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HDL을 이용한 세선화 칩의 FPGA 구현

        김세린(Serin Kim),한탁돈(Tackdon Han)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이진영상 인식에 있어서 전처리(잡음제거 및 세선화)는 올바른 인식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단계이다. 여러가지 구체적인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경우 많은 반복연산으로 인해 수행시간이 길어지므로 하드웨어로 구현하여 고속으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드웨어로 구현하기 위해서, 비교적 적은 수의 마스크를 사용하면서 효율적으로 잡음제거 및 세선화를 수행할 수 있고, 병렬 처리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칩을 설계하였다. 칩 설계시 VHDL로 모델링을 하였고, 이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 후 FPGA 라이브러리를 써서 논리합성율하고, FPGA로 칩을 제작하였다.

      • 13-14세기 원(元) 공예에 나타나는 원형당초문(圓形唐草紋)의 연원과 성격 : 도자, 금속, 직물공예를 중심으로

        김세린 ( Serine Kim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당초는 본래 唐風 또는 異國風의 넝쿨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당초문의 구성 및 장식요소는 문화권 및 민족에 따라 각기 다른 조형양식의 특질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다. 중국 漢 代에 인도를 거쳐 본격적으로 중국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당초문은 꽃과 열매, 인물 등 다양한 문양소재와 결합하여 지속적으로 장식문양 가운데 하나로 전통을 이어 나갔다. 당초문은 다른 문양소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공간 장식의 효율성이 높다. 또, 중심문양이나 함께 구성하는 문양소재를 부각시킨다. 본 논문은 당초문의 한 유형이자 元代 성행한 원형당초문에 대해 유입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元 공예품에 나타나는 원형당초문의 양상과 성격을 분석했다. 원의 원형당초문은 이전 왕조인 宋과도 유사성이 발견되었지만, 오히려 북방계열인 遼와 특히 西夏와의 관계는 밀접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다른 나라와의 작용을 통해서 외래적 요소가 가미되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대 원형당초문은 금속, 도자, 직물 등 元 전반의 공예품에 두루 사용된 문양으로 공예품의 재료와 기법에 따라 세부적인 조형의 차이는 확인되지만 여러 유형으로 적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원의 원형당초문은 교류를 바탕으로 한 영향관계에 기인한 발전과 자체적인 전통을 바탕으로 공예품에 선택 적용한 양상이 공존했다. 아울러 高麗와의 영향관계를 통한 유사한 양상을 보이면서도, 차별화된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영향관계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원-고려와의 관계는 물론, 아직까지 정치 및 문화적 관계에 대한 실체가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은 서하와의 관계에 대한 상세한 고찰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Dangchao, the rinceaux, originally means Tang or exotic vines. The composition and decorative elements of the vine pattern are distin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style formed by culture and ethnicity. The rinceaux,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to China in earnest through India during the Han Dynasty, continued its tradition as one of the decorative designs by combin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flowers, fruits, and figures. The rinceaux is useful to combine with other patterns and is efficient in space decoration. It also highlights the central pattern or the material of the pattern that is made up with it. This paper studied the inflow process of the circular rinceaux which were prevalent in the Yuan Dynasty. prevalent during the Yuan Dynasty. Based on this, I analyzed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r rinceaux that appeared in the Yuan dynasty craft. The circular rinceau of the Yuan dynasty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e Song Dynasty.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Yo and the Western Xia Dynasty was clos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foreign elements were added through its actions with other countries. The rinceaux in the Yuan Dynasty is a pattern used in various craftworks including metal, ceramics, and textiles. Differences in detailed formations according to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craftwork were identifi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pplied in different types. The round vine pattern with round stem co-existed in terms of application to craftworks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tradition of its own due to the influence relationship based on exchange. In addition, it showed a similar, but different pattern through its influence with Goryeo Dynasty. In order to clarify these relations, we need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Yuan and Goryeo Dynas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Xia Dynasty where the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 has yet to be clearly identified.

