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행복과 창의성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민지연(Min Jiyeon),박수원(Park Soowon),신종호(Shin Jongh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행복과 창의성 간 시간적 흐름에 따른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두 변인 간 인과적 관계를 추론하는데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연 구정보원의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하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중1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행복과 창의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년도 변인이 안정적으로 다음 해의 변인을 예측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은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창의성도 행복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행복과 창의성이 서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것을 나타내며, 행복교육과 창의인성교육이 별개의 교육이 아니라 함께 논의되어야 하는 교육적 접근임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 하나로 창의성 증진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청소년 행복 증진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creativity by utiliz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that were implemented by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SERI). In results, both creativity and happiness showed stable autoregressive paths, which reflects its characteristics for predicting subsequent variables (i.e., creativity or happiness) by prior variables (i.e., creativity or happiness). In addition, happiness predicted creativity and also creativity predicted happiness.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cre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happiness and creativity have reciprocal relations. Moreover, the results reflect happiness education and creativity-personality eduction are not separate educational framework, but incorporable approaches in education. Educators and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at improvement in creativity can be a possible way to enhance adolescents’ happiness and vice versa.

      • KCI등재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민지연(Min, Jiyeon),김명섭(Kim, Myung-Seop)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 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영향이 성별 및 개인이 가진 학업에 대한 흥미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2010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내재성을 고려하여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학생의 창의성을 높이는 데에는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의 긍정적인 효과에 있어 성별, 흥미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창의성과 달리, 학업 성취의 경우에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별, 흥미에 따른 수준 간 상호작용 효과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교수 및 평가방법과 교실 환경 조성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eative teaching affects students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whether these effec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der and interest. Fourth-grade students data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was analyzed. Considering the data structure which the students data are nested within their teachers, multilevel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eative teaching positively affected their students creativity, and this effect did not differ by students gender and their interest. Contrary to the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there was no positive effect of teachers creative teach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action effects with students gender and their interest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teaching-evaluation methods and positive classroom climate building plans for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술연구와 소셜 빅데이터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비교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주제어 분석을 중심으로

        조은별(Cho, Eunbyul),민지연(Min, Jiyeon),박수원(Park, Soo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학술연구를 중심으로 구축된 형식지와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암묵지를 비교하여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창의성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제어 ‘창의성’으로 검색되는 학술연구와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에 관한 학술연구의 형식지와 소셜 빅데이터의 암묵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빈도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단어가, 소셜 빅데이터에서는 인지적 능력으로서 창의성 및 창의성이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와 관련된 단어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유사도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창의성이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며 기존의 정렬 방식에서 벗어나 이루어지는 의사결정력과 유사한 의미로 인식되었고, 소셜 빅데이터에서는 문제의 근본적 쟁점을 집념을 가지고 다루는 능력, 지식을 표상하는 능력과 유사하게 인식되었다. 토픽 모델링 결과, 학술연구는 창의성 발현 기제 및 교육과 관련된 5개 주제로 정리되었고, 소셜 빅데이터는 기업 및 정부 주도 사업과 같이 구체적인 해결 과제가 부여된 맥락에서의 창의성과 관련된 7개 주제로 정리되었다. 창의성에 대한 형식지와 암묵지의 차이는 우리 사회의 창의성에 대한 지식 구축과 활용에 제약이 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창의성에 대한 형식지와 암묵지 간의 순조로운 변환을 통해 창의성과 관련된 지식 구축과 활용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by comparing explicit knowledge built around academic articles and tacit knowledge (or explicit knowledge) formed around social big data and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vity research. Using text-mining techniques, we analyzed text of academic articles and web-sites about ‘creativity’.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keywords about creativity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cademic article whereas ‘creativity as cognitive ability’ and ‘kinds of field or domain to be needed creativity’. To find the meaning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each dataset, words with the highest similarities with ‘creativit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similarity analysis revealed that ‘various perspectives’, ‘rearrange’, and ‘decision making’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in academic articles, whereas ‘representation’ and ‘commitment’ emerged as the highest similarity in social big data. The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keywords of academic articles could be categorized into ‘direction of creativity development’,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 ‘development of creativity program’, ‘mechanisms of creativity’, and ‘social impact of creativity’, whereas the main topics in social big data were ‘competition for creative ideas’, ‘support system’, ‘government-level project’, ‘creative environment’, ‘corporate recruitment’, ‘government s direction of policy of creativity’, and ‘ability to cope with corporate crisis’. Finally, we suggested that the future theories and principles about creativity need to be identified and developed in through conversion between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of creativity.

      • 노인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구매결정요인과 구매 만족도

        권용순(Yong Soon Kweon),민지연(Jiyeon Min),유현정(Hyun Jung Yoo)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0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4 No.2

        This study examined what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buying decision making and satisfaction of health food among the elderly.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tilized and 200 elderly who were living at Daejeon and Cheongju were selected. An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SPSS 12.0.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ly, most of the elderly consumers experienced taking of health food and they mostly bought it at special shop at the range of price of 50,000 to 100,000 won. And, they took health food to keep good health and believed they were very effective. Secondly, the elderly consumers affirmatively thought at common level that health food would help improve physical conditions, and they rather negatively thought that the food would prevent aging. Thirdly, the elderly consumer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convenience of taking of health food,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price, dose and service after buying, etc at medium level or lower. And, buying of the elderly's buying of health food was affected by psychological factor more than by soci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elderly who affirmatively thought of health food we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food.

