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예술가의 주변적 정체성과 모던 감성 개발 프로젝트 -김내성의 변격탐정소설 연구-

        김지영 ( Chiyou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7 No.-

        이 글은 김내성의 변격탐정소설이 어떠한 시대적 환경과 조건 속에서 탄생하였으며, 공포를 쾌락화하는 이 같은 대중소설 양식이 식민지 후반 현실 위에서 어떠한 사회문화적 욕망과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었는지 탐구했다. 김내성의 변격소설은 ‘예술’이라는 생경한 관념에 대한 근대 문인들의 오래된 갈망을 악마파/유미주의라는 문예사조의 재현을 통해 탐정소설의 문법 내부에 구현하려 했던 시도였다. 괴기적 소설 양식의 도입저변에는 세계적 시간성을 지시하는 카테고리로서 근대의 시대감각과 감수성을 자기화하고자 했던 자기교양화의 욕망이 잠재해 있었다. 잔인하고 무서운 사건과 어둡고 음울한 인간 심리의 접속을 통해 예술성을 추구하는 양식의 도입은, 그로테스크한 예술이라는 모더니티의 심연을 내면화함으로써 예술가 자신의 모더니티를 증명하려는 욕망의 산물인 셈이다. 그러나 이 모더니티는 그것이 ‘증명’되어야 하는 만큼 삶의 현실과 거리를 둔 것이기도 했다. 변격소설의 예술가 주인공들은 모더니티에 대한 강렬한 선망과 열정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모더니티의 주인공이 될 가능성이 제한된 식민지 청년이자 예술가들이었다. 살인까지 불사하는 사랑의 갈망과 강렬한 예술의 열정 이면에는 근대적 주체되기의 가능성이 제한된 식민지 청년의 조바심과 우울증이 숨어 있다. 이들에게 열정과 예술은 위기에 빠진 모던 청년의 주체성을 회복하고 우월성을 확인하는 유력한 통로였다. 정열적 연애와 악마적 예술은 스스로 가 닿을 수 없는 모더니티의 심연에 맞서는 무기인 동시에, 저열한 조선의 현실을 초월하는 도약의 지렛대인 것이다. 그러나 괴물성 자체보다 괴물성에 대한 강조가 전경화된 서사구조 속에서 독자 대중은 인간 내면의 불합리 그 자체보다는 불합리의 합리화를 공유해야 했다. 자아 내부의 타자성에 대한 자각보다는 괴기, 공포 예술을 합리화하는 논리가 전면화된 것이다. 청년 주인공들은 사랑에 빠짐으로써 모더니티가 약속하는 자유로운 사랑과 행복에 다가가려 했지만, 자유와 행복이 내재하는 무게와 책임을 감당하지 못했다. 변화를 감내하고 수용하며 끊임없이 새로워질 것을 요구하는 모더니티의 명령, 끝없는 자기혁신과 갱생의 의무를 이들은 이해하지도 수용하지도 못했다. 때문에 이들의 살인은 괴기적 예술성을 알리바이로 질투의 감정 속에 숨은 전래의 윤리의식을 표출하고 정당화하는 복수행위 이상이기 어려웠다. 모더니티의 절정에 도달하고자 하는 열정의 폭주는, 기실 재래의 윤리를 통해, 닿을 수 없는 근대라는 공포에 가하는 엑소시즘에 다름 아닌 셈이다. 근대가 지향하는 자유와 행복의 약속 아래 숨어 있는 자기갱생의 의무와 책임을 극한적 정념의 분출로 묻어버리고 유동하는 모더니티의 공포로 장악하려 한 위악적 태도를 통해, 변격소설의 주인공들은 스스로의 약점을 가리고 우월한 주체되기를 시도했다. 그런 점에서 변격탐정소설이 지향했던 공포의 예술성은 모더니티에 대한 동경과 두려움이 분열적으로 함께 거주했던 식민지적 주체성의 또 다른 발현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what kind of environment and desire made it possible to give a birth of a collateral detective stories of Kim Nae-seong and what kind of socio-cultural meaning was cast on the reality of the later colonial period in Korea in which the emotion of fear had become one of a pleasure in the realm of popular literature. The novel of Kim Nae-seong embodied the old desire of modern literarians for the cosmological notion of 'art' within the structure of a detective novel by recreating the literary trend of diabolism. By introducing the style of horror novel, Kim described the young artists′ desire of self-cultivation for modernity to direct that they were accompanied by global temporality. The introduction of artistic pursuit through brutal and horrific events and through dark and dismal human psychology was a product of desire for the colonial youths to prove their ability to be a modern subject. The protagonists of those novel, who were described as young artists, wanted to internalize the profundity of the alleged modernity by proving their potential to draw grotesque art, which was considered as cutting edge of modernity. However, this modernity was far from the reality of their life as it had to be 'proved'. Despite the intense ambition and enthusiasm for modernity, the protagonists of Kim’s collateral novels were colonial young artists with a limited likelihood of being a true modern hero. In the passion of love and of intense artistic inspiration which was considered to be immortalized by murder, there were such emotion of impatience and depression of the colonial artists whose possibility to be a modern subject were highly limited to be realized. The intense passion which were formed into the art works were a viable pathway to restore the young artists′ subjectivity and to ascertain their superiority in crisis. However, in the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emphasis on monstrousness was more prevalent than the monster nature itself, readers had to share the ‘rationalization’ of the irrationality rather than the irrationality itself.

