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쓰기 과정 연구의 이론적 재검토

        김혜연 ( Hye Youn Kim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이 연구는 쓰기 과정 연구의 인지적 기반을 확장하고 적절한 적용 방향을 찾기 위한 이론적 토대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쓰기 과정 연구들의 이론적 기반을 고전적 인지주의와 연결주의, 작동주의의 세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쓰기의 인지적 과정 모형을 비롯한 일군의 대표적인 인지주의 모형들은 대체로 쓰기 과정을 상징적 인지 국면들을 단위로 체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며, 이들 사이의 유한하고 결정적인 결합 관계에 의해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사회 인지주의 및 후기 과정 이론에서는 쓰기 과정 연구들 전반에 대하여 “보편적이고 고정적이며 확고한 형태로 인식하려는 경향”이라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쓰기 과정 연구들이 모두 이러한 고전적 인지주의의 관점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지적 관점들을 토대로 삼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연결주의 관점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징적이고 고정적인 체계 대신 지식의 처리 단위들의 연결 패턴에 관심을 두었다. 한편, 작동주의의 관점에서는, 두뇌 표상을 전제로 하지 않은 쓰기 행위의 의미와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둘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육적 적용의 차원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가능성 중에서도 고전적 인지주의의 관점에 국한하여 쓰기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쓰기 과정을 입체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들 입장들을 통합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국, 교육적 적용의 관건은 인지 과정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포섭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anding the cognitive foundation and examin-ing theoretical background to find proper directions of its application. For this reason, theoretical perspectives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ical cognitivism, connectionism, and enactivism. Several representative mod-els of cognitivism such as cognitive process model of Flower and Hayes, generally take a position that they can systematize the writing process with symbolic cognitive phases as a unit. They also construct the process as a whole on the basis of the finite and decisive combination relation among these phases. This tendency can be related with the point which social cognitivism and postprocess theory have criticized as “the tendency of recognizing as a universal and fixed form”. However, all of the writing process research are not performed from this classical cognitivism per-spectives. There exist various viewpoints on the cognitive processes dur-ing writing. Research from the connectionism perspectives, for example, tend to investigate operation system in terms of networks instead of sym-bolic and fixed system. But they showed problems such as deficient re-search results which couldn`t make the most of uniqueness of the writing process or vague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itself. Research from the enactivism perspectives showed possibility of present-ing the new perspectives on the writing process, but they had limits in investigating the high dimensional cognitive process. Application of the writing process theories, however, is problematic since it is restricted to the classical cognitivism. Therefore, we need to deal with the writing processes in a multi-dimensional way and to regard it as an integral phenomena. The question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lies in how we embrace and utilize these various viewpoints on the cog-nitive processes.

      • KCI등재

        교과서 설명 텍스트의 구성 방향

        김혜연 ( Kim Hye-yo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이 연구는 교과서의 설명 텍스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이 지닌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교과서 설명 텍스트들을 그 기능에 따라 개념적 설명 텍스트, 절차적 설명 텍스트, 메타적 설명 텍스트로 나누어 보았다. 이것은 각각 교과서 본문 제재로서 한 편의 완결된 설명문의 형태로 등장하거나, 언어활동 및 어떤 과정의 절차를 풀어쓰거나, 해당 단원의 학습 목표나 학습의 이유 등을 밝혀 적는 텍스트를 의미한다. 각각의 한계를 정리해 보자면, 개념적 설명 텍스트의 경우 대상과의 거리 및 서술 태도에 있어서 다양성을 추구하지 못했으며, 절차적 설명 텍스트는 확고하고 균형 잡힌 구조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획일화 되었고, 메타적 설명 텍스트는 정보의 나열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이를 종합해 보면, 결국 교과서 설명 텍스트들은 설명하기 장르를 상당히 고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설명하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국어 교과서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물론이고, 교육 내용을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제시해야 하는 국어 교과의 도구적 성격을 고려하기 위하여, 교과서 설명 텍스트는 좀 더 구성상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은 하나의 텍스트 내에서 다양한 하위 장르들을 운용하고, 기본 장르 외에도 다중 장르 구성의 교수-학습을 단계적으로 포함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eeking fo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expository texts in the textbooks. Expository texts in the textbook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conceptual expository text, procedural expository text, and meta expository text. The first one means that it appears to be a form of concluded expository text, the second one means that it explains procedures of linguistic activities or a certain process, and the third one means that it determines the purpose of learning the pertinent study unit. To sum up limitations, conceptual expository texts couldn`t seek for variety in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and the narrating attitude, procedural expository texts were unified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firm and ll-balanced structure, and meta expository text couldn`t escape from the fragments of information. In conclusion, expository texts in the textbooks show fixed recognition on the exposition genre and cannot utilize various ways of achieving the goals of exposition. But they need to pursue variety in ways of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considering the instrumental feature of Korean curriculum as well as making textbooks more efficient. Therefore, the solution need to be pursued in a dimension of genre approach, such as management of various sub-genres in a text and phased inclusion of multi-genre co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한일 어휘교육 방안연구 ―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