      • KCI등재

        중등 과학 교사의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이 창의적 교수행동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명섭(Kim, Myung-Seop),민지연(Min, Ji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교사의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이 창의적 교수행동(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 과학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창의성 수준별(위대한 수준, 전문가 수준, 일상 수준)로 창의적 마인드셋을 비교하고,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이 창의적 교수행동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중등 과학 교사의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낮았고, 이어 전문가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상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높았다. 창의적 교수행동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창의성 수준별 마인드셋 간 일부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과학 교사의 창의적 교수실천에 있어 창의성 마인드셋에 대한 고려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창의적 교수실천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creativity mindset by the level of creativity affects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Two hundred and twenty-nin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creativity mindset by the level of creativity and identify the effects of creativity mindset by the level of creativity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grea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was the lowest, and the layperson s level of creativ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xper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The grea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positively affected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In addition, som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mong creativity mindsets by the level of creativity emerged. These results showed that considering creativity mindset is essential for teachers creative educationa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teachers creative teaching practice was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청소년의 자율성을 매개로 메타인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명섭 ( Kim Myung-seop ),민지연 ( Min Jiye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3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 메타인지 전략 간 관계에 있어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시기 메타인지 전략 활용과 자율성, 학업성취도를 통제하고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중학교 3학년 시기 자율성을 매개로 고등학교 1학년 시기 메타인지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 높을수록 자율성은 높이지는 반면, 부모의 통제가 높아질수록 자율성은 낮아졌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자율성을 매개로 메타인지 전략 활용에 이르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매개변수의 효과를 통제했을 때,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통제가 메타인지 전략 활용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 방식은 청소년의 학습, 동기와 관련이 있으며, 자율성과 메타인지 전략 활용은 부모의 정서적 지원에 의해 촉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utonomy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on the metacognitive strategy of adolescents. Using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KELS) 2005, we performed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metacognitive strategy, autonom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econd grade of middle. In addition, we analyzed how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influenced metacognitive strategy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rough mediating autonomy in middle school.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emotion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utonomy whereas parental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utonomy.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autonom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and metacognitive strategy.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autonomy,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on metacognitive strategy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ntrol are important for learning and motivation of adolescents, and that the autonomy and use of metacognitive strategy could be promoted by parental emotional support.

      • KCI우수등재

        창의성 수준을 고려한 창의성 마인드셋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음악, 시각예술, 공학,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김명섭(Kim, Myung-Seop),민지연(Min, Jiyeo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수준을 고려한 창의성 마인드셋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창의성에 대한 Four-C 이론에 근거하여 각각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Big-C), 전문가 수준의 창의성(pro-c), 일상 수준의 창의성(little-c)에 관한 마인드셋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을 고려하여 음악, 시각예술, 공학, 과학 영역 각각에 대해 마인드셋을 측정하였다. 개발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시각예술, 공학, 과학 영역 모두 창의성 수준에 따라 창의성 마인드셋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항의 신뢰도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창의성 마인드셋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일반적 창의적 마인드셋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창의성 수준별로 창의성 마인드셋을 비교한 결과, 네 영역 모두 위대한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상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가장 높고, 이어 전문가 수준의 창의성 마인드셋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창의성 마인드셋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창의성의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수준을 고려한 창의성 마인드셋 척도에 대한 향후 이론 및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creativity mindset scale that considers the level of creativity. Based on the Four-C Model of creativity, a mindset scale was developed for each level: the great level of creativity (Big-C), the expert level of creativity (Pro-C), and the layperson s level of creativity (Little-C). In consideration of the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the mindset scale was measured for the domains of music, visual arts, engineering, and science. The scale was administered to 389 college student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eativity mindse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ity in all domain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also relatively high.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mindset and creative self-efficacy for each domain. Also, the grea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was the lowest, and the layperson s level of creativ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xpert level of creativity mindset.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창작과 감상 예술경험이 창의적 수행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종호(Shin Jongho),조은별(Cho Eunbyul),문지원(Moon Chiwon),민지연(Min Jiyeon),최예은(Choi Ye-Eun),백근찬(Baek Keuncha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1

        창의성은 학생들이 뛰어난 미래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으로 교육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왔으며 최근 들어 예술경험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108명을 대상으로 예술경험이 창의적 수행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때 예술경험의 유형은 주제에 대한 자기표현의 경험인 창작경험과 외부자극에 대한 재해석 경험인 감상경험으로 나누고, 예술경험의 질적 속성을 인지적 자극, 부정적 감정, 자기참조, 긍정적 매력이라는 네 가지 요소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경험이 타 경험과 차별되는 요인은 ‘자아(self)’와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수행과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경험의 질적 속성은 창작과 감상경험에 따라 다르게 확인되었는데, 창작경험집단에서는 자기참조를 많이 할수록 창의적 사고를 요하는 과제점수뿐만 아니라 과제노력 수준이 높았다. 반면 감상경험은 창의적 수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감상경험에 대한 긍정적 매력을 느낄수록 과제흥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에서 자기인식 및 표현 활동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며, 예술경험의 질적 속성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Creativity has been considered as a capacity that students need in order to become as a talented future leader, artistic experiences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In this study, artistic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wo types: Self-expression on the subject (cre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external stimulus (appreciation), and four qualitative factors (cognitive stimulation, negative emotionality, self-reference, and positive attraction)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artistic experiences, creative performance, and motivation by using a sample of 108 undergraduates.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the self-reference factor that differentiated the artistic experience from the other experience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creative performance and motiv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artistic experience amo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artistic experience. In details, the task performance that required creative thinking and the level of efforts were higher as participants in the creation group were more willing to express themselves, whereas participants in the appreciation who had higher positive attractiveness group were more interested in the task.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awareness and self-expression are important factors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re are discriminatory effects amo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artistic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