      • KCI등재

        계몽의 불안과 공포의 영토화 - 일제강점기 《매일신보》 괴담의 감성 구조와 서사 관습

        김지영 ( Kim Chiyoung ) 민족어문학회 2019 어문논집 Vol.- No.87

        괴담이란 초현실적 감각과 관련된 인간의 약한 고리를 들추어내는 장르이다. 귀신, 도깨비 등 이계의 존재는 계몽의 이성에 의해 개화된 세계에서는 본시 척결 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근대 과학과 이성이 이제 막 강조되기 시작한 세계에서 초현실적 존재들이 호명되고 이 호명을 통해 독자적인 이야기 양식이 성립할 때, 이 양식은 어떠한 의식과 감각에 호소했으며, 어째서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었을까.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이 글은 개화된 식민지 세속사회를 지배했던 지배적 감성 안에 숨은 주술성에 주목했다. 개인의 내부에서 삶의 준칙을 이끌어내도록 명령하는 계몽의 이성은 개개인의 정신의 주인으로서 ‘영혼’의 관념을 확산시켰다. 나라를 잃었어도 나라의 정신은 잃지 않는다는 ‘국혼’의 관념이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영혼’의 관념은 근대 내셔널리즘과 결부되었고, 근대의 ‘영혼’에는 유가의 ‘혼’과 달리 불멸성의 감각이 틈입했다. 눈으로 볼 수 없고,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도 없는 영혼 불멸의 감각은, 주술적 사유로부터의 탈피를 주창하는 근대 감각의 내부에 이미 초월적 신비의 영역을 마련하고 있었다. 탈주술화를 주창하면서도 그 내부에 주술성의 흔적을 은밀하게 내포했던 지배적 감성의 이율배반은 귀신, 도깨비 등 이계적 상상력이 박멸되기보다는 오히려 활성화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했다. 사실성을 부인하면서도 다시 사실임을 주창하는 《매일신보》 괴담의 서사관습은 귀신, 도깨비의 존재를 부인하면서도 불멸하는 영혼의 관념을 용인했던 모순적인 감성 구조의 내적인 마찰들을 문자 그대로 재현한 결과물이다. 삶의 확실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존재의 안정성에 균열을 일으키는 섬뜩한 불안과 동요를 집적하는 언술이 흥미의 대상으로 양식화할 수 있었던 것은 ‘대중매체’의 ‘양식화’ 자체가 가지는 내적 자력에 힘입은 바 크다. 대중매체가 마련하는 공동 향유의 구조는 고립된 공포감에 매몰되지 않고 공포를 오락화할 수 있는 유효한 조건을 조성했고, 유형화된 서사관습은 이계의 존재에 대한 해결되지 않는 이해의 지평을 이야기의 관습이라는 다른 이해의 지평 속에 미끄러뜨리고 용해함으로써 존재의 두려움을 정서적으로 수용가능하게 조정했다. ‘공포를 소비하는 쾌락’이라는 새롭게 조직된 집단적 감성이 지배 감성의 이율배반과 잔존 감성의 해소불가능성을 용해하는 자력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괴담이라는 공포 양식의 탄생은 불완전한 이성의 기반 위에 구축된 근대 세계에서 귀신이 사는 새로운 방식의 탄생을 알리는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다. 괴담이라는 공포 양식의 탄생은 이성의 그물을 뚫고 균열 내는 인간의 불합리한 감각들을 포획하고 영토화하는 근대적 감성의 배치를 알리는 역사적 사건이었던 셈이다. Geodam(horror story) is a genre that touches the weak link of humans associated with surreal sense. The aliens, such as ghosts and tokebi(goblins), was the object to be denied of existence in the world of enlightenment. When the surreal beings were called and the narrative styles of horror were established in the world where modern science had just begun to be emphasized, what kind of senses and consciousness they had to appeal to? In answering this question,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magical nature hidden in the dominant emotion that dominated the enlightened colonial secular society. The reason for enlightenment, which commands the drawing of the rules of life within the individual, had spread the notion of the soul as the master of the individual's spirit. When the idea of "soul" was linked to modern nationalism, as the idea of "national sprit", which lost its country, did not lose itself, immortality was infiltrated in the concept of modern 'soul' unlike Confucian 'sim/hon(soul)'. The immortal sense of the soul, which was invisible and could not be scientifically proved, already provided the realm of transcendent mystery ironically within the modern sense that advocated breaking away from magical thinking. The antinomy of dominant emotions, which advocated post-jujucialization, but secretly contained traces of witchcraft such as immortal spirit within it, provided room for revitalization rather than eradication of occult imaginations such as ghost and goblins. The Geodam custom of “Maeil Sinbo(Daily maeil), was a literal reproduction of the internal frictions of contradictory emotional structures that denied the existence of ghosts and ghosts, but tolerated the idea of an immortal soul. Expressions that questioned the certainty of life and accumulated eerie anxiety and agitation that caused a crack in the stability of existence could be stylized as an object of interest because of the intrinsic strength of the 'stylization' of the mass media itself. The structure of the common enjoyment provided by the mass media created a valid condition for the entertainment of fear without being buried in isolation. Typed narrative practices had emotionally acceptable adjustments to the fear of existence by sliding and dissolving the unresolved horizon of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the world into another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custom of story. The newly organized collective sensation of “fearing pleasure” functioned as a solution to dissolve the antinomy of the dominant sensibility and the inability of resolving the remaining sensibilities.

