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커뮤니케이션 과학 : 한국 방송의 초기 아나운서 연구: 미시사적 구술사를 중심으로

        마동훈 ( Dong Hoon Ma ),강재형 ( Jae Hyung Kang ),오원환 ( Won Hwan Oh )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구 고려대학교 언론연구소) 2010 커뮤니케이션 科學 Vol.27 No.2

        본 연구는 우리 방송의 초기 아나운서 4명의 일제하 방송시대, 방송기반 형성기, 초기 라디오와 텔레비전 시대를 관통하는 1940~1960년대 방송 현업에 대한 기억과 회상을 바탕으로 한 미시역사적 구술사 연구이다. 이 시기의 아나운서들은 방송의 최종 전달자, 부분적으로는 제작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이들은 당대의 인기 스타였으며 사회적 저명인사로 수용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 이 연구는 기존의 문헌 중심 우리 방송초기 연구의 보완적 연구로서 당대의 저명 아나운서들의 목소리를 빌어 우리 방송사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This paper is designated as a micro-historical study and oral history based on the memories and reminiscences between the 1940s and the 1960s that the four prominent announcers have had through the period of early broadcasting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early period of Korean broadcasting and the period of early radio and television. It was witnessed through these years that early announcers had been the communicator of last-minute broadcasting, and also partly the producers of broadcasting. In the meantime, they were the major public stars and important social celebrities of this historical period. It is sugges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bring the real voices of the past to the official history of early broadcasting in Korea.

      • KCI등재

        성적 응시의 재매개

        마동훈(Dong-hoon Ma),홍수정(Soo-jung Ho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4

        이 논문은 2006년 송해성 감독이 영화화한〈우리들의 행복한 시간〉텍스트가 제공하는 성적 응시의 재매개 현상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와 비매개(immediacy), 하이퍼매개(hypermediacy)의 이중논리 개념과 멀비(Mulvey)와 그 이후의 페미니스트 영화이론을 이론적 준거틀로 채용하였다. 20대 여성수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연구결과, 이들은 영화가 제공하는 남성적 시선을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와 유사한 시선을 남성배우 또는 다른 대상들에게 던지고 있었다. 따라서 투명한 비매개는 남성적인 수용 특성이라고만 볼 수 없다. 여성수용자들의 응시는 원근법에 충실한 시각적 비매개를 통해 화면을 분석하고 해부하고 있지만, 그것이 항상 성적인 욕망의 합의를 갖는 것은 아니었다. 여성 중심의 시각적 쾌락은 기존의 남성적 시선을 답습하는 면이 있으며, 한편 멀비 이후의 페미니스트 영화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양한 여성관객성은 영화의 여성수용자들의 응시에서도 역시 현저히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투명성을 구현하는 미디어에 잠재된 하이퍼매개성은 텍스트 내부에서 벗어나 여성수용자들의 관람 순간에 수용자의 응시 내부에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소설을 읽지 않은 수용자들은 결과적으로 소설을 읽은 수용자들이 소설을 통해 얻은 것과 비슷한 느낌과 주제의식을 영화를 통해 받았다고 진술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여성작가의 소설의 영향은 대중적 내러티브 영화로서 남성적 시선으로 재현된 영화에 여전히 살아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성적 시선과 여성적 시선은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것이 아니며, 투명한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의 구분 또한 이분법적으로 해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 수용자들의 관점에서 남성적 시선 또는 비매개를 구현하는 텍스트조차 충분히 즐길만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성수용자들은 자본주의 내부에서 다양화된 욕망의 대상으로서 ‘성적인 것’ 이상을 갈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여성의 즐거움이 자본의 게임에 의해 길들여진 즐거움인가 아니면 본질적인 여성의 즐거움인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또한 오늘날 미디어가 비매개의 구현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지만, 여성수용자들은 여전히 자신들 나름대로의 응시의 형태를 구축, 유지하고 있다. Textual transitions as reciprocal transfers between media are nothing new in today’s media-saturated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es of the advent and disappearance of modem communication instruments, new media remediate old media technically and culturally. Of those numerous repurposing,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ase of the remediation from a literary work into a film. A renowned Korea female novelist, Gong Ji-young wrote a best-selling novel Our Happy Time(2005). And a recent movie 〈Maundy Thursday〉(2006) by Song Hae-seong, is a dramatization from Gong’s original novel Our Happy Tim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rony that a female author’s subjectivity was represented by male gaze commonly seen in many popular narrative cinemas. The research is embodied with the concept of ‘the remediation of the gendered gaze’ that Boltar & Grusin suggested. The concept of remediation is articulated with double logic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and feminist film theory of Mulvey. Along this theoretical line, the gendered characteristics of media texts and the consequential differences of representation and reception by the gender differences of authors or audiences are explored. For this research, a couple of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with young female film-viewers. Female audience gazes for certain objec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male viewers. They look through the medium in a linear perspective pursuing a transparent immediacy. However, sometimes viewers’ gazes also show a psychological vacillation between immersion in the objects of diegesis and self-consciousness or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And audience members who had not read the novel could come in contact with the theme and motif of original novel through the remediated film. This suggests that the original character of novel as a female-oriented text was still alive in the film that sought to embody the male gaze and popular narrative. It is suggested that female subjectivity in the original novel could be remediated to the sphere of female audiences’ viewing activities. Male gaze and female spectatorship are not separable one, and the double logic of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also cannot be interpreted as a dichotomy. A popular narrative film like〈Maundy Thursday〉with Hollywood style is generally produced for transparent immediacy, but enjoyable enough to female viewers. Female viewers tend to dream of something more than sexual desire formed within the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It is also found that no matter how technologies mobilize a transparent immediacy, hypermediacy re-emerges in a repressed way in this remediated media world. It should be finally referred that the concepts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provide some utilities to expound the media transitions of the texts and their consequences in media consumption.

