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장 관샘종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한 Telomerase 발현

        김호동 ( Ho Dong Kim ),오영상 ( Young Sang Oh ),수현 ( Soo Hyun Kim ),상필 ( Sang Pil Kim ),신현학 ( Hyun Hak Shin ),박주용 ( Ju Yong Park ),박혁 ( Hyeuk Park ),명보현 ( Bo Hyun Myoung ),도현 ( Do Hyun Kim ),이영직 ( Young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3

        목적: Telomere는 세포 염색체의 말단에 존재하며 염색체 안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telomere의 합성을 촉매하는 telomerase 활성이 전암 병변에서도 관찰되면서 이 효소의 활성화는 발암과정의 초기 현상으로 암화과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대장암의 전암 병변으로 알려진 대장 관샘종의 형성이상 단계에 따른 telomerase의 활성도를 측정하고 연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셔 2006년 1윌부터 2006년 12윌까지 대장내시경 용종절제술 또는 수술 받은 환자들 중 병리 조직검사에셔 경도 형성이상과 고도 형성이상으로 확진한 환자 48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광학현미경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형성이상 세포의 비율이 50% 이하로 염색된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저염색군과 51% 이상 염색된 hTERT 고염색군으로 나타내었다. 염색은 세포의 핵에 국한된 경우로 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hTERT 저염색군은 경도 형성이상 22예(96%), 고도 형성이상 13예(52%)이었으며 hTERT 고염색군은 경도 형성이상 1예(4%), 고도 형성이상 12예(48%)로 경도 형성이상과 고도 형성이상 간에 telomerase 활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대장 관샘종의 형성이상이 경도에셔 고도로 갈수록 telomerase 활성도가 높아졌다. Background/Aims: Telomeres are simple repeat elements located at each chromosome end of eukaryotic cells. The main function of telomeres is to cap the chromosome end and protect it from enzymatic attack. Telomerase that facilitates the synthesis of telomere has been detected in not only cancer but also precancerous les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elomerase expression between low grade and high grade colorectal tubular adenoma. Methods: Among thissues from forty eight patients with colorectal tubular adenoma (23 low grade and 25 high grade colorectal dysplasia), telomerase expression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We classified 48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extent of nuclei staining pattern. High telomerase expression was a group which showed staining nucleus pattern above 50% in tubular adenoma. Low telomerase expression was a group which showed staining pattern nucleus below 50%. Twelve in 25 high grade colorectal dysplasia showed high telomerase expression (48%). Only one in 23 low grade colorectal dysplasia showed high telomerase expression (4%). Telomerase expression was much higher in the tissues from the patients with high grade than in those with low grade colorectal dysplasia (p<0.05). Conclusions: Activation of telomerase may be related to the malignant potential in colorectal epithelial cell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fine the role of telomerase in colorectal tumori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164-169)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명종 23년의 `신라부흥운동` 사료 검토

        김호동(Kim, Ho-dong)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6

        경주 출신의 이의민이 신라부흥운동과 왕조 교체의 뜻을 갖고 명종 23년의 김사미·효심의 난을 지원하였다는 기록은 《고려사》 이의민 열전과 《고려사절요》 명종 23년 7월의 기사에 실려 있다. 이에 대해 그것을 긍정하는 논자가 있는가 하면, 그것은 이의민 정권의 부당성을 지적해 보려는 반이의민세력의 모략이었다고 하여 그 같은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견해도 있으며, 또 반란군을 지원한 사실은 인정하되 그것은 신라부흥을 목적하여서가 아니라 다만 이의민이 자신의 권력을 확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한 것일 뿐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러한 제 견해는 면밀한 사료의 검토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최충헌 정권이 이의민 정권의 부당성을 드러내기 위해 정치적 모략에 의해 만들어낸 기록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김사미·효심의 남적 관련 사료와 최충헌의 이의민 제거와 명종 폐위 사료를 위시하여 《동국이상국집》 관련 사료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명종 23년에 이의민이 신라부흥운동과 왕조교체를 꾀하기 위해 남적과 공모하지 않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It was recorded in the part of Uimin Lee`s Biography in 《Koryosa》(History of Koryo Dynasty, 1451) and the July Article of the 23rd year of King Myungjong of 《Koryosajulyo》(Brief History of Koryo Dynasty, 1452) that Uimin Lee from the city of Kyongjoo supported the revolt of Sami Kin and Sim Hyo(23rd year of King Myungjong) on the purpose of Dynasty replacement by the revival movement of Silla Dynasty. About this record, some scholars affirmed, the others denied the fact on the bases that it was a scheme of anti-Uimin Lee group, who was trying to show the illegitimacy of the military regime of Uimin Lee, and another scholars agreed with the fact that Uimin Lee`s support for the rebels was not for the Shilla revival, but for his own purpose of expanding political power. All these viewpoints lacks so enough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as to prove their views. In this paper, so as to prove that the record was deliberately fabricated by Choongheon Choi to point out the illegitimacy of the military regime of Uimin Lee, were thoroughly examined the related documents in 《Dongkukyisangkukjib》(1241), including historical documents of the peasant uprising of Koryo Dynasty related to Sami Kim and Sim Hyo, and historical materials concerned with the removal of Uimin Lee and the dethronement of Myungjong by Choongheon Choi. In its final analysis, it was disclosed that at the 23re year of King Myungjong, Uimin Lee did not plot Dynasty replacement by the revival movement of Silla Dynasty along with Sami Kim and Sim Hyo.