      • KCI등재

        첨단영상기술을 이용한 전시관 구축

        김지영(Kim, Chi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순천은 순천만 국가정원, 순천만생태공원을 통해 자연과 생태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순천만생태공원 내의 순천만 자연생태관 · 천문대는 이러한 순천만의 자연과 생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나 현재 전시관의 낙후된 시설과 뒤쳐진 전시내용으로 관람객과 지역민의 관심과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순천만 자연생태관 · 천문대에 현대적 첨단영상기술을 이용한 전시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영상콘텐츠를 개발함으로 보다 흥미로운 전시공간을 창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시관 구축을 위해 기존전시개념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자유로운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창의적 공간, 융 · 복합적 매체를 아우르는 통일된 공간, 모든 연령층에게 감흥을 주는 흥미로운 공간이 되도록 전시관을 구축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연구의 배경과 범위에 대해 기술하였다. 자료조사는 문헌조사, 학회자료검색, 인터넷검색등이며, 현장조사는 현지탐방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둘째, 현재 개발 중인 최첨단영상기술을 알아보기 위해 다이나믹 영상컨트롤(DIC)시스템, 프로젝션 매핑, VR 체험시스템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의 과학전시관과 국외의 첨단자연과학박물관의 사례조사와 첨단영상장비가 구축된 지역의 실감미디어지원센터를 탐방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지인 순천만 자연생태관 · 천문대 현지답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담당자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첨단영상기술을 적용한 전시 시스템구축과 다양한 영상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첨단영상매체를 이용한 전시관구축은 지역청소년들에게 창의적 사고와 지적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지역 주민들에게는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지역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자연과 생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이고 감동적으로 전달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역에 건립된 전시관에 첨단영상기술 적용과 영상콘텐츠 개발을 통해 흥미롭고 창의적인 전시공간을 구현함으로 지역 전시관 활성화에 적게나마 기여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Suncheon has built a city image centered on nature and ecology through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nd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The Eco- Museum and Astronomical Observatory in the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has been construct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formation about the nature and ecology of Suncheon Bay. However, it is not attracted to interest of visitors and residents due to the outdated facilities and lagging exhibition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more interesting space by constructing an exhibition system using modern high - tech image technology and developing various contents in Suncheon Bay Eco-Museum and Astronomy Observatory.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hall, it has to move out from the used exhibition concept, and build a creative space that brings out free thinking, an unified space that encompasses fusion and complex media, and an interesting space that gives inspiration to all ages. The research method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background and scope of the study were described. Data investigation refers to literature investigation, Internet search and investigation of data from society, while filed study took place through field visits and interviews. Second, studied of the Dynamic Image Control(DIC), Projection Mapping, VR experience system, which are high-tech technology. In addition, it surveys the case studies of nature and science museums in domestic and overseas, and also studied high technology by visiting immersive media center founded in the region. Third, it understand status quo through interview with the person in charge, and on-site survey in Suncheon Bay Eco-Museum and Astronomy Observatory, the place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it is applied high-tech technology and various video contents.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halls using advanced image technology will bring creative thinking and intellectual curiosity to local youths, provide new attractions to local residents, and convey information about nature and ecology to local visitors in an effective and moving way.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xhibition halls by the exciting and creative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dvanced video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visual contents.

