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대(淸代) 요서(遼西) 지역 민가(民家)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시각 - 조선 후기 사행록(使行錄)을 중심으로 -

        김지현 ( Kim Chi-hyou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조선 시대의 중국 사행에서 중국 동북부 요서지역은 주된 사행노정이었다. 이들 지역을 지나면서 견문한 사실 중에서 본고는 요서 지역 민가에 대한 사행록 서술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가장 이른 기록인 권근의 「봉사록」에도 이미 14세기말부터 이 지역 민가는 일자형 평면으로 지붕마루가 없어서 지붕이 평평하며, 지붕 위를 흙이나 백회를 덧발랐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 김창업과 이의현은 이들 민가에 대해 ‘일자형’ 구조와 지붕 재료에 대해 객관적으로 서술하였으며, 최덕중은 ‘평방자’라 칭하고 ‘괴이하다’ 라는 주관적인 감상을 덧붙였을 뿐 별다른 의견을 서술하지는 않았다. 황재는 요서 지역 민가에 대해 ‘평방자(平房子)’라는 최덕중의 용어를 사용하고 ‘명나라 유민이 명나라가 망해 임금이 없는 것을 슬퍼해서 대들보 즉 지붕머리가 없는 집을 짓고 산다’는 의미를 덧붙였다. 대명의리론에 입각하여 요서 지역 민가에 대해 평한 것으로 이후 ‘평방자’ 대신 ‘무량옥(無樑屋)’이라 명칭이 변하게 되었다. 송시열의 대명의리론을 계승한 권상하의 손녀 사위였던 황재의 이러한 견해는 이후 조선후기 18세기 사행록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19세기 이해응의 『계산기정』에서도 여전히 확인된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황재의 대명의리론 시각에 반박하는 기록들 또한 많아졌다. 즉 요서 지역 민가의 일자형 구조와 평평한 지붕, 진흙 또는 백회로 덧바른 이유가 정치적 의미가 아닌 자연 환경으로 인한 선택이었다는 실학적 시각에 입각한 논의가 정광충, 이의봉, 조환, 김정중 등에 의해 서술되었는데, 이들은 지붕에 덧바른 재료도 단순한 진흙이 아닌 감토(㙳土)를 사용하여 비가 새지 않도록 하였음을 지적하였다. 송시열이 영도하던 노론 쪽에서 강고한 대명의리론을 부르짖고 있을 때 노론의 대표적 인사였던 김창업과 이의현의 사행록에서도 민가에 대해 ‘일자형’인 집의 객관적인 사실만을 기록해 두었다. 이는 노론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인 대명의리의 관점에 서 청을 바라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권상하의 손녀사위인 황재에 의해 요서 지역 민가의 형성 원인으로 ‘명나라에 대한 충의’라는 이유가 서술된 후 이러한 의미가 반복되어 재생산되어갔지만, 또 다른 사행록 속에서는 객관적 사실 서술을 중심으로 실학적 사고에 의해 이러한 의견은 극복되어 갔다. 이는 좀 더 세심하게 사행록 속에 나타난 조선 지식인들의 시각차를 고구해야할 것을 시사해준다. In the traveling record of China during the Joseon Era,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Liaoxi Region in China was the main course of journey. From the facts seen and experienced while passing the region, this article has contemplated the Sahaengroks description on the private housings in the Liaoxi Region with the profound insight. In Gwon Geun’s 「Bongsa-rok」 that is the earliest recorded article, those private housings in this area had the straight-type plane without the roof ridge from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o have flat roof and the top of the roof had the clay or white limestone applied over the roof. Thereafter, Kim Chang-eop and Lee Ui-hyeon objectively described on those private housings with respect to the ‘straight-type’ structure and roof material, and Choi Deok-jung named as ‘Pyeongbangja’ and added his subjective opinion to describe as ‘peculiar’ without mentioning