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고운전> 독서교육 방법 연구

        노성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5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oriented value and activity method of reading education of <ChoiGoWoonCheon> based on the class goal of 'reading and writing'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hoi Chiwon in <ChoiGoWoonCheon> overcomes a national crisis with not the forces but the power of culture. Therefor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to discover the oriented values of cultural heroes. The method of expression activities was designed to include the ‘visioning the narratives’ as reading of the text in detail, ‘virtual casting’ to integrally recognize the character of the main character, 'tracking the journey of search' to organize the exploration structure of the main character, and 'media production' as a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 KCI등재

        <최고운전> 기우모티프와 돝섬기우제 비교 연구

        노성미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4 No.-

        This paper is to examine mythologizing phenomenon for Choi Chi-Won by closely comparing the praying motif for rain in 「Choigounjeon」 with ritual for rain in Dotseom. The motif ritual for rain in 「Choigounjeon」 together with the birth motif contributes to prove the divinity for Choi Chi-Won. The praying request for rain of island residents and the rainfall by Dragon occurred based on the ability of the main character's sentences. The activity space of the main character was expanded by setting up the fantasy world which is Dragon's Palace and it was stated that the main character came into being by involving the heavenlyfigures. In addition, it was contributed to mythologization of the main character by giving justification for his divinity expression in overall narrative. The birth tale of the ritual for rain in Dotseom of Changwon is associated with the birth story of Choi Chi-Won. Later on the ritual for rain was held mimicking the fact that he held a sacrificial rite in order to remove the spirit of ghost. ritual for rain of Jacheondae in Okgu began due to magic effect of a treasured book and stone dragon. The ritual for rain of Dotseom was changed from sacrificial rite for the dragon god into the form of fire at the top of a mountain. the ritual for rain of Jacheondae became faded because the stone dragon was buried due to high cost. Such changes of the ritual for rain ocurred in the process of fading of the divinity and secularization. The praying motif for rain in 「Choigounjeon」 and the birth tale of the ritual for rain of Dotseom pursue mythologization of personage by connecting a historical figure Choi Chi-Won with the context of the sacrificial rite. In addition, secularization phenomenon of the divinity was found i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acrificial rite. 이 연구의 목적은 「최고운전」의 기우모티프와 돝섬기우제를 비교함으로써 소설과 민속신앙에 나타난 최치원의 신화화 현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최고운전」 기우모티프의 기능은 탄생모티프와 함께 주인공의 신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주인공은 중국으로 가는 도중, 섬주민의 기우요청에 따라 용자(龍子)를 시켜 비를 내린다.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주인공의 문장능력이다. 기우모티프는 용궁을 설정함으로써 주인공의 활동공간을 확대하고,천상을 개입시켜 주인공이 적강한 존재임을 진술하게 한다. 이들 요소는 중국 황제에 대한 최치원의 능력의 우위를 확보하며 주인공의 승리에 당위성을 부여한다. 창원지역의 돝섬기우제는 최치원이 요괴의 기운을 퇴치한 능력과 그가지낸 제사 장소의 신성에 근거하여 형성되었다. 기우제의 형식은 제관 1명이 밤중에 돝섬에서 용신께 지내는 제사와 마산주민들이 가정에서 항아리를 엎어서 금줄을 두르거나 솔가지 꽂은 물병을 거꾸로 매다는 주술적 신앙이 병행되었다. 의례로서의 기우제는 사라지고 산정분화(山頂焚火) 형식의민속만 전승되다가 현재는 모두 전하지 않고 돝섬의 무속신앙으로 흔적이남아있다. 「최고운전」의 기우모티프와 돝섬기우제는 역사인물 최치원의 행적에 근거하고 있다. 소설은 최치원의 문장능력에 가치를 부여하고, 돝섬기우제는최치원이 머물렀던 월영대와 돝섬이라는 장소의 신성에 가치를 부여한 것이다. 소설에서 최치원이 비를 내리는 능력을 발휘한 것, 돝섬기우제 발생설화와 의례가 최치원의 신성에 근거한 것은 모두 역사인물의 신화화현상이다.