      • 도심 공공 공간 디지털영상매체에 대한 관람자 인식 연구

        김지영(Kim, Chi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1 No.-

        현대의 도심 공공 공간은 첨단기술과 IT문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영상매체들이 속출하고 있다. 도심경관은 이러한 영상매체에서 표출하는 이미지들로 현란하고 복잡해지고 있는 추세인데, 현존하는 도심 공공 공간의 디지털영상매체로는 동영상전광판, 거리정보시스템, 미디어파사도 디지털간판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들에게 ‘영상광고판’으로 인식되고 있는 동영상전광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동영상 전광판에 대한 연구가 상업적 광고 전략을 위한 영상콘텐츠 개발이나 효과적 광고표출을 위한 설치장소에 대한 연구였다면, 본 연구는 동영상전광판을 도심경관요소로 인식하고 영상의 내용적 측면 뿐 아니라 물리적 측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에 집중하였다. 설문 대상지역은 서울 도심에서 동영상전광판이 집중적으로 설치되어있는 광화문광장, 서울역광장, 강남역 지역이고, 설문대상자는 대상지내의 보행자들과 이용자들이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로는 물리적 측면의 경우, 요인별 특별한 선호유형이 도출되기보다는 위치나 장소 같은 또 다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영상색채, 내용, 형식 등에 있어 대상지별 선호 유형과 유의성이 도출되었다. In modern urban public space, the various image medium come one after another due to the impact of the high-tech and the IT culture, The urban landscapes tend to become ornate and complicated due to the images displayed on image media. The existing digital image medium in urban public spaces are the video electronic displays, street information systems. media facade, and the digital signboards. In this study, I will focus on the video electronic displays which is considered as ‘video advertising signboard’ to the public. While existing studies on the video electronic display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e the image contents for the commercial advertising strategies or to examine the installation location to effectively display the advertising, the video electronic display is considered as an urban landscape element in this study and I studied on the public preferences in the aspect of image contents as well as in physical aspect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Target area for the survey was places where the video image displays are intensively installed such as Gwanghwamun Square, Seoul Station Plaza and Gangnam Station. The respondents were users and pedestrians within the target area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showed that other factors such as location or place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specific preference in the physical aspect.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showed that the preferred types and significance were derived in brightness, image color, image contents. and format.

