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小杉未醒「韓の老臣に代って舊王城に懐古の情を賦す」についての考察

        김선기(金仙奇, Kim,Sun-Gi)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7 No.-

        本稿は、陣中詩篇の発掘者の西田勝の短い言及以後長い間埋もれていた小杉未醒の「韓の老臣に代って舊王城に懐古の情を賦す」についての総体的で深層的な分析を試みることによって、この詩篇に表れた未醒の深みのある朝鮮体験と朝鮮認識の内容とともにこの詩篇の文学的意義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研究の主要結果は次のようである。第一、未醒の朝鮮認識の深化過程は彼の画報通信員体験を通して可能であったし、「韓の老臣に代って舊王城に懐古の情を賦す」はこのように日露戦争期の朝鮮に対しての未醒の深みのある理解を基にして誕生した。第二、未醒はこの詩篇の詩的語り手を朝鮮の一人の老臣に設定することによって、朝鮮においての日露戦争の意味を朝鮮人の視角で省察した。この点は時の朝鮮を見つめる未醒だけの独特な視角と態度を反映するもので、文学史的にも意味ある事として評価される。第三、この詩篇は政治的な主題を主な内容で扱いながらも芸術性の高い詩的表現を通じて作品の芸術的な面においても注目すべき成就を遂げた。最後に以上の点などを纏めてみると、この詩篇は未醒の多様な朝鮮体験と深みのある朝鮮認識が彼の文学精神に溶け込んで誕生した小杉未醒文学の代表作の一つとして評価される。

      • KCI등재

        스마트스피커의 IoT기기 결합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김선기(Kim Sun Gi)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31 No.3

        현대 사회는 고도로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지배받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은 다양한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 경제적 가치는 인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직접 생산하는 것 뿐 아니라 기계적으로 수집·축적·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에 대한 정보는 궁극적으로 개인의 인격과 사생활에 관한 정보이고 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해 개인정보를 활용하면서 우리의 삶의 편리는 상당부분 높아졌다. 이러한 편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개인정보를 활용하면 할수록 인격권의 침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침해된 인격권을 보장하기 위해 프라이버시권 그리고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등의 권리가 생성되어왔다. 한편, 정보통신사회에서 다시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발전으로 이른바 4차산업혁명시대로 전환되고 있는 현재 이러한 기기들에 의한 사생활 침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침해가 예상되고 있다. 그동안의; 개인정보가 사람이 직접 생산한 정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면, 앞으로는 각종 센서에 의한 자동화되고 개별화된 기기들에 의해 수집되고 이를 메인시스템에서 활용하여 다시 말단으로 이동하는 시스템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격권으로부터 출발한 프라이버시권이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큰 효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기들과 비인격적으로 수집되는 상황에서 각각의 상황에 대한 모든 개인정보활용 동의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에 맞는 새로운 방식의 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규제가 국내적으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국적 기업에 의해 발생될 여지가 높은 만큼 국제적으로도 일정한 수준 이상의 규제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목적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도 기술의 발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4차산업혁명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다. 이 4차산업혁명시대에 인간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의 발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술의 발전이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도가 기술발전에 걸림돌이 되어서도 안되는 것이다. 프라이버시 보호의 정당성과 함께 이를 보호하면서도 기술발전을 방해하지 않을 제도적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프라이버시 중심 설곈, 프라이버시 증강기술, 개인정보 비식별화가 어떻게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을지 가늠해 보고, 이들의 한계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자율적 방법이 프라이버시를 완벽히 보호할 수는 없다는 점을 다시 생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제도를 발견해 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함께 해본다. Modern society is dominated by highly develop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igitizes various information and shares it through a network. These data are being leveraged to create economic value. This economic value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about human beings, which is not only produced directly, but also collected, accumulated, and utilized mechanically. Such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is ultimately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personalities and privacy, and our convenience in life has increased considerably, using personal information to create economic value. The mor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is used to enhance this convenience, the more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occurs. As a result, rights such as privacy rights and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have been created to guarantee the infringed personality rights. Meanwhile, privacy violations by these devices are occurring and more are expected in the future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is shifting back to the era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duced by people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the information produced by people, it will be converted into a system that is collected by automated and individualized devices by various sensors and used in the main system to move it back to the terminal. In this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ight to privacy or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right to personality will be difficult to exert. It is impossible for all personal information to be agreed on in each situation in a complex and diverse array of devices and impersonally collected. Therefore, a new way of regulation is needed. In addition,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regulation is needed internationally, as there is much room for such regulations to be generated by multinational companies, not just domestic ones.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keep personal privacy and not hind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ready an irresistible trend. In this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s necessary for human convenience. Therefore, the system should not be an obstacl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le prevent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from infringing on privacy. Along with the legitimacy of privacy protection, we have sought institutionalways not to hinder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le protecting it. We measuredhow privacy-oriented design, privacy enhancement technology, and personalinformation non-identification can protect privacy and presented their limitationstogether. While rethinking that this autonomous method cannot completelyprotect privacy, on the other hand, I hope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technology will discover devices or systems that can protect privacy.

