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上海와 한국 근대문학의 횡단 (1) - 상해의 조선인들과 ‘황포탄(黃浦灘)의 감각’

        김미지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8 No.-

        상해는 한국 근현대사에서뿐만 아니라 한국 문학사에서도 의미 있는 도시이다. 식민지 시기 독립 운동가들과 유학생들을 비롯해 수많은 조선인들이 그곳을 거쳐 가거나 체류했는데, 상해를 한국 문학사의 한 공간으로서 들여다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본고는 ‘황포강과 황포탄’이라는 상해의 특수 공간에 주목하였다. 이는 황포탄이 조계지 문화의 시작이자 첨병으로서 온갖 종류의 교류와 소통 그리고 갈등과 충돌의 현장이었다는 점, 동시대 상해 무대 소설들에서 주요한 감각적 포착 및 비판적 묘사의 대상이 되어 왔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로 상해를 배경으로 쓰인 또는 상해에 체류했던 이들의 글에서 황포탄에 대한 묘사나 그와 관련한언어적 수사들을 흔히 엿볼 수 있는데, 이는 상해 도시 문화의 흥망 및 변화와 일정 정도 궤를같이 하면서 나름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1920년대는 주로 망국민의 애환이나 감상주의가황포탄을 매개로 표현되었고, 1930년대 초에는 ‘魔都’ 상해와 황포탄 일대 자본주의의 악마성그리고 계급, 인종의 갈등이 조선인 서술자나 화자를 통해 폭로되거나 전달되었다. 한편 1930 년대 말 중일전쟁 이후에는 귀국자들의 상해 체류 경험담 안에서 황포탄이 주요한 회고의 장치로서 소환되기 시작하면서 당대에 노스탤지어를 소비하던 문화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Shanghai is very important place in Korean modern history. Including lots of political exiles and students, many Koreans moved to the international city Shanghai about the time of Japanese colonization. In order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of Korean’s Shanghai experience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s Korean writers’ literary works and articles in that days and focuses their writings about Shanghai especially which refer to the “Huangpu-tan(Shanghai bund)”. The reason this study pay attention to the expression and description of “Huangpu-tan” is that the bund is very important site in Shanghai in which imperial powers built their copies from 1840’s. The majority of Korean refugees lived in the French concession, but they kept coming and going and had a rest in the bund area. In the 1920’s Korean exiles expressed their frustration or hope for their future in front of Huangpu river. In the early 1930’s Koreans described the ugly face of the ‘devil’s city’(魔都) and conflicts between classes, races, nations. And in the late 1930’s, after the war of China and Japan(1937), many returnees wrote their youthful days in Shanghai with the memories of “Huangpu-tan”.

      • KCI등재

        1936년과 2013년의 거리, 『천변풍경』읽기의 방법론과 쟁점들

        김미지 구보학회 2013 구보학보 Vol.9 No.-

        『천변풍경』은 작품이 처음 발표된 1936년 당대에 이미 많은 비평가들의 주목을 받으며 논란의 대상이 되어 온 박태원의 문제작이다. 본고는 이 작품에 대한 현재까지의 다양한 논의들을 총괄하여 검토하고 그 쟁점과 갈래들을 살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작품은 당대에 이미‘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이라는 기존 논의의 패러다임으로 간단히 설명할수 없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논자에 따라 리얼리즘의 확대(최재서)로 의미부여 되는가 하면 리얼리즘 미달(카프 비평가들) 혹은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어중간한 형태(임화)로 평가되었던 것이다. 이후의 대다수의 논의들은 이러한 양립구도 하에 서 있는 이 작품의 문학적 성과를 재해석 재조명하는 데 바쳐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90년대 본격화된 박태원 및 『천변풍경』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양립구도를 부인하지 않되 그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고, 2000년대 이후의 연구들은 이러한 구도 자체를 부인하거나 삭제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특히 다양한 방법론을 도입하고 있는 최근의 분석들은 이 작품의 공간, 인물, 작가의식 등이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함의를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며 『천변풍경』의 문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는 작품론을 넘어 이 작품의 작가론적 함의와 문학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에까지 나아가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이 작품은 비교문학, 영화적 기법, 판본 비교 등 여러 갈래로 연구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고 있어서 이후의 성과가 주목된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and examine the achievements about Park, Tae-won’s Scenes From Chong-gye stream(천변풍경) from 1936 when the work first published to the presen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ork project, this paper examines almost all the papers about Scenes From Chong-gye stream and concerned papers which deals with this novel. Contemporary critics focused on the novel’s position and role in the conflict of realism and modernism at that time, and also discussed about it’s possibility of leading new trend which describe ‘present aspects’ of their contemporary life and world(the so-called novel of manners). After the preceding criticisms, huge amount of scholars after them have examined the methodology, style, thesis of Scenes From Chong-gye stream and made efforts to find out the essence of the work. Particularly papers which have been coming after the 2000’s studied it with various theories and method, therefore Scenes From Chong-gye stream earned high valuation and appreciation. Hereafter it is expected to bring forth new evaluation of its position i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and Park, Tae-won’s literary world.