      • KCI등재

        `명랑성`의 시대적 변이(變移)와 문화정치학 -통속오락잡지 『명랑』의 명랑소설(1956-1973)을 중심으로-

        김지영 ( Kim Chiyou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이 글은 1950년대부터 본격화된 명랑소설의 성장과 변화 및 그 쇠락의 과정을 시대사적 움직임과 함께 고찰함으로써 웃음이라는 명랑소설의 공모 장치를 통해 드러나는 당대 대중의 공통감각과 그 문화정치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명랑소설이 주조하는 `명랑성`은 전후의 침체된 사회 분위기를 개선하고 와해된 윤리의식을 재건하고자 했던 지배 담론과 낙천적으로 접속하면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와 생산의 사회적 공통감성의 자리를 마련해 나갔다. 차별보다는 화합, 절망보다는 희망, 고통보다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정서로서, 명랑소설의 명랑성은 민주적 신 사회에 대한 도시 대중들의 발랄한 기대와 소망을 투영하는 극복의 전략이자 긍정의 문화적 감성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1950년대 신사회 건설의 활력을 바탕으로 촉발된 `명랑`의 감성 코드는 1950년대 말부터 이중적인 젠더 윤리에 토대를 둔 성적 일탈이나 연애 미담의 소재들로 오락성의 중심을 이동하게 된다. 1960년대의 강권적인 국가 주도의 산업화, 근대화 바람 속에서 명랑성의 코드는 가족 제도의 모순과 근대화의 압박을 연애 미담이나 젠더 차별적인 욕망 해소의 전략 속에 방전하는 `건전성`의 장치로 변화했다. 남성 섹슈얼리티를 특권화하고 일탈적 쾌락의 욕망을 웃음의 알리바이로 커버하는 명랑성은 젠더 억압을 바탕으로 일상의 압박과 모순을 가리고 해소하는 순응적 문화 장치로 변모한 것이다. 그러나 1960년대 중후반부터 성적 장치들을 통해 일탈의 웃음을 선사했던 명랑소설은 표면적인 건전성에도 불구하고 그 내부로부터 점차 불온의 징후들을 드러냈다. 산업화 근대화의 강박 아래, 체제에 대한 절대적 추종을 요구하는 강압적 정치상황에서, 자기반성과 성찰 등 진지한 사고로부터 배제된 남성들이 기계화된 삶에 순응하기 위해 고안해 낸 기형적인 욕망 배설의 판타지가 일탈을 일상화하고 윤리의 위기를 초래하는 파탄의 상황까지 질주하기 때문이다. 기형적인 욕망배설의 판타지는 증폭되고 확장되는 가운데 오히려 표면적인 건전성의 세계를 위협하는 윤리적 위기와 균열의 징후를 드러냈다. 1960년대 후반 명랑소설에서는, 더 이상 정상성의 규준을 확인하는 선악의 논리 위에 안전하게 처리되지 않는 여성들의 불가해하고 의심스런 정체성이 종종 노출되면서, 남성 판타지가 더 이상 스스로를 명백하게 논리화하지 못하는 내적 모순과 미궁에 봉착한다. 본질적으로 불가해한 괴물 같은 여성의 모습이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해체하고 정상성의 규범 자체를 의심하게 하는 전도와 균열의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불완전하고 비균질적인 현실의 실체를 노출하는 것이다. 이처럼 남성 판타지가 더 이상 스스로를 투명하게 논리화할 수 없는 내적 균열의 지점으로 밀려가게 되면서, 여성을 대상화한 명랑소설의 전략은 가벼운 웃음을 통한 해소와 방전의 차원에서 존재론적 위기의 차원으로 진전되어갔다. 여기에 정상성의 규준을 해체하는 엽기적이고 기괴한 상상력이 틈입하면서, 1960년대 후반 명랑소설은 장르가 표방했던 `건전성`의 지표를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는다. 산업화 근대화의 강박 아래, 체제에 대한 절대적 추종을 요구하는 강압적 정치상황에서, 명랑성의`건전한` 문화정치적 힘은 소외되었던 타자들의 시선이 귀환하고, 이질적, 엽기적인 상상력이 틈입하면서 더 이상 스스로의 정체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좌초하게 된다. In this paper, I searched the rise and fall of the comic novels, which were prevailed in the 1950s and started to be disappeared in the early 1970s in Korea. In the 1950s, the comic novels were very popular among ordinary people in that the genre coined the atmosphere of gaiety for the society, which had just experienced the Korean war and fell into dark and collapsed ambience. The genre geared the emotion of approval and harmony rather than despair and discrimination, thus it was greatly welcomed among the people and expecially popular in the cheap amusement magazine such as Myeongrang(gaiety) and Arirang. However, the vital energy of the comic novel started to be changed from the late 1950s when the genre moved its focus into the sexual dev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nfair gender ethnics. In the 1960s, the code of gaiety of comic novels changed into a device of soundness which supported the state dominated national system by settling the pressure of sudden modernization and the contradiction of the family constitute into gender biased laughter. When the gender biased ethnics formulated one of the core elements of laughter and bizarre and eccentric imagination started to be insinuated in the genre from the late 1960s dismantling the normal standards of the constituted soundness, the genre could not bear its code and started to expose a fissure and crack in its stories. Thus the genre started to be collapsed from the 1970s, and disappeared among the pop magazine for adult and changed into a genre for the children`s novel or cartoon.