      • KCI등재

        고전문화 : <최고운전> 기우모티프와 돝섬기우제 비교 연구

        노성미 ( Seong Mi Rho )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최고운전」의 기우모티프와 돝섬기우제를 비교함으로써 소설과 민속신앙에 나타난 최치원의 신화화 현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최고운전」 기우모티프의 기능은 탄생모티프와 함께 주인공의 신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주인공은 중국으로 가는 도중, 섬주민의 기우요청에 따라 용자(龍子)를 시켜 비를 내린다.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주인공의 문장능력이다. 기우모티프는 용궁을 설정함으로써 주인공의 활동공간을 확대하고,천상을 개입시켜 주인공이 적강한 존재임을 진술하게 한다. 이들 요소는 중국 황제에 대한 최치원의 능력의 우위를 확보하며 주인공의 승리에 당위성을 부여한다. 창원지역의 돝섬기우제는 최치원이 요괴의 기운을 퇴치한 능력과 그가지낸 제사 장소의 신성에 근거하여 형성되었다. 기우제의 형식은 제관 1명이 밤중에 돝섬에서 용신께 지내는 제사와 마산주민들이 가정에서 항아리를 엎어서 금줄을 두르거나 솔가지 꽂은 물병을 거꾸로 매다는 주술적 신앙이 병행되었다. 의례로서의 기우제는 사라지고 산정분화(山頂焚火) 형식의민속만 전승되다가 현재는 모두 전하지 않고 돝섬의 무속신앙으로 흔적이남아있다. 「최고운전」의 기우모티프와 돝섬기우제는 역사인물 최치원의 행적에 근거하고 있다. 소설은 최치원의 문장능력에 가치를 부여하고, 돝섬기우제는최치원이 머물렀던 월영대와 돝섬이라는 장소의 신성에 가치를 부여한 것이다. 소설에서 최치원이 비를 내리는 능력을 발휘한 것, 돝섬기우제 발생설화와 의례가 최치원의 신성에 근거한 것은 모두 역사인물의 신화화현상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mythologizing phenomenon for Choi Chi-Won by closely comparing the praying motif for rain in 「Choigounjeon」 with ritual for rain in Dotseom. The motif ritual for rain in 「Choigounjeon」 together with the birth motif contributes to prove the divinity for Choi Chi-Won. The praying request for rain of island residents and the rainfall by Dragon occurred based on the ability of the main character`s sentences. The activity space of the main character was expanded by setting up the fantasy world which is Dragon`s Palace and it was stated that the main character came into being by involving the heavenlyfigures. In addition, it was contributed to mythologization of the main character by giving justification for his divinity expression in overall narrative. The birth tale of the ritual for rain in Dotseom of Changwon is associated with the birth story of Choi Chi-Won. Later on the ritual for rain was held mimicking the fact that he held a sacrificial rite in order to remove the spirit of ghost. ritual for rain of Jacheondae in Okgu began due to magic effect of a treasured book and stone dragon. The ritual for rain of Dotseom was changed from sacrificial rite for the dragon god into the form of fire at the top of a mountain. the ritual for rain of Jacheondae became faded because the stone dragon was buried due to high cost. Such changes of the ritual for rain ocurred in the process of fading of the divinity and secularization. The praying motif for rain in 「Choigounjeon」 and the birth tale of the ritual for rain of Dotseom pursue mythologization of personage by connecting a historical figure Choi Chi-Won with the context of the sacrificial rite. In addition, secularization phenomenon of the divinity was found i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acrificial rit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별신대의 제의적 기능 연구

