을 넘어 우주로 나가야 한다. 이와 같은 인류의 거대한 ‘공통과제’를 위해서는 인류가 하나로 단결하여야만 한다. 형제애는 이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표도로프 사상 고찰의 결과 그의 사상은 포스트휴먼 담론의 핵심인 신체불멸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형제애에 의한 세계 통합의 추구는 현 시기의 대안적 담론으로서 현재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as of Russian cosmism and its founder Nikolai Fyodorov, which were very unique ideas in Russian philosophy, and to derive the challenging implications and present meanings of the ideas. To this end, the main ideas of Fyodorov's cosmism, the Resurrection of Mankind, the control of nature, the advance into space, and the brotherhood were analyzed through Fyodorov’s book. For Fyodorov, the Resurrection of Mankind means a sense of debt to the ancestors and the completion of Christian morality. Control of nature is the adjustment of natural forces to submit to humans. And humans who have gained immortality through resurrection must go beyond space and time into space. For such a great “common task” for mankind, mankind must unite as one. Brotherhood is essential for this. The results of this review of Fyodorov’s thoughts show that his thoughts imply the possibility of immortality, which is the core of posthuman discourse, and that the pursuit of world unity through fraternity has sufficient presentness as an alternative discourse of the present time.

      • KCI등재

        미하일 불가꼬프의 신화시학 - 『거장과 마르가리따』에 나타난 거울모티프를 중심으로

        문준일 ( Joonil Moo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1 No.-

        미하일 불가꼬프의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따』는 20세기 러시아문학에서 가장 의미 있는 작품들 중 하나이다. 이 소설은 작가의 소설 문법에서 상징주의 소설 시학의 영향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작품에 가득 찬 신화적 요소들은 보리스 가스파로프가 정의하듯이이 작품을 신화소설로 만든다. 작품 속의 내밀한 고대와 기독교 신화들은 텍스트 내부 구조에서 독자적 의미층을 형성하면서 당시 현실에 대한 비밀스런 의미를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신화로 채색된 불가꼬프의 환상적 텍스트는 그렇게 해서 현실에 대한 구체성 대신 일반성을 획득하게 되면서 그만의 독특한 아우라를 부여받게 된다. 『거장과 마르가리따』의 가장 기본적인 예술 장치는 라이트모티프로 서사를 건축하는 것이다. 상징주의 소설과 20세기 초 러시아소설의 서사구조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들 중 하나는 전통적 플롯구조의 약화와 그 플롯구조를 대체하게 되는 모티프구조이다. 세기 초 산문에서 플롯의 다의미성과 의미의 유동성을 만드는 가장 중요한 수단은 라이트모티프 시스템의 사용이었다. 『거장과 마르가리따』는 작가의 신화시학과 라이트모티프구조가 최고의 완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서 라이트모티프구조가 만들어내는 다면성과 의미의 다층성은 연구자들에게 항상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소설은 공간과 시간의 구조에서 모스크바와 예루살렘, 그리고 현실의 모스크바와 2천년 전의 예루살렘이라는 두 세계의 평행과 대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중요한 상징이나 이미지들은 전 소설에 걸쳐 등장하면서 그 두 세계와 두 시간을 하나로 묶어주는 라이트모티프가 된다. 그런 모티프들 중의 하나가 거울이다. 신화적 은유를 작품의 의미구조에 도입하는 수많은 라이트모티프 중에서 거울의 모티프는 그 본래의 속성 상 경계와 관문의 역할을 하는데 공간과 시간이라는 면에서 극명한 대립구조를 보여주는 이 작품에서 경계와 관문은 매우 의미로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조적인 면에서 이 소설은 두 개의 소설, 즉 거장의 소설과 거장에 대한 소설이 서로 거울처럼 향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영과 평행의 놀이는 전설과 인간 역사의 일상을 함께 연결시켜 하나의 예술적 전일체를 만든다. 그리고 이 두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것이 거울이다. 따라서 거울의 모티프는 이 소설에 해석의 한 열쇠를 제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Mikhail Bulgakov``s novel Master and Margarita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works of Russian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 This novel is influenced by symbolism poetics in his novel grammar. Full of mythological elements in this text make Boris Gasparov to define this novel as myth-novel. Ancient and Christian mythologies inside text form a unique meaning structure and it will serve to explain the secret meaning of reality at the time. Fantastic text colored by mythologies acquired the generality instead of concreteness of reality and his own aura. The most basic device of Master and Margarita is to build a narrative by leitmotif structure. The most characteristic things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Russian novels of the early 20th century is that motif structure replace the traditional plot structure. Master and Margarita show the highest completion in the use of mythpoetics and leitmotif structure. The novel are in parallel between Moscow and Jerusalem in space and time. An important symbols and images appeared in this parallel structure serve as leitmotives that binds the two worlds and two hours. One of the motives is the mi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