      • 미술영재 발굴 및 육성에 관한 연구

        김지영(Kim, Chi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영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창의재단을 통한 영재발굴과 육성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영재교육은 주요학문분야로 인식되고 있는 과학, 수학, 언어교육에 편중되어 예술분야에 대한 발굴과 육성은 저조한 실정이다. 더욱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예술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방 소도시에서 예술영재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전남 동부지역의 미술영재발굴과 육성에 관한 연구로, 지역현안을 감안한 실질적인 발굴방법과 육성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의 현황분석결과, 미술영재를 위한 교육기관, 시설, 프로그램 등 모든 면에 있어 열악함을 알 수 있었다. 지역에 적합한 발굴방법을 도출하고 선진국의 미술영재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실질적인 육성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미술영재의 사회적 참여와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실질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행?재정적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의 관심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Lately, the import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has been recognized, and discovering talented children and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current special education for discovering and fostering talents in the field of art has been down due to the concentration on science, mathematics, and language education that are considered as a major academic field. Furthermore, it seems realistically impossible to have a special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in the field of art in local cities, due to special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focuses on discovering and developing gifted children in the field of art in the east area of Jeonnam, recognized as the backward part of Korea, and aims to suggest a practical way for discovering talented children and developing program taking the circumstance of the area into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the status in the east area of Jeonnam is in poor condition in all aspects includi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grams. This study came up with a way to discover talented children and development programs in the field of art, and suggested a way to promote gifted children in art and the using plan. This study reveals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with caring atten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to actualize the suggestions provided by this study.