any particular opinion on this matter. Regarding the private housings in the Liaoxi Region, Hwang Jae used the term of Choi Deok-jung as ‘Pyeongbangja’ and added the implication of ‘Yoo Min of Ming Dynasty constructed and lived in a house without the roof head, namely, beams, for expressing his sorrow to see the Ming Dynasty fallen to have no king to rule’. Based on the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it is an assessment on the Liaoxi Region that the name of ‘Pyeongbangja’ was changed to ‘Muryangok’ thereafter. Hwang Jae, the husband of Gwon Sang-ha’s granddaughter, who succeeded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of Song Si-yeol had such an opinion and it was confirmed from a number of phases in the 18th century Sahaengroks in later period of Joseon, and it was surely confirmed from Gyesangijeong of Lee Hae-eng of the 19th century. However, as it approaches to the lat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 records to rebut to the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view of Hwang Jae increased as well. Namely, the reason for straight-type structure, flat roof, application of clay or white limestone for the private housings in the Liaoxi Region was practically viewed as a selection from natural environment, not a political implication that was described by Jung Gwang-chung, Lee Ui-bong, Cho Hwan, Kim Jeong-jung and others, and the material for application to the roof was not a simple clay but the hydro mica in a way of preventing the rain water to smear in. The Noron (a political fa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was advocated by Song Si-yeol call out for the solid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but the Sahaengroks of Kim Chang-eop and Lee Ui-hyeon who were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Noron also recorded the objective facts of private housing regarding its straight-type housing. It suggests that even the Noron did not look at the Qing Dynasty with the point of view for unconditional loyalty toward Ming Dynasty. The husband of Gwon Sang-ha’s granddaughter, Hwang Jae, described the reasoning of ‘loyalty toward the Ming Dynasty’ as the cause of formulating the private housing in the Liaoxi region, this type of implication has been repeated over and over, but in other Sahaengroks, such an opinion was overcome by the practical way of thinking focusing on subjective factual descriptions. This fact implies to narrow the difference of views in Joseon’s intellectuals appearing in Sahaengroks for a bit more in details.