      • A New Northeast Asian Community? : The Experience of Winter Sonata in Japan

        마동훈(Dong Hoon Ma) 한국언론학회 2005 한국언론학회 연구보고서 및 기타간행물 Vol.- No.-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최근 수년 간의 일본에서의 한국 KBS 텔레비전 드라마 〈겨울연가〉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면, 이는 단순한 텍스트의 분석, 혹은 드라마에 대한 수용자의 표피적인 반응에 관한 고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보다 깊고 정밀한 관찰과 분석을 요구한다. 다시 이야기하면, 문화연구 관점에서의 이 현상에 대한 연구는 이 드라마가 특정한 의미있는 일본의 사청자 집단에게 사랑받게 되고, 또한 인구에 회자하게 된 당대의 일본 사회라는 특수한 공간성과 시간성을 둘러싸고 있는 보다 면밀한 역사적 맥락을 찾는 작업에서 시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논문은 첫째, 한일 양국, 그리고 한일 양 국민들 간의 ‘과거 역사의 유산’과 ‘문화적 상호교류’ 현상을 간략히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는 이 논문이 이들 역사적, 맥락적 사실들이 우리들로 하여금 일본에서의 바로 이 탈국경적 텔레비전 드라마의 엄청난 인기 현상에 대해 보다 치밀하게 설명하는 과정을 돕는 가장 중요한 준거로 보기 때문이다. 둘째, 이 논문의 논의는 탈국경적 텔레비전 시청자의 ‘주체성(subjectivity)’이라는 이론적인 개념을 보다 정교하게 발전시키고자 한다. 바로 이 ‘주체성’의 개념은 지속적으로 이 논문의 중심 논의의 촛점이 될 것이다. 그리고 셋째, 이 논문은 ‘극단적 로맨티시즘의 세계’, ‘여성의 공간 - 장르와 남자 주인공’, ‘새로운 ‘주체성의 형성’이라는 소제목을 따라 일본에서의 “겨울연가” 소비라는 특수한 현상의 설명에 이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논의의 초점은 일본의 여성, 중년층, 중산층으로 대표되는 드라마 ‘겨울연가’의 수용자 집단의 한국, 한국 사회, 한국인에 관한 ‘공적인’ 경험, 그리고 한국산 드라마 ‘겨울연가’의 초국경적 소비라는 ‘사적인’ 경험이 어떠한 상호 연관성을 갖는가 하는 문제에 있다. 이 논문의 서술은 알튀세르, 라캉, 그리고 나아가서는 스튜어트 홀로부터 광범위하게 인용한 수용자 ‘정체성’ 및 ‘주체성’에 관한 다분히 이론적인 논의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 진다. 동시에, 이 연구는 최근에 행해진 일련의 현지연구 결과에서 얻어진 경험적 연구결과들에 의해 구체화될 것이다. 이 논문은 결론적으로 한일 양 국간, 그리고 양 국의 국민들 간의 관계의 단기적, 그리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미래에 대한 모종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국경을 초월한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에 대한 조심스러운 진단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국내 미디어에 재현된 ‘예멘 난민’의 양면

        신예원(Ye Won, Shin),마동훈(Dong Hoon, Ma) SBS 2019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7 No.2