      • KCI등재

        小杉未醒の日露戦争体験と「帰れ弟」論

        金仙奇(Kim, Sun-Gi)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7

        「Kaere ototo」 is the work of Kosugi Misei where the sense of anti-war internalized in himself while experiencing Russian-Japanese war burst out in a clear and fierce tone for the first time to be a representative work of 「Jinchushihen」. The work has also been known as one of the major anti-war poems during the Russina-Japanese war period along with 「Kimi sini tamau koto nakare」 by Yosano Akiko. However, still it is rare to find academic research on the work from detailed and general perspective.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background of 「Kaere ototo」 based on the analysis of journals, illustrations and psalters exhibiting Kosugi Misei’s Russina-Japanese war experience. Next, 「Kaere ototo」 was examined for it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as an anti-war poem with the focus on the sense of anti-war, artistic figuration, attitude of a poetic narrator, etc. appearing in the poem. Subsequently, the work was analyzed from the comparison analysis perspective with Yosano Akiko’s 「Kimi sini tamau koto nakare」 and Nakazato Kaizan’s 「Rantyogekiin」 to highlight the stance of 「Kaere ototo」 as an anti-war poem.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isei, during the initial Russian-Japanese war period, internalized critical reflection on war by witnessing the reality of war while following the army up to Pyeongyang.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gaining a deep understanding of how the soldiers in the battle fields felt and identifying his own fate with those of young soldiers in similar ages to him, Misei accumulated opposition and criticism against the violence and brutality of war and these were burst into poetic dictions in 「Kaere ototo」. Second, the sense of anti-war in 「Kaere ototo」 is expressed in clear and firm patterns as shown in strong commands such as ‘Throw away the sword at your side quick.’, and ‘come back’ to your hometown. Third, 「Kaere ototo」, while displaying a strong sense of anti-war, also shows the outstanding image of ‘evening bird’ symbolizing peace and compares young soldiers to jade bowls to be deemed successful in artistic figuration rarely as an anti-war poem. Forth, 「Kaere ototo」 is viewed as one of the major anti-war poems during the Russian-Japanese war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aspects; the work was created from Kosugi Misei’s firsthand experience of Russian-Japanese war, has the remarkable depth of critical reflection and internalization on war based on the poetic narrator’s firm sense of anti-war, and is successful in artistic figuration of the strong anti-war sense implied in itself.

      • KCI등재

        인권보장기구로서 국가인권위원회의 성격과 독립성 확보방안

        김선기 ( Kim Sun-gi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5 No.4

        국가인권기구는 전통적 국가 권력이 인권을 침해하는 상황에 대한 반성적 의미로 태어났으며 국제적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인권을 보장하여 시민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존재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면 다시 국가권력의 인권침탈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피해는 국민들이 감당하여야 한다. 우리 국가인권위원회가 전통적 통치기구가 보호하지 못하는 영역에 작용하는 국가기구로서 인권감수성향상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 그리고 의식하지 못했던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한 규제 등 많은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의 활동이 정치적 상황에 따라 그 부침이 나타났다. 권력기관을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국가인권위원회가 정부의 눈치를 살피는 시간이 나타났다. 이러한 부침에는 국가인권위원회 대내외적 원인이 있는 바 이는 제도적 미비로 국가인권위원회가 그 독립성을 보장받지 못한데 그 원인이 있다 하겠다. 국가인권위원회의 존재에 관하여 법적 근거에 관계없이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는 정치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고, 현실에 안주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상황은 오히려 국가인권위원회의 존립가치를 부정당할 상황이 초래할 수 도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전통적 국가기관과 조화 속에서 인권관련 업무와 인권보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인권보호에 실질적으로 책임을 부담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되어야 하며 이러한 차원에서 통제 및 책임정치의 원리를 강화하는 장치 또한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제도 개선을 통하여 인권감수성이 높은 시민사회의 참여를 유도하고 비판 감시하게 하는 역할을 맡기는 정책적 결단이 필요하다.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are born in a reflective sense of the situation where public power infringes on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proliferation is taking place. Through this, we want to guarantee the Human Rights and the maximum freedom of citizens. However, if the value of existence is lost, the Human Rights abduction of the public power can be done again and this damage should be done by the people. It is true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Human Rights susceptibility, protection of the socially weak, and regulating the unconscious human rights violations as a national organization that acts in areas that traditional ruling organizations can not protect. However,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ppear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There was a time whe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which should be in charge of monitoring the authorities, looked into the government's attention. There is an internal and external cause of this ups and down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which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is not guaranteed its independence due to the institutional inadequacy. Regardless of the legal basis for the existenc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nssion of Korea, it can not escape the influence of politics in the present situation and can only settle down in reality. This situation may lead to situations that would undermine the valu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 Argument should be hel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authority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o bear actual responsibility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so as to contribute to human rights related work and Human Rights in harmony with traditional national institutions. At this level, there will also be a need for mechanisms to strengthen the principles of control and account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decision to lead the participation of civic society that is highly sensitive to human rights and to play a role of monitoring criticism through such institutional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젊은 문화연구(자)’는 어디로 향하는가