      • KCI등재

        <기획논문>: 조선시대 사행(使行)과 사행 문화 : 경정(敬亭) 李民宬의 『계해조천록(癸亥朝天錄)』 소고

        김지현 ( Chi Hyoun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경정(敬亭) 이민성(李民宬)은 1623년 3월 반정으로 등극한 인조의 책봉을 주청하기 위한 책봉주청사 서장관으로 정사 이경전(李慶全), 부사 윤훤(尹暄)과 함께 해로를 통하여 명나라를 다녀왔다. 이민성은 이 때의 사행 경험을 『계해조천록(癸亥朝天錄)』과 「연사창수집(燕사唱酬集)」으로 남겼다. 「연사창수집」은 사행 당시 정사·부사와 함께 수창했던 시문을 모은 시문집으로 『경정집』 권 6·7·8에 수록되었으며, 사행과 관련한 노정과 사건 등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계해조천록』은 『경정집』 속집권 1·2·3에 수록되어 있다. 이민성은 사행을 마치고 1624년 4월에 돌아온 후 고향으로 돌아가 1624년 5월에 「연사창수집」의 시문을 여정의 순서대로 편집하였으며, 『계해조천록』도 함께 완성하였다. 당시 해로사행에서 삼사가 함께 갈 경우 6척의 배가 출항하였는데, 이민성은 당시 사행시 출항했던 6척의 배와 각 배에 승선한 명단과 인원수, 직업, 그리고 배의 크기 등에 대하여 세세하게 기록해 두었다. 당시 해로사행의 규모와 참가 인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통해 반정으로 등극한 인조가 자신의 책봉에 대해 매우 고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의주 상인들이 등주에서 장사하기 위해 격군(格軍)이되려한 사실과 이를 통제하기 위해 요패(腰牌)를 나누어 주었던 사실을 적어 놓음으로써, 후금 세력으로 인하여 명나라와의 육로 교역이 어려워진 의주 상인들이 등주와 무역하기 위해 노력했던 당대의 삶의 모습도 읽어낼 수 있다. 이민성이 사행 당시 이용한 해로는 평안도 선사포에서 중국 등주에 이르는 뱃길이었다. 등주에 상륙한 후에는 육로로 등주에서 출발 추로(鄒魯) 지역을 지나 북경에 이르렀다. 당시 중국의 추로지역은 조선조 선비들이 독서를 통하여 추체험을 가지고 있던 곳으로 조선 선비들이 몹시 가보고 싶어 했던 장소이다. 이러한 지역을 지나면서 서술한 『계해조천록』은 앞선 대명 사행문학이 매일 하루 동안의 노정을 적고 그날 있었던 사건을 기록했던 일기체 양식을 계승하였으며, 6월 13일 등주에 도착한 후부터 육로로 북경에 도착할 때까지의 약 40일간의 노정에 대하여 추로 지역에 대한 고적과 풍속 등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역사적 사실에 대해 하나하나 고증하였다. 따라서 『계해조천록』은 앞선 대명 사행문학 작품들과 달리 인문지리지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 있다. 인문지리적 성격이 강한 이민성이 『계해조천록』은 이후 해로 대명 사행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해로사행을 기록한 사행록 중에 서술 방식 자체가 일기형식이 아닌 각 노정별로 묶어 지리지로 서술하고 지도를 삽입한 작품도 나오게 된다. Gyeongjeong Minseong Lee went to China as a seojanggwan, documentation officer with Jeongsa Kyeongjeon Lee and Busa Hweon Yun during Ming dynasty by sea to petition to proclaim Injo who restored in Mar. 1623 to the throne. Minseong Lee wrote about this official journey in Gyehaejocheonrok and ‘Yeonsachangsujip’ . ‘Yeonsachangsujip’ is a collection of poems chanted by Minseong Lee, Jeongsa and Busa, which was recorded in Vol. 6, 7 and 8 of Kyeongjeongjip and Gyehaejocheonrok which contains the courses and events during the official journey as a form of diary was recorded in Vol. 1, 2 and 3 of the sequel to Kyeongjeongjip. Minseong Lee came back from his official journey in Apr. 1624 and went to his hometown in May. 1624 and then edited the poems of Yeonsachangsujip according to the order of journey and completed Gyehaejocheonrok. At the time when the three officers went on the journey by sea, six ships departed and Minseong Lee recorded about the six ships and the list, number and occupation of the persons on board, the size of the ships and etc. in detail, which enables the scale and number of participants on the official journey to be identified and it can be assumed that Injo who restored had taken great pains over his being appointed as the king. Also, the lives of merchants of Euiju who struggled to trade with Deungju, a new route for trade with China due to the block of land route for trade with China are assumed by the wooden plates distributed to control the persons in Euiju who wanted to be assistants for engaging in business in Deungju. The seaway used for the official journey of Minseong Lee was a waterway from Seonsapo in Pyeongan province to Deungju in China. After arriving at Deungju, he went to Beijing by passing Churo in land routes. Churo was a place scholars of Joseon wanted to visit very much because scholars of Joseon used to have Nacherleben through reading books in Churo. Gyehaejocheonrok succeeded the writing style of diary which records daily events every day from envoy’s travel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historical facts and described objectively the remains and customs of Churo region regarding the journey of forty days in detail from the day he arrived at Deungju in Jun. 13 to the day he arrived at Beijing. Therefore, Gyehaejocheonrok has strong characteristic of anthropogeography unlike former envoy’s travel literature. Gyehaejocheonrok which has strong characteristic of anthropogeography written by Minseong Lee affected envoy’s seaway travel literature afterwards and the works of geography with maps describing the seaway journey based on the route, not diary style were created.

