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

        김원철,황명진,Kim, Won-Chul,Hwang, Myung J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심리사회적 표준사정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2013년 5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국 55개 완화의료지원기관에 정부인증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10곳의 사회사업초기면접 기록지와 선행연구결과를 반영하여 8개 범주 80개 항목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메일로 발송하였다. 이 중 조사 참여에 동의한 31개 기관(56%)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심리사회적 사정영역의 8개 범주 중 가족사항에 대한 평균치가 4.53으로 가장 높고 경제적 사항이 4.06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자격증, 의료사회사업수련,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담여부등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자격특성과 병원의 유형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히 본 연구결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수행도가 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정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함에도 사정하고 있지 않는 등의 편차가 나타나 표준사정항목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법적 제도화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자격기준과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전담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전문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preliminary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standardized tools for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in needs for hospice/palliative care. To accomplish the purpose, investigators examined effect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psycho-social domains of assessment in hospice/palliative care settings. Moreover, investigators paid attention to variances of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along with types of institution and credentials of those family settings. Methods: A form of questionnaire was first explored from an initial interview assessment of 10 government-certified hospice care providers and a literature review, second constructed with eight domains and 80 items, and sent by e-mail to 55 institutions and hospitals providing hospice/palliative cares in Korea. Lastly, a total of 31 agencies returned with a completed responses and consent form (56% response rate). SPSS program (version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tudy foun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patients' family background (m=4.53, 5-point scale) as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domain, whereas economic conditions (4.06 point) the least important. Social workers' perception varied by credentials (i.e., license types, training, full-time position, types of care facility). Conclusion: Based upon study findings, investigators can conclude strong needs for developing a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multiple domains (i.e., psychological, social and ecological aspects) of patients.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should be structured with 2 axis (center/core and expanded/peripheral) and tailored for institution type. Second, professional trainings must be provided by strengthening legal institutionalization and fostering qualified social workers with full responsibiliti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 KCI우수등재

        ‘영웅-순교자’ 화두와 밀 사상의 통일성

        김원철(Won-Chul Kim)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5

        본 논문은 ‘영웅-순교자’라는 화두를 통해 밀 사상의 통일성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했다. 사상적 성숙기에 집필된 『공리주의』와 『자유론』사이에 이념적 불일치가 발생함을 주석가들은 지적해 왔다. 밀의 소극적 자유 개념이 필연적으로 모든 간섭주의적 성격의 법을 배제하는데 반해, 공리주의의 제1원리인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원리는 그러한 법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시적 관점에서 제기된 밀 사상의 통일성 문제는 곧장 전⋅후기 사상 사이의 단절이라는 통시적 문제로 이어진다. 아버지 제임스 밀로부터 물려받았던 공리주의를 자유주의자 존 스튜어트 밀은 저버렸던 것일까, 아니면 여전히 계승하고 있는 것일까? 공시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 모두에서 밀 사상의 통일성을 논하고자 하면서, 본 논문은 ‘영웅-순교자’ 화두가 지니는 논쟁적 의미와 발견술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다. In this study, I made a new approach to Mill’s thoughts with the theme ‘hero and martyr’. In general, the modern scholars have presumed that a doctrinal inconsistence takes place between Mill’s two masterpieces, Utilitarianism and On Liberty. According to them, while the latter rejects all kinds of legislative intervention by the force of its ‘self-protection principle’, the former may accept interventional laws if they satisfy the utilitarian principle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This remark on the doctrinal inconsistence of Mill’s two works introduces a new debate on Mill’s final position vis-à-vis benthamian utilitarianism. Did the liberalist Mill abandon the utilitarianism inherited from his father James Mill, or take it as maxim in advocating liberal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reveal the unity of Mill’s thoughts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and for that objective I treated the theme ‘hero and martyr’ in its polemic and heuristic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스피노자의 도덕심리학