        金惠娟 ( Kim Hye-you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2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9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 어휘 교육에 있어서는 어휘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문화도 함께 학습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효과적인 한일 어휘 교육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객관적인 어휘목록을 선정하며,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이를 활용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 및 이문화교육의 구체적인 교육방안의 일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요소추출시스템’과 ‘문화이미지프레임망’의 두 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어휘가 들어간 짧은 문장을 만들어, 이 문장을 캐릭터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다. 또,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한일 어휘교육에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문화요소추출시스템’을 활용하여, 해당 어휘와 연관성이 높은 어휘를 추출하여, 짧은 문장을 만든다. 두 번째는 ‘문화이미지프레임망’에서 해당 어휘의 이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장과 문장의 이미지가 반영된 움직이는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또, 본 연구에서는 움직이는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한일 어휘교육 방법의 일환으로써, ‘어휘 빈도 순위’와 ‘주제어 관련 어휘 빈도 순위’를 바탕으로 한 한일 어휘교육 방법의 일례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effective methods of Korean-Japanese vocabulary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s the culture of a target language needs to be learned to build vocabulary. This study utilizes big data to compile an objective list of vocabulary, produce character animation(s), and present a concrete way to learn Korean-Japanese vocabulary and culture related to languages. Based on the cultural element mining system (CEMS) and cultural image frame network (CIFN), a short sentence containing a certain word was composed, and an animation based on the sentence was created.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use character animation for Korean-Japanese vocabulary learning. The procedure of making a character animation is as follows. First, using CEMS, words closely related to a certain word are extracted to compose a short sentence. Second, CIFN analyses the image of the word. Lastly, a moving character animation that reflects the image of the sentence is produced.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an instance of Korean-Japanese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word frequency and related word rankings, as a method of such learning through a moving character animation.

      • KCI등재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경로 유형화에 관한 연구

        김혜연 ( Hye Youn Kim ) 韓國社會保障學會 2010 사회보장연구 Vol.26 No.1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들 여성에 대한 노동시장 개입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경로를 종단적으로 유형화함으로써 중·장년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경로를 총체적(holistic)인 시각에서 조명하였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직업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5세부터 65세까지의 여성들의 노동경로를 집단중심추세분석(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경로는 ① 양육 후 노동시장 진입형 ② 가사노동 지속형 ③ 가사-시장노동 병행형 ④ 노동시장 진입 후 재퇴장형 ⑤ 조기 노동시장 진입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함의는 여성에 대한 노동시장 정책이 이질적인 노동시장 경로를 가지는 여성의 특성에 따라 구체화되고 세분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장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omen`s employment trajectories in middle ages. Data used for this article i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sample consists of women aged from 45 to 65 years. And this study adopted a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method to examine middle aged women`s employ trajectories across the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Women`s employment trajectories a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it was named as ① Late entry after childbearing ② Continuously family work ③ simultaneously family and labor market work ④ Labor market re-exit ⑤ early entry after childbear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labor market policies for women after considering women`s various employment patterns. In addition, more political concerns should be given on women in mid-life and it is needed to create `decent job` for these women.

