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 및 효율성

        노혜진(Hye-Jin No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급여가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하여 공적연금, 기초연금, 양육수당, 장애수당, 기초생활보장지원금, 근로장려금, 기타 정부보조금 등 7개 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빈곤율 감소 측면에서 사회보장급여는 전체가구의 빈곤율을 6.8%p 낮추었고, 빈곤율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급여는 공적연금으로써 이는 특히 남성노인에게서 명확하다. 둘째, 빈곤강도 감소 측면에서 노인세대 남성가구에게는 공적연금이, 노인세대 여성가구주에게는 기초연금이, 근로세대 여성가구주에게는 기초보장이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빈곤완화 효율성 측면에서, 사회보장급여 중에서 약 33% 정도가 빈곤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하는데, 여성가구주의 빈곤완화 효율성은 57.6%, 남성가구주는 24.3%로써, 사회보장급여가 여성가구주에게는 빈곤격차 완화 기능을, 남성가구주에게는 가구소득 보충 기능을 주로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보장 급여 효과성의 다각적 검토,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으로써 다양한 빈곤상태 발굴,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기초보장 확대, 사회보장급여의 목적과 핵심 대상과의 연결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to poverty allevi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basic pension, child-rearing allowance, disability allowance, basic living security subsidy, EITC, and other government subsidies using 2019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ecurity benefits lowered the poverty rate by 6.8%p. Second, in terms of the poverty gap reduction effect, the public pension for the elderly male households, the basic pension for the elderly female householder, and the basic guarantee for the working female householder contributed the most. Finally, in terms of poverty alleviation efficiency, about 33% of social security benefits contribute to narrowing the poverty gap. Social security benefits for female heads of households were found to serve as a function of alleviating poverty gap and for male heads of households to supplement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iscovery of various poverty states, expansion of basic security for the female elderly,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rpose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key targets.

      • KCI등재

        한국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

        노혜진 ( Hyejin No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가족의 삶과 매우 밀접한 영역인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를 아동가구, 노인가구, 장애가구, 빈곤가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서비스 수요공급실태조사의 가구용 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4,038명이다. 분석의 결과 대상의 포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규모가 가장 큰 서비스는 고용지원서비스와 문화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 유형별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가구에서 주거지원 서비스, 노인가구에서 상담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급여의 충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정도가 가장 큰 서비스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가구 유형별로 봤을 때는 노인과 장애가구, 빈곤가구 모두 성인돌봄서비스가 서비스의 양적 충분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가구는 지역사회서비스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 서비스에 대한 확대, 현재 과잉공급되는 것으로 분석된 서비스에 대한 점검, 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사각지대가 큰 것에 대한 민간조직의 집중 개입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blind zone of social services and analyzing the conditions by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poor.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of demand/supply of social service and sample size is 4,038.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verage, the biggest blind zones of social service are the employment support and cultural service. These results were similar for all households. But, it is noteworthy that the size and proportion of blind zones of housing support services for children, counseling services for elderly are relatively big. Second, in terms of adequacy, the most serious blind zones of social service are health and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 Especially,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poor are not the most adequate adult care services and children ar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expansion of employment support services and health care, monitoring for the services analyzed to be over-supply, and intensive involvement of private sectors about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of a large blind zone.

      • KCI등재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빈곤

        노혜진(Noh, Hye-Jin) 한국여성연구소 2013 페미니즘 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빈곤의 여성화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 맥락이 되었던 여성의 고용률 증가가 한국사회에서는 왜 발생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여성에게 노동자라는 지위가 주는 이점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 연구는 아내, 어머니, 노동자중에서 어떤 지위에 있는 여성의 빈곤위험이 높은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동패널 1차자료부터 13차자료까지 13개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서구 국가와 비교하는 과정에서 룩셈부르크 소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집단별 빈곤율 실태를 살펴보면 아내, 노동자, 어머니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여성, 성인기 자녀를 둔 취업여성, 고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전업주부 순으로 빈곤율이 낮게 나타났다. 특히 전업주부의 빈곤율이 서구에서는 전체 여성의 빈곤율보다 평균 2-3배 높은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반대의 결과가 발견되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는 자녀가 있는 여성의 빈곤율이 자녀가 없는 여성보다 높은 어머니 패널티(mother penalty)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여성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생애주기에 입각하여 자녀 양육시기가 지난 여성에게는 노동자로서의 지위가 빈곤위험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여성의 세 가지 지위 중에서 빈곤위험을 가장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이 아내 지위라는 결과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며, 노동시장 내에서 여성에게 주어지는 일자리가 이들의 빈곤을 해결해주지 못하는 현실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women’s social roles and women’s poverty for last 12 years in Korea. The formation of the women’s social roles is based on the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women as wives, mothers, and workers. To analyze the relation, this study used Korea Labour Panel data(1-13waves) and Luxembourg Income Stud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verty rate of housewife (married ? mother - homemaker), working wife (married ? childless - worker), and working mom (married ? mother - worker) is low. Second, mother’s poverty rate is lower than non-mother, so mother penalty related with poverty is not found. Finally, limited to women with higher education, the poverty rate of housewife has decreased extremely. This result implies the social rights and protection of women as a housewife in this group have increased.

