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主節 ‘-더-’와 從屬節 ‘-더-’의 機能 探究

        김천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김천학, 2023, 주절 ‘-더-’와 종속절 ‘-더-’의 기능 탐구, 어문연구, 198 : 7~35 본고는 주절과 종속절에 출현하는 ‘-더-’의 기능을 탐구한 것이다. 동사구문의 ‘-더라’와 ‘-었더라’는 주어가 1인칭이 아닌 구성에 쓰이는 점은 같지만, ‘-더라’는 과거의 직접 관찰을 나타내는 반면, ‘-었더라’는 직접 관찰이 아닌 동작 완료 후의 상황을 나타낸다. 또한 ‘-더라’와 ‘-었더라’는 간혹 예상치 못한 결과인 의외성을 나타낼 수 있다. 형용사구문의 ‘-더라’는 주로 주어가 1인칭일 때 쓰이며 화자의 지각이나 관찰을 나타낸다. 동사 중에서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더라’는 화자의 무의식적 발견을 나타내는데 이는 의외성과 관련이 있다. 부사절의 ‘-더니’는 1인칭 주어와 결합하기 어려운 반면, ‘-었더니’는 1인칭 주어와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더니’와 ‘-었더니’는 공통적으로 직접 관찰의 증거성 의미가 드러나지만 예상치 못한 의외의 상황을 나타내지 못한다. 관형절의 ‘-던’과 ‘-었던’은 1인칭 및 3인칭 주어와 모두 결합이 가능하고 주로 상적 의미 차이를 나타낸다. 주절의 ‘-더-’와 종속절의 ‘-더-’의 의미 차이는 이들이 단언과 전제의 정보 획득 차이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찬술불교문헌의 확장성에 대한 일고찰 - 태현의 『보살계본종요』를 중심으로 -

        김천학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boundary of Korean studies by paying attention to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n the Buddhist texts written by Koreans. This is because the study on the East Asian commentaries on Korean Buddhist literatures can broden the scope of Korean studies in that Korean Buddhism extends its scope through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f Korean Buddhist literatures and its extended domain continues to spread through various specul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mmentaries of 11 Koreans (9 Silla, 1 Koryeo, 1 Chosun) surveyed to date, and in particular, focusing on Bosatsukaihonshuyousho(菩薩戒本宗要鈔), a commentary on Taehyun (太賢)’s Bosalgyebonjongyo(菩薩戒本宗要, hereafter Jongyo), I examined the expansion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Jongyo is the document which became the standard of the practice together with Beommanggyeonggojeoggi (梵網經古迹記) in Japan which places emphasi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This poin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Taehyun was regarded more important even though there were many characters before him such as Zhiyi(智顗), Fazang(法藏) in China and Wonhyo(元曉), Uijeog(義寂) in Silla dynasty. This shows that Taehyun’s interpretation of Beommanggyeong was important in the understandins of bodhisattva precepts in Japan. It is presumed that Jongyo was handed over to China soon after it was written and it was handed to Japan as well at the time of Beommanggyeonggojeoggi’s passing to Japan. In China, since Daofong (道峯)’s preface had been attached, the significance of Taehyun is highlighted and Jongyo with the preface was brought to Japan again. Thereafter more than nine kinds of annotations on Jongyo with Daofong’s preface were written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kinds of commentaries on Jongyo without Daofong’s preface. In this way, Jongyo was spread widely in Japan and the fact that Taehyun was highly appreciated in China could be one reason for this situation. This is an example of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Buddhism by the process in which Jongyo, a Korean Buddhist literature was appreciated in China and Japan, and many commentaries were written as well in China and Japan. 본고는 한국불교를 다양하게 연구하기 위해서 한국인이 찬술한 불교문헌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주석서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외연을 넓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것은 한국불교가 주석서를 통해 외연이 확장되고 한국불교에 내포된 사유가 계속 전파된다는 일면을 포함하고 있다는 데서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한국인 11인(신라9명, 고려․조선 각 1명)의 주석서를 소개하고, 그 가운데 특히 태현의 『보살계본종요』의 주석서인 『보살계본종요초』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확장성과 그 의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보살계본종요』(이하 『종요』로 약칭)는 『범망경고적기』와 함께 보살계를 중시하는 일본에서 학습의 전형이 된 문헌이다. 태현 이전에 중국의 지의, 법장 등이 신라에서도 원효와 의적 등 지명도 높은 다수의 인물이 『범망경보살계』에 관한 주석서를 저술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범망경보살계』에 한해서는 태현의 주석서가 더 중시되었다. 그만큼 태현의 『범망경』 해석이 일본의 보살계 해석에 중시되었다는 뜻이다. 『종요』는 저술된 이후 바로 일본으로 전해지며, 일본에도 『범망경고적기』가 전해지는 시기에 함께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도봉(道峯)의 서문이 쓰여지면서 태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으로 전래된다. 일본에서는 도봉의 서문이 붙은 『종요』의 주석서가 9종 이상 저술된다. 한편, 도봉의 서문이 붙지 않은 주석서도 3종 이상에 이른다. 이렇게 『종요』는 일본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여기에는 중국에서 태현을 높이 평가한 것도 한 원인이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한국불교문헌인 태현의 『종요』가 당과 일본에서 중시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주석서로 재탄생하면서 한국불교의 외연을 확장하였다. 한국불교의 확장성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한국불교의 문헌이 주석서를 통해 해석되고 재탄생하는 과정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한국불교문헌은 중국불교문헌에 못지않게 중국과 일본에서 연구되고 주석된다. 이것은 한국불교가 중국과 일본에서 그만큼 중시된 것을 의미한다. 한국불교가 중시되면서 전파되고 생성되고 재탄생되는 과정을 거쳐 새롭게 확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는 것은 한국학의 범주를 넓히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우리는 이와 같은 주석서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한국불교 연구의 범위 내지는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소유 관계와 소유 구성