      • KCI등재

        우리나라 중,고령 여성의 생애 노동과정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출산코호트별 변화를 중심으로

        김혜연 ( Hye Youn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0 사회복지정책 Vol.37 No.3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여성의 노동과정이 보다 이질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고 보고, 우리나라 중·고령 여성의 생애 노동과정을 몇 개의 전형적인 범주들로 유형화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단적 자료를 유형화 하는데 유용한 분석방법인 집단중심추세분석(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을 이용해 여성의 첫 출산 전후 40년 동안의 노동과정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여성의 생애 노동과정은 ① 가사노동 지속형 ② 가사-시장노동 병행형 ③ 출산 후 노동시장 퇴장형 ④ 양육 후 노동시장 진입형 ⑤ 노동시장 진입 후 재퇴장형 ⑥ 조기 노동시장 진입형 ⑦ 노동시장 참여 지속형의 7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이를 출산 코호트별로 구분하여 그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여성의 노동과정은 보다 이질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노동과정의 변화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있어 지속성(continuity)의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여성의 노동시장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동정책 접근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omen`s employment trajectories during 40 years. Data used for this article i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e sample consists of women aged from 45 to 65 years. And this study adopted a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method to examine women`s employ trajectories across the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Women`s employment trajectories are divided into seven groups and it was named as ① Continuously family work ② Simultaneously family and labor market work ③ Labor market exit after childbirth ④ Late entry after childbearing ⑤ Labor market re-exit ⑥ Early entry after childbearing ⑦ Continuously labor market work.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ve composition of the employment trajectory has changed over birth cohorts. Women`s employment patterns has been differentiated and diversified. But continuity of women`s employment patterns has not been improv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labor market policies for women after considering women`s various employment patterns. In addition, more political concerns should be given on women`s work-family balancing.

      • KCI등재

        더블텐스형식의 관점에서 본 「はずだ」의 연구

        김혜연 ( Hye Youn Ki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3 No.1

        본 연구는 「はずだ」를 더블텐스형식이라는 관점에서 4개의 패턴으로 분류 하여 각각 패턴의 「はずだ」의 구문적, 의미적 특징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제 1텐스의 존재시, 실현유무, 화자의 확인유무 및 확인시점, 그리고 제 2텐스의 화자의 판단시점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했다. 용례는 소설 회화문에서 <추측>을 나타내는 「はずだ」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명제의 술어는 동사술어로 제한하고 있다. 분석결과를 패턴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과거형+비과거형」에서는 제 1텐스와 제 2텐스의 형태와 의미가 일치하며, 이 패턴의 「はずだ」는 화자가 발화시에 있어서 미래의 사태를 당연히 일어날 사태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과거형+비과거형」은 발화시에 있어서의 과거의 사태를 나타낸다고 했다. 하지만, 문의 공기 요소 등에 따라 텐스적인 측면이 뒤로 물러나고, 무드적인 측면이 전면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세 번째로, 「비과거형+과거형」은 과거에 있어서 미래의 사태를 추측했다라는 것을 발화시에 재확인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했다. 그리고, 이 패턴의(비)과거형은 텐스적인 대립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텐스적인 측면이 약해져 텐스의 대립이 무너지고, 무드적인 측면이 전면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무드적인 측면이 전면에 나오면 비과거형과 과거형의 교체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는 것도 밝혔다. 또한 이 경우의 「はずだ」는 대부분 <반사 실>을 나타내며,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발화시의 명제 성립에 대한 <재확인>과 관련지어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과거형+과거형」은 본 연구에서 찾아낸 용례가 1개밖에 없었고, 다른 선행연구에서도 없는 것으로 보아, 이 패턴이 회화에서 사용되는지 어떨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This study is distributed by 4 patterns from the point of view called by the double tense form and analyzes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hazuda. Concretely, It considerates when the first tense is existed, whether or not realization and confirmation are existed, the time of the confirmation, and the second tense of speaker`s view point of Judgement. The analyzed Objects of this examples are hazuda expressing “guess” from the dialogues of novels and predicate of proposition is only limited with verb. Results of analysis arranged by patten is the next. First, 「non-past form+non-past form」 is equal between the first tense and the second tense in the form and meaning, and hazuda expresses that the future situation occurs naturally from the this patten when speaker`s speaking. Second, the first tense of 「past form+non-past form」 expresses situation of the past when speaking. But, the side of tense could go backward and the side of mood could go forward by such co-occurrence elements of the sentense. Third, 「non-past form+past form」expresses re-confirmed of guess about the future situation when speaker`s speaking, so it can have in some case tense confrontation, but it makes the side of tense weaken, tense confrontation broken, the side of mood go forward. And, it could made non-past form and past form change when the side of mood go forward. And, in this case most, hazuda expresses “unreal”,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 related re-confirmed about established proposition when speaking. Finally, this study finds only 1 example of 「past form+past form」and it is not in other previous studies, so I need to think whether this patten is used with conversation.