        노성미(Rho Seong-Mi)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이 논문은 마산 별신제에서 별신대가 어떤 기능을 하는가를 밝힌 것이다. 마산지역의 별신대는 제당의 변화와 신격의 복합현상 위에서 이해해야 한다. 별신대세우기는 별신제가 조창제에서 시장제로 전환되는 시기에 어시장에 제당이 설치되면서 의례로 형식화되었다. 별신대는 자산동 뒷산에 신목으로 지정된 소나무를 재목으로 하고, 10년 대제 때 이 나무에 간단한 제를 지낸 후 벌목하여 어시장 제당 앞으로 운반한다. 나무 끝에 가로목을 대고 양쪽에 방울을 단다. 신목 주변에 황토를 뿌리고 제물을 진설한 후 별신굿을 한다. 굿이 끝나면 시장사람들에게 제물을 나누어 주고 별신대로 제당을 보수한다. 별신제 제당의 원형은 산제당이다. 이 산제당은 산신각, 목신각, 용왕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민간신앙에서 이들 신격은 호랑이, 총각, 뱀, 산신, 산왕대신 등으로 표상된다. 어시장의 신당에 안치된 신격은 별신장군으로 대표되는데, 별신제의 ‘별’과 인격신인 ‘장군’이 결합된 신격이다. 어시장 제당에 성신의 위패를 안치하고 별신장군을 모심으로써 산제당은 공적 제당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 산제당의 산신 또는 목신의 신격은 별신대로 상징되고 이것은 시장으로 내려와 좌정함으로써 우주목이 된다. 이 우주목은 신이 내리고 인간의 기원이 신에게 소통되는 별신굿의 중심이다. 이 별신대로 제당을 보수하는 행위는 산제당의 신격과 별과 장군신이 하나로 융합되어 하나의 온전한 신체가 되게 하는 것이다. 마산 별신대는 솟대의 형태에서 제당의 신체로 변화되어 항시적 존재로서 신성을 유지한다. This paper makes the function of Byeolsindae in the Byeolsinje clear. Byeolsindae in Masan should be understood upon the complex phenomena of godship and change of shrine. The constuction of Byeolsindae became a formal ceremony together with the installation of shrine in the fish market i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Jochangje to market rites. Byeolsindae was built of the pine timber designated as a god-tree of the hill at the back of Jasandong. This tree was felled and carried to shrine of the fish market after a simple ritual ceremony in 10th great ritual ceremony. a horizontal wood with bells at both ends was added at one end. Sacrificial offering was set after sprinkling ocher near the god-tree and practice Byeolsingut. After the exorcism sacrificial offering was distributed to the market people and shrine was repaired with Byeolsindae. The prototype of Byeolsinje is Sanjedang which is composed of mountain-god shrine, wood-god shrine and dragon-king shrine. This divinity in the civil religious belief is represented as tiger, snake, mountain-god, Sanwangdaesin etc. The divinity of shrine of the fish market is represented as Byeolsinjanggun who is combined divinity of ‘Star’ in Byeolsinje and ‘General’ as personal god. Sanjedang lost its function of public shrine due to setting the star-god tablet and enshrining Byeolsinjanggun. The divinity of mountain-god or wood-god of Sanjedang is symbolized as Byeolsindae which becomes cosmic tree by coming to and staying at the market. This cosmic tree is a central part of Byeolsingut where the god descends and people’s prays are understood by god. The action of repairing the shrine with Byeolsindae merges the divinity of Sanjedang, star and general-god into one and makes to become a perfect god’s body. Masan Byeolsindae maintains the divinity as an everlasting existence by changing from Sotdae to a body of shrine.