      • 益黃散이 galactosamine으로 誘導한 肝中毒 흰쥐에 미치는 影響

        김미지,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6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5 No.-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MeoH extract of Ikhwangsan against galactosamime-induced hepatotoxicity. In the experiments, after treated with Ikhwangsan methanol extract to the rats for 15days and then induced hepatotoxicity with galactosamime for 2days. Then content of glutathione, level of lipid peroxide and activity of GOT·GPT in the hepatic tissue, activity of GOT·GPT·GTP·ALP and ratio albumin/globulin in serum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ed : 1. The content of hepatic glutathion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galactosamine. The test group which have been pre-treated by lkhwangsan was confirmed considerably increased. 2. The level of hepatic lipid peroxide was increased by galactosamine. The test group which have been pre-treated by lkhwangsan was confirmed considerably reduced. 3. The activity of GOT·GPT in the hepatic tissue was significantly constrained by galactosamine. The test group which have been pre-treated by lkhwangsan was confirmed considerably increased. 4. The activity of GOT·GPT in serum was increased by galactosamine. The test group which have been pre-treated by lkhwangsan was confirmed considerably reduced. 5. The activity of -GTP in serum was increased by galactosamine. The test group which have been pre-treated by lkhwangsan was reduced. 6. The activity of ALP in serum was increased by galactosamine. The test group which have been pre-treated by lkhwangsan was confirmed considerably reduced. 7. The ratio albumin/globulin in serum was reduced by galactosamine. The test group which have been pre-treated by lkhwangsan was increased.

      • KCI등재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Walking among Residents of Rural and Urban Communities

        김미지,성주현,박기수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22 Yonsei medical journal Vol.63 No.1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association between high temperature and walking among residents of rural and urban areas.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walking practice. The dependent variable was walking practice. Walking practice was considered if the participants walked for more than 30 minutes a day or more than 5 days a week.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C) for the preceding 7 days, calculated from the survey date of each participant.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to simultaneously consider the individual- and neighborhood-level variables that could affect deter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daily maximum temperatures and walking practice. Results: When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increased by 1°C, the odds ratio of walking practice decreased to 0.95 (95% confidence interval 0.94–0.97) in rural areas. In contrast, it decreased to 0.98 (95% confidence interval 0.97–1.00) in urban areas, considering both individual- and neighborhood-level factors. Individual- and neighborhood-level determinants of walking practice in rural areas, including educational attainment, marital status, driving a car,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meeting neighbors and friends, were confirme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ncreased temperature led to more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levels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Physical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to avoid heat are needed to maintain and promote physical activity, since temperatures can reduce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hot summer months.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 문학의 장에 나타난 ‘문호 백년제’ 기획에 대한 고찰

        김미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1

        Celebrating a centenary or hundredth anniversary is a familiar event in modern times but it has no more than one hundred years of history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beginning of the centennial celebration event (especially of modern writers) an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the ‘literary giant’ in the modern sense and in the form of a centenary.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word ‘literary giant 文豪’ was used only for western writers, especially of 19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y were regarded as the most proper role models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Therefore numerous names of western writers and news of their centenary appeared in modern Korean media in the 1920s. Around the 1930s, the centenary of a writer appeared as a kind of cultural project, as can be seen in the newspaper special issues for the centenaries of Tolstoy, Goethe etc. From the mid 1930s, a tendency of recall Korean traditional thinkers appeared, represented by the name ‘Joseonhak’ (朝鮮學). Scholars and the media started to commemorate the birthdays or death dates of intellectuals. Jung Yakyong (Dasan) was a typical example. Following the centenary of Dasan, the issue of recollec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features or ideas emerged. In what sense and context that the revival of tradition could be justified was a controversial issue. As a result, the project and experiment of the centenary was a process of sorts in which the idea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and tradition was questioned. 1백년을 단위로 하여 어떤 인물이나 특정한 사건을 기념하는 일 즉‘백주년 기념’이라는 형식은 한국에서는 100여 년 남짓의 역사를 가진그리 오래지 않은 일이다. 이 글은 미디어와 글쓰기 형식 그리고 문학의 근대적 전환 또는 재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주요하게 등장한 외래의 정보들 가운데서 백주년을 기념하는 ‘백년제’라는 형식에 주목하였다. 백주년 기념의 대상이 되는 것은 사건과 사물 그리고 인물 등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특히 위인이나 문인 등 인물의 생후 또는 사후백년을 기념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 글에서는 근대 인물 가운데 특히 서양의 작가들을 백년제라는 형식으로 소환해 온 양상을 검토하여 백년제가 이 땅에서 어떤 방식으로 수용, 변용되고 또 응용되면서우리의 근대문화로 정착되어갔는가를 추적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20세기 초의 시점에서 한 세기 전이라는 것은 19세기 초가 될 것인데, 동아시아에서 이 시대(18세기 말~19세기 초)는 서양의 근대 특히 프랑스혁명과 미국독립, 산업혁명 이후에 형성된 서양의 근대를 학습하는 핵심적인 통로이자 원천이었다. 또한 백년제라는 기념의 방식은 1930년대중반 우리 전통 인물을 근대적인 방식으로 호출하는 데에도 적용되어‘다산 백년제’와 같은 형태로도 나타났다. 20세기 초에 나타난 각종 ‘백년제’는 서양식의 근대라는 것을 학습하고 실험하는 과정이었을 뿐만아니라 전통과 근대 사이의 관계 설정, 전통 인물의 근대적 재해석 등의 질문을 제기하는 과정이기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월북문인 해금의 이면—‘불화’의 소멸 그 이후

