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학업 상황에서의 대학생 자기통제 전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명섭(Myung-Seop Kim),황혜영(Hyeyoung Hwang),장유진(Yujin Chang)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학업 상황에서 유혹에 빠지지 않고 공부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자기통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 유형과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자기통제 전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학업 상황에서 사용되는 자기통제 전략 10가지 요인(상황선택・환경조정, 처벌, 보상, 사전약속, 주의전환, 인지변화, 수용, 신체적 각성, 행동억제, 우선 욕구 충족 후 학습)에 대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국내 대학생 6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차검증을 위해 설문응답 자료를 무선으로 나눈 뒤 절반(n = 311)에 대해 탐색적 요인을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절반(n = 328)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확인, 준거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별로 3개 문항씩 총 30개 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선별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척도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요인별 신뢰도가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준거 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대학생들은 학업 상황에서 자기통제 전략 사용 정도가 높을수록 기질적 자기통제와 학업적 자기통제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통제 실패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우선 욕구 충족 후 학습 전략과 수용 전략은 다른 전략들과 상반되는 관계를 나타냈으며, 보상 전략은 자기통제 실패와의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의 유형을 파악하고, 유혹을 효과적으로 이겨내기 위한 교육적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academic contexts, effective self-control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students to persist in their studies and avoid succumbing to distractions and temptation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control strategy scale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situations. A self-report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sisting of 10 self-control strategies used in academic contexts: situation selection and modification, punishment, reward, precommitment, distraction, cognitive change, acceptance, physiological arousal, behavioral inhibition, and studying after temporary desire satisfaction. After review by exper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639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o conduct cross-validation, the survey response data was split into halv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one half of the data (n = 31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riterion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other half of the data (n = 328). Based on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nal set of 30 items (three items per factor) was selected for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of the final scale mod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was consistently high.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with criterion variables showed that higher utilization of self-control strategies in academic situation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rait self-control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nd with lower levels of self-control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studying after temporary desire satisfaction strategy and the acceptance strategy showed contrasting relations with other strategies. The relation between the reward strategy and self-control failure was not significant. This newly developed scale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identifying the types of self-control strategies that college students use in academic contexts and in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overcome temptations.

      • KCI등재

        중등 과학 교사의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이 창의적 교수행동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명섭(Kim, Myung-Seop),민지연(Min, Ji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교사의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이 창의적 교수행동(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 과학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창의성 수준별(위대한 수준, 전문가 수준, 일상 수준)로 창의적 마인드셋을 비교하고,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이 창의적 교수행동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중등 과학 교사의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낮았고, 이어 전문가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상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높았다. 창의적 교수행동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 간 일부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과학 교사의 창의적 교수실천에 있어 창의성 마인드셋에 대한 고려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창의적 교수실천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creativity mindset by the level of creativity affects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Two hundred and twenty-nin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creativity mindset by the level of creativity and identify the effects of creativity mindset by the level of creativity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grea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was the lowest, and the layperson s level of creativ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xper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The grea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positively affected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In addition, som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mong creativity mindsets by the level of creativity emerged. These results showed that considering creativity mindset is essential for teachers creative educationa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teachers creative teaching practice was discussed.