        김천학 한국어의미학회 2012 한국어 의미학 Vol.39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into some traits of the possessive construction. The linguistic possessive expression is restricted when they have possessive relations. Two elements in this relation should be a possessor and a possessed. The possessive expression consists of a NP-internal possessive construction and a predicative possessive construction. The former is composed when two noun phrases has possessive relations, meanwhile the latter is composed when a predicate in the sentence plays a role to mediate possessive relations. The possessor is mainly ahead of the possessed generally in the linguistic possessive express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the reverse. So a possessed precedency construction is possible, when the structure of 'determiner#possessed+uy#possessor' has the inalienable possessive relation to the NP-internal construction in Korean. Meanwhile, in the predicative possessive construction, the ‘belong to’ construction can express the possessed precedency construction in English; however, the ‘copula’ construction can express this one in Korean.

      • KCI등재

        보절의 사실성에 대한 고찰

        김천학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6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factivity of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contain to an NP complement, an VP complement and an argument of complement. Prior studies argue that the difference of the factivity are related to the formative and deformative complement clauses. However, judgment of factivity is affected by the relation between the matrix verb and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rix verbs and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first of all, factive verbs cannot combine with the ‘-dago’, while non-factive verbs can. On the other hand, ‘-daneun geos’ and ‘-eun/neun geos’ can both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activity type’ and ‘fact type’ on the complementation strategy. The difference between activity type and fact type is roughly alike to ‘-daneun’ and ‘-neun’ on the NP complement constructions. However, the complement can be interpreted to the counter-factive meaning by informal complement constructions. 본고는 보절의 사실성(factivity)에 대해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절 구성은 명사구 보절, 동사구 보절 그리고 논항 보절이 해당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보절의 사실성에 대해 완형보절과 비완형보절의 사실성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보절의 사실성 판단은 주절 술어와 보절 구성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다. 우선, 주절 술어와 보절 구성의 관계에 있어서 주절 술어가 사실 술어이면 ‘-다는 것’ 과는 결합이 자연스럽지만 ‘-다고’와는 결합이 제한된다. 그러나 주절 술어가 비사실 술어일 때에는 이러한 결합 제한이 해소된다. 다음으로, ‘-다는 것’과 ‘-는 것’은 지각 동사와 결합할 때 사실 유형과 행위 유형의 의미 차이를 보인다. 사실 유형은 ‘정보’를 나타내고, 행위 유형은 ‘사건’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실 유형과 행위 유형의 의미 차이는 명사구 보절에서 ‘-는’과 ‘-다는’이 표제명사와 결합하는 관계와도 상통한다. 그러나 보절은 제한된 구성에서 반사실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실적 해석은 보절의 정형적 표현보다 비정형적 표현에서 가능하다.