      • KCI등재

        오픈 세트장에 재현된 경관이미지 분석과 개선방안 : 순천'사랑과 야망' 오픈 세트장을 중심으로

        김지영(Kim Chi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1

        Curr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actively attracting open movie sets to revitalize local economy. This is because of open sets can be converted to theme parks to attract tourists and create jobs. However many open sets that have been established cannot satisfy local governments' expectations and waste local budgets.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to this such as the story of movie and the location of facility but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visual landscapes of open sets. The subject was the open sets of 'Love and Ambition' located in Sunch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construction were examined and a field research was done on the subject to propose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field investigation. The open sets of 'Love and Ambition' were investigated and problems of their landscape images as a reproducing place were analyzed. Research were used to propose regulations and future use of open s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at close planning and analysis are important for the reproduction of landscape in open sets and to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new open sets. 현재 한국에서는 지방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자체들에 의한 영화 또는 드라마 오픈세트장 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오픈 세트장을 테마파크화하여 관광객 유치와 고용창출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에 설립된 많은 오픈 세트장들이 지자체의 기대에 부응하는 제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고 지방예산을 낭비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영화의 내용적인 측면 교통과 지리적인 측면 부대시설 및 관리 측면 등 다각적 원인이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오픈세트장의 시설에 대한 시각적 요인에 대하여만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드라마'사랑과 야망'야외촬영이 이루어졌던 순천 오픈세트장이다. 우선 오픈 세트장이 설립된 배경과 과정 등을 살펴보고 연구대상지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대상지 경관분석을 표출하며 이를 통해 개선방안 등을 도출한다. 연구의 방법은 현장조사를 통한 경관분석이다. 재현공간으로써 대상지의 경관이미지에 대한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재현공간의 시대성과 현실성에 대해 연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오픈 세트장의 경관재현에 면밀한 계획과 분석이 이루어져야함을 밝히고 향후 건립될 오픈 세트장의 계획에 긍정적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 동영상전광판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지영(Kim, Chi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도심 공공 공간(public Space)은 사적 공간(private Space)과 상반된 개념으로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공동으로 영유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공익성’과 ‘공공성’에 기반한다고 하겠다. 디지털영상매체인 동영상전광판은 광고를 표출하는 시각전달매체로, 도심의 공공 공간에 새로운 경관이미지를 형성하며 그 수를 늘려가고 있다. 본 연구는 동영상전광판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연구로, 조사를 통해 물리적 측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현장조사와 전문가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은 문헌자료를 통한 현행 법?제도적 측면을 살펴보았으며, 동영상전광판의 실태파악을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심층인터뷰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타진하였다. 연구결과는 동영상전광판의 물리적 측면이 현행 법?제도적 규제와 깊게 연관되어 있어 법?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전문가심층인터뷰를 통해 물리적 측면의 문제점은 동영상전광판을 경관요소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점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동영상전광판의 설치 등에 있어 경관적 조화를 염두에 두어야한다는 것이다. Contrary to a private space, a public space is appropriated by a number of people and embraces the notion of common good and communality. As a visual communication media, video electronic display constitutes the new scenery of contemporary urban spa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in the physical aspect of the video electronic display and to propose its improvement. In order to assure objectivity and professionalism, the study relies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site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with experts. In approaching the subject, first the documentations of the pertinent laws and regulations are reviewed. Second, the actual video electronic display is examined on site. Lastly the expertise and opinions of the experts are surveyed through profound interviews. As a result, the physical aspect of video electronic display is closely related to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ir improvement is highly necessary. The core of problem, in particular, is proved to be the lack of recognition of the device as an element of urban environment.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modification of video electronic display should be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its surroundings.

      • KCI등재

        동향과 전망 : 근대신어의 성립과 변천 다시 읽기 -"근대신어연구팀"의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중심으로-