      • KCI등재후보

        17세기 초 대명 해로 사행록 서술의 양상

        김지현(Kim, Chi-Hyou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5 No.-

        후금이 요동을 점령하면서 조선은 육로를 통해 명에 사신을 보낼 수 없었다. 이에 조선은 해로를 통하여 등주로 상륙하여 북경으로 가는 새로운 노정을 통해 명에 사신을 보내게 되었다. 바다를 지나는 사행은 1621년부터 대명외교가 단절되는 1637년까지 17년 동안 28차례 행해졌다. 이때의 사행을 기록한 사행문학은 현재까지 24종이 전한다. 24종의 사행문학에 나타난 글쓰기 양식은 사행시, 일기체 산문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특이하게 등주를 통해 추로지역을 거치는 사행을 서술한 작품 중에는 인문지리를 중심으로 한 지리지 양식으로 서술한 작품이 나타난다. 인문지리적 성격이 강한 일기체 산문인 이민성의 『계해조천록』 이후 각 노정별로 묶어 지리지로 서술한 김덕승의 『천사대관』과 남이웅의 『노정기』, 그리고 지도를 삽입한 정두원의 『조천기지도』가 전한다. 이러한 지리지 양식은 기행 사경의 성격을 가지는 해로사행 기록화도 함께 제작되었으며, 정두원의 『조천기지도』의 경우는 자신이 보고 들은 바를 함께 기록함으로써 현장감과 사실감을 더하였다. 이는 앞 시기의 일기체 산문 양식의 사행문학과는 변별되는 글쓰기 양식이다. After Hugeum conquered Liaodong, Chosun could not send its envoys to Ming through the land routes anymore; thus, it sent its envoys to Ming through a new route of a seaway by landing on Dengzhou and heading for Peking. This seaway envoying was conducted 28 times for 17 years from 1621 until 1637 when diplomacy to Ming discontinued. Total 24 kinds of travel literature written about the envoying then have been transmitted until now. The writing styles of those 24 kinds of travel literature are mainly poetry and diary-type prose. But particularly the works describing envoying from Dengzhou to Churo are written as the style of a geographic book based on anthropogeography. Lee Minseong’s 『Gyehaejocheonrok』 strongly characterized as anthropogeography was later combined by journeys, and also, there are Kim Deokseung’s 『Cheonsadaegwan』, Nam Iung’s 『Nojeonggi』, and Jeong Duwon’s 『Jocheongijido』 containing maps as geographic books. This style’s geographic books were made along with seaway envoying paints characterized as travel landscape painting, and Jeong Duwon’s 『Jocheongijido』 records what he actually saw and heard, which added a more sense of realism to it. This is a style of writing differentiated from the diary-type prose travel literature in the previous era.

      • KCI등재

        오핵(吳翮)의 『백천당유고(百千堂遺稿)』에 대한 소고

        김지현(Kim, Chi-Hyou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백천당(百千堂) 오핵(吳翮)은 1615년(광해군 7)에 태어나 1653년(효종 4) 39세의 나이로 조선 중기 병자호란이라는 격동의 시기를 살았던 인물이다. 오핵은 조선 전기 사대가의 한 사람으로 천문 · 지리 · 의술 · 병서 등 각종 학문에 능통했고, 서화와 특히 문장에 뛰어났던 계곡(谿谷) 장유(張維)의 제자로 장유로부터 문장으로 크게 뛰어나다는 칭찬을 받았던 문인이었다. 그러나 현재 학계에 오핵에 대한 학문뿐만 아니라 생애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오핵은 1633년(인조 11) 19살의 나이로 초시에서 장원을 한 이후 1635년 (인조 13)에도 별시에 장원으로 합격한다. 그러나 과거에 연거푸 장원을 했음에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공부에 열중하였다. 당호 또한 ‘남이 한 번 만에 능하거든 나는 백 번을 행할 것이며, 남이 열 번 만에 능하거든 나는 천번을 행할 것이다’라는 『중용(中庸)』의 ‘기백기천(己百己千)’을 뜻을 따라 ‘백천당(百千堂)’이라 짓고는『주역』과 『근사록』그리고 역사서 등을 손에서 놓지 않고 공부하였다. 특히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역사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자치통감강목』의 형식을 바탕으로 『만세감(萬世鑒)』 4권을 저술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오핵은1646년(인조24) 장원급제 후병조좌랑, 세자시강원, 사헌부지평, 사간원 등에 여러 차례 들어갔으나 오래 머물지 않고 곧 물러나기를 반복했다. 그가 환로에 머물렀던 8년 동안 받았던 녹봉은 겨우 2과(科)에 불과했었다. 그의 시는 대부분 기유시(紀遊詩)와 경물시(景物詩)가 주를이루는데 이는 그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현재 전하는 그의 문집 『백천당유고』에 전하는 그의 시문의 양은 많지가 않다. 현재 전하는 그의 시는 오핵이 서른이 되어서 쓴 작품부터 수록되어 총 90제 94수가 전할 뿐이다. 그리고 그의 산문으로는 묘지명 1편, 발문 1편, 기문2편, 제문1편, 변설2편, 의주문1편, 부3편, 대책문1편이전할뿐이다. 