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한국 고대 동아시아 사상의 교류 ;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나라시대를 중심으로-

        김천학 ( Cheon Hak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본고는 일본 불교에서의 원측 이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첫째, 일본 쇼소인(正倉院) 고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원측 저술의 필사 기록을 조사하여 원측 저술의 유통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는 나라시대 법상종 문헌에서의 원측 인용에 대한 한 예를 검토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일본 나라시대에 중국 법상종에 대한 정통의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를 방증하는 결론에 이를 것이고, 나아가 일면 신라의 원측이 중국의 기보다 더 중시되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도출할 것이다. 나라(奈良)시대에는 사경소가 설치되어 많은 불교 저술이 필사된다. 쇼소인에는 이와 같은 8세기의 고문서가 1만여 점 정도 전해진다. 나라시대에 필사되었던 원측의 저술은 총 9종류이다. 원측의 저술은 731년부터 774년까지 44년에 걸쳐 꾸준히 필사기록이 보이는데, 특히, 747년과 751년에 가장 많이 필사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된 저술은 『성유식론소』로 30여 회 필사기록이 남아 있다. 한편, 나라시대에 필사된 기의 저술은 원측 저술의 2 배인 19여종에 이른다. 그의 저술도 역시 731년부터 필사되기 시작한다. 95여회의 필사기록이 있는 원측보다 30여회 많아 122회에 달한다. 하지만, 필사된 기의 저술 종류가 원측 저술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일본에서 기의 저술을 원측의 저술보다 특별히 더 중시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되는 것이 『법화경소』의 명칭으로 필사된 『법화현찬』 10권이다. 반면에 『성유식론소』는 14회 정도 필사된다. 반면에 원측의 『성유식론소』는 30여회 필사된다. 이 같은 통계로부터 770년대까지는 『성유식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원측의 『성유식론소』가 기의 『성유식론소』보다 더 중시되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가능하다. 원측의 제자 도증과 기의 제자 혜소에 대한 필사 기록에도 거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즉 도증과 혜소의 학파 상승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혜소의 저술로서는 『최승왕경소』가 많이 필사되는데 일본에서 호국경전으로서 중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 말 젠주의 저술 『증명기』와 젠주 다음에 활약했던 고묘를 통해 볼 때, 당시, 특별히 원측과 기를 차별하려는 입장이나 신라와 중국을 구별하려는 학문적 태도를 확인할 수 없다. 향후 일본에서의 원측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젠주 뿐 아니라 젠주 이외의 유식문헌과 유식문헌 이외에서의 원측인용의 예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Japanese Buddhism of the Nara period. In this study, firstly, I researched the circulation of Wonchuk`s writings by investigating the recordings on the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presente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Shosoin(正倉院) in Japan. Secondly, I probed an example of citation of Wonchuk`s writings in the documents of the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Thu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upports the existing supposition that there had been no consciousness on the orthodoxness of the Chinese Fashang school in the Nara period, with the possibility that Wonchuk from Silla might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Chinese Chi. In the Nara period, there have been many transcriptions of Buddhist writing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cription offices in many places. In Shosoin, there remains about ten thousand pieces of such ancient documents from 8th century. In total, 9 kinds of Wonchuk`s writings had been transcribed in the Nara period. From 731 AD to 774 AD, for 44 years, there are recordings on continuous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especially in the years of 747 AD and 751 AD. The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30 times, which shows its popularity excelling the other works of Wonchuk. On the other hand, the transcription of Chi`s writings in the Nara period is recorded to have been done in 18 kinds, which are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s writings. His writings also began to be transcribed in the year of 731 AD. The number of times being transcribed in the case of Chi`s writings surpasses the one in the case of Wonchuk`s writings by 34 times, its being 126 times compared to 92 times in the latter case. Considering the kinds of Chi`s writings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 however, I could not come to the conclusion that Chi`s writings have been transcribed saliently more often than Wonchuk`s writings. Among Chi`s writings, the Fahuaxuanzan(法華玄贊) in 10 volumes, in the name of the Fahuajingshu(法華經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most often, while 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17 times. From such statistical analysis, until the decades of 770 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engweishilun(成惟識論), Japanese Buddhist scholars might be carefully supposed to have focused on Wonchuk`s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more than on C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Considering the writings of Jenju(善珠) and Gomyo(護明) in the end of the Nara period, I could not ascertain their scholarly attitude to distinguish Wonchuk and Chi or to distinguish Silla and China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eishi(惟識) school. In the future, there remains the necessity to analyze more critically the cases of their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Weishi and other docu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thoroughl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Japa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법장의 『화엄교분기』 종성론에 대한 균여의 이해

