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라남북도 (全羅南北道) 수역의 (水域) 관속식물상과 (管束植物相) 그 분포

        길봉섭,윤경원,노범진,김창환 ( Bong Seop Kil,Kyeong Won Yun,Bum Jin Rho,Chang Hwan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1989 생태와 환경 Vol.22 No.2

        To investigate the rearing environment of aquatic vascular plants and the change of its spontaneity, field work was carried out in 6 rivers and their drainage basins located in Cholla-nam-buk-do area. The flora was composed of 56 families, 145 genera, 190 species,l subspecies, 27 varieties and 1 forms or 219 taxa; 57 species of hydrophytes, 74 of hygrophytes and 123 of waterside plants. Among hydrophytes emerged plant (E, 52. 6%), floating-leaved plant (FL, 21.7%), submerged plant (S, 19.3%) and freefloating planktonic plant (FP, 7%) were occupied,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was Hydrilla verticillata, but differed according to investigated. A significant place observed was Tamjin river and species to be protected were Hydrocharis dubia, Nymphoides peltata and Braenia schreberi.

      • KCI등재
      • 鎭安 馬耳山 一帶의 植物相과 植生

        吉奉燮,金昌煥 圓光大學校 1996 論文集 Vol.32 No.2

        마이산 도립공원일대의 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109과 346속 481종 71변종 5품종으로 총 557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이산의 외곽지대에는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식재림, 낙엽활엽수 종류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한 마이산의 식물은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구실사리군락 그리고 밤나무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이 군락들은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교목층은 식피율 80%, 수고 7m쯤 되며 인위적인 교란이 많이 되어 있고 잘 보호하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그리고 신갈나무군락으로 발달된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은수사 경내에 있는 청실이는 노거수인데 수세와 수형등이 찾아보기 드믄 나무로서 특별보호대책이 필요하다. The flora and vegetation of Mt. Mai provincial park were investigated in 1996.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109 family, 346genera, 481species, 71varieties, 5formae totaling 557taxa.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plantation and deciduous tree species occupied dominantly in surrounding area of Mt. Mai. By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the vegetation of Mt. Mai was classified into 6 communities and 1 plantation forest :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elkova serrat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Selaginella rossii community and Castanea crenata plantation. These communities were formed three stratification such as subtree layer, shrub layer and herb layer. Cover degree of subtree layer recorded about 80% and their height, about 7m. In general artificial interference against forest development in Mt. Mai area were shown exceedingly, therefore, it should be make counter plant for special protection of the study area and then Q. serrata, Carpinus tschonoskii and Q. mongolica forest be able to develop in near future. Especially, Pyrus ussuriensis var. ovoidea species should be protected because of rare and beautiful tree.

      • 韓國 西南海岸 一帶의 플랑크톤相과 分布

        金昌煥,吉奉燮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87 基礎科學硏究誌 Vol.6 No.1

        Floru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marine plankton have investigated from May to August, 1986 in the west southern coast area of Korea. The flora of phytoplankton was composed of 36 genera, 91 species, 3 varieties and 1 forma or 96 taxa. The zooplankton was collected 1 protozoa, 13 metazoa and 6 taxa of larva. Dominant species of the studied area were Skeltonema costatum which occurred in spring to summer and Parolia sulcata, in fall to winter seasonally. Also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have shown in the range of 4∼16,000, 576cell/ℓ and zooplankton, of 613-61, 496 individual/㎥, respectively.

      • 長安山의 植物相과 多樣性 分析

        吉奉燮,金昌煥 圓光大學校 1988 論文集 Vol.22 No.2

        全北 長安山의 植物相을 밝히기 위하여, 1986년 10월 부터 1987년 9월까지 실지 踏査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長安山의 植物은 99科 326屬 440種 67變種 7品種 1亞種 總 515種類로 나타났다. 長安山의 植物相은 600∼800m는 졸참나무(Quercus serrat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쪽동백나무(Styrax obassia), 거제수나무(Betula costata), 노각나무(Stewaritia koreana), 개벗나무(Prunus leveilleana),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등 광엽교목종이 우점하고 있었다. 800∼1200m는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미역줄나무(Tripterygium regelii), 철쭉꽃(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노린재나무(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쇠물푸레(Fraxinus sieboldiana)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800m∼100m계곡은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고로쇠나무(Acer mono)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多樣度指數(H')와 優占度指數(C)를 보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群集으로 遷移가 진행됨에 따라 多樣度指數는 減少하고 優占度指數는 增加하였다. 각 群集에서 種사이의 상대적인 量的關係를 알아보기 위한 重要値를 보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의 중요치가 가장 높고 졸참나무(Quercus serrat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물푸레나무(Fraxinus rhyuchophylla), 당단풍(Acer pseudo-sieboldianum), 쪽동백나무(Styrax obassia),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An ecological survey on the vegetation of Mt. Chang-An was conducted during one year from Sep. 1986 to Oct. 1987. The flora was composed of 99 families, 326 genera, 440 species, 67 varieties, 7 forma, 1 subspecies, or 515 taxa. Change of diversity index(H') was shown to increase, whereas dominance index(C), to decrease along progressing of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mportance value of Q. mongolica, Q. serrata, Q. variabilis, Carpinus tschonoskii, Fraxinus mandshurica and F. rhynchophylla was shown the higher than other plant.