적은 수의 시와 산문이지만, 이 시문을 통해 보면 당시 오핵이 제자백가와 『장자』에 심취했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조선의 17세기 문단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Baekcheondang Oh Haek was born in 1615 (the 7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and lived to 1653 (the 4th year of King Hyojong`s reign) including the turbulent time of Byeongjahoran (the Manchu War of 1636)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Oh Haek was a member of Four Great Poets in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well-educated in all academic fields, including, astronomy, geography, medicine, military science and so forth, and as a pupil of Gyegok Jang Yoo who was particular excellent in calligraphy and writing that he was a literature man with high praises. However, there is almost no information available on Oh Haek for his academic accomplishment or even on his life within the current academic circle. Oh Haek won the first place to pass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Chosi) at the age of 19 in 1633 (the 11th year of King Injo`s reign) and won the first place to pass the special national examination (Byeolsi) in 1635 (the 13th year of King Injo`s reign). Nonetheless, even though he won the first place in two national examinations, he focused on his studies without working in the government. He had his Dangho (name of his residence) of `Baekcheondang` following the meaning of `Gibaekgicheon` that means `If others can do it at once, I will practice hundred times, and if others can do it in ten, I will practice a thousand times` that came from 『Jung-yong (moderation)』 and then he studies 『Zhou-Yi』, 『Jinsilu』 and other history publications at all times. In particular, after going through Byeongjahoran (the Manchu War of 1636), de developed profound interests in history to write Mansegam on the basis of the type of 『Jachitonggamgangmok』 but it is not handed down to the present time. After passing the national examination as the top of his class in 1646 (the 24th year of King Injo`s reign), Oh Haek served for the government a few times as Jwarang of Byeongjo (Ministry of Defense), Sejasigangwon (teaching institute for the prince), Jipyeong of Saheonbu (Ministry of Justice), Saganwon and others, but he did not stay on very long and resigned from each post. While working 8 years in the government, his salary base was mere second grade. His poems were mainly on Giyu poems and Gyeongmul poems and this tendency was closely related to his life. His collection of writings in 『Baekcheondang Yugo (Final Script of Baekcheondang)』 that was handed down to the present time does not contain significant volume of poems and literature works. His poems handed down today are started with the works written by Oh Haek at the age of thirty to have a total of 90 Je (題) and 94 Su (首) only. And, for his essays, there are only one tomb name, 1 presentation, 2 essays, 1 ritual writing, 2 speech writings, 1 ceremonial writing, 3 annex writings, and 1 responsive writing. He left a small number of poems and essays but, looking through his poems and literature works, it is partially shown that Oh Haek was fully emerged into Hundred Schools of Thought and 『Zhuang-zi』. This is demonstrating the section of the 17th century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of the time.