        김천학(Kim, Cheon-hak)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5 No.-

        본 고는 화엄의 종성론을 테마로 해서, 고려시대 균여의 화엄 종성론의 특징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이 인도에서 귀국한 이후 발생한 구유식학파와 신유식학파의 논쟁은 종성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종성논쟁은 본질적으로 유식학파간의 논쟁이었지만, 당시에 종남산에서 거주하던 화엄학자 지엄도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저술에서 피력하게 된다. 지엄의 견해는 수행을 중시한 종성론이다. 이러한 지엄의 견해는 법장을 통해 동아시아 화엄가들의 기본 입장이 된다. 법장의 종성론에 대한 사유는 『화엄교분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균여가 『석화엄교분기원통초』에서 이 부분에 대해 주석한 내용을 검토하면, 균여의 이해 가운데 오해에 의해 구성된 부분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화엄가의 공통적 현상이긴 하지만, 일본 헤이안시대에 쓰여진 『화엄종성의초』와의 비교를통해 균여만의 특정을추출할수 있다. 균여의 종성의는 법장을 답습하기는 하지만, 종교 종성의의 성격 규정에 있어 본각을 여러 각도에서 비춰본다. 또종성이 보불과관련 있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볍장의 『기신별기』를 인용히-여 그 명증성을 기한다 그것은 오히려 법장 사유에 대한 약간의 오해로부터 비롯한 논리였다. 또한 법상유식파를 비판하기 위해 법상종의 논소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데, 종교에 해당하는 『섭대승론』을 시교와 관련시켜 이해하여 종교의 입장에서 시교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는 방법을 시용하기도 한다. 나아가 종교의 종성론에 대해서도 또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는 결국 완성된 원교의 교리를 도출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점에서도 오해에 근거한 주석을 통해 화엄교리가 심화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ayan theory of zhongxing(種性 gotra, clan or lineage) in Kyunnyo(均如) of the Koryeo dynasty in the history of the Huayan theory of zhongxing. The view of Zhi-yan(智嚴) as the establisher of Huayan studies on Zhongxing was focused on practice. This view became the basic understanding of zhongxing in the Huayan scholars of East Asia through Fazang(法藏) . Fazang’s thought on Zhongxing can be ascertained in the Huayanjiaofenji(華嚴敎分記). Through the analysis of Kyun -nyo’s commentary on it in also be ascertained to have been partly composed of a misunderstanding of it. Although such phenomenaoccur generally among Huayan scholars, Kyun -nyo’s distinctive understanding can be extracted through its comparison with the Kegonshu shushogisho(華嚴宗種性義抄) in the Heian period of Japan. Kyun-nyo’s understanding of zhongxing inherits Fazang’s by and large, his establish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ificance of Zhongxing in the Final teachings is especially based upon the illumination of Benjue(本覺, original awakening) from diverse perspectives. In addition, he clarifies it through the citation of Fazang’s Qixinbieji(起信別記, Additional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n order to prove its relation with the thought of Bao Fu(報佛,Recompensed Buddha), which is a result of his partial misunderstanding of Fazang's thought in its logic. He also thoroughly investigated the commentaries of the Faxiang(法相) school in order to criticize the doctrines of the Faxiang Weishi(法相唯識, understanding the Mahayana-sarngraha belonging to the Final teachings in relation to the Elementary teachings in his critical attitude to the Elementary Teachings on the basis of the Final teachings. Further, he maintain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theory of zhongxing in the Final teachings. These series of steps as preparatory works in order to establish finally the doctrine of Yuanjiao(圖敎) in its perfection can be interpreted to be the deepening of Huayan thought through commentarial works in misunderstanding.