      • DCCA와 Polar Ordination에 依한 無等山의 森林 群落 分析

        金昌煥,吉奉燮 원광대학교기초자연과학연구소 1992 基礎科學硏究誌 Vol.11 No.3

        光州直轄市, 全南和順郡, 潭陽郡에 위치하고 있는 無等山(1,187m)의 森林植生과 立地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ec analysis) 그리고 polar ordination을 이용하였다. 植生調査는 1990年 4月부터 1991年 8月까지 1:25,000의 지형도를 參考하여 41개소의 方形區를 設置하여 분석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無等山의 森林群落은 TWINSPAN에 의하여 상수리나무군락(Quercus acutissima community), 들메나무군락(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떡갈나무군락(Quercus dentata community),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polar ordination 결과와 거의 비슷한 樣相을 보였다. DCCA분석에 의하면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건조하고 고도가 낮은 지대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군락에 비해 土壞養料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다. 굴참나무(Quercus vaeiabilis)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는 낮은 고도와 유기물함량이 비교적 적은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나,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는 건조한 지역에,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는 습한 지역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신갈나무(Quercus momgolica)와 들메나무(Fraxinus mamdshurica)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습도가 높고, Kaolin, C.E.C 등이 많은 溪谷에 분포하고 있었다. Polar ordination분석에 의하면 주로 습도구배에 따라 7개군으로 분류되어지며, 유기물함량, pH, 온도, C.E.C와 P₂O_(5) 등의 환경요인들에 의하여 서로 다른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polar ordination method were used so 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forest vegetation and habitat of Mudu˘ngsan(1,187m) located in Kwangju area. Vegetation survey consulted 1:25,000 topographical map, set up 41 quadrats and analyzed from April, 1990 to August, 1991. Forest vegetation of Mudu˘ngsan was classified to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dentat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by TWINSPAN method, and this almost coincide with the result of polar ordination. According to DCCA analysis, P. densiflora community was formed in xeric and low altitude region which soil nutrient was poor, compared with other communities.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community were distributed in the region that low altitude and organic matter content was comparatively low, but Q. acutissima community was formed in a damp region while Q. variabilis community in a xeric region. Q. mongolica and F. mandshurica formed the communities in a high altitude region, especially F. mandshurica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a high humidity region. According to polar ordination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to 7 communities by means of environmental gradient such as humidity, organic matter, pH, temperature, C.E.C and P₂O_(5).

      • 全羅南北道 水域의 管束植物相과 그 分布

        吉奉燮,尹敬源,盧範鎭,金昌煥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89 基礎科學硏究誌 Vol.8 No.3

        全甫北 地域에 있는 6個 江과 고 流域에서 水生植物, 濕生植物과 水邊植物을 조사하였더니 水生植物은 57種類, 濕生植物은 74種類, 水邊植勃 123種類로 나타났다. 이들을 다시 分類하면 56科 145屬 190種 1亞種 27變種 1品種 總 219種類가 된다. 水生植物 中에는 抽水植物이 52.6%', 浮葉植物 21.7%, 沈水植物 19.3%, 浮水植物이 7%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 中 頻度가 비교적 높은 식물은 검정말, 개구리밥, 노랑어리연꽃이었고 全般的으로 볼 때 優占襪은 검정말이었으나調査地點別로 差異가 있었다. 生物量(g/m^2)은 마름 2,935,5, 물잔디 1.050, 검정말 877.7, 물닭개비 847.1, 애기가래 806.9의 순으로 生量平均値를 기록했고, 乾量(g/m^2)으로는 마름225.4, 물잔디 90.3, 검정말 86.6, 대가래 78.6이었다. 調査地域 中에서 保護할 價値가 있는 곳은 耽津江이고, 植物은 여러곳에 나는 것으로 자라풀,노랑어리연꽃, 순채를 들 수 있다. To investigate the rearing environment of aquatic vascular plants and thechange of its spontaneity, field work was carried out in 6 rivers and theirdrainage basins located in Cholla-nam-but-do area. The flora was composed of 56 families, 145 genera, 190 species, 1 subspecies,27 varieties and 1 forms or 219 taxa; 57 species of hydrophytes, 74 of hygrophytes and 123 of waterside plants, Among hydrophytes emerged plant (E,52.6%), floating-leaved plant (FL,21.7%), submerged plant (S,19.3%) and freefloating planktonic plant (FP, 7%) were occupied,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was Hydrilla verlicillaia, but differed according to investigated. A significant place obseryed was Tamjin river and species to beprotected were Hydrocharis dubia, Nympkoides pellata and Braenia schreberi.