      • KCI등재

        최치원 서사와 해인사 문화경관의 상호텍스트성 연구(1) : 가야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노성미(Rho, Seong-Mi)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This study reveals the intertextuality between Choe Chi-won’s narratives and Haeinsa cultural landscapes. The object of the study is the narrative containing 53 Gayasan excursion records, the reclusion and becoming a Taoist hermit of Choe Chi-won. In previous researches, the creation and changing process Choe Chi-won’s cultural landscapes for Gayasan ware revealed. In that process, the intertextuality of landscapes and narratives could be confirmed. This study reveals how Choe Chi-won s reclusion as the historical reality is revealed in the two layers of story and Discourse, and how the historical reality is incorporated into the mythical world. Gayasan has many ruins of Choe Chi-won, including Choe Chi-won s Hongryu-dong handwriting, the poetry stone of Zegayasan -Dokseodang, the names of rocks and streams, stone towers and trees. For this reason Gayasan became a symbol of Choe Chi-won. The main interest of Gayasan tourists was the story for reclusion and becoming a Taoist hermit. These stories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creating Discourse at the point of view of the readings of tourists, the places where they stayed during the tour, and landscapes. In this process, the narrative stream appears in the order of narrative, story, Discourse and landscape. This is related to the fieldity of the touring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stream appears in the order of landscape, Discourse, story and narrative. This relates to the flow of literary text generation in which landscapes result in excursion writings. In this process, the intertextual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narrative give a symbol to the landscape, and the landscape constitute new narrative. In the process of intertextuality, the narrative inversion occurs between Choe Chi-won s narratives as historical reality and created narratives. In other words, Choe Chi-won’s narratives are selected through excursions, dismantled and reborn as new narratives. The essence of the intertextuality that arises at this time shows the constant and cyclical relationship that the result of the intertextuality becomes also the object of the intertextuality. 본 연구는 최치원 서사와 해인사 문화경관의 상호텍스트성을 밝힌 1단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53편의 가야산 유람록과 최치원의 은둔과 선화(仙化)를 담은 서사이다. 선행 연구에서 가야산의 최치원문화경관이 생성, 변화, 소멸하는 과정을 밝힌 바 있다. 그 과정에서 경관과 서사가 상호텍스트로 작용하는 현상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역사적 실제로서의 최치원의 은둔이 스토리와 담화의 층위에서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가는지 밝히고, 서사와 경관의 상호텍스트성의 원리를 밝힌 것이다. 가야산은 최치원의 ‘홍류동’ 필적과 「제가야산독서당」 시석(詩石), 바위나 여울의 이름, 석탑과 나무 등에 이르기까지 최치원 유적이 많은 곳이다. 이로 인해서 가야산 유람객들에게 가야산은 최치원의 상징으로 읽혔다. 가야산 유람객들은 최치원의 은둔과 선화의 스토리에 관심을 보였다. 이들 스토리는 유람객의 독서, 유람 도중에 머물렀던 서원 등의 장소, 경관을 마주한 시점 등에서 담화로 표현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사→스토리→담화→경관으로 서사의 흐름이 나타난다. 이것은 유람문화의 현장성에 관계된다. 다른 한편으로 경관→담화→스토리→서사의 흐름이 있다. 이것은 경관이 유람록의 서사로 귀착되는 문학텍스트 생성의 흐름에 관계된다. 이 과정에서 서사는 경관에 상징을 부여하고 경관은 새로운 서사를 구성하는 상호텍스트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텍스트의 상호성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역사적 실제로서의 최치원 서사와 창조된 서사 사이에 서사의 전도가 발생한다. 즉 최치원 서사는 유람을 통해 선택되고 해체되고 또 새로운 서사로 탄생되는 것이다. 이때 발생하는 상호텍스트성의 본질은 상호텍스트성이 낳은 결과물이 또 상호텍스트성의 대상이 되는 끊임없이 순환하는 원리를 보여준다.