      • KCI등재

        초등 예비 교사의 지능 변화 신념이 재능 판별에 미치는 영향

        김명섭(Myung-Seop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1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예비 교사들이 재능 판별 시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지, 또 지능에 대한 신념에 따라 재능 판별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지적 능력, 과제 집착력, 창의성 수준을 다르게 묘사한 가상적 아동 8명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각 아동을 영재교육 대상자로 추천할 의향이 얼마나 있는지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 교사들은 지적 능력, 과제 집착력, 창의성 모두 높은 학생을 영재로 추천하려는 경향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지적 능력, 과제 집착력, 창의성 중에는 과제 집착력, 창의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교사들의 재능 판별은 지능 변화 신념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지능에 대한 변화 신념이 낮은 예비 교사들의 경우 재능 판별에 있어 지적 능력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반면, 지능에 대한 변화 신념이 높은 예비 교사의 경우 지적 능력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고, 과제 집착력을 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대상 교육 시 교사들의 지능에 대한 신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히고, 이를 위한 교육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one-hundred and ninety-fiv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ing factors important for identifying children’s talents and to clarify whether these identifications varied according to beliefs about intelligenc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ight vignettes that described different levels of intellectual ability, task commitment, and creativity and were then asked to rate their willingness to recommend a child for gifted-education candidacy.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most likely to recommend students with high intellectual ability, task commitment, and creativity as talented students. Task commitment and creativity, however,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intellectual ability. Preservice teachers’ judgmen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ith their belief about intelligence. Preservice teachers who had a relatively lower incremental belief about intelligence considered intellectual ability to be more important in talent identification, while preservice teachers who had a relatively higher incremental belief about intelligence paid greater attention to task commitment than other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eachers’ beliefs about intelligence in teacher education for gifted/talented students as well as possible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 상황에서의 의지력에 대한 암묵적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명섭(Myung-Seop Kim),황혜영(Hyeyoung Hwang),장유진(Yujin Ch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3

        이 연구에서는 학업 상황에서의 의지력에 대한 암묵적 신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지력에 대한 암묵적 신념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업 상황에서 의지력 제한 및 비제한과 관련된 신념을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거친 후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최종 개발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 상황에서 의지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은 의지력 제한 신념과 의지력 비제한 신념으로 요인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 상황에서 의지력 제한 신념과 의지력 비제한 신념이 별개의 구인임을 의미한다. 개발된 의지력에 대한 암묵적 신념 척도의 준거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학업 상황에서 의지력에 대한 제한 신념과 비제한 신념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 기질적 자기통제와 구분되는 구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상황에서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학업 소진이 낮고 학업적 자기조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지력에 대한 제한 신념이 높을수록 학업 소진 중 정서적 고갈과 냉소성이 높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업 상황에서의 의지력에 대한 암묵적 신념 척도의 측정학적 쟁점 및 향후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implicit theories of willpower in academic contexts. Pilot items measuring both limited and non-limited theories of willpower in academic contex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implicit theory of willpower. After experts reviewed the instrument, the items were refined.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34 college students,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ere assessed.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howed that implicit theories of willpower in academic contexts consist of two factors, each representing a limited and non-limited theory of willpower, respectively. Result indicated that in an academic context, limited and non-limited theories of willpower may be separate constructs, thus, function differently. The validity of the two-factor scale was also supported by the relations of each factor (i.e., limited and non-limited theories of willpower in academic contexts) to its criteria constructs. Results showed that implicit theories of willpower in academic contexts are different from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or trait self-control. In addition, students with a non-limited theory of willpower in academic contexts showed low levels of overall academic burnout and high levels of academic self-regulation, whereas students with a limited theory of willpower showed high levels of exhaustion and cynicism.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new scale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청소년의 자율성을 매개로 메타인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명섭 ( Kim Myung-seop ),민지연 ( Min Jiye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3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 메타인지 전략 간 관계에 있어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시기 메타인지 전략 활용과 자율성, 학업성취도를 통제하고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자율성을 매개로 고등학교 1학년 시기 메타인지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 높을수록 자율성은 높이지는 반면, 부모의 통제가 높아질수록 자율성은 낮아졌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자율성을 매개로 메타인지 전략 활용에 이르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매개변수의 효과를 통제했을 때,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메타인지 전략 활용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 방식은 청소년의 학습, 동기와 관련이 있으며, 자율성과 메타인지 전략 활용은 부모의 정서적 지원에 의해 촉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utonomy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on the metacognitive strategy of adolescents. Using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KELS) 2005, we performed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metacognitive strategy, autonom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econd grade of middle. In addition, we analyzed how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influenced metacognitive strategy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rough mediating autonomy in middle school.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emotion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utonomy whereas parental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utonomy.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autonom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and metacognitive strategy.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autonomy,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on metacognitive strategy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are important for learning and motivation of adolescents, and that the autonomy and use of metacognitive strategy could be promoted by parental emotional support.