      • KCI등재후보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김호동(Kim, Ho-dong) 포은학회 2010 포은학연구 Vol.6 No.-

        고려말 공양왕 옹립이후 정몽주는 태조 이성계-태종 이방원 부자와 정도전.조준 등과 사활을 걸고 대립하였지만 결국 선죽교에서 피를 뿌리고 제거당하다. 그렇지만 자신이 거부하였던 신왕조, 즉 조선조에 '以身殉國'한 충절과 儒宗으로 추숭되어 문묘에 종사됨으로써 화려한 부활을 하였다. 조선전기의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태조대에서 세종대까지 不事二君한 충절의 표상으로서의 정몽주상이 정립되었다. 그것을 바탕으로 정몽주의 충절이 높이 평가되어 중종대에 정몽주의 문묘종사가 이루어졌다. 세조의 쿠데타와 중종반정, 연이은 사화로 인해 군신 간, 신하 사이에 대립, 갈등이 노정되는 상황에서 태조-태종 부자와 정도전.조준 등의 개혁파와 반목을 하면서 끝내 태조를 제거하고자 하였던 정몽주를 문묘에 종사시키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을 "정몽주는 우리나라의 원수와 같습니다. 그러나 이 사람을 褒奬하고 존숭하여야 綱常이 크게 밝아집니다"라고 한 권벌이나 "정몽주가 태조에 대하여 이와 같이 해를 입혔으니, 이것으로써 말한다면 과연 원수와 같다. 그러나 지금으로는 이 사람을 褒奬한 뒤에야 나라의 規範을 세울 수 있다."고 한 중종의 인식은 태종이 정몽주를 영의정으로 추증한 태종의 인식도 그와 같았을 것이다. 강상과 나라의 규범을 확립하는데 정몽주만한 인물이 없었기 때문이다. 사림파에 의하여 고조되었던 節義와 명분론은 17세기 인조반정과 호란을 계기로 서인이 집권하면서부터 더욱 숭상되었다. 결국 여말의 변절자와 15세기의 훈구파가 격하되고 상대적으로 왕조교체기에 '不事二君'의 정몽조.길재와 같은 절의파와 세조등극을 반대하던 인사가 숭앙의 대상이 되자 17세기이후 사족들은 자기 선조를 그러한 충절과 결부시켜 국가적 포숭을 받고자 하였다. 그런 목적하에서 자신의 선조를 정몽주와 연결시키고 또 정몽주의 후손의 발탁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In late Goryo(高麗) Dynasty, Jeong Mong-ju was assassinated in blood at Seonjuk-gyo bridge as he opposed to King Taejo Lee Seong-gae and King Taejong Lee Bang-won the son of Taejo, and Jeong Do-jeon.Cho-jun the nobles had to die after the enthroning of King Gongyang. However, he recovered his honor by Joseon Dynasty which he ever denied to obey and listed the name at Munmyo(Confucius shrine to be commemorated) under the title of 'sacrifice himself with physical body toward nation' and the Confucian fidelity. According to the record of early Joseon Dynasty Silrok, the image and status of Jeong Mong-ju was established as a symbol of fidelity toward royal family from King Taejo to King Taejong as filial fidelity. The memorial ceremony for Jeong Mong-ju at Confucian shrine was started from King Jungjong for his high value of the fidelity Along with the stumbling situation of Coup D'etat by King Saejo and taking over the Crown by King Jungjong, and aftermath of historical reforming event, there was serious conflict among classes and sovereign power. King Taejo-King Taejong the son of King Taejong contradicted to Jeong Do-Jeon.Jo Jun of evolutionary group but they have to enshrined Jeong Mong-ju who revolted to King Taejo and commenting the situation "Jeong Mong-ju is same as enemy of our country. But we have to enlighten and reward him for his establishment of standard of national right and justice." by Scholar Kwon Beol or King Kaejong's refer concerning "Jeong Mong-ju is evaluated as enemy of our nation because of his harm but we have to enlighten and reward him for his establishment of standard of national right and justice." The recognition of King Jungjong might be same to the recognition of King Taejong who admitted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to Jeong Mong-ju as Prime Minister. That was because of no comparative persons as Jeong Mong-ju who established the standard of national right and justice. The discussion on fidelity and justification which highly spirited by Scholastics Party(士林: Sarim) during 17th century was more esteemed after taking over the throne by King Injo and the War between Choseon and Chin Dynasty, which strengthen the power of Western Party(西人: Seoin). As a result, the apostasy group and conservative group in 15th century of late Goryo Dynasty were doomed to collapse and fidelity groups such as Jeong Mong-ju.Kiljae who insisted fidelity to previous king and the persons who opposed the policy of enthrone of King Saejo were esteemed comparatively, which resulted national reward by the descendants of the previous fidelity groups after 17th century. For the purpose of the national rewards, the Scholastic Party(Sarim) and Western Party(西人: Seoin) suggested the national reward relating their ancestors to Jeong Mong-ju of whom the descendants were recommended as major position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鬱島郡節目」을 통해 본 1902년대의 울릉도 사회상

