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활성화 방안이 학교시설 개선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서울특별시 교육청의 선지원 후추첨제의 도입과 관련하여 -

        김재춘,Gim, Chae-chun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06 교육·녹색환경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elective-based curriculum in high schools, and to infer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did three things. First, it tried to find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are provided with the courses they want to take for the elective-based curriculum. Second, it explored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elective-based curriculum in high schools with the introduction of students' 'pre-application and lottery-allotted system' of high school admission. Third, it tried to infer the changed policy'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points are to be emphasized for the future plan and design of high school facilities. First, different school facilities are needed for each school because each school would implement different types of school curricula. Second, schools should be provided with different sized classrooms and different number of classrooms because three different types of students are assigned for each school as a result of new students' allocation policy. Third, new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ovide students who are assigned to unwanted schools with opportunities to take courses outside their schools because students assigned by lottery system cannot have so much opportunity as students who are allocated to chosen schools.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한 교육과정 전문가의 소견

        김재춘(Gim Chae 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최근 들어 도덕과 교육이 활발한 변신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 같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기존의 도덕과 교육에 대한 도전이 독립된 교과로서의 도덕 교육을 찬성하는 자들과 반대하는 자들 모두로부터 거세게 일고 있기 때문이다. 독립된 교과로서의 도덕 교육을 찬성하는 자들 중에서는 도덕 교육은 철학/윤리학을 전공한 자들이 가르쳐야 한다는 철학계의 주장이 대표적이며, 독립된 교과로서의 도덕 교육을 부정하는 자들 또한 적지 않은 것이 우리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행 도덕 교육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도덕 교육 전문가들은 이러한 비판에 민감하면서도 재빠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독립교과로서의 도덕 교육을 국민윤리교과 전공자만이 독점하는 것보다는 국민윤리교과, 교육학, 철학 전공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도덕교과 전공자가 제안하고 있으며(정세구, 1998), 도덕 교육의 독립 교과 지도에 반대하는 논리에 대해서는 “도덕과 교육이 독립 교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도덕 과목은 철학 과목으로 대체할 수 없다”는 논리를 구구절절히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차우규․윤현진, 2002: 25-40).

      • KCI등재

        들뢰즈 철학에서의 "배움"의 의미 탐색

        김재춘 ( Chae Chun Gim ),배지현 ( Ji Hyun Ba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들뢰즈 철학에서의 ‘배움’의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배움이 가진 생성적 측면을 드러내려는 시도이다. 들뢰즈는 ‘앎’과 ‘배움’을 구별한다. 그는 앎을 ‘재현적 활동’으로, 배움을 ‘창조적 사유’로 묘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들뢰즈의 배움이 동일성을 재현하는 활동이 아니라 차이 생성을 통한 창조적 사유임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앎’이 왜 재현적 사유인지를 ‘사유의 공준’에 대한 들뢰즈의 비판을 통해 살펴보고, 둘째, 배움이 어떻게 창조적 사유일 수 있는가를 들뢰즈의 ‘이념’, ‘기호’, ‘차이’, ‘반복’ 등의 개념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으며, 셋째, 들뢰즈의 창조로서의 배움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창조적 사유로서의 들뢰즈의 ‘배움’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① 배움은 끊임없이 차이를 생성하는 ‘이념적 차원’으로 잠입해 들어감으로써 문제제기적 장을 창조하는 활동이다. 차이들이 특정한 관계를 맺고 특이점을 형성함으로써 문제제기적 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문제제기적 장 속에서 배움이 발생한다. ② 배움은 ‘기호’와의 마주침의 공간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는 활동이다. 들뢰즈의 기호는 기존의 관념이나 인식의 틀로는 파악할 수 없는 대상이므로 이 대상을 파악할 수 있는 인식 능력 자체의 발생을 요청한다. This study is to highlight a generative character of the concept of learning developed by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Deleuze distinguishes between the concept of knowledge and the concept of learning. Deleuze describes knowledge as the result of representational activities, following the presupposed line of thinking, whereas he regards learning as a generative thinking which produces thinking itself by entering into the differential relations of the virtual. Deleuze`s concept of learn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is an activity which creates problematics by sneaking into the ideal where differences are being produced continuously and indefinitely. Problematics can be formed whenever events encounter accidentally and learning might happen in the problematics. Second, learning is an activity which makes an opportunities to encounter with signs. Deleuze`s signs cannot be grasped through the traditional cognitive frame of reference and demand to be understood by the production of new cognitive frame of reference. In sum, Deleuze defines learning as an activity of generating differences rather than an activity of representing identities. Deleuze`s conception of learning as a creative activity carries lots of implications for the reformation of our schooling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typical institute of reproducing identities.