      • KCI우수등재

        법상(法上) 『십지론의소』 「가분석」의 전개

        김천학(Kim cheon hak)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8 No.-

        본고는 초기 지론사인 법상 『십지론의소』의 『십지경론』 「가분」에 대한 해석, 즉 「가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해석이 제자인 혜원에게 전승되고 비판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지론사상의 계승 및 전개의 한 단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십지경론』「가분」은 지론사상 이해의 중요한 근거가 되는 부분이며 여기에는 삼매와 언설, 육상, 삼종의 궁극(盡) 등의 교리가 주축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십지경론』「가분」의 과문과 이에 대한 『의소』의 과문, 그리고 혜원과의 관련을 통해 그 해석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의소』의 「가분석」 가운데 후에 설법의 근거로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하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를 혜원과의 관련을 염두에 두면서 상세히 논하였다. 『의소』「가분석」에서는 가분에 해당하는 『경』문 일부와 『논』문 전체를 과문을 통해 해석하고 있는데, 『십지경론』을 해석할 때 경문과 과문을 나누어 과목을 설정하는 방식은 혜원에게 이르러서 철저해진다. 다만, 과문의 명목 상에 혜원에게 계승된 부분은 없다. 그런데 「가분석」의 해석을 통해서 볼 때는 혜원의 『십지론의기』에서 『의소』를 참조한 것이 확인되며, 『의소』의 해석을 비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행지(信行地)’ 보살에 대해서 지전으로 규정하는 『의소』의 해석은 『의기』에 수용될 뿐 아니라 『대승의장』으로 적극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의기』에서는 십종입에 관한 『의소』의 해석을 ‘어떤 사람(有人)’ 으로 명명하며 비판하고 있다.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에서는 부처는 삼매 가운데서도 언설이 가능하고, 보살은 삼매로부터 일어나야 교설이 가능하다고 해석하지만, 『의기』에서는 삼매로부터 일어나서야 설법이 가능하다고 해석을 견지한다. 그러나, 이후 지론종을 계승한 화엄종에서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의 해석과 궤를 같이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spects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Dilun thought through Shidi lun yishu on Power Verses by Fashang in early Dilun School.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is an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the Shidi thought of Dilun school. As Fashang interpreted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he used the method of Division of a text which is breaking sentences of sūtra and śāstra. This approach standardized by Huiyuan later. Although he systemized the method, Huiyuan did not succeed the contents on the Division of a text. In details, we can find that Huiyuan used the interpretation on Power Verses by Fashang as a reference and made a critique about it. In the discussion of the nine kinds of entry(入), Huiyuan also criticized Fashang’s interpretation designating Fashang as ‘somebody (有人)’ in his interpret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samādhi, Fashang viewed that language is possible during samādhi for Buddha but it is only possible by awakening from samādhi for Bodhisattva. In the meantime, Huiyuan asserted that sermon can only be possible after awakening from samādhi. Huayan school that succeed Dilun school, however, held identical view with Fashang on the matter of language and samādhi.

