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교육 실태분석

        김도희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포항공단 근로자의 산업안전 교육실태분석 金 度 希 嶺南大學校 工學大學院 産業安全學科 産業安全 專攻 要 約 본 논문은 포항지역 공단 근로자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안전의식 수준과 실태를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에 관한 의식 수준, 안전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안전교육의 법적, 제도적 문제점 등 다양한 각도에서 산업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현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실효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교육방법을 강의식 보다는 시청각교육과 경험담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를 주어 더욱 실효성 있는 교육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리고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사업주의 마인드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같은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산업안전 보건교육관련 법적 제도적 정비를 통해 근로자 모두가 교육을 이수하여 산업재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둘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효과적인 시청각교육과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셋째, 산업안전 보건교육 방법론의 변화이다. 피교육자가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령, 학력, 근무연수등을 고려한 경험과 사례발표 위주의 교육과 시청각을 활용한 교육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관계부처, 전문가, 사업주, 근로자들의 공동의 노력과 효과적인 교육시스템 개발을 통해 현재 산업안전교육의 이론교육과 현장실무의 차이를 줄여나간다면 형식적인 업무상 절차가 아닌 안전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산업안전보건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 클릭 반응을 통한 64Cu 표지 엑소좀의 림프절 이미징 연구

        김도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Exosomes are double-layered lipid vesicles which are generated from endosomes and released outside cells. Recently, drug delivery and development of biomarker using exosomes are actively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lthough establishment of biodistribution of exosomes is required for clinical use of exosomes, difficulty in bioimaging of exosomes and damage to exosome viability remain challenges in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exosomes. For biomedical application of exosomes, we need safer and more accurate method monitoring biodistribution of exosomes. Meanwhile, tumor-derived exosomes can present antigen to immune cells, which are localized to lymph node. Dendritic cells are activated to antigen-presenting cells, when they meet tumor-associated antigens. Antigen-presenting cells induce formation of cytotoxic CD8+ T cells. Thus, visualizing distribution of exosomes to lymphatic system is important to research on immunotherapy. In this study, we performed lymph node imaging using exosomes labeled with radioisotope via click reaction in mouse. 엑소좀은 세포의 엔도좀에서 기원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지질 이중층 막 소포체이다. 최근 나노 수송체로서의 엑소좀을 활용한 약물 전달 연구와 엑소좀의 특정 단백질 또는 유전자를 질병 진단을 위한 생체지표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엑소좀이 임상에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엑소좀의 생체 내 거동 평가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영상화의 어려움과 시각화를 위한 표지 과정에서의 엑소좀 활성 손상 등 엑소좀의 체내 동태 파악에 있어 아직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남아 있다. 엑소좀의 생의학적 응용을 위해서는 엑소좀의 효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엑소좀의 체내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정확한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은 항원 제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면역세포들이 폐색되어 있는 림프로 이행 가능하다. 수지상세포는 종양 관련 항원을 만나면 항원을 T세포에 교차 제시할 수 있는 항원제공세포로 활성화되며, 항원제공세포는 종양 세포를 죽일 수 있는 종양 항원 특이성 CD8+ T세포의 생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종양 세포 유래 엑소좀의 림프 이행을 시각화하는 일은 면역 요법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클릭 화학을 통하여 엑소좀에 방사성동위원소를 표지한 후 마우스 체내에 주입하였을 때 림프 이행 여부를 PET/CT로 모니터링하였다.

      • 전국체전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전국체육대회 개최에 따른 경기장시설의 적정수요에 대한 연구 김도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 정성필) 이 연구는 전국체육대회의 개최에 따른 대회시설의 종목별 규모에 대해 살펴보고, 전국체전을 준비하는데 필요시설의 규모를 분석하며, 적정한 추가 시설의 수요를 검토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국체전을 준비하고 있는 목포시의 지역 내 생활체육시설, 전문체육시설, 학교체육시설 등을 단위 공간으로 변수화하고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기 위한 각 종목별 경기장의 규모와 이용수요에 대한 실증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전국체전 종목의 경기장 규격을 기준으로 전국체육대회가 열리는 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위하여 활용이 가능하거나 신축(증설)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한 시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 결과 리모델링 또는 신축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된 시설의 필요 면적 합계는 약 521,925㎡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축되어야 할 종목에 대한 필요면적은 약 6,167㎡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체육시설의 안정성, 노후도, 생활체육시설의 미래상 등을 고려하면 노후도가 심한 경기장의 이전 신축(증설)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트랙 종합경기장 1개소, 실내 종합경기장 1∼2개소가 신설될 경우 대회 개최가 안정적일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체육시설의 규모 선정과 효율적 체육시설의 설치에 대한 결과 값 비교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단순한 지역 논리에 의해 체육시설을 신설 또는 개보수 하기 보다는 다양한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정책으로 변화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는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선정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정책을 시행함으로써 각 실제 지역의 시설물의 활용 가능성과 효율적 관리의 방안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의 순기능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며 정책 신뢰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연출 효과