      • KCI등재
      • KCI등재

        남송대 戧金技法의 전개와 繪畵風 文樣의 성격

        김세린(Kim, Serine) 한국미술연구소 2015 美術史論壇 Vol.- No.41

        The goal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effort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Qiangjin(戧金) technique,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1127-1279), by focusing on its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genre of painting. As for the development of the Qiangjin technique, the paper could acquire comprehensive information through the historical records such as History of Song (宋史), The Eastern Capital: A Dream of Splendor(東京夢華錄) as well as remaining artifacts. The paper then focused on the main production sites and groups of artisans devoted to the technique by analyzing the inscriptions on the Qiangjin lacquerware excavated at the Southern Song Tomb 4 in Wujin Prefecture, Jiansu Province, and those on the undecorated lacquerware produced in both Northern and Southern Song. The discussion was then turned to analyzing the government-sponsored factories of the period and then to a conclusion that the Qiangjin technique used by the imperial cour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government agencies in charge of paintings and ceremonies such as Crafts Institute(文思院) and Imperial Painting Academy(翰林圖畫院). The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arts and crafts in Southern Song allowed court painters direct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decorative designs for the artifacts, bringing the lacquerware decorations based on the Qiangjin technique to a direct influence from the landscapes, paintings focused on famous historic events and figures, and literati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The Southern Song’s craft production system was transferred to the Yuan imperial. At the same time, this paper is also expected to play a role i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Korean art historians to the Qiangjin technique and other decorative inlaying techniques.

      • KCI등재
      • KCI등재

        원대 관수용 철제공예품의 제작체제와 빈철鑌鐵 -대도와 상도를 중심으로-

        김세린 ( Kim Serine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38 No.0

        본 논문은 원의 두 수도였던 대도와 상도의 관수용 철제공예품에 대해 제작과 교류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원대 철제공예품은 원의 제국 확장과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물질문화의 교류와 제작시스템이 반영되어 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13-14세기 원의 관영수공업 조직 내에서 대도와 상도에서 사용하기 위한 철제공예품을 제작했던 관청, 장인, 보관과 수급 체제를 분석해 그들의 관수용 철제공예품의 제작 및 관리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 중앙 관청의 철 관련 관청 중 별도의 관사가 설치되었던 빈철鑌鐵에 주목하였다. 빈철은 서아시아와의 대외교류를 통해 중국에 유입된 검은 착색철로 당시의 물질 교류와 정착을 살펴보는 주요 단서가 되었다. 원의 두 수도였던 대도와 상도의 관영수공업은 원의 확장과 정착과정에서 여러 문화권에서 유입된 물질문화를 그들의 방식으로 제작, 소비해 정착시키는 과정이었다. 중원에서 원의 패권이 다른 왕조에 비해 오래가지 않아 그들이 만들어간 체제는 오래 존속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미 사회에 물질과 기술이 확산되어 이후 중국, 한국, 일본까지 영향을 미쳤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원의 철제공예품 제작 기술과 재료 역시 마찬가지였다. 특히 서역에서 온 빈철은 중국 내에서도 착색을 해 유사한 색과 물성을 내 소비했고, 조선은 검은색에 가깝게 착색한 철로 기물을 만들고 쪼음 입사와 같은 기법으로 문양을 표현했다. 서역에서 온 빈철을 가장 질 좋은 것으로 여겨 꾸준히 수입하고 국내 소비량을 충족하기 위해 흑색을 입히는 행위를 병행하다 점차 기술이 토착화 된 이러한 모습은 확장과 교류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물질문화의 전이와 정착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xchange of material cultu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in the government handicraft industry of Dadu and Shangdu, the two capitals of the Yuan Dynasty. To this end, we analyzed the government offices, craftsmen, and distribution systems for the production system of iron crafts operated in Dadu and Shangdu by the government crafts organization of the Yuan Dynasty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nd examined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ir craftsmanship. In addition, among the iron-related government offices within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 separate government office was established to focus on colored iron, and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colored iron crafts produced at the time as well as external exchange relationships were analyzed. The government-run craft industry system of Dadu and Shangdu, the two capitals of the Yuan Dynasty, was a process of producing, consuming and settling material culture brought in from various cultural spheres in the process of expansion and settlement of the Yuan Dynasty in their own way. Since the Yuan Dynasty did not last long compared to other dynasties, the system was not maintained for long. However, it is true that material culture and technology have already spread throughout society and later influenced China, Korea, and Japan. The same was true for Won's iron craft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In particular, colored iron from West Asia was produced and consumed in China with similar colors and properties, and Joseon made objects using iron colored close to black and expressed patterns through inlay. This is a phenomenon in which consumption and technology become indigenous through the process of exchange, and can be said to be a natural result of the process of transfer and settlement of materi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