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노원경,양정실,오택근,최성희,이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101 questions including 10 factors in 3 areas of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first developed as a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 and then preliminary surveys(256) and main surveys(380)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it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total reliability of 77 questions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909, indicating that all items were consistently constructed. In the analysis of the fit and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all The model goodness of fit was CFI, TLI .90 or higher, and RMSEA .08 or lower, which met acceptable standard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itness of the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of the measurement tool, CFI=.955, TLI=.950, As RMSEA=.051, the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 structurally appropriate model. In addition, the final scale was found in the range of r=.25∼76(p<.01) as a result of the teacher's creative teaching efficacy scale and reference validity analysis,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 question of this scale and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3권 제3호 (2020) 104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hool, whether or not to designate an innovative school, the size of the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gender and position of teachers, and career. In addition, it suggested how to use the measurement to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iagnosis of the teacher's creative classroom cul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plan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related variables using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로 먼저 인식, 실행, 환경지원의 3개 영역에서 10개 요인을 포함하는 101개 문항을 개발한 후,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256명)와 본조사(380명)를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77개 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909로 나타나 전체 문항들은 일관성 있게 구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에서 인식, 실행, 환경지원 영역 모두의 모형 적합도는 CFI, TLI .90이상, RMSEA .08이하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기준치를 충족시켰으며, 측정도구의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CFI=.955, TLI=.950, RMSEA=.051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구조적으로 적합한 모형임이 판명되었다. 또한 최종 척도를 교사의 창의적 교수 효능감 척도와 준거 타당도 분석 결과 r=.25∼76(p <.0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본 척도의 최종 문항과 교사 배경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소재지, 혁신학교 지정여부, 학교 규모, 학급당 학생 수, 교사 성별 및 직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에 대한 진단 목적에 따라 측정도구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한 다양한 관련 변인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 조성 방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노원경,이혜경,조나영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최소 한 학기 이상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가 28명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튜터링 프로그램 의 평가준거는 평가영역, 평가항목, 평가지표로 세분화되어 튜터용과 튜티용으로 각각 구분되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는 디음과 같다. 첫째,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영역에는 튜터, 튜티의 경우 튜터링 ‘전(前)’, ‘중(中)’,‘후(後)’ 3 개 영역이, 기관의 경우 ‘프로그램 운영’과‘ 프로그램 효과’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에는 튜터 14개, 튜티 8 개, 기관 6개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셋째, 평가지표는 평가항목을 구체적으로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는데 튜터는 37개의 문항이 튜티는 34개의 문항이 개발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 개발된 평가지표의 타당도는 대부분 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준거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고, 튜터링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n evaluation criterion to appraise efficiency of tutoring program and providing the foundation of systematic management in order to help to raise the quality of tutoring progra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ree times a Delphi survey of 28 experts, who have an experience to manage tutoring program in a university's CTL(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t least over a semester. Evaluation criteria of tutroting program were examined their validity in terms of evaluation region, contents and index. In consequence, Each tutors and tutees questionnaire were drawn from this validation of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at first, as for the evaluation region, it is recommended to inspect 3 regions('before', 'during' and 'after' of tutoring) for tutors and tutees and to estimate 2 regions(‘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efficiency of the program') for institutions. Secondly As for the evaluation contents, there are 14 categories for tutors, 8 for tutees, and 6 for the institutions selected. thirdly, The evaluation index consists of a questionnaire to ask about the evaluation contents in detail and 37 questions for tutors, 34 for tutees drawn from the process above. The Delphi survey carried out three times in this research demonstrates a high validity rate of average 4.0.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of tutoring program proposed by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instrument to improve existing tutoring program by providing data to estimate their efficiency.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노원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직접 미치는 영향과 학생의 학습전략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은 외생변수로,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는 내생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내생변수 중 학습전략은 매개변수로 구조방정식에 포함되었다. 분석은 한국교육종단연구 3차년도(2007년)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학업성취도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는 서로 유의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은 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준다. 셋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이 긍정적일수록 학생은 학습전략을 많이 활용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넷째, 과목별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학 과목이 영어와 국어 과목에 비해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있어서 학습전략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과 학급차원의 지원방안

        노원경,김태은,정은주,김의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의 문제 행동 특성과 이러한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64명의 교사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고, 인터뷰는 정서 및 행동문제가 있는 초등학생의 행동 특성과 그 정도 및 이러한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방안에 관한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전사한 후 총 3차례에 걸쳐 코딩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은 내면화 행동 특성과 외현화 행동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내면화 행동 특성으로는 감정 기복이 심함, 불안, 선택적 함묵, 우울, 위축, 자살충동 등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행동 특성으로는 가장 많이 언급된 공격행동, 과잉행동을 비롯해 TV/컴퓨터게임/인터넷중독, 고자질/거짓말, 자기 미조절, 반항/욕설, 권력에 복종/역이용, 자폐적 성향, 도벽, 주의력 결핍, 학교거부, 성(性)적인 행동, 부정적 반응/자기방어, 언어기술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 방안은 행동 지원 영역과 학습 지원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행동 지원 방안은 대상 학생에 대한 정서적 지원, 학급 운영 전략의 변화였으며, 학습 지원 방안은 교수 전략의 변화, 학생의 개별 학습 수준과 속도를 고려한 자료 제공, 소그룹 운영 또는 개별 지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의 문제 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외부 전문가의 도움도 중요하지만, 교사의 학급 내 지도 역량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