      • KCI등재
      • KCI등재

        신라불교에서의 혜원 수용 양상 -『대승의장』을 중심으로

        김천학(KIM, Cheon-hak)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0 No.-

        신라불교의 전개는 다양한 중국불교사상의 유입에 의해 가능하였다. 따라서 신라불교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러한 중국불교 사상의 수용 의의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 일환으로 지론종 후기 인물인 혜원의 『대승의장』을 선택하여 신라불교에서의 수용양상에 대해서 논하였다. 이것은 신라불교에 미친 혜원의 영향과 나아가 동아시아 불교에서의 신라불교의 글로컬적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다. 혜원의 문헌은 신라시대에 7종류의 유통이 확인된다. 그런데, 경흥과 같이 신랄하게 비판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긍정적으로 수용한다. 신라불교에서의 『대승의장』수용 양상을 검토하면, 원효의 경우 인용명과 인물명 없이『대승의장』각의(各義)에 대해서 과문의 형식을 활용하여 인용하는 케이스, 과문의 명목만을 취하는 케이스, 문장을 인용하지 않고 취의하는 케이스 등으로 나누어 지는데,『열반종요』와『대혜도경종요』를 조사한 결과, 혜원을 적극적으로 비판한 흔적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종(經宗)을 논함에 있어『법화경』의 경종을 일승이라고 본 것은, 그것을 삼매로 본『대승의장』과는 다른 견해를 보인다. 또한 남지사의 5시교와 신유식의 삼전법륜설 가운데『반야경』과『법화경』과의 시간적 관계에 대한 입장을 동시에 비판한 것은 교판적으로『대승의장』보다 진일보한 해석이 아닐 수 없다. 표원은『요결문답』에서 법장 화엄학을 중심으로 전개하면서도『대승의장』을 25회 정도 적극적으로 인용한다. 비록,『대승의장』을 비판하는 예는 없지만, 그 가운데 육상설에서는 화엄종 정통의 견해와는 다른 설을 수용하는 예도 있다. 이것은 화엄과 지론의 융합 형태라고 부를 수 있는 새로운 화엄사상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법상종 둔륜(遁倫)의『유가론기』에서는 혜원의『지지론의기』를 중시한다고 보이지만, 6회정도『대승의장』인용예가 확인된다. 비록『유가론기』에 혜원의 설을 비판하는 예도 2회 정도 확인되지만,『대승의장』의 인용패턴은『유가사지론』의 설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신라불교에서 경흥에 의해 정토 관계 저술이 강하게 비판되기는 하지만,『대승의장』은 원효, 표원, 둔륜의 사상 형성에 다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보인다. 다만, 경종, 교판, 육상의 해석 예는 신라불교가『대승의 장』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사상 조류를 탄생시키려 했던 움직임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이야말로 신라불교의 글로컬적 특징의 일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Silla Buddhism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importation of various Chinese Buddhist theories. On account of this fact,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significance of the importation of Chinese Buddhism to correctly understand Silla Buddhism.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Dashengyizhang 大乘義章, written by Huiyuan 慧遠 of the later Dilun school, and discusses its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in Silla Buddhism. This is a task essential to studying not only the influence of Huiyuan in Silla buddhism, but als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illa Buddhism within the global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Huiyuan's seven works are confirmed to have circulated during the Silla period. Although there were detractors such as Gyeongheung 憬興, most of his works were readily accepted in a positive light. In the case of Dashengyizhang, Wonhyo 元曉, Pyowon 表員 and Dullyun 遁倫 all affirmatively adopted the theories found in the work. Although Wonhyo does not specify the name of Huiyuan or Dashengyizhang, he nevertheless makes use of many theories found in the work. However, Wonhyo has a different explanation than Huiyan on the main theme of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nd also shows a more developed doctrinal taxonomy. This implies that Wonhyo developed his own theory atop an assimilation of Huiyuan's thought. While the Hwaeomgyeong mun-ui yogyeol mundap 華嚴經文義要決問答 by Pyowon of the Hwaeom 華嚴 school is based on Fazang's Huayan thought, it also actively cites Dashengyizhang about 25 times. Among these citations, some cases do not correspond to orthodox Huayan thought. This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new Hwaom doctrines coming into being through the syncretic combination of Huayan and Dilun thought. Dullyun's Yugarongi 瑜伽論記 of the Faxiang school 法相宗 cites Dashengyizhang about 6 times as a supplementary material to Yuqieshidilun 瑜伽師地論. This proves that Dullyun regarded Huiyuan as a Yogacāra master. To summarize, the Dashengyizhang was highly influential to Silla Buddhist scholars such as Wonhyo, Pyowon, and Dullyun. However, it is clear that there was a parallel movement by these scholars to forge their own novel doctrinal path upon the foundation provided by the adoption of the Dashengyizhang. This is an exampl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illa Buddhism within the global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종밀의 『대승기신론소』와 원효