        김선기(Sun-Gi Kim),김지수(Ji Su Kim)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1

        우리는 ‘젊은 문화연구(자)’라는 모호한 기표에 관해 문화연구 영역의 젊은 주체들이 어떠한 생각을 집합적으로 구성해가고 있는지 대략적으로나마 알아보고자, 간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전공과 연령대의 응답자 31명이 주관식 단답형 위주로 설계된 설문지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대학 내 제도의 한계로부터 경험한 결핍을 대학과 기성 제도 바깥의 학술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일부 해소하며‘문화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편 문화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전망에 있어, 응답자들은 문화연구 정치성에 대한 재인식과 아카데미 중심주의 극복 및 분과학문 중심성을 넘어선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수요를 제시했다. 응답자들의 고민은 2018년 문화연구캠프를 통해 제기 된 문화연구의 미래에 관한 질문과 궤를 같이한다. 문화연구자로서의 정체성과 존재 조건을 둘러싼 질문에 대한 반복적인 고민과 실천은, 어쩌면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유일한 대안일 수 있다. We conducted a brief survey to find out what kind of thoughts collectively constructed on the ambiguous signifier of ‘young cultural studies’. Thirty-one participants of various majors and age group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y experienced a deficiency from the limitations of the university, and they partially resolved this by participating in academic activities outside the university, forming their identity as cultural studies researchers. Regarding th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the respondents presented various opinions including the re-recognition of cultural politics, overcoming academy-centrism and discipline-centricity. Repeated thinking and practice of identity and conditions of existence may be the only alternative for the renewal of cultural studies.

      • KCI등재

        백제 가람의 삼단계 위계를 갖는 가구식기단 연구

        김선기(Kim, Sun-Gi) 한국고대학회 2011 先史와 古代 Vol.34 No.-

        백제시대 건물의 기단 중 가구식기단은 가장 발달된 형식으로 최고의 건축미를 보이는데 주로 사찰에서만 확인된다. 가구식기단은 불의 공간인 탑과 금당, 승의 공간인 강당, 생활공간인 중문ㆍ회랑ㆍ승방이라고 하는 위계에 따라 이중기단, 단층기단, 간략기단으로 조성된다. 가구식기단이 처음 나타나는 곳은 능산리사지인데 목탑지와 금당지에서만 이중기단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왕흥사지에서는 강당지에서 단층기단의 예가 보이나 아직까지 가구식기단으로만 만들어진 삼단계 위계를 갖는 기단구조는 출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부여 금강사지 강당지나 익산 연동리사지 금당지에서 간략기단이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보아 600년 경에는 삼단계 위계질서를 갖는 기단구조가 성립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대관사지의 금당지ㆍ강당지 및 동쪽에 위치한 건물지 일부에서 나타나는 기단구조는 삼단계 위계를 보이고, 이후 제석사와 미륵사가 창건되면서 회랑 내곽에 가장 완벽한 삼단계 위계의 가구식기단 의장구조가 완성된다. 즉, 능산리사지-왕흥사지-대관사지-제석사지-미륵사지 순서로 왕실 건립의 사찰이 완성 되어가면서 가구식기단구조는 발전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익산 단계에 들어와서는 우주의 설치나 계단석의 구조 등 가구식기단의 가장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끊임없이 새로움을 추구하는 백제인의 창의성을 엿볼 수 있다. The foundation made of processed subsidiary materials which was found mostly at temples only was one of the most highly developed forms of technology employed for building works in Baekje era with its uppermost beautiful aspect of architecture. It was usually built in the form of double, single and abridged ones in line with the order of ranks from the pagoda and main building of a temple, as space for Buddha, to the lecture hall, as space for Buddhist priests, and to the middle gate, corridor and Buddhist nunnery, as space for living quarters of monks. Such foundation appeared first from the site of Neungsan-ri Temple, as its double form was used only at the sites of the main pagoda and building. Subsequently, an example of single-layer foundation was found at the site of the lecture hall of Wangheung Temple while not a 3-layer-rank structure of the foundation made exclusively of processed subsidiary materials has yet been seemingly excavated there so far. Since, however, some usage of the abridged form was confirmed from excavation at the sites of the lecture hall in Geumgang Temple and the main building at the temple site in Yeondong-ri, Iksan-si, it is believed that 3-layer structure of foundation was fully established starting already around 600 AD. As evidences for this, signs of 3-layer structures were shown at the site for the main building and lecture hall of Daegwan Temple and in some part of building sites to its eastern side. The perfect 3-layer decorative structure of the foundation made of processed subsidiary materials could be found along the internal edge of the corridor built later at the inauguration of Jeseok and Mireuk Temples. In other word, it may be said that the structure of the foundation made of processed subsidiary materials developed progressively in parallel with completion of royal-run Buddhist temples that were finished in order of Neungsan-ri, Wangheung, Daegwan, Jeseok and Mireuk Temples as shown in their sites,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Iksan, the perfect form of such foundation could be found in terms of installation of column-shaped subsidiary materials at both sides of foundation or stones used for stairs, witnessing creative spirit of the people in the era of Baekje Kingdom who did not stop pursuing something new for perfec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고스기 미세이「촉루탑의 필자」론