      • KCI등재

        <한국불교전서> 수록 신라 문헌의 정본화 필요성

        김천학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2 新羅文化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text critique should be preceded for a full-scale ideological study on Korean Buddhist literature.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ver all the vast Korean Buddhist literature in this paper.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subject of discussion is the literature of the Silla period, which is included in the HBJ, whose original texts remain abroad more than in Korea. The Silla Dynasty edition of the HBJ corresponds to three volumes published in 1980 starting with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volume in 1979. Afterwards, 11 additional volumes were published in 1997, and 17 more types of Silla Buddhist literature were included until the 15th volume was published in 202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os and cons of Buddhist literature of the Silla period in the HBJ, it could be pointed out as an advantage that comparative texts were used more than existing publications, and the editor's comments are presented in footnotes. On the other hands,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First, it relied on existing publications because it was not able to directly see the original or comparative texts stored in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at the time of production. In this case, the incompleteness of the existing text could not be overcome. Second, it is hard to know the principle of editing because there is lack of unity in the editing, such as inserting or not inserting the original text of the sutras or sastras which are the subject of commentary.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figure out whether or not this was originally in the text of the sutra or sastra. These shortcoming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HBJ was published additionally. However, the problem of unifying the principles still existed, and it reveals that more manuscripts and block-printed books had to be collected for an accurate comparison. Then, as a method for the exact comparis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 text critical reading and comparison process through group reading was proposed.

      • KCI등재

        中世國語 ‘가다, 니다, 녀다’에 관한 考察

        김천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2 No.4

        現代國語의 ‘가다’를 의미하는 단어로 中世國語에는 ‘가다, 니다, 녀다’의 세 종류가 있었다. 본고는 이들의 差異點을 밝히는 데 그 目的이 있다. 이를 위해 對應 漢字, 語尾 活用의 制約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 문장에 둘 이상의 단어가 쓰인 것을 통해 意味的 差異를 알아보았다.그 결과, ‘가다’는 ‘지향점’의 意味가 浮刻되고, ‘니다’는 ‘도착점’의 意味가 浮刻되며, ‘녀다’는 ‘단순한 움직임’ 또는 ‘거닒’의 意味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중세국어 ‘가다, 니다, 녀다’가 動詞 連續 構成의 후행 요소로 쓰일 때에는 統辭的 連結體, 合成動詞, 補助用言 등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가다’는 統辭的 合成語를 형성하고, ‘니다’는 非統辭的 合成語를 형성하며, ‘녀다’는 合成動詞를 형성하지 못한다. Modern Korean verb ‘kada’ has three corresponding forms in middle Korean; ‘kada’, ‘nida’, and ‘nyʌda’.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forms. For that I carried out a research into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s with the verbs and restrictions on the inflection of endings. I also consider the cases where two of the three were used in one sentence, which may show the difference in meaning. As a result, I found that ‘kada’ represented the meaning of ‘ORIENTATION’, ‘nida’ ‘DESTINATION’, and ‘nyʌda’ mere ‘MOVEMENT’ or ‘WALKING’. When ‘kada’, ‘nida’, and ‘nyʌda’ are use as the latter part of serial verb construction, they may appear as a form of syntactic series, a compound verb or an auxiliary verbal. ‘Kada’ forms syntactic compound, ‘nida’ non-syntactic compound, and ‘nyʌda’ doesn't form compounding verb.

      • 일본의 근대화엄학 연구와 현대의 접점

        김천학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2

        본고는 일본 메이지시대 이후의 불교학을 일본이 패전하는 1945년까지로 한정하여 화엄학 연구를 정리하고자 하였다.일본이세계 패권주의로 치달리는 가운데서도 각 학문분야의 순수학문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가마타시케오(鎌田茂雄), 「화엄학연구자료집성」(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1983)와 일본에서 제공하는 근대디지털라이브러리와 불교연구 문헌목록을 제공하는 inbuds를 검색함으로써 근대 일본의 화엄학 연구상황을 파악 내지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세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근대 일본의 화엄학 연구동향의 의의와 그 안에서 볼 수 있는 쟁점의 핵심을 설명하고, 현대 화엄학 연구와의 접점에 대해서 논하고자 하였다.근대 일본의 화엄학 연구를 고찰할 때 놀라운 사실은 현대에 연구된 거의 전분야의 문헌학적,사상적 토대가 거의 완성되었다는 점이다.또한 당시의 학문적 문제의식은 현대까지 이어지며, 오히려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점조차 있다.이것은 현대의 학자들이 당시의 쟁점에 대해서 보다 철저히 접근하려는 태도가 약화된 것이 이유이기도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문헌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는 사항이기도 하다. 일본 근대의 문헌학적 소양은 반드시 유럽의 영향으로만 형성되었다고 할 수 없다. 에도시대의 전통적인 학문이, 아니 더 올라가서 고대의 전통적인 주석 방식이 지금의 문헌학과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점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근대불교학은 그 바탕 위에 유럽의 언어학적 연구의 도입으로 그 학문적 수준을 끌어올 릴 수 있었다. 이러한 근대불교학 연구가 현대의 일본의 불교연구 수준을 세계적으로 만드는 초석이 되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메이지시대의 학문에 대한 열정의 덩어리가 현대에 까지 미친 것이라고 해석된다.