      • KCI등재

        고전소설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금강산 유람과 공간적 의미

        김지현 ( Kim Chi-hyoun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59

        이 연구의 목적은 『유이양문록』에 나타난 금강산의 유람과 공간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중국 명나라를 배경으로 하는 대하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금강산을 소설 속 주요 배경으로 삼은 이소설 속에서 금강산의 유람과 금강산 공간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작품속에서 거시적으로 볼 때는 이연기의 10년 재액의 시작과 끝을 내는 공간으로 생명이 연장되는 곳이지만, 작품의 미시적 측면으로 볼 때는 소설 속에 금강산 기행문 한 편이 들어 있다. 이러한 금강산 유람과 관련한 기행문의 형태는 이 소설의 공간적 배경이 가지는 개연성을 높여주면서 독자들에게 기텍스트에 대한 지적호기심과 금강산에 대한 인문지리적 지식 또한 충족시켜주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운남에서 이연기가 명부를 다녀오게 되는데 이때도 내금강의 영원동을 차용하여 앞으로 이연기의 인생에 대한 복선으로 금강산이라는 공간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서사적 인과 관계를 구성한것이다. 그리고 실제 하는 금강산의 장안동을 통해서는 세속과 선계의 통로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허구적 장소인 은정동과 대화굴로 선계의 공간을 설정하고 이곳을 통해 이연기의 학문이 깊어지고 천지음양도수에 통달하여 세상 이치의 기미를 다 알게 되는 ‘인격수양’의 장소로, 아들 이창원의 지극한 효심을 보여주는 ‘대효 완성’의 장소로 형상화하였다. 이 소설에서는 기존 고전 소설에서 금강산을 단순한 배경으로만 한정시킨 것이 아니라 구체적 지명과 더불어 허구적 장소인 은정동과 대화굴을 통해 소설의 유교 윤리적 이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tour and spatial implication of Geumgang-san as appeared in 『Yuiyangmunrok』. In this article,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it is the epic novel with Ming Dynasty of China as its background, it analyzes the implication of tour for Geumgang-san and space of Geumgang-san in the novel that has Geumgang-san as the main background in the novel. In the work product, when looking into a macro-aspect, it is the place to extend the life with the beginning and ending of the 10-year misfortune of Lee Yoen-ki, but when looking in the micro-aspect of the work product, it contains a piece of travel essay of Geumgang-san in the novel. The type of travel essay related to the tour of Geumgang-san enhances the probability in the spatial background of this novel while having the effect of satisfying the human geographic knowledge on Geumgang-san as well as the intellectual curiosity on the text for readers. In particular, Lee Yeon-ki was to visit the underworld from Yunnan, and at this time, it derives Yeongwon-dong of Naegeum-gang to facilitate the space of Geumgang-san as forestalling on life of Lee Yeon-ki. The descriptive casual relationship is compos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aspects. And, through Jangan-dong of Geumgang-san in reality, it depicts the appearance as the passage to the earthly world and heavenly world and it sets the fabricated spaces of Eunjeong-dong and Daehwa-gul to establish the space of the heavenly world, and through this place, the scholarship of Lee Yeon-gi was deepened and is formulated as the place of 'Daehyo (great filial duty:' that displays extreme filial duty of son Lee Chang-won along with the space of meditation to understand the signs of all things on earth by fully understanding of Cheonjieumyangdosu (way of view for heaven and earth, and yang and ying). In this novel, it does not only limit Geumgang-san as a simple background as in existing classic novel, but to formulate the Confucius ethical vision of the novel through Eunjeong-dong and Daehwa-gul as the fabricated space together with the detailed name of the location.

      • KCI등재

        한중(韓中) 교린과 교유 - 해로(海路) 사행록(使行錄)에 나타난 교유 양상과 특징 -산동(山東)(등주(登州)~덕주(德州)) 지역 문사를 중심으로-

        김지현 ( Kim Chi-hyou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9

        This article has shown the trend of exchange shown between the Joseon envoy and families of poet Oh Dae-bin, Chu Pyeong-hyun, and Jang Yeon-deung who stayed at Deungju Gaewon-sa as appearing in the Santong area in Haero Sahaengrok (record of the route of envoy on seaway) in mid-Joseon era. Prior to the route of envoy on seaway, the exchanges between the scholars of Ming Dynasty and the scholars of Joseon were mainly in diplomatic meetings. The direct exchange began with the military force of the Ming Dynasty during the Imjin Japanese Invasion, but there was no showing of direct exchange with the Ming Dynasty scholars when the Joseon envoy group was headed to Beijing. Unlike the foregoing, after Ching Dynasty took over Liaodong in 1621, the route of envoy on seaway began with the showing of different tendency. Those envoys of Joseon that went to Beijing along the route of the Shandong area exchanged poems and literature to share the written communication with the active visitations of Ming Dynasty scholars. And, the positive and continuous exchanges with Deungju poet Oh Dae-bin, Chu Pyeong-hyun, and Jang Yeon-deung were continued. And this pattern of exchange became an important ties in the exchange of Ching Dynasty scholars and Joseon scholars.

      • KCI등재

        18세기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반송방(盤松坊)

        김지현(Kim, Chi-Hyou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7 서울학연구 Vol.- No.67

