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학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6학년 다문화 학생들의 비, 비율, 비례식, 백분율에 대한 Schema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김화수(Kim Hwa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논문에서는 수학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6학년 다문화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비, 비율, 비례식, 백분율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때, 스스로 형성하는 변형된 스키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즉, 2019년 3월 2일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들이 학습한 수학의 1차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자신 스스로가 형성한 변형된 1차적 개념들을 연결하여 어떻게 Schema를 형성해 가는지에 대해서 연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나눗셈, 분수, 비, 비율에 대한 1차적 개념이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비, 비율, 비례식, 백분율에 대한 문제 해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wo sixth-grade multicultural students who learned the primary concept of mathematics were examined about the transformed schema forming themselves when solving problems about ratio, proportion,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ercentage. In other words, from March 2, 2019 to September 30, 2019, research was conducted on how to form Schema by connecting the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that they formed based on the primary concepts of mathematics learned by the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mary concept of division, fraction, ratio, and propor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problem of ratio, proportion,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ercentage b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the transformed schema.

      • KCI등재

        수학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적 개념구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김화수(Hwa-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에서는 나눗셈과 분수와 소수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2명을 대상으로 소수의 덧셈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어떠한 변형된 1차적 개념[1]과 변형된 스키마[2]를 어떻게 구성하여 소수의 덧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에 대해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연구대상자들이 스스로 형성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소수의 덧셈에 대한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이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나눗셈과 분수와 소수의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으로 형성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가 소수의 덧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examining what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and transformed schemas were formed for the addition of decimals and how they were formed, and how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addition of decimals was in thre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d studied the primary concepts of division, fraction and decimal. That i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approached problems of decimal addition using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and transformed schemas formed by themselves, and how the subjects formed concepts and transformed schemas in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and transformed schemas formed through the learning of the primary concepts of division, fraction, and decimal functioned as important factors for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decimal addition.

      • KCI등재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 원단위 분석

        김화수(Kim Hwa Soo),이두진(Lee Doo Jin),김주환(Kim Ju Hwan),정관수(Jung Kwan Soo)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5B

        본 연구에서는 전국 140여개 기구를 대상으로 실측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도출함으로써 상ㆍ하수도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원단위를 제시하고, 용도별 사용특성분석, 영향인자 평가 등을 통하여 가정용수의 변동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사용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국 140가구를 대상으로 약 3여년간 실측한 결과, 가정용수의 총사용량은 165.8 lpcd였으며, 각 용도별 사용량은 세면용수 15.4 lpcd(10%), 욕조용수 24.7 lpcd(16%), 싱크대용수 29.7 lpcd(19%), 세탁기용수 30.8 lpcd(20%), 변기용수 38.5 lpcd(25%), 기타용수 13.5 lpcd(9%)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용수 중에서 변기용수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란다, 정원용수 등이 포함된 기타용수의 경우 사용빈도가 일정하지 않고 사용량의 편차도 심하여 변동계수와 표준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미국, 영국 가정과 비교한 결과, 기타용수와 실외용수를 제외하고는 미국의 실내용수 사용량과 비율이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가정에서 물사용에 기초한 생활양식이 미국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 결과이다. 또한 1985년에 서울에서 조사된 용도별 사용량과 금번결과를 비교한 결과, 목욕, 변기, 세탁, 취사용수의 총량은 23 l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면과 욕조용수를 합산한 목욕용수가 27 l에서 40 l로 크게 늘어났고, 세탁용수도 17 l나 늘어났다.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가정에서의 목욕, 사워문화가 점차 확산되고 대용량 세탁기의 보급이 늘어난 것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patterns of various kind of water uses in a household by metering in Korea. Water use components are classified by toilet, washbowl, bathing, laundry, kitchen, miscellaneous. Flow meters are installed in 140 household selected by sampling in all around Korea. The data are gathered by web-based data collection system from the year 2002 to 2006, considering pre-investigated data such as occupation, revenue, family members, housing types, age, floor area, water saving devices, education, miscellaneous. Reliable data are selected by upper fence method for each observed water use component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re estimated for each residential type to determine liter per capita per day. Estimated domestic per capita day show an indoor water use with the range from 150 lpcd to 169 lpcd for each housing type as the order of high rise apartment, multi-house, and single house. As the order of consuming amount among water use components, it is investigated that toilet (38.5 lpcd) is the first, and the second is laundry water (30.8 lpcd), the third is kitchen (28.4 lpcd), the fourth is bathtub (24.7 lpcd), the next is washbowl (15.4 lpc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water uses in U.K. and U.S. As life style has been changed into western style, pattern of water use in Korea is tend to be similar with the U.S. water use pattern. Compared with the surveying results by Bradley, on 1985. Thirty liter of total use in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economic level, and a little change of water use pattern can be found. Especially, toilet water take almost half part of total water use and laundry water shows lowest as 11 % in surveying at the year of 1985. But, this study shows that 39 liter, 28% of toilet water, has been decreased by the spread of saving devices and campaign. It is supposed that the spread large sized laundry machine make by-hand laundry has been decreased and water use increased. Unit water amount of each end-use in household can be applied to design factor for water and wastewater facilities, and it playa role as information in establishing water demand forecasting and conservation policy.