        김호동(Kim, Ho-do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30

        「울도군절목」은 흔히들 1902년 대한제국 內部에서 울도군에 내린 행정지침이라고 이해하고 있지만 실상 울도군 군수 배계주가 ‘郡規’ 확립을 위해 절목을 만들어 내부에 보고한 것이다. 내부에서는 울도군수가 제출한 ‘절목’을 검토하여 ‘後錄’을 작성하여 1902년 4월에 내각총리대신 尹容善에게 보고하였다. 그 자료가 배계주 집안에서 소장되어 전하기 때문에 울도군수인 배계주가 올린 「울도군절목」을 그대로 시행하라는 내부의 공문이 배계주에 하달되었을 것이다. 배계주는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의 반포로 인해 첫 울도군수에 임명되었다. 그렇지만 울릉군 지역 주민들과 다툼에 의해 육지로 나왔다가 면직되었다. 그 후 1902년 3월 7일에 울도군수에 재임용되었다. 울릉도 주민과의 다툼으로 인해 면직된 배계주는 군민들을 장악하기 위해 ‘군규’를 만들어 「울도군절목」으로 이름하여 내부에 상신하여 내부의 재가를 받아 그것을 받아 울릉도에 부임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울릉도에 부임하지 못하고 첫 울도군수로서 한 행적 때문에 재판에 회부되어 결국 면직되었다. 그로 인해 울릉도에 들어가 언문으로 등사하여 각 洞에 게시하지 못하였다. 시행되지 못한 「울도군절목」을 두고 독도를 포함한 울릉도 관할구역을 대한제국이 실효적으로 경영한 증거로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울도군절목」은 울릉도 각동에 게시된 ‘군규’는 아니었지만 그 절목을 통해 1902년대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인 것만은 분명하다. 이 절목은 언문으로 번역하고 등사하여 각동에 게시하고자 한 것이니 일본인이 아닌, 본국인을 대상으로 한 ‘郡規’이다. 그렇지만 절목에는 울릉도 재류일본인과의 갈등이 심각하게 보인다. 당시 울릉도의 현안은 일본인이 행하는 무단 벌목과 가옥, 토지 매입이었다. 또 울도군의 행정체제를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 세수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울도군절목」에는 그것이 담겨 있다. 특히 서문에는 울도군수와 울릉도 주민과의 갈등이 나타난다. UlIdogunjeolmok is generally known as administrative guidelines for Ulldogun issued by the Empire of Korea in 1902. But, in fact, it is a rule book made by Ulldogun governor Keazhou Bae in order to establish internal rules for Ulldogun and reported to the Department of the Interior. After being discussed in the department and added by appendix, it was submitted to cabinet Prime Minister Yongseon Yun in April 1902. The documents are possessed and passed down by the family of Keazhou Bae who was ordered to put new regulations, UlIdogunjeolmok into effect by internal memorandum. Keazhou Bae was appointed as the first Ulldo governer by the Imperial Edict no.41 of the Korean Empire in 1900. After being dismissed from office, he was reappointed to be Ulldo governer. From that situation, Keazhou Bae was going to proceed to his new post in Ulldo with UlIdogunjeolmok which was reported to and discussed in and approved by the cabinet. But he couldn’t go to his post since he was fired by the trial of his deed during his first term as Ulldo governer. Therefore, UlIdogunjeolmok was not copied into the colloquial and the literary and never been posted up at every village. It, therefore, seems to be not appropriate to assess UlIdogunjeolmok which was never implemented as a proof that the Empire of Korea in effect administrated Ulleungdo including Dokdo. Even though it was never been posted up at every village as a County rules, UlIdogunjeolmok is worthy documents through which the social aspects of Ulleungdo in 1902 would be looked into. It was a county rule book not for Japanese, but for Korean because it was intended to be copied into Korean alphabet and posted up at each village. Through this rule book,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re were problems and conflicts with the Japanese residents who did logging without due notice and buying houses in Ulleungdo. In this rule book included how to construct the administrative systems and to secure tax revenues. Uniquely, the preface of this book showed the conflicts between Ulleungdo residents and governer.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