      • KCI등재

        집중이수제 정책의 등장과 퇴장: 정책 실패가 주는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김재춘 ( Chae Chun Gim ),최필순 ( Pil Soon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3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허용/권장 형태로 처음 등장한 집중이수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제 규정으로 강화되었다가 201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실상 폐기되었다. ``동시 이수과목 수의 과다``라는 우리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이른바 ``합리적인`` 정책인 집중이수제는 왜 그렇게도 빨리 폐기될 수밖에 없었는가?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집중이수제 정책이 등장하게 된 과정을 기술하고, 둘째, 집중이수제 정책의 실패 원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며, 셋째, 집중이수제 정책의 실패 사례가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정책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정책 실패의 요인은 첫째, 정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 둘째, 학교교육의 오래된 관행과 문화의 문제, 셋째, 수업과 평가 방법의 집중이수제와의 불일치 문제, 넷째,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교육과정 생태계``의 훼손 등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교육과정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정책 입안에 있어서 이른바 ``합리성``만이 아니라 학교의 ``생태성`` 또한 중시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A focused learning policy which was incep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at has been very much emphasiz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doomed to be abolished in the 2012 revised curriculum. In this context, a question of why such a rational policy called a focused learning system which was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an enduring problem such as ``too much subjects for a student to study at a semester`` failed in such a short time is to be raised. In the study, three topics are dealt with in some detail. First, the development of a focused learning policy was described from the inception through the emphasis to the abolishment.. Second, the causes/reasons of the policy failure were analyzed. Third, the implication of the policy failure on the future directions of curriculum policy-making was explored. Four causes/reasons of the policy failure were identified: First, central government`s hastines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new curriculum policy; Second, longstanding curricular practices which cannot be aligned to the focused learning policy; Third, instructional and evaluational practices which cannot be relevant to the policy; Fourth, destruction of curriculum ecology. For a curriculum policy to be successful, a hyper-rational approach to curriculum policy should be supplemented with an ecological approach.

      • KCI등재

        들뢰즈의 ‘감각들의 교육(학)’의 의미 탐색

        김재춘 ( Gim Chae-ch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들뢰즈가 말하는 ‘감각들의 교육(학)’이 어떤 것인지 밝히고, 이것이 지닌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들뢰즈가 『차이와 반복』에서 이야기하는 ‘감각들의 교육(학)’은 감성이라는 인식능력과 감각 대상인 기호라는 개념을 전제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첫째, 감각 대상으로서 기호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를 탐색할 것이다. 여기서는 주로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에 제시된 기호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둘째, 기호의 첫 번째 인식능력인 감성이 어떻게 정신을 뒤흔들면서 사유로 하여금 사유하기를 가능하게 하는지를 탐색할 것이다. 여기서는 주로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에 제시된 감성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셋째, 들뢰즈의 감각들의 교육(학) 논의의 교육적 함의를 분석할 것이다. The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what Deleuze calls a "pedagogy of the senses”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 pedagogy of the senses, which Deleuze discusses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faculty of sensation and the signs which are the object of the sense. First, this paper explores what signs are as the object of the sense and what characteristics they have. In this part, the discussion mainly revolves around the theory of signs presented in Deleuze's Proust and Signs. Second, it explores how the faculty of sensation as the first faculty sensing signs, can shake the soul and enable thought to think. The discussion here mainly focuses on the theory of sense presented in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Third, it analyz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eleuze's pedagogy of the senses.

      • KCI등재

        IB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 탐색

        김재춘(Chae-chun G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고등학교 국제졸업자격제도인 IB Diploma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IB Diploma 교육과정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IB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들은 세계 많은 나라의 대학 입학 자격을 취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 진학 후 대학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IB Diploma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분석한 후, 우리나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둘째, 2007년 개정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분석한 후, 단위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시켜 줄 수 있는 교육과정 지침을 분석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 IB Diploma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반영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가능성을 탐색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of the IB Diploma Program for high schools" elective curricula in Korea. The IB Diploma Program was originally developed by IBO in order to provide relevant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workers. Because of high quality of it, students who finish the IB Diploma program successfully could not only get admission to prestigious universities across the world, but also get college credit for the courses they took in the program. For the reason, some special-purpose high schools in Korea are examining a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IB Diploma Program into their school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id three things. First,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IB Diploma Program, and draw some implications for High Schools" elective curricula. Second, after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2007 in comparison with the former curriculum, called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er explicated some curricular guidelines for the enhancement of school-based curriculum management. Third, the researcher developed a school curriculum framework in order to show whether IB Diploma Program-type Elective Curricula can be implemented.<BR>  In the study,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IB Diploma Program-type Elective Curricula in Korean High Schools can be implemented under the new National Curriculum, whereas it could not be implemen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any restricted national curricular guidelines have been changed into more loosened ones with the new National Curriculum. Four changes are remarkable: First, unnecessary demarcation between general elective subjects and advanced elective subjects is abolished; Second, schools have more autonomy in increasing/decreasing the unit of elective subjects; Third, schools can open special subjects for their students, which could not be opened in general academic high school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urth, students should take at least one subject in respective subject groups such as PE/Sports and Arts. With such changes, Korean general high schools can implement the IB Diploma Program-type elective curricula with the new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들뢰즈의 시간론의 교육적 함의

        김재춘 ( Chae Chun Gim ),배지현 ( Ji Hyun Ba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2