      • KCI우수등재

        창의성 수준을 고려한 창의성 마인드셋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음악, 시각예술, 공학,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김명섭(Kim, Myung-Seop),민지연(Min, Jiyeo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수준을 고려한 창의성 마인드셋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창의성에 대한 Four-C 이론에 근거하여 각각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Big-C), 전문가 수준의 창의성(pro-c), 일상 수준의 창의성(little-c)에 관한 마인드셋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을 고려하여 음악, 시각예술, 공학, 과학 영역 각각에 대해 마인드셋을 측정하였다. 개발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시각예술, 공학, 과학 영역 모두 창의성 수준에 따라 창의성 마인드셋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항의 신뢰도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창의성 마인드셋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일반적 창의적 마인드셋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창의성 수준별로 창의성 마인드셋을 비교한 결과, 네 영역 모두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상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높고, 이어 전문가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창의성 마인드셋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창의성의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수준을 고려한 창의성 마인드셋 척도에 대한 향후 이론 및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creativity mindset scale that considers the level of creativity. Based on the Four-C Model of creativity, a mindset scale was developed for each level: the great level of creativity (Big-C), the expert level of creativity (Pro-C), and the layperson s level of creativity (Little-C). In consideration of the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the mindset scale was measured for the domains of music, visual arts, engineering, and science. The scale was administered to 389 college student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eativity mindse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ity in all domain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also relatively high.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mindset and creative self-efficacy for each domain. Also, the grea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was the lowest, and the layperson s level of creativ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xper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영재학생의 안녕감에 관한 메타분석 : 학교급과 안녕감 유형 차이를 중심으로

        홍세정(Se-Jeong Hong),김명섭(Myung-Seop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21 영재와 영재교육 Vol.20 No.4

        이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영재학생의 안녕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영재학생의 안녕감에 대한 기존 연구를 대상으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안녕감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지, 또 이 차이가 학교급과 안녕감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전에 선정한 기준에 따라 2008년과2014년 사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안녕감 차이에 대해 연구한 14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안녕감 차이의 효과크기는 .49로 중간정도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시기 효과크기는 .49, 중학교 시기효과크기는 .57로 중학교 시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안녕감 차이가 더 큰 것으로나타났다. 끝으로 안녕감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으로 안녕감을 측정했을 때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차이의 효과크기는 .84로, 주관적 안녕감으로 안녕감을 측정했을 때 효과크기(.32)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 하위구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율성, 환경통제력,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아수용의효과크기가 .60∼.80 사이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인 반면, 긍정적 대인관계의 효과크기는 .36으로 다른 하위구인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에 있어 안녕감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tive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well-being of gifted students using meta-analysis. We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ell-being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and whether this effect was differed by the school level and the type of well-being. For the analysis, 14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well-being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from 2008 to 2021 were sele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difference in well-being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was .49. In addition, the effect size in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was .49, and .57 in the middle school period.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g the difference by the type of well-being, the effect siz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84, which was higher than the effect size of subjective well-being (.32). When examing the differences by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ffect size of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ersonal growth, purpose in life, and self-acceptance ranged from .60 to .80, while the effect size of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was .36, which was lower than the other sub-facto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well-being in gifted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에서 부정정서 해소 프로그램이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하혜숙(Ha Hye Suk),김명섭(Kim Myung Seo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교육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성희롱 예방교육에서 부정적 정서 해소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 이수자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학기 초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이 진행되는 현장에서 수집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실험집단에는 116명, 통제집단에는 143명이 할당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 참여자들의 태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인지·정서·행동 모든 영역에 있어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효과크기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성희롱 예방교육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ping with negative emotion of participants, on attitude change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This data was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here professorial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was conducted. Two hundred fifty-nine professors participated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under 1 of 2 groups: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evention education, participa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 change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affect mitig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program in all aspects of the attitude change and the effect sizes were also relatively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culty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국내 기업들의 금융기관 웹 CMS 서비스 도입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김종완(Jong-wan Kim),이용희(Yong-hee Lee),김명섭(Myung-seop Kim),김광용(Gwang-yong Gim)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사회과학논총 Vol.9 No.-

        본 연구는 국내 기업들이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CMS(Cash Management System)를 도입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 대상은 현재 CMS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신뢰,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등이 CMS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empirical findings for a pragmatic explanation of key factors affecting cash management service acceptance in firms. A survey was performed with enterprises using cash management servi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rus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have a strong effect on cash management service u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