        김원철 ( Won Chul K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49

        본 논문에서 필자는 목적론에 대한 스피노자의 이중적 평가를 중심으로 그의 도덕심리학을 재구성해 보고자 했다. 『에티카』1부 부록에서 스피노자는 목적론적 사고를 사물의 원인에 대한 무지와 자기보존의 충동에서 기인한 편견으로 평가절하한다. 이는 그 자신이 1부 본문에서 제시한 필연론에 부합하는 평가이다. 하지만 4부 서문에서 스피노자는 목적론적 사고에서 파생된 선·악, 완전함·불완전함 등의 가치개념을 재수용해야 함을 역설한다. 윤리적 평가의 기준이 될 ‘인간 본성의 전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개념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목적론에 대한 두 평가가 어떻게 일치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에티카』의 연역적 논증 체계 이면에 작동하는 스피노자의 도덕심리학을 수면 위로 드러내 보이고자 했다. 더불어, 규범성의 문제가 스피노자 철학의 핵심 문제임을 지적함으로써 『에티카』전체를 일종의 도덕심리학으로 읽는 필자의 독법을 정당화하고자 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construct Spinoza`s moral psychology from his double evaluation about teleology. On the one hand, as in the famous appendice of De Deo the first part of Ethica, Spinoza denounced it as an illusion due to ignorance and desire. This negative evaluation of teleology fits well with the necessitarism logically constructed in the main text of De Deo.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reface of the forth part of Ethica, Spinoza insisted on the positive role of the values, like the good and the bad, the perfection and the imperfection, although they originated from teleological thinking. He said that these values are useful to us in order to form a model of human nature, model indispensable for our ethical evaluations. These two seemingly contradictory statements lead us to rethink Spinoza`s logical system and to find a moral psychology working under the surface. In this perspective, I tried to read Spinoza`s Ethica somewhat heretically. However, I think that if we construe that Spinoza`s problematics consist in the problem of normativity, such reading can be justified.

      • KCI등재

        데카르트, 인지주의 감정이론의 기원과 한계

        김원철(Won-Chul Kim)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4

        본 논문은 데카르트의 『영혼의 정념들』을 통해 현대 인지주의 감정이론의 기원과 한계를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쓰였다. 데카르트가 왜 인지주의적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보이기 위해, 도덕주의적 감정론과 생리학적 환원주의에 대한 배격이 그의 철학 내부로부터 요청되고 있음을 우선 설명했다. 그 다음으로 인지주의 감정이론의 핵심 개념인 지향성과 명제성이 데카르트의 감정론 내부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설명했다. 『영혼의 정념들』 1부와 2부의 논증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정념 일반에 대한 데카르트의 정의가 지향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감탄ㆍ사랑ㆍ미움ㆍ욕망ㆍ기쁨ㆍ슬픔이라는 여섯 모(母)정념들의 논리적 선후관계가 명제적 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감정의 양가성’이라는 문제를 통해 분석성과 체계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데카르트의 감정론이 봉착할 수밖에 없었던 딜레마를 설명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the origin of the cognitivist theory of emotions and its limit by showing the structure of Les Passions de l" Ame. At first, it needed to explain why Descartes took the cognitivist position. So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was contributed to Descartes’ critics against traditional theories of emotion, theories eminently based on a moral point of view, and his critics against physiological reductionism that he found in Hobbes’ theory of emotion. That these two-track critics came from Descartes" concept of science is the main thesis of our first section. In the second section of this paper, we tried to prove the role of intentionality and propositionality - two principal concepts of cognitivism - in the Cartesian theory of emotions. By a structural analysis of Les passions de l"Ame, we could find out that Descartes aimed at defining the general meaningof passion in terms of intentionality, and that his selection of six primitive passions such as admiration, love, hate, desire,joy, sadness, was logically related to the propositional attitude. At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we examined the question of ambivalence with the intention to reveal the dilemma of Cartesian theory, the dilemma to which a theory of emotion inevitably falls insofar as it emphasizes systematicity and analyticity.

      • KCI등재
      • KCI등재

        아디아포라(αδiα Фορα), 스토아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김원철 ( Won Chul K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철학연구 Vol.0 No.45

        본 논문은 스토아주의의 ``아디아포라`` 개념에 관한 연구이다. 도덕적인 가치에 무관한 사물들을 지칭하는 이 개념은 역으로 스토아철학자들이 도덕성을 어떻게 규정했는지를 보여주는 단서가 된다. 스토아는 고대 윤리학 중 선의 개념을 가장 엄격하게 규정했던 학파로 유명하다. 이 엄격성은 헬레니즘 시기의 다른 학파들로부터 주된 공격의 대상이 되었는데, 그 중심에 아디아포라 개념이 놓여 있다. 아디아포라의 문제는 도덕적인 가치와 (도덕에는 무관한 아디아포라의) 실용적인 가치의 경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문제로, 헬레니즘 시기에 있어 행복을 정의하는 방식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스토아는 또한 아디아포라의 문제를 도덕성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전략으로 삼았다. 이점에서 아디아포라는 스토아의 도덕성 개념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그것으로부터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준다. 한마디로, 아디아포라의 문제는 스토아주의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단서이며, 근대 의무주의 윤리학의 선조로서 스토아 윤리학의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는 주제이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Stoic notion adiaphora. In Greek, adiaphora means the things which aren`t good nor bad. Thus indicating what are totally indifferent to moral value, this concept serves us to show indirectly how the Stoic defined the morality. Among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the Stoics are notorious for their rigorous definition of the good, and this conceptual rigorousness invited the criticism of others schools. It is also the Stoic conception of adiaphora that the opponents attacked from a logical point of view. Concerning the difficult distinction between moral values and non-moral practical values, this problem of adiaphra was conceived by the hellenistics as a question about how to define the happiness. Actually the Stoics invited their original doctrine of adiaphora in order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morality. In this point, the notion of adiaphora will show us how the Stoicism differs from Plato and Aristotle in spite of their common effort to objectify the morality. To say shortly, adiaphora is a topic good for identifying the core of Stoic ethics as an ancestor of modern deontological moral.

