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 기법을 활용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병만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to identify importance and prior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participating in the AHP method comprised 20 panelists and the research tool consisted of the relative importance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2017b). The Parents'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Scale consisted of 4 evaluation categories, 8 evaluation criteria, and 24 evaluation indicator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Expert Choice 11.5 program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AHP technique to analyze relative importance. It was shown that the evaluation category had weight in the order of collinearity, democracy, correspondence, and effectiveness. In the evaluation criteria, there was a high degree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in the order of public interest, true women, and timeliness. In the case of evaluation index, the degree to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benefits all the people, the degree to which parents participate democratically in the formul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 curren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ndicators belonging to the evaluation category of collectivism, democracy, and responsiveness are highly important in evaluat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as a sign that it is suggested that these evaluation categories are considered more carefully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전문가 패널 20인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도구는 김병만(2017)이 개발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상대적 중요도 조사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는 평가범주 4개, 평가준거 8개, 평가지표 24개로 구성되었으며,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AHP 기법의 절차에 따라 Expert Choice 11.5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평가범주는 ‘공선성’, ‘민주성’, ‘대응성’, ‘효과성’의 순으로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준거는 ‘공익성’, ‘참여성’, ‘적시성’의 순으로 높은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지표의 경우 ‘유아교육정책이 국민 전체에게 이익을 주는 정도’, ‘유아교육정책 입안 시 학부모가 민주적으로 참여하는 정도’, ‘유아교육정책이 현재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실현가능한 정도’의 순으로 높은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정책을 평가함에 있어 공선성, 민주성, 대응성의 평가범주에 속하는 평가준거와 평가지표의 중요성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후 유아교육정책을 개발함에 있어 이들 영역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요구 분석-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김병만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정책·평가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의 프레임 구성을 위하여 개방형, 폐쇄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를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내용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평가범주와 평가준거 기준을 선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선행연구를 수렴한 결과, 김병만(2014), 강영욱(2004), 정강희(2003) 기준의 순으로 높은 요구도가 도출되었고, Suchman(1967), Nakamura & Smallwood(1980), Dunn(1981), 정일환(2000) 및 김종철(1996)의 연구에 대한 요구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가 범주와 평가 준거의 중요도 및 필요도에 대한 요구도는 공공성, 실현가능성, 공익성, 민주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방향 및 기타 의견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한 결과, 평가의 범주, 준거, 요소는 철학적, 논리적, 이론적 용어로 정리하되, 학부모들이 직접 평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쉬운 용어로 풀어서 제시하도록 요구하였고, 가능한 최소의 문항에 핵심 내용을 포함한 콘텐츠 구성 등의 요구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부모를 유아교육정책의 수혜자로 규정하여 대상화, 타자화 시키는 현실에서 벗어나 이들이 정책 수립과 실행 및 평가의 주체로 위치함에 당위성을 확보하였고, 이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비판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 탐색

        김병만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5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based on the neo-liberal critical theory. Literature relat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was reviewed, so as to determine the correct direction of the scale’s development.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ing the identification of eight experts. A SWOT analysis and a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opinions expressed by the experts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regard to the correct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the SWOT analysis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four categories, namely,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When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formulat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the following four strategies were suggested: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developing a well-grounded scale, adopting new theoretical perspectives,” “addressing the needs of different members,” and “developing a sustainable, realistic, and effective scale.”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비판이론에 기초하여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고찰한 후,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도출된 전문가들의 의견은 SWOT 분석법과 내용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SWOT 분석법을 통해 분석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 방향 내용은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의 4가지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내용 분석을 통해 ‘시대적 당위성을 반영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새로운 관점에 근거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구성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지속가능하고 현실적이며 실효성 있는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의 개발 방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김병만,김미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humor skills, empathy skills,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are social interaction skills, on the happiness of the teacher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boost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hree factor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selected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at were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and a province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ook an above-average positive view of their own social interaction abilities and happine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compliant humor and empathy skills, and compliant humor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Moreover, the empathy skill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happiness, and the form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tt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ocial interaction skills of the teachers on their happiness, empathy skills wer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communicative competency, and a sense of humor. In conclusion, the humor, empathy skills,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be regarded as the major variables for predicting their happines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인 유머능력,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세 가지 변인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B시와 K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300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에 대한인식은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순응적 유머의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유머능력,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아교사가 더 많은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유머능력을 가질수록 교사의 행복감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영유아 자녀양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버지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병만,김정주,김미진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the living story about father’s happiness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ather's happiness in parenting process. For this study, we selected 5 fathers who have early children and participate in caring them actively as research participants. We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through a total of 12 discussions and journals from June to October 2016. The result of the inquiry is that the happiness of fathers who are in a course of caring early children represents ‘father’s happy relationship: extension and deepening of human relationship’, ‘father’s happy rewarding: growth and flow’, ‘father’s happy healing: re-examination of life and change of valu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e happiness of fathers who are in a course of caring early children and the importance and implications of active involvement of fathers in the care of early children were derived.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버지의 행복감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그들의 행복감에 관한 살아 있는 이야기를 듣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를 두고 있으며, 자녀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버지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12회기에 걸친 대화모임과 저널을 통해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대화모임과 저널에서 수집한 내러티브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 자녀양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버지들의 행복감은 ‘아버지의 행복한 관계 맺음: 확장과 심화된 인간관계를 통한 행복’, ‘아버지의 행복한 보람: 아버지와 자녀의 성장과 몰입을 통한 행복’, ‘아버지의 행복한 변화: 삶의 재조명과 가치관 변화를 통한 행복’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영유아 자녀양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버지들의 행복감을 확인하였고, 영유아 자녀양육 과정에 아버지의 적극적인 참여에 대한 중요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교육과 문화』 연구동향 분석

        김병만,이강훈,윤정진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2 교육과 문화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 문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교육과 문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5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출판시기, 연구대상, 학문분야, 연구유형,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를 바탕으로 1-mode 데이터셋을 작성하고, 전체 및 연도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별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학문분야별로는 교육학이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별로는 실천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과 문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1기는 ‘다학문적 발현기’, 2기는 ‘다문화교육 및 보육정책에 대한 방향 설정기’, 3기는 ‘대학 교양교육의 다양화 및 유아교육정책에 대한 방향 설정기’, 4기는 ‘대학교육 및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 확장기’, 5기는 ‘빅데이터 연구 태동기’로 1기에서 5기로 연구의 흐름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문화』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성과 시기별 연구동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교육과 문화』 학술지의 발전을 위한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