      • KCI등재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

        노혜진 ( Hye Jin Noh ),김교성 ( Kyo Seong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실효성있는 탈빈곤정책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소득뿐만 아니라 시간을 고려한 대안적 빈곤측정과 분석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생계부양자의 연령이 60세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빈곤과 시간빈곤, 그리고 소득과 시간의 이중빈곤을 산출하였다. 더불어 시간빈곤으로 인하여 돌봄서 비스를 시장에서 구매하는 과정에서 추가 지출이 발생함에 따라 소득빈곤이 새롭게 발생하는 상황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득빈곤율의 평균수치는 9.5%이고, 시간빈곤율은 15.7%이며, 시간조정 소득빈곤율은 10.8%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으면서 미취학자녀가 있는 한부모가구의 경우, 소득빈곤뿐만 아니라 시간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구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을 통한 빈곤탈출만을 강조하는 복지정책의 실효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사회복지정책이 궁극적으로, 임금노동과 돌봄노동, 그리고 여가 간 상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서,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n alterna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overty considering income as well as time in order to present an effective antipoverty policy. Based on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5), the income poverty, time poverty, and double poverty of household in which householders were under 60 years were measured. Moreover this paper found that households experiencing the time poverty might be faced with additional income poverty because of the necessity to purchase care services in the market to compensate for the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come poverty rate is 9.5%, time poverty rate is 15.7%, and time-adjusted income poverty rate is 10.8%. And low-educated single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d income as well as time poverty. Therefore, this paper proved that the `welfare to work` policy without considering situations in household could be faced with the limit.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at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aim at minimizing the tradeoffs among different works and activities, and then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세대에 따른 유아의 실개천 놀이 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노혜진(Noh Hae Jin),최경숙(Choi Kyung-sook),김윤나(Kim Yunna),박미숙(Park Mi Sook),임지혜(Lim Jee Hye),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세대에 따른 유아의 실개천 놀이문화 양상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개천이 있는 A마을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노인 5명과 실개천에 놀이하러 정기적으로 오는 유아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7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 메모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사, 코딩, 영역분석과 주제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 노인들이 A마을 실개천에서 행한 어린 시절 놀이는 ‘고통을 뒤로 한 풍성함’, ‘아찔함과 함께한 즐거움’, ‘몸이 기억하는 감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대 유아들의 실개천 놀이는 ‘두려움을 넘어선 생성’, ‘자연과의 교감’, ‘옛 세대와의 교감’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실개천을 중심으로 한 노인들의 어린 시절 놀이와 현대 유아들의 놀이 사이에는 공동체와 함께함, 몸으로 체화함, 자연물로 놀이함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개천을 바라보는 관점과 실개천 내 생물을 바라보는 관점, 실개천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서 두 세대 간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동일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를 통시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본 연구는, 시대에 따른 유아 놀이 변화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ldren’s play around a stream from a diachronic view. For this reason, this ethnographic study selected five elderly who spent their childhood in A village with the stream, and eight children who come to play in the reconstructed stream regularl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7 to February, 2018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s. The data was transcribed, coded, and categorized through domain analysis and theme analysis. The them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old people’s childhood, children’s play were characterized as ‘richness with pain’, ‘pleasure with dizziness’, and ‘emotions that the body remembers’. On the other hand, modern children’s play are characterized as ‘creation beyond fear’,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communication with the old gener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found common ground between children’s play around the stream of the elderly and that of the modern children: play with communal harmony, subjected with the body, and play with the natu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n terms of the view of the stream, the view of lives in the stream, a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lay around the stream.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nalyzed the play in the same space with diachronic viewpoint, will be the basis for the study of children’s play changing over time.