        김미지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20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s of ‘the lifting of the publish ban’ on the writers who went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by focussing on two symbolic scenes before and after the lifting of the ban. In Korea after the Korean War, publishing and research on the works of writers(artists) who chose communist North Korea were strictly banned for several decades. Before the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lifting’ in July 7th 1988, a son of poet Jung Ji-yong appealed that his father did not voluntarily go to the North, that is, he was forcibly taken to there, therefore works of Jung Ji-yong should be(could be) released. This request lasted for several years but South Korean government based on the security police and military force didn’t accept it before the democratization of 1987. Inside of the police order which devide and exclude ‘the sensible’(Jacques Ranciere’s term), politics or strategy of ‘identification’ (voluntary/forcible moving to the North) was not efficient. On the other hand, after the lifting of the ban in 1988, the most important issue on publishing released works was copyright problem. The North Korean writer’s heirs who lived in South Korea earned and approved the status of copywriters. And in this aspect, a publisher, who had fought for long time against the police government by publishing ‘banned books’, instituted lawsuits against the government for its illegal confiscation and ban which it had committed before the lifting. The publisher lost lawsuits because he was not qualified as a copyrighter. But this judicial events evoked that discords among political subjects never finished after 1987-1988, and democracy after the democratization were always problematic in the police order. 이 글은 1988년 발표된 월북문인 해금이라는 사건의 ‘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쓰인 것으로, 1988년 7월 19일 이전과 이후 즉 월북작가와 그들의 작품이 공안 질서(사법, 제도) 바깥에 있었던 시절과 그들이 치안 질서의 내부로 들어온 이후에 벌어진 일을 두 개의 상징적인 장면으로 들여다보았다. 해금 이전, 한국의 공안 질서는 여느 치안의 질서와 마찬가지로 보고 듣고 말할 수 있는 것들을 끊임없이 분할하며 정체성을 규정하고 배제된 타자들을 만들어냈지만 ‘정체성의 정치’는 그 공안의 질서에 맞서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었음을 한 납북작가 아들의 절절한 호소가 보여준다. 정지용 아들이 ‘아버지는 월북이 아닌 납북’임을 확인받고 또 주장하며 해금을 요청했던 수 년 동안의 노력에도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던 공안 권력은 요지부동이었기 때문이다. 한편 해금 이전부터 끊임없이 공안 정치 세력과 싸웠던(불화했던) 한 출판사 대표는 사법체계 안으로 들어온 해금의 문제에 역시 이의를 제기하면서 불화가 끝난 시점에 다시 싸움을 시작했다. 월북작가 작품을 둘러싼 사법적 계쟁은 불온 문서를 출판했느냐, 이적표현물이냐의 범주가 더 이상 아니라 ‘저작권’ 문제로 전환되었고 남한의 유족들에 대한 저작권은 거의 전적으로 속속 인정되었다. 출판사 사계절이 출간한 『임꺽정』은 해금 이전에는 금지된 ‘불온문서’였고 해금 이후에는 저작권을 확보하지 않은 ‘해적판’이 되었다. 따라서 이 싸움은 어쩌면 당연히도 실패가 예정돼 있었던 매우 불리한 싸움이었다. 그러나 거듭된 재판과 항소, 기각, 패소의 과정에서 이 싸움은 사법적 계쟁의 한계와 불일치를 드러내며 새로운 불화의 장, 정치적 주체화의 가능성을 열어 보였기에 완전히 무의미한 도전은 아니었다. ‘해금’이라는 사건이 ‘문학사의 새 전기’임을 넘어서 진정 문제적인 것은 바로 민주화(합의민주주의) 이후의 민주주의, 불화의 소멸 이후의 민주주의를 사고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가능성의 계기를 열었다는 점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