        김천학(Cheon Hak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9

        종밀의 『대승기신론소』(이하 『종밀소』)는 법장 『대승기신론의기』(이하 『의기』)를 요약한 문헌이다. 이런 점에서 법장을 어떻게 이해했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다. 특히, 원효의 『소』에 의해 『의기』를 이해했다는 평가도 존재하는데, 이를 통해 『종밀소』의 신라 『원효소』 수용 방식과 원효 이해를 엿볼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에 소장되어 있는 『종밀소』에 대해 연구할 기회를 가진 것이 계기가 되어 집필하게 되었다. 『종밀소』의 문헌학적 연구는 물론, 『종밀소』 자체가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장서각본『종밀소』를 중심으로 『종밀소』의 유통상황과 제 판본들의 조사, 그리고 『종밀소』의 요약방법에 대한 문헌학적 검토를 통해 『종밀소』의 특징과 원효 사상의 수용의 일단을 밝히고자 한다. 『종밀소』에 대해서는 문도인 석벽사(石壁寺) 전오(傳奧)의 『대승기신론수소기』 6권, 전오의 4세손인 장수자선(長水子璿)의 『대승기신론필삭기』20권 등이 있어 종밀을 통해 법장이 연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에는 중국의 이러한 흐름이 전해졌고, 줄 곧 『종밀소』를 중심으로 연구되다가 에도시대 봉담(鳳潭) 이후 법장의 주석서를 연구하기에 이른다고 한다. 한편, 한국에서는 의천에게 화엄조사로서, 그리고 지눌에게는 선종조사로서 종밀이 점점 중요시되지만, 『기신론소』에 대해서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언급되면서 이후 『기신론』 연구에 『종밀소』가 중요한 문헌이 된다. 교감결과로는 장서각본 등의 천순본(天順本) 계통, 축쇄본(縮刷本), 건륭장본(乾隆藏本)이 같은 계통이고, 나머지 도쿄대(東京大), 도요대(東洋大), 일본 국립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류코쿠대(龍谷大)본이 같은 계통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내용을 비교했을 때 장서각본의 원본이 되는 천순본 계통이 선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만, 축쇄본은 많은 부분에서 신뢰할 수 없는 글자로 바뀐 예가 있고, 그 외 일본소장본들은 『기신론』 원문에서 『석마하연론』과 유사한 원문을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기신론』원문 확정과 『종밀소』의 유통과정에서의 문제들을 추구할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내용상으로, 『종밀소』는 법장의 『의기』 내용을 요약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법장의 『의기』와 원효의 『기신론소』, 징관의 저술들, 그리고 종밀 자신의 글로 구성되었다. 종밀은 법장의 『의기』를 요약하면서 문자를 바꾸거나 자신의 『원각경』 관련 주석서를 인용하고 있다. 이것은 종밀이 『의기』를 개변한 충분한 증거가 되며 종밀 자신의 기신론관을 반영한 결과일 것이다. 『원효소』의 수용양상을 검토한 결과, 종밀이 『원각경소』를 저술할 때에도 『원효소』를 수용한 흔적을 발견하였다. 향후 이와 같은 문헌학적 기초 작업을 발전시켜 종밀의 기신론사상과 종밀의 원효 수용 양상을 더 구체적으로 밝혀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Among the commentaries on the Dashengqixinlun(『大乘起信論』) is the Dashengqixinlunyishu(『大乘起信論義疏』)(DYishu) which was written by Zongmi (宗密) and is an abridged form of Dashengqixinlunyiji(『大乘起信論義記』)(DYiji) by Fazang(法藏). Thus we can figure out how Zongmi understood Fazang`s thought by examining this text. There is an assertion that Zongmi construed DYiji from the viewpoint of Wonhyo(元曉)`s Daeseunggisinnonso(『大乘起信論疏』) (DSo). According to this, this text could let us know the influence of Wonhyo on the Chinese buddh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hinse buddhism on Wonhyo`s thought. There is a copy of DYishu at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ut no research about the text has been done until now including philological studies. This paper clarifies the followings: (1) the circulation of DYishu in Korea; (2) that DYishu at Jangseogak Archives was the earlier one than other manuscripts and xylographs circulated in Japan by comparing those copies of Dyishu; (3) how DYishu accepted and was influenced by Wonhyo`s thought through philologically investigating the way of abridging shown in DYishu. DYishu is an abridged form of Fazang`s DYiji but actually consists of Fazang`s DYiji, Wonhyo`s DSo and Zongmi`s own commentary. This might show the proof of reformation of DYiji by Zongmi and reflect Zongmi`s perspective on the Dashengqixinlun. Henceforth, based on these philological researches, Zongmi`s thought on the Dashengqixinlun and Zongmi`s way of accepting Wonhyo`s thought should be examined more deeply.

