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탈식민 민주주의의 미로, 대만 태양화운동을 경유하여

        류진희(Yoo, Jin-hee)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6 교양학연구 Vol.0 No.3

        This study surveys the Sunflower Movement (March 18, 2014 ~ April 10, 2014), a youth movement in Taiwan, from a different post‐colonial perspective as compared to Korea.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new cold war in East Asia, young people have started to become more proactive as voters of representative politics and as sovereign entities. Based on the dystopian diagnosis of ‘Josun escape’ and ‘ghost island,’ the young adults of Korea and Taiwan have desired to move beyond authoritarian developmentalism since it settled in the post‐colonial era. Although both countries have experienced similar situations in terms of politics and economics, moving from the old to new empire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countries have slightly different contexts, such as ‘pro‐Japanese.’ The reason is that in Taiwan, the Cross‐Strait Service Trade Agreement’s current criticism of ‘forgetting the homeland and flattering Japan’ is coming from the same context as that of the criticism of the young people opposed to the sudden ‘pro‐Chinese’ policies. This also relates to the opposition from the youth for writing guidelines for middle & high school textbooks which revised the textbooks by merging Taiwanese history and Chinese history, emphasizing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these young people were influenced by a strong Taiwanese identity which emerged in the 2000s, and subsequently, they did not agree with non‐democratic plans being pursued without public consent. Also, they are banding together with radical worldwide youth movements protesting against the regression of East Asian democracies that have been holding economic security hostage with economic excuses. In summary, Korea needs to start thoroughly rethinking about how to move forward within the current democratic framework similar to the young Taiwanese people navigating through the East Asian post‐colonial labyrinth by recalling the old historical semantic network.

      • 실내환경의 벤젠농도를 이용한 인구집단의 노출분포

        류진희 ( Jin Hee Ryu ),안유경 ( Yoo Kyung An ),김유정 ( Yoo Jung Kim ),이석용,양원호 ( Won Ho Yang ),김순신 ( Sun Shin Kim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3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11 No.1

        An aromatic hydrocarbon compound basic are composed of only a benzene ring, a benzene (C6H6) is a substance basic compound reaction. Or inhaled in the form of steam, benzene is absorbed contact to the skin, but to suppress the central nervous system due to acute exposure, when exposed chronically to suppress the hematopoietic organs, such as multiple myeloma and leukemia I will induce hematological disease. In this study, by applying the long-term exposure rate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using the measurement data short-term measured in Japan, to understand the exposure distribution and contribution of each local environment and the exposure value predicted. Investigate the measurement data (house 35, School 37, multi-use facility 32, office 10, Total 118) short measured in the country, and calculates the weighted average of the concentration of each group. Was calculated the concentration over time by multiplying the life-time studies NSO the concentration of each population was calculated by weighted average. If the total population, in-room of new homes with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when viewed separately total population, students, housewives, the three population, 3.84 μg/m3, housewife 4.44 μg/m3, 3.85 μg/m3 student, company employee became 3.40 μg/m3. For new home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value of the exposure benzene concentration of the day of housewife living long benzene causes, new furniture, adhesive, or the like material finish construction was measured highest.