      • KCI등재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운영구조의 유형화

        노혜진 ( Noh Hyej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전세계 42개 SIB 사업의 운영구조를 검토하고, 주요 단계별 핵심기준을 중심으로 유형화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SIB의 향후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IB의 기획은 중앙정부의 부처가 기획한 경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투자자 구성은 2-3개 조직이 공동투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는데, 이 때 사회적금융조직이 투자자로 포함된 경우가 54.8%로 가장 많았지만, 민간 투자은행이나 고액 투자자가 참여하는 경우도 33.3%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의 제공은 단일조직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전체 분석사례 중 73.8%였고,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서 74%가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셋째, 성과평가는 특정기준에 도달할 경우 성과를 지급하는 방식인 `성과표` 방식이 전체 사례 중 64.3%로 가장 많았지만, 유사한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성과를 평가하는 경우도 23.8%나 존재했다. 넷째, 유형화 분석 결과 세 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번째로 도출된 유형은 `중앙정부-사회적 금융 결합형`으로서 중앙정부가 기획하고 사회적 금융조직이 주요한 투자자가 되면서 성과표를 중심으로 성과급을 지급하는 형태이다. 두 번째로 도출된 유형은 `복합참여형`으로서, SIB의 단계별로 참여하는 주체들이 가장 다양할 뿐만 아니라, 성과평가 과정에서도 가장 체계적인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서비스는 주로 단일 기관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비교집단을 통한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한 성과평가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 유형은 `서비스기관 다수형`으로서, 유형의 고유한 특이점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복수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SIB에 대한 통계적 유형화를 처음으로 시도한 본 연구는 운영구조에 대한 개괄적 설명이나 단순나열식 비교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SIB 관련 연구를 보다 체계화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SIB를 기획하는데 있어 주요 단계별 고려해야 하는 이슈 및 쟁점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지방정부나 민간조직이 SIB를 기획하는 경우에는 투자자 구성이나 참여하는 주체의 만족을 위하여 성과평가 및 관리와 관련된 방안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임을 제안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SIB의 등장 배경인 다양한 주체간 협치와 네트워크가 보다 활발하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기획자나 투자자 구성이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Social Impact Bonds(SIBs) has emerged as a promising way to finance proven social services programs, fund what works, and drive government accountability and has increased fas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and classifies the structure of SIB focusing key criteria of the main steps through two-step cluster analys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ommissioners of SIB are the ministr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 terms of the stage of invest, there are usually two or three investors mainly consisting of social finance organizations. Second, in terms of target and age of SIB beneficiaries, it focuses on the adolescent and youth. Third, in the outcome evaluation stage, the results show that in most cases outcome payments are determined by a validation of service provider or government administrative data. However, the rate of payments are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program beneficiaries to other comparable groups is 23.8%. Finally, The results of two-step cluster analysis are as; `mix of central government and social finance organization`, `multiple agent including private organization`, and `multiple social provider`. Among three types, `multiple agent including private organization` shows the most active participation between agents and the most systematic outcome measurement and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to manage and measure outcome in SIB structure. Moreover, the consist of commissioners or investors is needed to expanded more.

      • KCI등재

        빈곤가구 자녀의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를 통하여 빈곤의 세대간 이전이 진행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건배열분석을 통하여 빈곤가구에서 성장한 자녀를 대상으로 청년기 노동시장 진입과정을 유형화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고소득가구 자녀와 비교하였다. 종사상지위와 직업을 중심으로 이행과정을 분석한 결과, 우선 종사상 지위 측면에서 빈곤가구 자녀는 정규직 중심형, 정규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진입과 이탈 반복형 등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에 비해 고소득 가구의 자녀는 정규직 중심형, 정규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등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한편, 직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빈곤가구는 기능장치형, 빈번한 이직형, 다양한 직종형, 미취업형 등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고소득가구는 전문 사무직형, 전문 사무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등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고소득가구 자녀의 경우 청년기에 이미 전문직이나 사무직 정규근로자로의 이행이 고정되고 있는 반면, 빈곤가구 자녀는 노동시장의 진입과 이탈뿐만 아니라 직업의 이동도 빈번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청소년기를 보낸 두 개의 집단이 청년기에 노동시장 진입과정에서도 상이한 경험을 하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생애소득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유추할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of poverty through classification of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In order to find out an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classifies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of youth among poverty and compares the result with 5th quintile. To analyze entry process, this study used optimal matching of seque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analysis from Korea Labour Panel data(1-11wav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or youth were divided into 4 clusters (regular worker, change to regular worker, unemployment, and repeat of entry and exit) from employment status. And rich youth were classified 3 clusters (regular worker, change to regular worker, and unemployment). Second, in terms of job, poor youth were divided to 4 clusters (manual worker, frequent change job, various jobs, and unemployment). And rich youth were classified 3 clusters (professional, change to professional, and unemployment). These finding means that poor youth already experience unstable labour from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And it is able to affect to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overty.