      • 전 · 의경부대 심리상담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김화수(Kim, Hwa-Soo),이주락(Lee, Ju-Lak) 한국사회안전학회 2013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9 No.1

        방범순찰대는 그 업무의 특성상 경력운용이 수시로 변하여 새로운 근무 환경의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이에 따른 감정의 불안은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실제 최근 전·의경 대원들이 자살, 성폭행, 절도 등의 각종 사건사고들을 저질러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대원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효과적인 대책이 이루어졌다면 예방할 수 있는 사건도 많았다는 것이 전·의경 부대의 일반적인 평가다. 그러므로 군복무 환경 변화에 따른 부대단위가 아닌 대원 개개인의 문제영역과 개인의 부적응 문제의 원인을 밝혀내고 그 개인의 잠재력과 강점, 약점 등을 파악하여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맞춤형 심리상담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찰서 방범순찰대에서 시행중인 상담시스템의 개발과정과 적용사례를 살펴보고 효율적인 심리상담시스템의 발전 방향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전·의경 임무의 특수성, 신분의 특수성, 사회와의 관련성 등 복무 환경적 특성을 고려, 전·의경의 스트레스 상황을 분석하고 기존의 단편 일률적인 조언이나 지시적 상담이 아닌 전입 시 조기 ‘부대적응 진단질문지’를 적용, 분석을 통한 초기상담에서 치료 상담에 이르기까지 맞춤형 지속 상담 관리를 제안하였다. Due to the volatile working environment, the auxiliary police officers have to adjust to a new situation on a regular basis and this can be a source of anxiety and stress for them. In fact, there have been several incidents in which the officers committed suicide, rape, theft, etc., causing a lot of criticism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related police units argue that most of these cases could have been prevented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for each officer and preventive measures. Therefore, one can state that provision of customized counseling for the officers at the individual level after a careful analysis instead of a general solution for the group as a whole is desperately needed.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unseling system employed by the auxiliary police unit at the oo police station in Seoul and its application are examined ;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an effective development of a counseling system is discussed, Specifically, the authors suggest the unique aspects of the auxiliary police officers’ missions, social position, relation to society, etc. be taken into account to allow for an analysis of the stress levels at an early stage of their assignment, utilizing the “diagnostic questionnaire designed to assess individual adjustment to the unit.” Then, a customized management through counseling is recommended, which ranges from early stage to therapeutic counseling sessions.

      • KCI등재

        수학의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학생들의 소수의 곱셈에 대한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김화수(Kim Hwa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논문에서는 나눗셈, 분수, 소수에 대한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학생 2명을 대상으로 소수의 곱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때, 형성하는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즉, 연구대상자들이 학습한 1차적 개념을 바탕으로 자신이 스스로 형성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를 사용하여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어떻게 스키마의 변형을 이루어 가는지에 대해서 2018년 9월 3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 연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학의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이 변형된 1차적 개념의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나눗셈, 분수, 소수에 대한 변형된 1차적 개념들의 연결로 구성된 변형된 스키마가 소수의 곱셈에 대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and transformed schemas that are formed when solving the problem of multiplication of prime numbers for two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ho have learned the primary concepts of division, fraction, and decimal. In other words, based on the primary concepts learned by the study subjects,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o solve problems and transform the schema using the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and the transformed schemas that they formed themselves from september 3, 2018 to february 28, 2019. As a result, we can confirm that learning about the primary concept of mathematic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transformed primary concept. Above all, the transformed schema consisting of the concatenation of the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for division, fraction, and decimal. It was also foun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problem of multiplication of prime numbers.

