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광주·전남지역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

        김태강 한국통합교육학회 2015 통합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alitie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about it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operating subject matter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by data obtained from 117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12 special school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Specifically, the realities of operating subject matter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nd evaluation realitie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lso,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were examined according to variables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nall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instruc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ubject matter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teaching strategies and skills on subject matter education. To improve it, preservice special teachers should be trained to have professionalism in subject matter education. Second, training for practicing teachers should be extended for them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quality in subject matter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들의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과교육에 관한 교수효능감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소재의 특수학교 12곳의 초등특수교사 117명의 자료를 통해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운영실태와 교수효능감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운영실태(교과교육의 정보수집방법, 주된 교육과정 형태, 교과지도 시 중요시 하는 과목 등),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 실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등특수교사들의 변인별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특수교사들은 교과교육에 대한 경험 및 정보 부족으로 장애학생들에게 교과교육을 지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예비특수교사들을 양성하는데 교과교육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를 통해 교과교육 전문성과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확대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김태강,정은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First of all, in order to produc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I analyzed precedent research and constructed questions in the stage of question development. And then expert panels verified questions for content validity. Also, they were evaluated for the questionnaire understandability, and thereafter questions were finalized. Then, the Korean sign language based on the questions was produced. This questionnaire examined the item difficulty targeting 151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configuration factors and the questions were abstracted through the explorer factor analysis, and I verified their reliability. As a result of the explorer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and twenty-five questions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Also, the constructed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cores of four factors and the total score. And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the reliability in each configuration factor showed a high level of reliability which Cronbach’s α was .78~.86, and each question in the configuration factors showed also a high level of reliability which Cronbach’s α was .71~.86.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동의 교육이 언어 및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 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삶의 질에 초점에 맞추고 평가하도록 요구함에 따라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개발단계에서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문항을 구성한 후 문항의 적절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둘째, 문항이해수준을 점검하고 문항을 확정한 후 수화영상을 제작하고 수화영상의 적절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셋째,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청각장애아동 15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구성요인별 및 요인 내 개별 분항의 Cronbach's α값을 통해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는 구화사용자와 수화사용자 모두에게 실시 가능하도록 제작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태권도 수련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인성 및 사회성과의 관계

        김태강(Kim, Tae-Kang),김하영(Kim, Ha-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1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ducators with informative data of effective ways of teaching Taekwondo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of the personality and the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98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the trainees in 8 Taekwondo training centers in Seoul area, and they were chosen through the non-probability sampling technique. Based on the studies of Kim(2011), Jung(2010), and Han(2008), a questionnaire was created, distributed, and collect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al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of weekly training frequency, training duration, training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ic life habits, community spirit, identity establishment, self-respect, filial piety, and love and respec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weekly training frequency, daily training duration, total training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w-abiding spirit, sociability, responsibility, diligence, and planning ability. Third, the correlation of the personality and the sociality in Taekwondo training showed that a higher personality resulted in a higher sociality.

      • KCI등재

        청각장애아동의 배경변인 및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연구

        김태강 ( Taegang Kim ),정은희 ( Eunhee Je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연구 참여자는 청각장애아동 151명과 건청아동 252명이다. 청각장애아동은 배경변인(성별, 학교급, 장애등급, 청각보조기기 착용 여부, 청각보조기기 착용 시기, 의사소통 방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 간의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아동의성별, 학교급, 장애등급, 청각보조기기 착용여부, 의사소통 방법 간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청각보조기기 착용 시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5세 미만에 착용한 아동이 5~10세 미만에 착용한 아동보다 만족도가 더 높게 나왔다. 둘째,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학교급간(초, 중, 고)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요인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건청아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청각보조기기 착용 시기가 빠를수록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청각장애아동이 건청아동보다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계획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examined 151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252 hearing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ttest and F-test with diverse background variables, which was based on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data. Also, t-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151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252 hearing children in the group of the school grades(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s a result, first, no difference was found in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gender, school grades,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way of communication practice and whether or not they use auditory assist devices.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time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start using auditory assist devices among the groups: the sooner children use auditory assist devices, the better the result comes in communication-related life qual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hearing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school grades.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demonstrated lower score than hearing-children in all configuration factors and total score. Based on the results above, I hope this study can be useful to develop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KCI등재

        읽기 유창성 관련 실험연구 문헌 분석 - 2001년 ~ 2011년 국내 연구 중심으로 -

        김태강 ( Tae Gang Kim ),정은희 ( Eun Hee Jeong ),박윤 ( You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국내 읽기 유창성 관련 실험연구의 동향과, 각 연구들이 과학적연구의 질적 기준을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문헌분석을 위해 국내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 및 수집하였고, 분석틀은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Horner 등 (2005)의 질적 지표와 이소현 등(2005)을 참고하였고, 집단실험연구의 경우, Gersten 등 (2005)의 질적 지표를 재구성한 허유성 등(2010)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 읽기 유창성 관련 실험연구는 총 21편으로 단일대상연구가 12편, 집단실험연구가 9편이었고,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독립변인은 2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각기 다른 중재를 사용하여 어떤 중재전략이 가장 효과적인지 제안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단일대상연구는 질적 지표의 충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독립변인의 충실도와 관찰자간 일치도 및 신뢰도, 반복 가능한 기초선의 기술 측면에서는 제한적이었다. 셋째, 집단실험연구는 질적 지표를 대부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특히 연구 대상자, 중재충실도, 비교집단, 중재수행자, 연구 도구의 타당도 등에 대한 정보들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추후 실험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고하도록 하여, 증거기반 교수법의 선택기준을 제공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reading fluency-related experimental studies in Korea for 10 years and how they met the qualitative standards of scientific research. For literature analysis, literatures were searched and collected by domestic digital DB. For an analysis framework,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referred to Horner et al., (2005)’s quality indicators and Lee SH et al., (2005) and group experimental studies used Heo YS et al., (2010) who reconstructed Gersten et al., (2005)’s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1 domestic reading fluency-related experimental studies were examined with 12 of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and 9 of group experimental studies and most of them were for elementary students. Since independent factors of all experimental studies but two used different intervention, it was difficult to suggest what intervention strategy was the most effective. Second, while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was relatively high in qualitative indicators satisfaction, independent factor fidelity, inter-observer agreement, reliability, and replicable baseline description was limited. Finally, most group experimental studies did not meet a qualitative indicators.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subjects, intervention fidelity, comparison group, intervention performer, and instrument validity was not sufficient.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the standards for selecting evidence-based instruction by helping improv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experiment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