      • 長安山의 植物相과 多樣性 分析

        吉奉燮,金昌煥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88 基礎科學硏究誌 Vol.7 No.3

        全北 長安山의 植物相을 밝히기 위하여, 1986년 10월부터 1987년 9월까지 실지 踏査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長安山의 植物은 99科 326屬 440種 7品種 1亞種 總 515種類로 나타났다. 長安山의 植物相은 600∼800m는 졸참나무(Quercus serrat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쪽동백나무(Styrax obassia), 거제수나무(Betula costata), 노각나무(Stewaritia koreana), 개벗나무(Prunus leveilleana),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등 광엽교목종이 우점하고 있었다. 800∼1200m는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미역줄나무(Tripterygium regelii), 철쭉꽃(Rhododedron schlippenbiana)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800m∼100m계곡은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고로쇠나무(Acer mono)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多樣度指數(H^1)와 優占度指數(C)를 보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群集으로 遷移가 진행됨에 따라 多樣度指數는 減少하고 優占度指數는 增加하였다. 각 群集에서 種사이의 상대적인 量的關係를 알아보기 위한 重要置를 보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의 중요치가 가장 높고 졸참나무(Quercus serrat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개서어나무(Carpinus tschonoskii),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물푸레나무(Fraxinus rhyuchophylla), 당단풍(Acer pseudo-sieboldianum), 쪽동백나무(Styrax obassia),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An ecological survey on the vegetation of Mt. Chang-An was conducted during one year from Sep. 1896 to Oct. 1987. The flora was composed of 99 families, 326 genera, 440 species, 67 varieties,7 forma, 1 subspecies, or 515 taxa. Change of diversity index(H') was shown to increase, whereas dominance index(C), to decrease along progressing of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mportance value of Q. mongolica, Q. serrata, Q. variabilis, Carpinus tschonoskii, Fraxinus mandshurica and F. rhynchophylla was shown the higher than other plant.

      • 전라남도 상록활엽 수림지의 군락유사성과 종다양성에 관한 연구

        길봉섭,김창환,유현경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96 基礎科學硏究誌 Vol.15 No.1

        전라남도 진도군, 강진군, 고흥군, 완도군 소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4개 상록수림지에 대한 군락유형, 군락유사성, 종 다양성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군락의 유형과 군락 유사성은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지에 분포하는 후박나무군락, 후박나무 ­생달나무군락, 생달나무군락의 유사성이 비교적 높았는 바, 군락의 분포 지형의 환경과 군락 우점종이 군락 유사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개 지역의 상록수림지 중 완도군 미라리의 상록수림과 진도군 의신면의 상록수림지가 가장 유사성이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분포지역의 우점종 및 인위적인 교란의 결과로 보인다. 군락의 종 다양성은 조사지역 중 진도군 의신면 소재 상록수림이 가장 높았으며, 고흥 봉래면의 모밀잣밤나무 군락, 강진 까막섬의 후박나무군락, 완도 미라리의 후박나무­생달나무군락과 생달나무군락이 종의 풍부도(SR), 다양도 지수(H'), 균등도 지수(J')가 낮았다. The evergreen broad ­leaved forest of Chollanam­do was investigated by cluster analysis, community similarity and species diversity from July to November, 1993. The pattern of clustering for 11 communities is summarized in the dendrogram. There are eight distincts:A (Machilus thunbergii­Cinnamomum japonicum, Machilus thunbergii of Wando­gun),B(Cinnamomum japonicum of Wando­gun),C(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of Chindo­gun, Eurya japonica of Wando­gun),D(Quercus salicina of Chindo­gun),E(Castanopsis cuspidata var. of Kohung­gun),F(Quercus myrsinaefolia of Chindo­gun),G(Camellia japonica of Chindo­gun,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of Kohung­gun),H(Machilus thunbergii of Kangjin­gun). Species diversity was analysed by species richness(SR), species diversizy (H')and (J') eveness of the surveyed plant communities. Quercus myrsinaefolia community, Quercus salicina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Camellia japonica community were highter SR,H' and J' than other communities, whereas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Kangjin­gun), Machilus thunbergii­Cinnamamum japonicum community, Cinnamamum japonicum community were low.

      • 國立公園 德裕山의 植物相

        吉奉燮,金昌煥 圓光大學校 1994 論文集 Vol.28 No.2

        國立公園 德裕山의 管束植物은 110科 385屬 673種 112變種 10品種, 총 795種類로 調査되었다. 羊齒植物 계수(Pte-Q)는 0.974로 나타났으며, 生活型은 H-D₁-R5로 대표되며 生育型운 直立型(e)이 494種類, 62.1%로 우세하다. 韓國 特産 植物 및 環境處 지정 特定野生植物이 33種類나 分布하고 있으며, 歸化植物 또한 12種類가 調査되었다. The flora of Togyusan national park was composed of 110 families, 385 genera, 673 species, 112 varieties, 10 formae or 795 taxa.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ed plants in this area have represented such as H-D₁-R₁type in biological type, erect form (62.1%) in growth form, 12 taxa in naturalized plants. In addition, there were 29 endemic species of Korea and Gastodia elata, Isopyrum mandshurica, Megaleranthis saniculifolia, Echinopannax horridum was considered to be protected inten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