        한양 반송방은 돈의문(敦義門) 밖에 위치한 성중오부(城中五部)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일찍부터 인가가 조밀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분주하였다. 특히 경기 지방을 관할하는 경기감영, 말을 빌려주던 고마청, 중국 사신 영접의가 행해졌던 모화관, 반송정, 서지, 천연정 등 관아와 명승처가 함께 공존한 지역이었다. 조선 전기 서거정은 「한도십영(漢都十詠)」을 통해 한양의 명소 열 곳 중에서 한 곳으로 반송방을 선택하였다. 이 반송방에 대한 주된 시재는 바로 ‘송객(送客) - 나그네를 보내며’이다. 즉 반송방의 장소는 이별의 공간인 것이다. 서거정은 반송방의 뛰어난 자연 경관이 아닌 인간 보편적 삶 속에서 만나는 “이별”을 대표하는 장소로서 반송방을 선택하였다. 서거정 이후 조선 전기 많은 시인들이 여전히 <반송송객>을 시제로 노래하였으며, 17세기 후반까지도 여전히 월과(月課)로 창작되었다. 18세기 초 이윤영(李胤永: 1714~1759)은 영조가 선택한 조제탕평(調劑蕩平) 정책에 반대하여 벼슬에 나가지 않고 맑고 깨끗한 산수를 벗하며 도성 안에서 시은자(市隱者)로 서대문 밖 반송방 부근 반송지에 은거하였다. 그는 반송방 서지(西池) 근처에 담화제(澹華齊)를 세우고 이곳에서 오찬(吳瓚 1728~1797), 김향묵(金向默), 이인상(李麟祥 17210~1760), 임매(任邁), 임과(任薖) 등과 더불어 반송방에서 시회를 열었다. 영조가 죽고 등극한 정조는 영조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탕평책을 표방하였으나 이운영, 김종수 등 이윤영과 세손 시절부터 뜻을 같이 했던 청류지사들을 등용하여 우현좌척(右賢左戚)의 체계를 세웠다. 정조에게 반송방은 이윤영을 뜻하는 곳으로 즉 연꽃으로 상징되는 장소가 되었으며, 이에 정조는 반송방을 ‘이별장소’가 아닌 ‘연꽃을 감상하는 곳’으로 새로이 인식하였다. 정조가 <국도팔영(國都八詠)>이라는 작품에서 한양의 명소 여덟 곳을 뽑으면서 선택한 반송방의 시재는 ‘상련(賞蓮)’ 즉 연꽃 감상이다. 조선 전기와 주된 시재가 바뀌면서 반송방의 장소적 의미도 변한 것이다. 이후 이 반송방은 문인들의 시회 장소로 많이 사랑받았다. 정약용이 중심이 되었던 ‘죽란시사’는 늦여름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반송방의 서지(西池)로 연꽃 구경을 하고 시를 지었다. 조선 전기 이별의 장소였던 반송방은 18세기에는 시회가 열리고 사람들이 만나 문화와 예술이 창작되던 장소가 되었다. 즉 ‘문화 예술의 공간’이 된 것이다. The early Joseon Dynasty court official and scholar Seo Geo-jeong (徐居正, 1420~1488) chose the area Bansongbang (盤松坊) out of 10 famous places in the capital Hanyang (漢陽) through the poem “Handosipyeong (漢都十詠)” which sings of Hanyang’s 10 most scenic spots. The main poetic subject of Bansongbang was none other than “sending off sojourners (送客).” In other words, Bansongbang was a place to bid farewell. Seo Geo-jeong chose Bansongbang, not as a scenic spot, but as a place to represent “farewell” in man’s ordinary life. A number of poets since Seo Geo-je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ontinued to sing “Sending off Sojourners in Bansong (Bansongsonggaek, 盤松送客)” as the poetic subject, and the concept was recreated through the monthly examination (月課) at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In the early 18th century, opposing King Yeongjo’s “Equitable Policy of the Government (調劑蕩平)” the literary figure Yi Yun-yeong (李胤永) refused to serve his public post and retired to hermitage in Bansongji near Bansongbang outside the Seodaemun (West Gate), living as an unworldly hermit (市隱者) surrounded by clean and clear mountains and waters. He built Damhwaje (澹華齊) near Seoji (西池) in Bansongbang, and there he organized a poetry club with Oh Chan (吳瓚), Kim Hyang-muk (金向默), Yi In-sang (李麟祥), Yim Mae (任邁) and Yim Gwa (任薖). After King Yeongjo died, King Jeongjo further supported the Equitable Policy of the Government but built the system of Exclude Maternal Relatives and Appoint Confucian Scholars (淸流之士) by hiring so-called “clean patriots (淸流之士)” like Yi Un-yeong and Kim Jong-su who followed Yi Yun-yeong since the king’s childhood. To King Jeongjo, Bansongbang was a place symbolizing Yi Yunyeong, or lotus flowers, thus it was no longer “the place of farewell” but was newly recognized as “the place to appreciate lotus flowers.” King Jeongjo selected eight scenic spots in Hanyang through the work titled “Gukdopalyeong (國都八詠)” commemorating eight scenic spots in the country, in which the poetic subject of Bansongbang was “Sangryeon (賞蓮), or “appreciating lotus flowers.” As the main poetic subject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changed, the locational meaning Bansongbang also changed. Bansongbang continued to be loved by literary figures as their place of poetry gatherings. Come late summer, and a cool breeze blows in the morning and evening, participants at Jukransisa (竹欄詩社), the literary gathering led by Jeong Yak-yong (丁若鏞), would watch lotus flowers and write poems at Seoji in Bansongbang. By the 18th century, Bansongbang, formerly the place of farewell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became the space of culture and art where people held poetry gatherings and created culture and art.