      • KCI등재

        제왕절개술 후 통증관리 방법 선택이 제통 효과와 수술 후 경과에 미치는 영향

        이영(Young Lee),김사진(Sa Jin Kim),권인(In Kwun),정대영(Dae Young Chung),김창이(Chang Yi Kim),김수평(Soo Pyung Kim),송지민(Ji Min Song),류진희(Jin Hee Yoo),이지영(Ji Young Lee),한상아,김진철(Jin Chul Kim),김창재(Chang Je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 본 연구는 통증 관리 방법 선택에 따른 제통 효과의 차이와 수술후 회복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총 90명의 제왕절개술을 시술 받은 산모들을 무작위로 군 당 30 명씩 배정하여 이중 맹검 법으로 연구하였다. 수술후 통증은 고식적인 아편양제재의 근 주법(IM군)과 통증자가조절장치를 이용하여(D군, DV군) 조절하였고 수술후 산모가 깨어나 통증을 호소할 때부터 수술후 48시간까지 시행하였다. DV군에선 diclofenac 을 통증관리 보조제로 이용하여 75 mg을 첫 근주후 매 12 시간마다 근 주 하였다. 사용된 아편양 제재의 총량, 통증 점수, 부작용 및 술후 첫 보행시기를 비교하여 각 통증 관리 방법의 유용성 과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총 아편양제재의 사용량이 DV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40-50% 감소되었다. 통증 점수는 DV군에서 6, 12 및 24시간에 다른 두군에 비해 의의 있게 낮았다(p <0.05).오심, 구토 및 어지럼증의 발생은 IM 군에서 통증자가조절장치를 이용한 두 군 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p<0.05). diclofenac을 통증 관리 보조제로 사용한 군 과 사용하지 않은 군간에 혈색소치, 헤마토크리트, 혈소판수 및 출혈시간 등 검사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수술후 첫 보행은 DV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의의있게 일찍 개시되었다(p <0.05). 결론 : 제왕절개술후 통증 관리에 아편양제재를 통증자가조절장치로 투여하며 diclofenac을 보조 제로 이용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diclofenac의 출혈 경향 유무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influence of choice of pain control method on analgesic effect and postoperative course after cesarean section. Methods: Ninety partur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and each group had 30 women. The postoperative pain was controlled with classical intramuscular injection in IM group and 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device in meperidine (D) and meperidine+diclofenac (DV) group for up to 48 hours after Cesarean section when the parturients awoke and complained pain. The parturients received intramuscular diclofenac 75 mg every 12 hours in DV group. We evaluated usefulness and safety of each pain control method on postoperative opioid requirement, numerical rating score of pain, side effect and first ambulation time for 48 hours after operation. Results: Total opioid requirement was decreased almost 40-50% in DV group. Pain score lowered significantly at 6, 12 and 24 hours in DV group(p <0.05). Nausea,Vomiting and Dizziness were increased in IM group than PCA group(p <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laboratory data including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count and bleeding time in diclofenac used group. Ambulation was started earlier significalty in DV group after Cesarean section(p <0.05).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diclofenac combined PCA is the most effective and safe method in pain control after cesarean section. But it is necessary to try further evaluation of hemostatic effect of diclofenac.