      • KCI등재

        「월영대(月影臺)」시에 나타난 최치원에 대한 인식

        노성미 ( Seong Mi Rho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본고는 최치원의 유적지인 ‘월영대’ 문화경관을 소재로 한 시를 대상으로 하여 후대인의 최치원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것이다. 월영대는 최치원이 지은 대로서 생활공간인 別墅, 기림공간인 孤雲影堂, 학문공간인 月影書院, 조망공간인 孤雲臺를 아우르는 하나의 문화경관을 이루고 있다. 월영대를 찾는 사람에게 월영대는 달그림자를 구경하는 현실공간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시간을 초월하여 최치원을 마주하는 상상의 공간이다. 월영대 문화경관은 최치원의 기억을 확대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며 최치원에 대한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 월영대 > 시에서 ‘달그림자’는 최치원의 소요와 고뇌를 환기하는 자기성찰의 표상이다. 월영대, 바다, 달이 하나의 풍경을 이루고, 하늘의 달이긴 그림자를 만들며 시적화자의 마음으로 들어온다. 달그림자는 최치원과 동일시되고 그림자가 시적화자에게 어떤 정신을 전해주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때 달그림자는 최치원과 시인을 이어주는 통로이며 최치원의 자기성찰을 시인이 경험하게 하는 소재가 된다. 다음으로 이백의 騎鯨고사를 차용하여 최치원을 詩仙으로 인식한 것이 있다. 최치원이 고래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표현한 것은 문장가로서의 위상을 극대화한 것이다. 또 월영대의 황폐화된 모습을 통해 최치원의 소외와 고독한 삶을 표현하고 있다. 시적화자는 월영대의 푸른 이끼, 무너진 돌단, 우거진 잡초, 닳아진 글씨, 떠가는 구름 등으로 월영대의 쓸쓸한 현재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정서는 곧 최치원으로 감정이입 된다. < 월영대 > 시 속의 화자는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시적 표상을 통해 최치원에 대한 인식을 형상화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perception of future generation for Choe Chiwon by surveying the poems about cultural landscape of his monument called Wolyeongdae. Wolyeongdae, a belvedere built by Choe Chiwon, forms the cultural landscape composed of country house as living space, Goun portrait house as memorial space, Wolyeong lecture hall as study space and Goundae as viewing space. To visitors, Wolyeongdae is not only a real space for watching the moon shadow but also an imaginary space for meeting Choe Chiwon transcending the physical time. The cultural landscape of Wolyeongdae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expanded reproduction for the memory of Choe Chiwon and is equivalent to Choe Chiwon himself. The moon shadow in < Wolyeongdae > poems are a symbol of self-reflection recalling his ramble and distress. The moon shadow at this time is not only a passage connecting Choe Chiwon and poems but also a subject matter for poems to experience self-reflection of Choe Chiwon. Next there exists that Choe Chiwon was regarded as a poem hermit borrowing the whale-riding idiom of Lee Baek. The expression that Choe Chiwon went up to heaven on a whale maximized his status as a stylist. His alienated and lonely life was also expressed through the ravaged look of Wolyeongdae. The narrator in < Wolyeongdae > poems shaped the perception for Choe Chiwon through a variety of poetic representation as described above.

      • KCI등재

        <최고운전>의 탄생모티프 연구

        노성미 ( Seong Mi Rho ) 배달말학회 2011 배달말 Vol.49 No.-

        본고는 영웅소설의 관점에서 <최고운전> 탄생모티프의 상징체계와 서사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소설의 주제를 최치원의 비극적 생애로 해석한 기존의 연구에 비판적 관점을 제기했다. <최고운전> 탄생모티프에서 지하굴은 금돼지가 거처하는 공간이다. 그곳은 초월적 질서가 내재된 신성한 대지로서 최충의 아내와 등가적이다. 최충은 금돼지의 초월적 질서를 계승하는 존재이다. 주인공이 바로 대지로부터 탄생하지 않는 것에서 신화와 소설의 역사적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입사식은 주인공의 생물학적 탄생과 인식적 탄생이 다층적으로 나타난다. 먼저 최충 부부가 세속공간에서 분리되어 지하굴의 신성공간을 여행하고 세속세계로 통합됨으로써 최치원의 생물학적 탄생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세속의 부모로부터 분리되어 신성의 세계에 통합되어 문장가로서 인식적 탄생이 이루어진다. 전체서사의 입사식은 최치원이 천상의 세계로부터 지상의 세계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천상의 세계에 통합되는 형식이다. 주인공은 ``천하의 문장``이라는 가치로서 세계와 대결한다. 그 대결의 과정에서 그는 승리자가 된다. 그의 활동의 범위는 국가적·집단적인 것이며 이로써 그는 공동체의 영웅으로 표상된다. 주인공의 최후의 선화(仙化)는 자신이 분리되어 나온 초월적 질서에 다시 통합됨으로써 문화영웅 최치원의 삶을 완성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the symbol system and a narrative feature of the birth motif of <Choigounjeon>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 novel. A critical point of view was raised against the existing research that the theme of novel be interpreted as the tragic life of Choichiwon. In the birth motif of <Choigounjeon>, the underground cave is the living place of the gold-pig. That place is the holy land of the inherent transcendental order and is equivalent to Choichung`s wife. Choichung succeeds the sanctity of the gold-pig and symbolize transcendental order. These correspond to the Lord of Heaven-Hwanwung or cave-Wungnye in Dangunsinhwa. the protagonist`s biological birth and cognitive birth appears to be multi-layered at initiation. Choichiwon`s biological birth is achieved through separation from the secular space for Choichung`s couple, sacred space travel of the underground cave and integration into the secular world. Next, the cognitive birth as a writer is achieved through protagonist`s separation from secular parents and integration into the sacred space. The initiation of entire narrative is of the type that Choichiwon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world and re-integrated into the heavenly world. The protagonist confronts with the whole world with value of ``nation``s writer`. He becomes a winner in the course of that confrontation. The range of his activity is national and collective, and thus he represented the hero of the community. The protagonist`s final stage to hermit is that Choichiwon`s life as a cultural hero was completed by re-integration into transcendental order from which he himself was separated.