      • KCI등재

        他動詞와 ‘-어 있-’의 結合에 관한 考察

        김천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2

        The auxiliary verb ‘-e iss-’ has been known to be combined with intransitive verbs. However,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combined use of transitive verbs and the auxiliary verb ‘-e iss-’. This paper shows that if transitive verbs are analogical transitive verbs as a result of metaphoric extension, the auxiliary verb ‘-e iss-’ can be used with this type of transitive verb. In addition, the sematic role of the adjunct argument in the analogical transitive construction has to be the boundedness of the situation like goal, theme etc.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ical transitive verbs combined with the ‘-e iss-’, their subject of the sentence can be affected but not the object of the sentence as in the case of primary transitive verbs. In addition, analogical transitive verbs represent not only the inherent state, but also the temporary state that implicates the result state whether their subject can be affected or not. 本稿는 타동사와 ‘-어 있-’의 결합에 대해 그 이유를 밝히는 데 主眼點을 두었다. 주지하다시피 ‘-어 있-’은 [종결성] 자동사와 결합이 가능한 制約이 있다. 그러나 드물게 ‘-어 있-’이 타동사와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어 있-’의 結合 制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NP1의 동작주성과 NP2의 의미역 그리고 동사의 상적 속성을 함께 考慮해야 한다. ‘-어 있-’이 타동사와 결합할 때에는 조사 ‘-을’의 실현과 관련을 맺게 된다. ‘-어 있-’이 결합 가능한 타동사는 전형적인 타동사라기보다 그 목적어의 은유적 확장을 통해 추론된 타동사로 볼 수 있다. ‘-어 있-’과 결합하는 추론된 타동사는 조사 ‘-을’이 결합된 NP2의 의미역이 사건의 한정(boundedness)을 나타내며, 그 주어가 변화 대상이 된다. 이는 전형적 타동사의 경우, 목적어가 변화 대상이 되는 것과 대비된다. 이들 推論的 他動詞는 그 주어가 사건 발생에 비관여적인 무변화 대상이면 ‘-어 있-’과의 결합에서 本有的 狀態를 나타내고, 그 주어가 사건 발생에 관여적인 대상이면 ‘-어 있-’과의 결합에서 사건의 종결이 함의된 一時的 狀態를 나타내게 된다.

      • KCI등재

        『화엄십현의사기』에 인용된 신라화엄 문헌의 사상사적 의의

        김천학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0 불교학 리뷰 Vol.7 No.-

        The tenth century A. D. in the Heian period of Japan is particularly called the age of personal commentaries (私記 shiki in Japanese), in which many writings appear in the name or form of personal commentary from various Buddhist sects, including the Hotso-shu (法相宗). Among those works, the Kegonjugengi-shiki (華嚴十玄義私記) quotes some phrases from ① the Kojo-mondo (香象問答), a kind of transcript of Uisang (義湘)’s lectures, and ② the Sinlagi (新羅記) and the Qeongu-gi (靑丘記), respectively a commentary of Zhiyan (智儼)’s Kongmuzhang (孔目章). The doctrinal importance of these quotations can be found in their being the first quotations of the texts belonging to Uisang tradition ascertained within the texts of the Kegon-shu of Japan. In addition, the Kegonjugengi-shiki is the one extant text evidencing the first quotation of Uisang’s Beopgyedo (法界圖). Thus, the Kegonjugengi-shiki is important both in its doctrinal and philological contexts. According to its analysis, it shows familiarity with the texts of Uisang tradition in Silla dynasty, attempting doctrinally to identify Fazang (法藏) and Uisang, which enables us to infer that Gyeondeung (見登), a scholar monk of Silla dynasty, might be found to be responsible for its composition. Besides, the Kegonjugengi-shiki quotes various texts of Chinese Huayan thought that have not been reported to exist in the form of manuscript in the Nara period, including the Huayanyichengshixuanmen (華嚴一乘十玄門) and the Fajieguanmen (法界觀門) attributed both to Dushun (杜順) and the Fajieyihaibaiwen (法界義海百問) and the Huayanzhang (華嚴章) attributed both to Fazang (法藏). We should give further attention to the circulation of these texts in order to analyze historically the various doctrinal trends in the manuscript of the Kegonjugengi-shik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