      • 국방정보시스템 S / W 개발비용 산정 지원용 전문가시스템의 도메인 지식 개발 연구

        김화수(Hwa-Soo Kim),김진환(Jin-Hwah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Ⅱ

        S/W 산업 시대의 국방정보시스템은 대규모화되고 높은 실시간성과 정확성이 요구로 S/W의 복잡성이 증가하고있으며, 요구되는 기능과 성능이 매우 다양해지고, 사용자의 요구사항도 매우 가변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정보시스템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특성에 따라 국방정보시스템 S/W 개발비용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소를 식별한 후, 기존의 '한소협' 모델을 바탕으로 S/W 개발비용 보정계수로 적용할 영향요소와 기능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기술적 복잡도 요소로 재분류하였으며, 기존의 '한소협' 모델의 절차와 각종 보정계수의 적용방법을 국방정보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는 방식으로 국방정보시스템의 S/W 개발비용 산정 지원용 전문가시스템의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도메인 지식 개발은 궁극적으로 완벽한 전문가시스템 개발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가정용수 용도별 사용량의 통계적 특성 분석

        김화수(Kim Hwa Soo),이두진(Lee Doo Jin),박노석(Park No Suk),정관수(Jung Kwan Soo)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5B

        End-uses of household water have been changed by a life style, housing type, weather, water rate and water supply facilities etc. and those variables can be considered as an internal and exogenous factors to estimate long-term demand forecasts.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water consumption in households would give an explanation to cause on the change of trend and would help predicting the water demand of end-use in househ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trends and patterns of household water uses by metering and questionnaire such as occupation, revenue, numbers of family member, housing types, age, floor area and installation of water saving device, etc. The peak water uses were shown at Saturday among weekdays and July in a yea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water use pattern. A steep increase of total water volume can be found in the analysis of water demand trend according to temperature from -14℃ to 0℃, while there are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phase of more than 0℃, with an almost stable demand. Washbowl water shows the highest and toilet water shows the lowest relation with temperature i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n the results of ANOVA t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unit water use by exogenous factors such as housing type, occupation, number of generation, residential area and income et al., difference was shown in bathtub water by housing type and shown in kitchen, toilet and miscellaneous water by numbers of resident. Especially, definite differences in components except washbowl and bathtub water, could be found by numbers of resident. Based on the result, average residents in a hous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the results can be applied as reference inform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for predicting water demand and establishing water conservation policy. It is expected that these can be used as design factors in planning stage for water and wastewater facilities.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은 주거형태, 거주자 생활양식, 주택구조 등의 내부적인 요인과 온도, 날씨, 수도요금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요인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거주민의 생활양식, 주거형태, 수도관련 시설의 변화 등에 따라 사용량이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단기적으로는 기온이나 가뭄과 같은 기후조건이나 절수정책과 같은 인위적인 영향에 의해 사용량이 크게 변화하기도 한다. 용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과 이해는 사용량의 변화원인과 경향을 설명해주고 여러가지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물사용패턴과 향후 수요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사용패턴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일별 월별, 계절별 사용량을 비교하고, 또한 가구특성, 기온 등의 외부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용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가정용수의 사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토요일에 사용량이 가장 많고, 월간 중에는 7월의 사용량이 가장 높았으며, 월별 사용량의 첨두율은 평균대비 1.12로 나타났다. 기온에 따른 용도별 사용경향에서 총량용수는 -14℃~0℃까지 물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이상에서는 큰 변화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세면, 세탁, 욕조용수는 0℃이상에서도 점진적인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변기용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온에 대한 용도별 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세면용수가 상관계수 0.73으로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 변기용수는 -0.14로 매우 낮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각 인자별로 가정용수 사용량 원단위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주택유형, 실거주인수, 가족구성, 건평, 수입, 맞벌이여부, 절수형변기, 비데기유무 등에 대하여 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주택유형의 경우 욕조용수의 사용량에 차이가 발견되었고, 실거주인수는 싱크대, 변기, 기타, 총량용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실거주인수는 세면과 욕조를 제외한 모든 용도별 사용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인수의 증감에 따라 용도별 사용량의 차이가 분명히 발생하며, 이는 향후 가구당 용수사용량을 설계하는 경우 평균 거주인수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특성 분석결과는 수요예측, 수요관리 정책수립, 수도관련 기자재 및 시설의 규격결정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