      • KCI등재

        현대인의 소비욕망은 자유의 증대를 가져 오는가? -폭력의 문제를 통해 본 신(新)개인주의 논쟁의 한계-

        김원철 ( Won Chul K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연구 Vol.0 No.44

        1980년대 프랑스에서 벌어진 ``신(新)개인주의논쟁``은 근대성의 원리에 대한 상이한 해석에 기반한 두 학파 간의 논쟁이었다. 개인주의의 핵심을 전통으로부터의 해방으로 이해한 신토크빌주의자들은 개인의 독립성을 근대성의 원리로 상정한다. 그들은 현대의 소비주의에서도 그러한 해방을 목격한다. 이에 맞서 신하이데거주의자들은 문화마저 상품화시켜버리는 현대의 대중문화를 개인주의의 산물로 본다. 쾌락의 원리에 예속된 개인주의는 참된 의미의 해방이 아니라 소비만능주의를 부추기는 거짓된 해방일 뿐이라 폄하하며, 그들은 칸트적 의미의 자율성을 근대성의 참된 원리로 천명한다. 신(新)개인주의 논쟁의 중심에는 이처럼 소비의 문제가 마치 두 입장의 분기점처럼 작동한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소비욕망은 이 논쟁에서 부차적인 문제로 다루어진다. 왜냐하면 논쟁의 양 진영 모두가 근대적인 주체 개념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데카르트적 주체가 세계와 맺는 관계는 기능적인 것인 데 반해, 소비자가 세계와 맺는 관계는 본질적으로 유희적인 것이다. 따라서 현대인의 소비욕망을 그것의 내재적 역동성에 따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성이론의 편협한 틀을 탈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폭력의 문제를 통해 이러한 탈피를 모색했는데, 이는 사회학에서 폭력의 문제가 근대성이론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계기가 되었던 점에서 착안한 바이다. 철학적 인간학에서 보자면, 폭력의 문제와 소비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욕망모방의 두 가지 표현이다. Des annees 1980, le fameux debat sur le neo-individualisme a eu lieu en France entre les deux ecoles philosophiques qui s`opposent au fond dans leur conception de la modernite. L`ecole neo-tocquevillienne fait de l`individualisme le principe de la modernite en caracterisant l`essentiel de l`individualisme par l`independence des individus vis-a-vis de toute la tradition. Par contre, l`ecole neo-heideggerienne n`y voit que l`effet de la culture de masse, culture qui finit par commercialiser meme les ooevres d`art. En denoncant ainsi l`indivudualisme comme pseudo-liberation du consommatisme, cette ecole reconnait le vrai principe de la modernite a l`autonomie du Sujet dans son sens kantien. Nous constatons que le probleme de la consommation se trouve dans le vif du debat comme le point d`articulation entre les deux positions. Cependant, ce probleme ne pouvait etre traite que de facon subsidaire, dans la mesure ou les deux ecoles tenaient egalement au concept cartesien du Sujet. Alors que le consommateur s`occupe du monde de facon essentiellement ludique, le Sujet cartesien le fait dans une perspective fonctionnelle. Pour comprendre la consommation en tant qu`activite ludique de l`homme, il est donc fort requis d`eviter le cadre d`argumentation de la theorie de la modernite. A ce propos, nous aurons recours a la sociologie de la violence, en ce qu`elle a pour effet une remise en question de la modernite. A la fin, notre etude visera une anthrophologie philosopique dans laquelle le probleme de la violence et celui de la consommation s`identifient sous la categorie du desir mimet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