      • KCI등재

        교육수준에 따른 구강 보철물 상태 비교 연구

        김혜연(Hye Youn Kim),이미희(Mi Hee Lee),김지혜(Ji Hy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 중 구강 검진조사로 이루어진 구강보철물 상태 조사를 활용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교육수준별로 실제 구강건강 상태가 어떠한지를 보고자, 구강 내 현존하는 보철물 상태와 가공의치, 틀니 등의 필요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교육수준이 초등졸업 이하가 32.2%로 현저히 낮았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점점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에서는 대학 졸업이상이 소득수준 ‘상’에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학 졸업이상의 교육수준에서 전문가 직업군이 77.4%로 월등히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수준에 따른 상.하악의 구강 내 보철물 상태에서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수준에서 전체적으로 구강내 보철물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었고, 부분틀니. 완전틀니 필요도에서도 초졸 이하의 교육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정성 가공의치 필요단위 수에서는 상악에서는 초등학교 졸업이하의 교육수준에서 가장 높았지만, 하악에서는 중학교 졸업 수준에서 가장 높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ntal prosthesis condition from the sixth primitive data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 analyze and compare the necessity of existent dental prosthesis condition, dental bridge and denture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al oral health condition by educational level targeting adults aged over 20 years old. From the results, based on demographic-sociologic features, 32.2% of females were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level, which was lower than males, and the educational level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and these tren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income level, 45.3% of university graduates had the highest income level and 77.4% of this age group were professionals,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dental prosthesis condi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the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group had the most dental prosthesis and the greatest need for partial dentures and full dentures. As for the necessary number of fixed implants, the upper jaw had the most number of fixed implants and in the lower jaw, the under middle school graduation needed the most fixed implants.

      • KCI등재

        유 · 아동의 칫솔질 시기에 따른 치아우식증 분석

        김혜연(Kim, Hye-Youn),이미희(Lee, Mi-Hee),김지혜(Kim, Ji-Hy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에서 검진조사로 실시된 구강검진 항목의 치아우식증과 건강 설문조사 로 실시된 칫솔질 시기를 묻는 문항을 활용하여, 치아가 나기 시작해서 영구치가 완성되는 1-13세의 유아동을 대상으로 하 루 중 칫솔질 시기와 치아우식증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우식경험영구치가 많을수록, 영구치우식경험을 한 경우일수록 칫솔질 시기 전반적으로 칫솔질 실천율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이 낮은 집단에서 전반적으로 치아우식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의 우식경험으로 인한 경험적 산물로 칫솔질에 강한 동기부여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ooth brushing time per day and dental caries in 1-13-year-old children in the stage of the completion of their permanent teeth based on the 6th primitive at data of objective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The results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DMFT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a lower toothbrushing rate after lunch generally have a higher incidence of dental c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