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aOH 용액내에서의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화학적 분해

        김정란,정병초,양규호,Kim, Jung-Ran,Jeong, Byung-Cho,Yang, Kyu-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3

        복합레진의 중요한 임상적 단점은 낮은 마모 저항성이며, 이와 관련된 하나의 인자로 수복물의 표면하 분해(subsurface degradation)가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카리성 용액(0.1N NaOH)에 현재 구치부 수복에 많이 이용되는 Z100(3M), Clearfil AP-X(Kuraray), Tetric Ceram(Vivadent)의 3종의 복합레진과 흐름성이 뛰어난 Aeliteflo(Bisco) 등 4종의 광중합형 레진을 보관하였을 때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해저항성은 다음의 지표를 근거로 평가하였다. 1) 무게손실 - NaOH 용액에 노출 전후의 무게 측정, 2) Si 농도 - 시편을 제거한 용액은 ICF-AE분석기를 통하여 용액내로 용출된 Si 이온 정도 평가, 3) 분해층 깊이 - 용액에 보관한 시편을 연마하여 SEM을 이용하여 분해층의 깊이(${\mu}m$)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제품의 무게손실량은 Z100, TC, CL, AE 순으로 많았으며, AE, CL군과 TC, Z100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각 제품의 표면하 분해층 깊이는 Z100, TC, CL, AE 순으로 깊었으며, AE. CL군과 Z100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각 제품으로부터 용출된 Si 양은 Z100군이 가장 많고, AE, CL, TC순으로 많았다. 4. 무게손실량과 표면하 분해층 깊이 사이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71, p<0.05). One of the major deficiencies of composite restorative resins is their insufficient resistance to wear. Of the multitude of factor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wear, subsurface degradation within the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four commercial composite resins in an alkaline solution. The brands studied were Z100(3M), Clearfil AP-X(Kuraray), Tetric Ceram(Vivadent), Aelit flo(Bisco).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parameters: (a) mass loss(%) - determined from pre-and post-exposure specimen weights: (b) Si loss(ppm) - obtained from ICP-AE analysis of solution exposed to specimens; and (c) degradation depth(${\mu}m$) - measured microscopically (SEM) from polished circular sections of exposed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quence of the mass loss was in ascending order by AE, EL, TC, Z100.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mass loss between AE, CL group and TC, Z100 group(p<0.05). 2. The sequence of the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was in ascending order by AE, CL, TC, Z100.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egree of degradation layer depth between AE and CL(p<0.05). 3. For the Si concentration, Z100 was the highest of all.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depth was relatively high(r=0.71 p<0.05).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김정란,Kim, Jeong Ra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e'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 근대 해항도시 부산에서의 콜레라 유행과 그 대응

        김정란(Kim, Jeong-Ra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1 해양도시문화교섭학 Vol.- No.4

        This study is Japanese sanitary policy in Busan during the opening port period. In particular, I’m focusing on the water supply at the Japanese settlement. During this period, Japanese settler were suffered form water shortage at the settlement in Busan. And at that time, infectious diseases were a huge danger of damage between them. Many of Korean and Japanese perished through consuming contaminated drinking water or food. Consequently, Japanese settler organization started the sanitary settlement. The first and second-phases construction were small-scale and addressed to solved immediate problems for the settler at the present moment. However, the third-phase construction that was started from in 1908, was large-scale. This construction was took place with the prospect that rapid population increase in the near future. After 1905, Busan was placed for a connection between Japan and Asian continent and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city and increasing of the Japanese settler more than ever. Moreover Korea became the Japanese protectorate after the Russo-Japanses war, thus Japanese government had begun to envisage a new reign of Korea. However, the problem that security of safe water supply would not be resolved unless hygiene management of the reservoir and the areas where drainage pipes were installed. After 1905, Japanese government attained control of the Korean police authorities then undertook a sanitary management including the communicable disease activities involved Korean society. At that time, Korean village around the Japanese settlement became the prime target. In consequence, public health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were built around a Japanese settlement in Busan. In addition, sanitary system that target for Korean society by police was established even before colonial period. After this process, Korea became Japanese colony in 1910.

      • KCI등재

        개별논문 :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비판적 검토와 지도 방향 모색

        김정란 ( Jeong Ran Kim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본 연구는 현행 중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자기 표현적 글쓰기를 형식과 내용적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따른 지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양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과서에서는 자서전 중심으로 치우쳐져 형식 중심의 장르교육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를 표현하는 유용한 담화인 경험 이야기를 원형으로 제안한다. 그럴 경우 주체의 사고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글쓰기로 전향할 수 있으며 글쓰기의 소통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소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험의 가치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 제한된 읽기 텍스트를 통해 편협된 경험을 다루고 있거나 과거 개인의 경험들 중 최근의 기억이나 감각적인 사건, 부정적 정서 중심의 경험 내용에 치우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감동이나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경험의 판단 기준이 제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도 방향은 ① 중학생들이 긍정적 자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안내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② 경험적 사고를 형성할 수 있는 인지적 과정에 따라 내용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③ 경험 이야기의 표현 구성 원리가 안내되어야 한다. ④ 경험 공유를 위해 공감적 소통을 유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reflect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self-expressive dimension in writing to the form and content of the critical review and guidance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direction. The form of expressive writing his autobiography genre biased to the center. Experienced significant growth over the ego in order to be a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education measures must be taken. Direction is as follows. ① map directions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continue to form a positive self-guiding measures must be taken. ② empirically capable of forming an accident according to the cognitive processes should allow to generate content. ③ experience organizing principle to guide the story to be expressed. ④ empathic communication for sharing experience, education should be in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