      • KCI등재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차운시(次韻詩) 연구

        노성미(Rho Seong-Mi)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본 연구는 최치원(857-?)의 은둔지인 가야산 홍류동의 시석(詩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경관과 <제가야산독서당> 차운시를 대상으로하였다. 최치원은 가야산에 입산하여 독서당에 은거하면서 이 시를 짓고 계곡의 암반에 새겼다. 독서당과 시석(詩石)은 홍류동 경관에 상징을 부여하고 최치원에 대한 기억을 확대 재생산하는 기능을 했다. 본 연구는 홍류동에 대한 현장조사와 이를 둘러싼 문헌고증을 통해<제가야산독서당> 시석에 대한 학계의 오류를 바로 잡았다. 시석의 정확한 존재 양태를 정의하기 위해 <가야산유람록> 등의 기행문과 가야산을 읊은 시, 동국여지승람 등의 지리지를 참고하였다. 홍류동에는<제가야산독서당> 시석이 두 개 있다. 원 시석은 최치원 필적으로서 현 재 치원대(致遠臺)로 불리는 곳에 해서체로 새겨졌다. 이 시석은 오랜 세월을 지나며 글자가 마멸되어 네 글자 정도만 알아볼 수 있었던 상황이 16세기 문헌까지 확인된다. 이후 우암 송시열이 초서체로 시를 다시썼고 이것이 농산정 건너편 석벽 시석이다. 해인사 승려 중에 바위에 글씨를 새기는 각승(刻僧)이 있었다. 지금까지 확인된 <제가야산독서당> 차운시는 60여 편이다. 문집에 전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농산정 현판과 홍류동의 바위에도 14편이 전한다. 가야산 문화경관에 대해 읊은 수많은 시 중에서 <제가야산독서당> 차운시는 최치원의 시석(詩石)을 창작의 원천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시에는 최치원에 대한 인식과 홍류동 문화경관을 바라보는 태도가 잘나타난다. 차운시는 홍류동 경관을 바라보는 태도와 은둔의 가치에 대해 표현한 것으로 크게 분류된다. 경관을 바라보는 태도는 객관세계로서의 홍류동의 자연과 선계(仙界)로 표상되는 관념적 경관으로 구분된다. 첫째 유형은 홍류동의 아름다운 풍경을 구체화하고 최치원의 선화(仙化) 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다. 은둔의 가치에 대한 표현은 은둔에 대한 공감의 태도와 비판의 태도를 드러낸 것으로 구분된다. 이들 차운시는 시석과 홍류동 문화경관에 대한 해석이며 최치원의 은둔에 대한 의미 해석과 최치원에 대한 기억의 재생산에 기여하고 있다.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cultural landscape of Hongryudong valley in Gaya Mountain, Choe Chi-won’s(857-?) seclusion place, and rhyme-borrowing poetry of <Jegayasandokseodang>. He entered the Gaya Mountain, lived in the reading house, wrote this poems and engraved them on the rock of the valley. The reading house and the poetry stone gave a symbol to the Hongryudong scenery and expanded and reproduced the meaning of Choe Chi-won. In this study, the academical errors were corrected about the existence pattern of his poetry stone. The scenery of the poetry stone was researched through travel pieces like Gayasanyuramrok, the poetry for Gaya Mountain, the literature such as Dongkukyeoziseungram and field trips. Choe Chi-won’s handwritten poetry stone is a rock called Chiwondae and it was carved in the squar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It is confirmed by the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that the letters have been worn out in the strong valley water for many years and only four letters have been recognized. After that, Wooam Song Si-yeol again wrote a poem in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and this is the poetry stone at opposite hill of Nongsanjeong. It was confirmed in the literature that there have been an engraver among Haeinsa monks. It is confirmed until now that there be about 60 rhyme-borrowing poems of <Jegayasandokseodang>. Most of them are in collections of works, and 14 pieces are found in the Nongsanjeong board and the rock of Hongryudong. The creation of rhyme-borrowing poems starts with the recognition of Choe Chi-won and Hongryudong cultural landscapes. The characteristics of rhyme-borrowing poem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expression for the aesthetic sense of the Hongryudong landscapes and recreation for the seclusion consciousness contained in his original poetry. The expression for the aesthetic sense about natural sceneries is represented by a fairyland. This is the result of embodying the beautiful Hongryudong sceneries and reflecting the perception that he became a hermit. The poems recreating the seclusion consciousness of <Jegayasandokseodang> express the sympathy of the poet facing the Hongryudong landscapes for Choe Chi-won. Therefore, rhyme-borrowing poems are interpretations for the Hongryudong cultural landscapes and the later interpretation for his seclusion.