      • 새만금 간척지구 토양 염분농도 분포 특성

        김영주 ( Young Joo Kim ),오양열 ( Yang Yeol Oh ),이수환 ( Su Hwan Lee ),류진희 ( Jin Hee Ryu ),김선 ( Sun Kim ),김영두 ( Young Doo Kim ),박기도 ( Ki Do Park ),최진규 ( Jin Kyu Choi ),손재권 ( Jae Gwon Son ),윤광식 ( Kwang Sik Yoo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새만금 개발사업은 대단위 간척사업으로 국토의 확장과 더불어 농업용지의 확보 및 수자원 개발 등의 목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새만금 간척지는 전체 토지 면적 중 8,570 ha(30.3%)가 농지로 조성되며 농지이용계획 완료기간부터 점진적으로 작물재배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구에서 토양 염류 농도를 조사하여 간척지의 조기 농지화를 확립하고 간척 농지에 재배 가능한 작물을 선정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간척농지 주요 재배 작물의 적정한 염분 농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새만금 간척지내 계화지구 (1,150 ha)와 광활지구 (1,090 ha)를 대상으로 2016년 4월에 GPS를 이용하여 200 m 간격으로 격자망을 구성하여 토양 표토(0~20 cm)를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토양은 풍건 세토(2 mm체)로 만들어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를 1:5(W/V)로 희석하였으며, 다른 성분은 농촌진흥청 토양분석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간척지 토양 염류성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새만금 간척지 조사 토양의 주요 화학적 특성 및 염류성분 분포 특성은 Table 1과 같으며, 계화지구와 광활지구의 염농도(%)는 각각 0.001~2.811 (평균 0.188), 0.004~2.575 (평균 0.130)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0.16%를 나타내었다. 또한, 계화지구와 광활지구의 평균 ESP는 16.3%, 18.6%로 나타나 Sodic 토양의 기준값인 15보다 높아 Na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임신과 합병된 재생 불량성 빈혈환자 37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근호(Keun Ho Lee),이종건(Jong Kun Lee),류진희(Jin Hee Yoo),이지현(Jee Hyun Lee),조형권(Hyeong Kwon Jo),이지영(Ji Young Lee),김승조(Seung Jo Kim),김수평(Soo Py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 재생 불량성 빈혈에 합병된 임신은 산모나 태아에게 고위험 인자로 작용을 한다. 이에 저자들은 재생 불량성 빈혈의 임신에 대한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재생 불량성 빈혈 진단을 받은 환자중에 임신의 경험이 있는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토대로 진단과 임신시의 나이, 중증도, 임신 기간, 임신 종결 방법, 산과적 합병증, 치료 방법을 조사하였고, 혈액학적 소견 변화는 t-test로 통계적 차이를 보았다. 결과 : 발병 시기에 따라 임신 전에 진단 받은 군(n=12)과 임신 시에 진단을 받은 군(n=25)으로 나누었다. 재생 불량성 빈혈의 진단시 나이는 평균 27.4세이었고, 89.2%가 초산부이었고, 51.4%가 중증도 이었다. 총 50예의 임신 경험이 있었고, 치료적 유산 6예, 자연 유산 1예를 제외한 43예에서 분만을 시도하였고, 자연 분만과 제왕절개술 빈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분만을 시행한 43예의 평균 임신 기간과 신생아 체중은 37주, 2569g이었고, 합병증으로 자간전증 9예, 자간증이 2예, IUGR 8예, 조산 5예, 긴박증 4예, FDIU 3예, 신생아 사망 2예가 있었다. 임신 중에 진단을 받은 군에서는 분만전과 후에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 망상 적혈구 그리고 혈소판은 향상되는 차이를 보였다. 임신 시의 치료는 수혈, 스테로이드, ALG/ATG, IVGV 등이었고, 임신 종결에 따른 완치율은 48.6%이었다. 결론 : 재생 불량성 빈혈은 임신의 고위험 인자이며 임신은 이 질환의 발병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Objectives: To determine whether the clinical aspect of aplastic anemia is influenced by pregnancy. Methods: We reviewed 37 cases of pregnant aplastic anemia patients during Jan. 1989 to Dec. 1998, and examined age, parity, progress of pregnancy, termination methods, obstetrics & neonatal complications, hematologic change, and treatment modality by medical records. Results: According to onset of disea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pre-pregnant diagnosed group(n=12) and during-pregnancy diagnosed group(n=25). Mean age of diagnosis was 29.4yr, 89.2% were nulliparous, and 51.4% were severe aplastic anemic patients. All patients underwent 50 pregnancy. Mean gestational period was 37wks, birth weight was 2569gram, and, except in 7 cases of abortion, 43 cases were delivered transvaginally or transabdominally(51.2% vs. 48.8%). Preeclampsia, eclampsia, preterm labor, restricted growth, and distress were complicated and decreased hemoglobin, hematocrit, reticulocyte, platelet were reversed after termination in pregnancy associated group. Treatment modality during pregnancy included transfusion, steroid, anti-lymphocytic globulin, anti-thymocytic globulin and IVGV, and remission rate was 45.5% in pregnancy associated group.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aplastic anemia as a high risk factor, and intensive treatment is needed.

      • KCI등재

        체외수정 시술 후 발생된 병합임신 1 례

        박기영(Ki Young Park),이영(Young Lee),송지민(Ji Min Song),류진희(Jin Hee Yoo),박철훈(Cheol Hoon Park),고영미(Young Me Koh),김홍기(Heung Ki Kim),김창이(Chang Yee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The simultaneous existence of intrauterine and extrauterine pregnancies is known as a heterotopic pregnancy. Spontaneous heterotopic pregnancy is a rare event although its incidence has increased since the recent development of treatment of infertile women with ovulation induction or in-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IVF-ET).The theoretical rate of this condition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 in 30,000 pregnancies. The early diagnosis of heterotopic pregnancy is very difficult . So there is a high maternal morbidity and fetal loss. We reported a IVP - ET patient resulting in the successful delivery of live infant at 35weeks of gestational age from intrauterine pregnancy following surgical removal of ruptured concurrent extrauterine pregnancy.

      • KCI등재

        여성 생식기에서 난포자극 호르몬 수용체 mRNA의 발현

        김장흡,김진홍,류진희,류순원,정미영,손화정,김은중,류기성,차정호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4