      • KCI등재

        하브루타를 적용한 대학 교양한문 수업 사례 연구

        엄미리 ( Eom Mi Ri ),김지현 ( Kim Chi Hyo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대학 교양한문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양한문 교육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대인들의 오랜 전통적 학습방법이자 생활문화, 사고양식으로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는 하브루타를 중심으로 ‘하브루타 중심의 교양한문 교육의 교수-학습’ 을 설계하고 K대학에서 2017학년 2학기 수업 기간 동안 총 5번의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기존 강의계획서를 수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학기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수업 관찰과 학습자의 면담, 설문조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및 기말고사에서는 단순한 객관식과 해석중심의 필기시험이 아닌 논술 글쓰기 방식을 통해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하브루타의 교육방식이 실제 적용했을 때 교양한문 수업을 수강했던 학습자들의 수업효과성 측면에서 특히 학습만족도(M=4.25)와 학습몰입도(M=3.55)가 평균 3.5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이 진행된 후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 또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브루타의 교육방식이 실제 대학에서의 교양한문 수업에서 적용되고 활용되는 양상은 교수와 학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하브루타 방식을 대학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Chinese class as the Universi ty Liberal Arts Subjects, focusing on Havruta Method, a dialogue and discussion among the Jewish people'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life culture, and Learning. Learner-centered Chinese class was applied by applying 5 times of Havruta metho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We revised the existing lecture plan, focusing on Havruta Method and applied it to a semester class based on it. 33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gical thinking of learners was also improved. Second, average of learning satisfaction was 4.33, and average of learning flow was 3.55. Third, learner’s perception on the Havruta Method was divided three kinds of things: good, difficult, and improvement. The way in which Havruta method is applied and utilized in the Chinese class in actual universit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e results of thin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basic data when applying the Havruta method to university class.

      • 아계 이산해의 한시 연구

        김지현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2 인문사회과학논문집 Vol.31 No.-

        This assay examined the Chinese poems which was written by A-gye(鵝溪) Lee San-hae(李山海) who had been a Munhyeong(文衡, in Chosun Dynasty it was another name of ′Daejehag(大提學)′) for more than 10 years when Emperor Sunjo(宣祖) was on the throne(this periord was called Mogluing(穆陵) Flourshing Age). The predecessors evaluated his poems as ′soft and beautiful′(軟美). Although this term of poem character was not an object of critism not only in Sa Gong-do's 24 poem characters but also in Chinese history of poetics. The writer analyzed A-gye's Chinese poems as a agreagateness of many poem characters. In others words ′soft and beautiful′(軟美) is not only a term that means beautiful and splendid. It puts the thematic territory and the factors of imagination, further more ′the poetical trend of Tang Dynasty(唐風)′ together. On e of the characteristics of A-gye's Chinese poems can be expressed as there seems to be a picture in the poem(時中有書)’. He expanded the world of his poems by imagination. There seems to be a picture in the poem is a method of imagination to unite the natural features of the season and feelings. In other words by bringing the feelings in the scenery the subjective feelings would become objective. So the poem can be more pregnant and suggestive. The poet expressed himself very courteously and euphemistically than straightly talking about his own feelings. This is the reason for evaluating A-gye's poems as ‘soft and beautiful(軟美)’. And Choe Lip evaluated A-gye's poems as ‘without bone(無骨)’. Is is difficult to say that there is no concern with soft euphonies and euphemistical expressions which can be found in A-gye's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