        이 연구는 2018년 6월, 무사증 제도로 제주도로 입국한 예멘 난민의 문제에 대해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두 언론사가 생산하는 담론에 대해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페어클로프의 CDA(Fairclough, 1995)를 이용해, 한국사회에서 반이주민, 반다문화 담론의 배경이 되고 있는, 네 가지 범주, 이주민의 수적 증가의 문제, 외국인 범죄의 문제, 일자리 경쟁과 같은 경제적 문제, 관 주도의 일방적 다문화 정책에 대해 예멘 난민의 기사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양 언론사는 네 가지 범주 전반에 걸쳐 상이한 담론을 생산했다. 첫째, 〈조선일보〉가 절대적 수치를 제시해 증가하는 난민의 숫자의 문제에 우려를 표한 반면, 〈한겨레신문〉은 한국 또는 제주도 내 난민 비율 등 상대적 수치를 제시하면서 난민 숫자는 현저히 미미한 문제임을 표명했다. 둘째, 일자리를 비롯한 경제 문제에 있어서 〈조선일보〉는 ‘가짜난민’과 ‘경제적 이주자’의 부당함에 주목했지만, 〈한겨레신문〉은 난민이 저임금 · 추가노동력으로 경제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 셋째, 범죄 문제와 혐오의 정서에 있어서, 〈조선일보〉는 우려의 태도를 보인 반면, 〈한겨레신문〉은 편협한 한국 사회를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정부 및 관 주도 정책에 대해, 〈조선일보〉는 ‘가짜 난민’을 색출하지 못하는 빈틈있는 심사제도에 대해 비판했지만, 〈한겨레신문〉은 긴 난민 심사 기간 중, 구직활동을 금하는 난민에 대한 처우를 비판했다. 이 연구는 언론사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난민이 경제적 이주자로서 영구적인 타자로 자리매김 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인도주의적 패러다임 하에서 인도적 체류자이자, 추가노동력으로 위치할 수 있다는 재현의 양면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produced by the two major newspapers in South Korea,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on the issue of Yemen refugees entering into Jeju Island thanks to no-Visa entry system in June 2018. In specific,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Fairclough, 1995) revealed the four controversial issues about multiculturalism on (1)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2) the economic problem such as competition for a job opportunity, (3) the problem of foreign criminals, and (4) the multicultural policies driven by government.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discourses in four issues. First, while 〈Chosun Ilbo〉 expressed a concern over the increasing number of refugees using absolute numbers. By contrast, 〈The Hankyoreh〉 claimed that the number of refugees was very small proportion compared by the whole number of Jeju inhabitants. Second, in economic matters such as jobs opportunity, 〈Chosun Ilbo〉 paid attention to the illegalness of ‘fake refugees’ and ‘economic migrants’. However, 〈The Hankyoreh〉 insisted that immigrants including Yemen refugees can be used by valuable labor force with low wages. Third, in foreign criminal and the hatred, 〈Chosun Ilbo〉 hardly ever criticized the anti-multiculturalism and hatred, while 〈The Hankyoreh〉 strongly criticized the anti-multiculturalism and hatred. Lastly, 〈Chosun Ilbo〉 more focused on the ‘fake refugees’ and insisted that the screening system of refugees must be more toughly and thoroughly. But 〈the Hankyoreh〉 sympathized refugees waiting for five years to obtain South Korean citizenship. The refugees are stateless and suffer from hardships of life during the inspection period. To sum up, as for the problem of Yemen refugees, 〈Chosun Ilbo〉 inclined to pursue an ethnocentric and more practical discourse, while 〈The Hankyoreh〉 disposed to produce a more humanitarian discourse. This study implies a media representation of anti-multiculturalism as a dominant ideology, advocating that refugees can be considered as a permanent ‘the others’ or an economic migrants, and on the contrary, under the humanitarian paradigm, refugees can be taken as an additional labor force.

      • KCI등재
      • 사이버 공간의 공동체와 분화 : 대학생PC통신 사용자를 중심으로

        김철규,나은영,마동훈 한국사회문화학회 2000 사회와 문화 Vol.12 No.-

        Community has been an important topic for social scientists,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processes of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Recently, in the context of the so-called "information revolution." on-line communities have gartered increasing interest. Despite wide and casual usage of the term "on-line community" in mass-media, little work has been done to conceptualize on-line communites and how they mimic and/or diverge from their more conventional (off-line) counterparts. This study hopes to fill this intellectual gap by re-examining the concept of community i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by interpreting primary data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on-line inter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existing literature indicates that communities in the 'real world' are not as spatially bound and homogeneous as the ideal-typical notion implies. Furthermore, our primary data shows that space and homogeneity even less significant for on-line communities, where interaction and subjective definition by participants are primary in community formation. Spatial locations(such as rural and urban)and off-line variables(such as gender or income)are not significant in the formation and types of on-line communities. This leads us to cautiously predict that on-line interaction may help construct a civil society based on solidarity other than traditional networks(such as school and regional 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