        난포의 성장과 배란에 중추적 기능을 하는 뇌하수체 호르몬인 FSH는 G 단백 결합 수용체군에 속하는 FSHR과 결합하여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FSH의 유일한 표적기관은 난소이고 FSHR 유전자 역시 난소에서만 발현된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실험 동물에서 난소 외 조직내 FSHR 유전자 발현이 보고되었으며 폐경기 여성의 암발생과도 연관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인간의 여성 생식기 조직에서의 FSHR 발현 유무를 규명하고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실험은 정상 월경주기의 난포기에 있는 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난소, 난관, 자궁 체부, 자궁 경부 조직과 함께 혈액을 채취하였다. FSHR mRNA의 발현은 in situ hybridization과 QC RT-PC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In situ hybridization은 cloning된 FSHR의 DNA를 이용하여 digoxigenin이 부착된 약 800 bp의 RNA probe를 제작하고 파라핀 포매된 절편에서 시행하였다. QC RT-PCR은 primer를 제작하여 (antisense: 5’-GGCCCTGCTCCTGGTCTCTTTG-3’, sense: 3’-AACAGCGGGAGTACCTTCGG-5’) 799 bp의 PCR 산물을 생성토록 하였고, 목적 유전자와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149 bp가 결실된 DNA competitor를 제작한 후 목적 유전자와 함께 PCR하여 RNA 발현량을 비교 정량하였다. In situ hybridization상 난소 조직에서는 (5예) 일차 난포에서부터 난포의 크기에 비례하여 FSHR mRNA 발현강도가 강해졌으나, 원시난포에서는 전혀 염색되지 않았으며, 난포가 성숙난포로 성장하면서 발현이 더욱 증가하였다. 난관 조직에서는 5예 모두에서 난관의 상피세포에서만 염색되는 소견을 보였고, 자궁 내막, 자궁 근층 및 자궁 경부 조직에서는 모두 발현되지 않았다. QC RT-PCR로 정량한 FSHR mRNA의 평균 발현량은 난소에서 840.00±516.29, 난관에서 240.00±154.91, 자궁 체부에서 6.06±4.13, 자궁 경부에서 5.48±5.00 fg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FSHR mRNA는 인간의 난소와 난관 상피에서 주로 발현되었지만 자궁 체부와 자궁 경부 조직에서도 소량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난소외 여성 생식기에서의 FSHR 유전자 발현의 의의와 그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를 토대로 여성 생식기에서 FSH의 정확한 생리적 기능을 알 수 있을 뿐아니라 나아가서 폐경이후 양성 및 악성 종양화 과정과의 연관성도 밝힐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FSH is the pivotal hormone in the regulation of ovarian function and acts by binding to specific receptor, FSH receptor (FSHR), which is belong to the family of G-protein coupled receptor. It have been considered that ovary is the only target organ of FSH because FSHR mRNA was first detected in ovarian follicles. However expression of FSHR mRNA was also detected on fallopian tube in experimental animal study and it is related wih tumorigenesis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FSH function in female genital organs, the ontogeny of the production profile of FSHR and the pattern of its localization in female genital organs were studied. We obtained the fresh tissues of ovary, fallopian tube, uterine body and uterine cervix with blood samples during proliferative phase in women with regular menstrual cycle. To establish FSHR mRNA expression of human internal genital organ, we studied by using in situ hybridization and quantitative competi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C RT-PCR). To localize FSHR transcripts by in situ hybridization, we synthesized digoxigenin-labelled ssRNA probe (about 800 bp) from the cloned FSHR cDNA. For QC RT-PCR, we designed oligonucleotide primers (antisense: 5’-GGCCCTGCTCCTGGTCTCTTTG-3’, sense: 3’-AACAGCGGGAGTACCTTCGG-5’) which produced 799 bp sized PCR products. Simultaneously we synthesized 149 bp deleted DNA competitor by site-directed mutagenesis to quantify target FSHR mRNA expression comparing as internal control. In situ hybridization with digoxigenin-labelled ssRNA probe showed no signal above the background in primordial follicles. FSHR mRNA was first detected in the single layer of cuboidal granulosa cells surrounding primary follicles. As follicular growth progressed, FSHR mRNA expression increased gradually in antral and graafian follicles. Similary, in fallopian tube, the epithelium stained intensly. But FSHR mRNA expression was absent in uterine body including endometrium and myometrium and uterine cervix. Total RNA was extracted and quantitated by QC RT-PCR. The amounts of FSHR transcript measured were 840.00± 516.29 in the ovarian tissue, 240.00±154.91 in the fallopian tube, 6.06±4.13 in the uterine body, 5.48±5.00 fg in the uterine cervix.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FSHR mRNA is expressed in the ovary and fallopian tube, albeit only small amount was expressed in uterine body and cervix. In conclusion, the presence of FSHR mRNA in female internal genital organ with site specific pattern suggested that FSH may have some role in female genital organs during the adult reproductive cycle and may act as an factor in the tumorigenesis. Further study about the functional role and tumorigenesis of FSH should be performed in human internal genital org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