        김선기 ( Sun-gi Ki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5 No.2

        「촉루탑의 필자」는 러일전쟁 체험을 통해 형성된 고스기 미세이의 반전의식이 반전예술과 반전예술가에 대한 깊은 성찰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시편이다. 본고는, 미세이의 본격적인 반전예술 전개의 중요한 출발점일 뿐만아니라, 시와 그림을 넘나드는 미세이의 반전예술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이지만, 지금껏 학술적으로 논의되지 못한 「촉루탑의 필자」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이 시편의 탄생 배경과, 시편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반전의식과 태도,반전문학으로서의 의의를 조명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촉루탑의 필자」는, 「돌아가라 동생이여」에서 처음으로 명확하게 나타난 미세이의 반전의식이, 러시아의 반전화가 베레시차긴의 죽음을 계기로, 반전예술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전예술가로서의 소명의식으로 심화된 양상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둘째, 「촉루탑의 필자」는 전쟁에 대항하는 반전예술의 의미와 비판적 힘을 시어로 형상화하고, 전쟁과싸우는 예술가의 이미지를 부각함으로써 반전시의 새로운 영역을 보여주었다. 전쟁에 대항하는 예술과 예술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전쟁을 성찰하고 이를 시어로 예술화한 점에서, 「촉루탑의 필자」는, 명치기 반전문학의 전개에 있어 독특한 위상을 갖는다. 셋째, 「촉루탑의 필자」에 담긴 반전의식과 시적 구성의 원리는 미세이의 대표적인 장편 연작시 「전쟁의 죄」 탄생의 중요한 시적 토대가 된다. 또한 「촉루탑의 필자」에 나타난 반전예술의 원리와 인류애에 입각한 반전예술사상은, 전쟁의 참혹함과 고통을 화폭에 담은 미세이의 반전화 「전후」나 「포로와 그 형」으로 이어진다. 「Dokuroto no hissya 」is the poem that showing a tendency that Kosugi Misei``s anti-war thinking which formed through the Japanese- Russian War Experience, develop into a deeper reflection on the anti-war art and anti-war artist. This paper, a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Misei``s authentic deployment of anti-war art, also the work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tivities of misei``s anti-war art activity that cross the poetry and the picture. Though, it did not ever discuss academically. So I analyzed 「Dokuroto no hissya 」intensively, cast light on the birth background of the poem, the anti-war thinking and attiude of the poetic narrator appears at poem, and significance as anti-war work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kuroto no hissya 」is the work that, Misei``s anti-war thinking that clearly indicated in the 「Kaere ototo」, for the first time, triggered by the death of Vereshchagin, Russia``s anti-war painter, symbolizes the aspect that deepened through the deep reflection about anti-war art and vocation as an anti-war artist. Second, 「Dokuroto no hissya 」, embodied the meaning of the anti-war art which against war, and critical power to poetic diction, also, by highlighting the image of an artist fighting the war, showed new area of the anti-war poem. Focusing on the problem of art and artists that against the war, in that, embodied it to poetic diction,「Dokuroto no hissya 」has a unique phase in the depolyment of MEIJI anti-war literature. Third, anti-war thinking and the principles of poetic configuration in 「Dokuroto no hissya 」, became important poetic foundations of the birth of 「Ikusa no tsumi」, Misei``s typical feature-length series poetry. Also, principle of anti-war art and anti-war art ideology based on humanity appeared at 「Dokuroto no hissya 」, carried over to Misei``s anti-war drawing 「Sengo」, 「Horyo to sonoani」 which containing the cruelty and suffering of war on canva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