        김지영 ( Chiyoung Kim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6

        이 글은 2012~2015년까지 한국방송통신대학 근대신어연구팀에서 구축한 근대신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과 설계의 특징을 밝히고 활용의 실례를 보여 줌으로써 그 학술적 의의를 검토한 것이다.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신어를 표제어·어의 설명·용례·출전·관련 자료 등의 정보와 더불어 입력한 근대신어 데이터베이스는, 그간에 진행되어 온 신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고 새로운 신어 추출과 신어사전 입력을 통해 6만 7천여 건의 표제어를 확보한 종합적인 근대신어 기초 자료이다. 기존의 근대어휘 자료집들이 주로 용례를 중심으로 신어를 소개했던 것과 달리, 근대신어 연구팀의 데이터베이스는 일제강점기의 신어사전과 각종 미디어의 신어 해설을 병행 수록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으로 당대 언어와 사고의 흐름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또 이 데이터베이스의 ‘근대신어 교차비교 정보’란은 전근대 유의어·동의어, 일본 신어, 한·중·일 관련 연구물 등의 정보를 구비하여 전통과 근대, 한·중·일 삼국의 언어 이동 현상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같은 자료의 구축은 특정한 신어의 형성과 변천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삼국의 다국적 언어 횡단 양상과 어휘-관념-사고-심성 지반의 전반적 변화를 함께 탐구할 수 있는 복합적 학술 탐구의 토대가 된다. 본고에서는 ‘감정’, ‘예술이론’, ‘오감’이라는 세 어휘군의 내용을 개괄함으로써 근대신어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가능성을 예증하고자 했다. 감정 어휘군에서는 1920년대 초반까지 ‘애국심(愛國心)’·‘공공심(公共心)’·‘공동심(公同心)’ 등 집단적 감성을 표현하는 ‘-심’ 계열의 한자 신어가 많았던 반면, 1920년대 중반부터는 개인적인 감성을 표현하는 ‘-감’ 계열의 한자 신어가 많이 나타났으며, 센세이션·쇼크·그로테스크 등 강렬하고 자극적인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들이 가장빈번하게 신어로 소개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사실은 민족이라는 국가적 단위와 공적 감정이 강조되었던 근대전환기와 달리 식민지 시기 중반부터는 개인적이고 감각적인 감성이 새롭게 주목받았으며, 이 감성은 민족의 제한을넘어 자극을 추구하는 대중문화와 모더니티라는 세계적 감각에 긴밀히 연관되어 있었음을 알려 준다. 예술이론 어휘군에서는 1910년경까지 ‘고전(古典)’, ‘사실주의(寫實主義)’, ‘낭만주의(浪漫主義)’ 등 한자어로 유입되었던 신어들이 식민지 시기 중반에 ‘크라식’, ‘리얼리즘’, ‘로맨틔시슴’과 같은 외래어로 새롭게 소개되는 외래어 회귀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 특징이다. 예술이 전문가의 공유물을 넘어 대중화되기까지 전문가와 대중 사이의 거리가 언어 단절과 복수화를 낳은 것이다. 그러나 심미·미학·황금분할 등 미적 가치를 표현하는 어휘들은 한자어가 주류를 이루는데, 이는 적어도 예술의 구심점에 해당하는 진리와 가치의 차원에서는 전통적 사유의 틀이 일정하게 지속하면서 서구의 그것과 접속하여 갱신을 지속하고 있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오감 어휘군은 메가폰, 무성포, 필름조명 등 근대문명이 만들어 낸 물질문화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오감 어휘들은 상대적으로 일본 신어사전에 등록된 어휘들과 중복되는 어휘들이 많이 나타나 물질생활과 직접적 감각의 영역에서 언어와 문화의 횡단 현상이 매우 뚜렷했음을 보여 주었다. This paper introduces a new research resource created by the Research Team on Modern Korean Neologisms, based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e team, which comprises 25 researchers in diverse fields, including linguistics, history, literature and information science, has produced a new database of more than 68,000 modern Korean neologisms. These terms were coined during Korea’s modernization and its colonial occupation. Modern Korean neologisms have been collected since the 1980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and since the late 2000s, much work has also been done on specific neologisms, notably on gukga (nation), sahoi (society), and munhwa (culture), by the broader humanities. This new database synthesizes the results of earlier research to create the largest systematically organized neologism resource available:it is intended to support the academic study of new ideas and expressions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of Korea. The database includes fields for cross- reference information on modern neologisms, such as ‘Pre-modern synonyms’, ‘Japanese neologisms’, and ‘Comparative neologisms for Korea, China, and Japan.’ The neologisms in the database a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into 58 types, with four major categories and 18 lower-level classifications, within which terms can be attributed to as many as three independent types. Of course, the database can be used to study the formation and transitions of specific concepts, but its sophisticated and flexible structure also allows investigation into the ways in which translated terms move among the three nations of East Asia, as well suppor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correlations between lexical changes and philosophical, ide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s an illustration of the utility of the database, a summary is presented of the new information it provides on three fields: ‘emotion’, ‘arts’ theory’, and ‘senses’. For example, with terms pertaining to ‘emotion’, from 1867 to the 1910s, a lot of new words were coined by combining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for public feelings, such as gong gong-sim (citizenship) and aeguk-sim (patriotism); whereas during the 1930s, a great many loan-words were adopted which concerned private feelings, such as shochei (shock) and groteschei (grotesque). This implies a shift from focusing upon public feelings in the early modern period, toward more emphasis upon private feelings around the middle of the colonial period, when modernity was experienced in a more cosmopolitan way. With neologisms pertaining to ‘arts’ theory’, a distinctive phenomenon is seen whereby loan-words replace earlier coinages which had used Chinese characters. Such terms as ‘realism’ and ‘classic’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in the early 1900s, but these words were forgotten when the mass media introduced loan-words like lierlism (realism) and cheirasik (classic) in the 1930s. The earlier words were used primarily by a restricted group of intellectuals, whereas the later loan-words reflected the increasingly direct influence of the West upon popular culture. Finally, with neologisms pertaining to ‘senses’, it is terms connected with the materials of modern culture which stand out. Many terms exactly match the entries in a Japanese dictionary of neologisms from the 1920s, reflecting the fact that the channel through which new ideas and words were introduce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hannel through which new materials migra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