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수준에 관한 종단연구

        김표민(Kim, Pyo M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변화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잠재계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만 0~3세)를 둔 어머니들로서 한국아동패널 1~4차년도 조사 참여자 2,100명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혼합모형으로 도출한 잠재계층은 총 4개 집단이었다.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증가형’(c1, 32.1%) 집단, ‘안정형’(c2, 51.2%) 집단, ‘감소형’(c3, 14.4%) 집단, ‘급감형’(c4, 2.3%)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어머니 내적 변인 중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출산 전 우울수준, 자아존중감이, 외적 요인 중에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비규범적 생활사건, 사회적 지지가 잠재계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통제 변인은 어머니 연령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derive latent clas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change in depression of mother who has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and also to verify variables which predict each latent class significantly. The subjects were 2,100 mothers with infants (age 0~3), who joined the 1st~4th year survey by Korea Infant Panel, which result is as follo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latent classes in total derived from Latent Growth Mixed Model. They were named as ‘increased type’ (c1, 32.1%) group, ‘stable type’ (c2, 51.2%) group, ‘decrease type’ (c3, 14.4%) group, ‘rapid decrease type’ (c4, 2.3%) group,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econd, nurturing stress, marriage satisfaction, depression level before delivery, selfesteem, among mother’s internal variable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nurturing children, non-normative life event, social support among mother’s external variables, predicted latent class significantly. Mother’s age among control variable predicted latent class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아동학대행위자 특성 및 개입에 대한 고찰 - 2019년 아동학대 주요통계를 중심으로 -

        김표민 ( Kim Pyo Min ) 한국아동보호학회 2020 아동보호연구 Vol.5 No.1

        아동학대피해경험은 인생 전반에 걸쳐 신체적·정신적·정서적 영역에서 깊은 상처를 남긴다. 2019년 아동학대 통계현황에 따르면 아동학대사례건수는 30,045건으로 전년 대비 22%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부모가 학대행위자인 경우가 75.6%에 달하였다는 점에서 피해자와 일상생활을 함께 해야 하는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심각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행위자의 특성을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학대행위를 줄일 수 있는 개입방법을 고찰하고자 함이다. 학대행위자를 위한 접근으로 1) 개인의 생애에 대한 재정립 2) 정신적·정서적 문제 다루기 3) 가족 다시 세우기 4) 사회로 들어가기 5) 기타 내용에 대하여 제시한다. Child abuse experience leave deep physical·mental·emotional scars that last throughout the whole life. According to the 2019 statistics on child abuse, the number of child abuse cases were 30,045 which is 22% larger than the value from the previous year. Considering that 75.6% of these cases have parents as the perpetrator meaning that victimized children spend their daily lives with their perpetrator, the negative influence inflicted on children is much more seve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ttributes in perpetrators of child abuse from ecosystemic perspective and investigate possible intervention methods to decrease the events of maltreatments. The study suggests following means as possible approach for th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1) Reorganization of personal life 2)Mental·emotional problem solving 3)Rebuild family 4)Return to society 5)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