      • KCI등재

        고대 한국불교와 남도육종의 전개

        김천학 ( Cheon Hak Ki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3 No.-

        538년 백제로부터 일본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일본에 여섯 종파가 성립하는 나라시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삼국의 불교는 일본 불교의 거의 모든 측면에 선진 기술, 제도, 사상 등을 전해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일본에서는 584년 고구려 혜변(惠便)에게 득도한 젠신니(善信尼)가 최초의 출가승이며, 백제로부터의 도래인 덕제법사(德濟法師)가 최초의 비구이다. 이 후 일본불교에서 점차 종파가 성립되어 6종의 성립을 보게 된다. 삼국의 불교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일본의 어느 종파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몇몇 연구를 제외하고는 개설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비교적 가장 구체적으로 연구된 부분은 신라불교와 일본 법상종· 일본 화엄종의 관련일 것이다. 법흥사를 중심으로 고구려의 삼론학이 널리 전파되었음도 밝혀졌다. 일본의 성실종은 삼론종의 부종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삼론종과 성실종이 깊은 관계를 유지한 근원적 이유에 백제·고구려 승려가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언급이 되지 않은 채 논의된다. 계율에 대해서는 백제로부터 전래되었음을 인정하면서도, 완전한 율종은 중국의 감진이 754년 내일하면서 성립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3사 7증 제도가 시행되었다는 견해이다. 감진을 율종의 초조로 보려는 견해는 백제와 신라에서의 계율의 흐름과 감진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수용된 계율의 흐름을 배제함으로써 일본의 율종을 낙후시키는 해석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이 고대한국불교와 남도육종의 관계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미해결 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동대사(東大寺)를 중심으로 성립한 6종으로 좁혀서 한국 고대불교와 일본의 남도육종의 관련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재검토하고 헤이안시대까지 영향을 미쳤던 신라 화엄종을 중심으로 남도육종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선, 삼론종과 성실종의 문제에서는, 삼론종이 고구려, 백제 계통의 삼론종에 속해있으며, 그러한 전통 하에서 삼론종과 성실종이 동거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혔다. 법상종에서는 신라 섭론학의 영향이 농후하며, 원측과 도증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또한 고묘(護命) 이나 신에이(神叡)처럼 신라 유식학의 영향 하에 활동한 일본 유식학자도 거론할 수 있다. 한편, 구사종이 신라 지평(智平)법사에 의해 고취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율종에 관해서는 초기에는 백제, 그리고 감진(鑑眞)이 내일(754년)하여 새로이 율종을 창시하기 전까지는 신라의 계율이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화엄종은 신라계 법상학자들과의 관계가 깊다. 그리고 저술에서는 원효의 화엄사상이 신라 화엄을 대표하는 학자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등(見登)에 의해 『향상문답(香象問答)』이 전해짐으로써 의상학파의 화엄이 원효와 법장을 잇는 일본 화엄종을 혼동시켰다고 말할 수 있다. 백제의 유식학자 의영(義榮)은 천태종의 사이쵸(最澄), 가마쿠라 화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견등은 당시 일본 불교의 사정을 통찰한 후 성불에 관한 저술을 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금후 일본 각 종파의 사적 전개, 사상적 동향 등을 염두에 두고 고대한국불교와 의 관련성을 밝혀야 하는 과제를 남겨 두고 있다. After Baekjae disseminated Buddhism to Japan in 538, the three kingdoms of Korean peninsula have affected Japanese Buddhism in every aspects until Japan established six sects in the era of Nara. However, except for few researches, studies on what route the buddhism of the three kingdoms have influenced on which sect of Japanese buddhism is still lingering on the lowest level. Sanron(Madhyamika) school and Jojitsu(Satyasiddhi) school of Six schools of Nanto Buddhism belong to the Goguryeo and Baekjae Sanron school and these two sects existed under this tradition. Hosso(Yogacara) school was deeply influenced by She-lun(collected sastras) school of Shilla, and was especially affected by Weon-chuk(圓測) and Do-jung`s(道證). Also, there were Japanese Cittamtra(Consciousness Only School) scholars like Gomyo(護明) and Shinei(神叡) who acted under Cittamatra school of Shilla. Kusha(Abhidharma) school was inspired by the Dharma-preacher, Jipyong(智平) and was studied by Cittamtra scholars. Ritsu(Vinaya) school was first influenced by Baekjae, and then Shilla`s religious precepts before Jianzhen(鑑眞) visited Japan in 754 and founded Ritsu(Vinaya) school. Lastly, Kegon(Hua-yen) school is deeply involved with Shilla`s Hosso scholars. Weon-hyo(元曉), who founded the idea of Kegon(Hua-yen)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Shilla`s Huayen scholar. However, it can be said that as Kojomondo(香象問答) got spreaded by Gyeon-deung(見登), Hua-yen of Ui-sang started to confuse Japanese Kegon school, which connected Weon-hyo and Fa-zang(法藏). Baekjae`s Cittamtra scholar, Ui-yeong(義榮) has influenced Saicho(最澄) of the Tendai(Tien-Tai) school and Kegon of the Kamakura period. It is assumed that Gyeon-deung has discerned the situation of Japanese Buddhism of that time and wrote a book about attaining buddhahood. From now on, I would like to explain about the connection with early Korean Buddhism through historical development of each Japanese buddhist sect and the idealogical trend of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