      • KCI등재

        기우설화에 나타난 신성성(神聖性) 연구

        노성미 ( Seong Mi Rho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본고는 기우설화에 나타난 기우행위의 ‘신성 더럽히기’와 ‘신성 회복하기’라는 대립적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신화론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다. 기우행위를 하는 장소는 산꼭대기, 바위, 못, 시내, 굴 등이다. 그곳은 신성으로 인식된다. ‘신성 더럽히기’는 기우제 주재 집단이 가뭄에 대처하여 동물의 피로써 제장을 더럽히는 것이다. 제장의 오염은 신격에 의해 인지되고, 신격은 오염된 신성을 회복하기 위해 비를 내린다고 믿는다. ‘신성 회복하기’는 묘 파헤치기를 통해 신격을 움직이는 것이다. 집단은 가뭄의 원인을 제장의 오염에서 찾는다. 그리고 묘를 파헤치는 것을 오염된 신성의 회복으로 인식한다. 신성을 더럽힌 개인의 욕망과 신성을 회복하려는 집단의 욕망이 대립한다. 이때 집단의 이익은 시체에 대한 도덕적 태도보다 우위에 있다. 이들 기우설화의 대립된 행위는 강우효과에 대한 강렬한 믿음을 진술한다. 이것은 가뭄으로 인한 집단의 고통을 반영한다. ‘가뭄-피로 더럽히기 또는 묘 파헤치기-강우’의 서사구조는 ‘죽음과 재생’이라는 신화의 서사구조를 가진다. 피와 시체는 죽음의 상징이며, 씻고 파헤치는 행위는 새로운 탄생을 상징한다. 재생을 통해 신격의 능력은 회복되고, 그를 통해 집단의 기원은 달성된다. 집단의 기우행위는 신화적 탄생의 재현이다.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antagonistic phenomenon of polluting and recovering the divinity appeared in ritual actions for rain, and analyzes from a mythological standpoint. The ritual place for rain is the top of mountains, rocks, ponds, cities, caves etc. where is recognized as divinity. Polluting the divinity is that the subject group make the ritual place for rain dirty with the blood of animal against drought. Pollution is recognized by the Godhea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Godhead makes to rain in order to recover the polluted divinity. Recovering the divinity is to move the Godhead through digging the grave. The group seeks for the cause of drought from the pollution of the ritual place and digging grave is recognized as recovery of the polluted divinity. The individual desires to polluting the divinity are confronted with a collective desire to recover the divinity. The public interests is superior to the moral attitude for the corpse. The antagonistic actions in ritual-for-rain narrative gives the intense faith for rainfall effects. These reflect the suffering of the population due to drought. The description structure of ‘drought-polluting with blood’ or ‘rainfall-digging graves’ follows that of ‘death and rebirth’ in myth. The blood and corpse is the symbol of death, the actions of washing and digging is that of new birth. The ability of the Godhead is recovered by the new birth and a collective desire can be achieved through that. The collective action for rainfall is the reproduction of the mythical 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