        들뢰즈의 시간론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제기적``인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 역시 들뢰즈 시간론을 새롭게 읽으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들뢰즈는 현재, 과거, 미래 각각을 ``시간의 종합``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세 번째 종합인 미래의 시간을 ``차이의 영원회귀``로 규정하고 있다. 들뢰즈의 묵시록적이고 난해한 시간론을 새롭게 이해하려는 이 연구는 그가 시간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한 공간적 메타포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실험해보고자 한다. 들뢰즈의 시간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현재는 유기체 차원에서 살아있는 현재를 습관으로 정초하는 시간이며, 차이를 끌어오는 방식으로 종합된다. 둘째, 과거는 현재를 지나가게 하는 근거의 시간이며, ``순수과거``라는 선험적 지평 위에서 차이를 풍요롭게 반복하면서 기억을 종합한다. 셋째, 미래는 모든 경험적인 동일성을 사상한 ``시간의 텅 빈 형식``이며, 차이 그 자체만이 영원회귀하는 시간이다. 시간의 종합은 현재에서, 과거로, 그리고 미래로 갈수록 ``수동성``이 심화된다. 들뢰즈가 시간을 ``수동적`` 종합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주체의 의식성이나 능동성이 출현하기 ``이전에`` 존재하는 ``즉자적 차이의 영원회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이같은 들뢰즈적 의미의 시간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교육(학)적 시사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교육에서 ``동일성과 차이``의 문제는 ``과거적 삶을 살게 할 것인가, 미래적 삶을 살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된 것이며, 둘째, 교육의 시간에서 보다 근본적인 시간은 미래라는 점이다. 셋째, 차이가 영원회귀 하는 시간 속에서 교육적 경험도 차이의 생산으로 해석되며, 넷째, 교육 주체는 통합된 자아를 넘어 차이를 적극적으로 생산하는 주체로 해석된다. 다섯째, 교육에서의 ``능동``과 ``수동``, ``의식``과 ``무의식``은 차이의 생성을 위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이는 ``수동``과 ``무의식``이 ``능동``과 ``의식``의 기저에서 존재하면서 차이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Deleuze`s theory on time is problematic in that it can be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As an attempt to read Deleuze`s theory on time from a new perspective, this study tries to explain Deleuze`s theory on time by means of deepening or transforming his schematic diagrams on time presented in his book ``Difference and Repetition``. Deleuze describes each of the present, the past, and the future as a synthesis of time and defines the future, the third synthesis of time, as an eternal return of difference in itself. Deleuze`s book, ``Difference and Repetition`` is regarded as a book which deals with the time as the repetition of differenc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from a new perspective Deleuze`s theory on time which is revealing and so difficult to understand by transforming and/or experimenting his spacial metaphors on time in various ways. Deleuze`s theory on tim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is the synthesis of habit on the level of an organism which draws a difference from the repetition. Second, the past is the synthesis of memory which repeats differences bountifully on the transcendental horizon called ``pure past,`` functioning as a base which makes the present pass by. Third, the future is the time of an eternal return, which makes all the concrete experiences excluded in an empty form of time. The passivity of time is being gradually strengthened as it goes from the present through the past to the future. Deleuze explains a time as a passive synthesis so that he can show that there is always an eternal return of a difference in itself before the active or conscious subject can be mobilized. Deleuze`s theory on time carries some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rst, educational time can be interpreted as a repetition of difference. Second, the educational subject is a subject who can produce a difference actively, going beyond the unified human subject. Third, passivity in the process of learning can be regarded as a condition in which activity can function creatively. Passivity never excludes activity from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Deleuze`s theory on time.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나숫셈 단원에 제시된 질문 방식 국제 비교 연구 -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나숫셈 단원에 제시된 질문 방식 국제 비교 연구

        김재춘(Gim Chae-Chun),박소영(Park So-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6 比較敎育硏究 Vol.16 No.3

        이 연구는 한구, 일본, 미국, 프랑스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질문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의 질문 방식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가 교과서에 제시된 질문 방식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장식 질문의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수식 질문에서 미지수의 위치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장식 질문에서 나눗셈 상황을 다양하게 골고루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1, 2단계 연산을 요하는 문장식 질문을 골고루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문장식 질문에서 활용되는 생활 소재들의 범위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compare question styles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Japan, USA and France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question style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study, lessons on the ‘division’ in the four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of four different countr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ive criteria: frequencies of all questions, frequencies of number expression questions and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frequencies of different types of number expression questions, frequencies of different types of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and the degree of variety of life situations used in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In this comparative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First, the French textbook has the highest ratio of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over number expression questions and the Japanese textbook has the lowest ratio. The Korean and American textbooks are midway between them. Second, different types of number expression questions are found in the American and French textbooks, whereas only one type of number expression questions is found in the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Third, different types of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are found in the American. French, and Japanese textbooks, whereas only one type of sentence expression question is predominant in the Korean textbook. Fourth, the American and French textbooks use the most various life situations in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and the Korean textbook has the least variety. From this study, five suggestions are infer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First. it should have more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Second, different types of number expression questions should be included. Third, different types of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should be included. Fourth, sentence expression questions demanding more than two-step thinking in solving questions should be kept up in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Fifth. a variety of life situations should be ut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