      • KCI등재

        지역재단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노혜진(Hyejin Noh),이현옥(Hyun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역재단의 활동에 주목하여, 지역재단의 역사가 길지 않은 한국의 현실에서 과연 지역재단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운영되며,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과 지자체 지역재단에서 활동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지역재단의 정체성 규정에 있어 설립주체에 따른 구분보다 지역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모금을 지역재단의 중요한 성과로 보았다. 지역재단 운영과정에서 제도적·정치적 환경의 문제, 조직역량의 미흡으로 인한 모금의 어려움, 지역재단 정체성 확립에서의 문제, 지역내 다른 기관들과의 관계 및 주민참여의 문제, 역량부족과 제도적 불안정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재단이 지역문제해결의 중간지원조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정체성 수립과 모델 개발,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기능 강화, 지역재단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행정적·제도적 지원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what i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foundation, how it operates, and what difficulties it fa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5 practitioners working in community found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participants to identify what their organizations are doing for the community rather than to distinguish them by their legal status. Second, community foundations recognize fundraising as an important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 type. Third, community foundation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aising funds, establishing community foundation identity, relationship with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area, citizen participation, organizational capacity and institutional instability. Therefore, as a policy alternative for community found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model of community foundation suited to Korean situation, the enhancement of capacity as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government.

      • KCI등재

        행위주체별 자녀 돌봄시간의 배열과 계층간 차이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탈가족화와 가족화 개념틀을 활용하여 영유아 자녀를 돌보는 가족의 일상에서 행위주체별 돌봄의 배열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배열에서 계층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현실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2년도 보육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사건배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행위주체별 돌봄의 배열에서 친인척돌봄형, 퇴근후부모돌봄형, 친인척경유부모돌봄형, 4시부터부모돌봄형 등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의 영향요인이 부모의 근로시간뿐만 아니라 가구, 여성의 소득수준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저소득 여성의 경우 가족화에서 탈가족화, 그리고 다시 가족화로 이행하는 과정이 매우 엄격하여 삶에서의 선택과 통제의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반면, 고소득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으로 인하여 각각의 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괴리를 친인척에 의한 가족화, 혹은 비혈연 양육서비스를 통한 탈가족화에 의해 채우고 있었지만,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속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운영시간에 기초한 무상보육의 지원, 미취학자녀를 둔 부모의 근로시간 축소전략, 동네단위 보육 네트워킹의 제도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rangement of care to preschool children in daily life through de-familialization and familialism framework. And this study considers the arrangement by class. In this end, this study used optimal matching of seque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rangement of care was found in four cluster, these cluster are significant by the income of households and mother. Second, in the case of low-income women, the transition from familialism to de-familialization, and again to familialism was very limited and rigid. So the scope of control and choice of them was little. Third, relatively high income women could fill the gap in the transition process with familialism by kinship and de-familialization by caregiver. But they should try to build and maintain the network endlessl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 realistic operating hours of child care center to support working mother and the improvement of long working hours.

      • SCOPUSKCI등재

        위장관 ; 조기 위암 및 위선종 환자에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시행한 근치적 부가적 위절제술의 임상, 병리학적 고찰

        노혜진 ( Hye Jin Noh ),박종재 ( Jong Jae Park ),윤재원 ( Jae Won Yun ),권민정 ( Min Jung Kwon ),윤대웅 ( Dae Woong Yoon ),장원진 ( Won Jin Chang ),오하영 ( Ha Yong Oh ),주문경 ( Moon Kyung Joo ),이범재 ( Beom Jae Lee ),김지훈 ( Ji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4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has been widely performed. However, procedure related-complications and the risk of tumor recurrence are limitations.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additional gastrectomy (gastrectomy) after ESD. Method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ses underwent gastrectomy after ES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Between January 2002 and August 2010, 1,512 cases underwent ESD for early gastric cancer (n=511) or adenoma (n=1,001). Thirty-two cases (2.1%) underwent gastrectomy after ESD. Thirty cases (2.0%) were EGC and 2 cases (0.1%) were adenoma. Extended indication, larger tumor size and piecemeal resection were risk factors for gastrectomy after ESD. According to the causes of gastrectomy, 13 cases underwent gastrectomy due to complications (40.6%; bleeding in 9, perforation in 4), and 19 cases based on pathological results (incomplete resection in 13, lymphatic invasion in 6). In cases with incomplete resection, the rate of residual tumor and lymph node metastasis after gastrectomy was 69.2% (75% lateral margin, 60% deep and 75% both) and 7.7%, respectively. Three (50%) of the 6 cases with lymphatic invasion had lymph node metatstasis. Conclusions: The causes of gastrectomy after ESD were the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the incomplete resection and lymphatic invasion. For complete and curative ESD, endoscopists should try to minimize complications and determine the depth of invasion accurately before ESD. (Korean J Gastroenterol 2012;59:289-29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