        김도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빛을 활용한 공간 연출은 극적으로 공간에 생명력과 역동성을 불어 넣는다. 공간에서 빛의 중요성은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빛을 디자인하는 것이다."라는 칸의 말을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은 빛 자체에 집중하여 빛을 독립적 매체로 인식하였고, 빛의 특성을 살려 시각적 이미지와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였다. 빛과 공간예술과 미디어 퍼포먼스는 다른 예술장르이지만 관람자에게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고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점에서 빛과 공간의 본질적인 역할이 서로 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빛 자체가 독립 매체로서 작품의 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배경을 라이트아트(Light Art)와 빛과 공간예술(Light and Space Art)을 통해 기술하고,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와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의 조명 미학을 통하여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독립된 매체로서의 빛(조명)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빛과 공간의 표현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을 표현 수단으로 하는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과 올라퍼 앨리아슨(Olafur Eliasson), 앤소니 맥콜(Antony McCall)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빛이 작품과 관객의 소통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빛이 독립된 표현 매체로서 활용 되었을 때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 연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빛을 무대를 비추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 활용하고 있는 미디어 퍼포먼스, 제니퍼 로페즈(Jennifer Lopez)의 'Feel the Light'과 비의 '최고의 선물' 그리고 본 연구자가 참여한 작품 '겨울의 사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빛과 공간의 표현적 특성을 활용한 미디어 퍼포먼스의 공간연출 효과를 현장감, 관객과의 소통 그리고 몰입, 세 가지 요소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포먼스를 연출함에 있어 조명 즉, 빛을 다른 대상을 비추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수단이 아닌 독립된 매체로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빛을 통한 무대공간의 확장이 공간의 변화, 창조 가능성을 풍부하게 하여 퍼포먼스의 발전에 많은 영향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Creation of space using light gives life and dynamics to space dramatically. As Louis Kahn said ""Designing a space is designing a light." , light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space. Light and Space Art recognized a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focusing on the light itself and created visual images and new spaces, making the best use of its characteristics. Light and Space Art and media performance are different genres but they have in common in that they provide viewers with visual experience and induce them to be immers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scribed the background in which the light itself began to be used as an independent medium and a material for a work through Light Art and Light and Space Art and proposed a direction of the utilization of lighting as an independent medium through the lighting aesthetics of Adolphe Appia and Robert Wilson.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expressions of light and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produced by James Turrell, Olafur Eliasson and Antony McCall, which use the light and space as a means of expression.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light could be utilized as a means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and it was interpre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of expression could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a media performance space. In order to ascertain the aforementioned argument,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edia performances that utilize the light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that shines the stage, Jennifer Lopez’s Feel the Light, Pop Singer Rain's The Best Present and the work in which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Winter Love. Based on this, the effect of media performances utiliz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ight and space on the space produ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elements, including the sense of realism,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immers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lighting, that is, the light can be utilized as an independent medium, instead of an aid used to shine other objects in directing a performan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tage space through the light will enrich the possibility of creatio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 청소년 기초연기교육을 위한 즉흥과 놀이의 활용 : 자유롭고 창의적인 배우로 나아가기

        김도희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극놀이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놀이성과 즉흥성을 어떻게 청소년들의 전문적인 기초연기교육 과정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배경의 근간에는 필자의 청소년기 연기교육경험에 대한 아쉬움과 수년째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있는 연기 지도자로서 현장에서 느끼고 있는 청소년 연기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매년 점점 더 많은 청소년들이 배우라는 꿈을 찾기 위해 연기에 도전하며 과거에 비해 빠르게 전문화된 연기교육을 시작하고 있지만, 여전히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에게 적합한 ‘건강한 기초연기교육 과정’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논의가 마련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현 청소년 연기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은 공연이나 입시를 비롯한 ‘결과물’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으며, 과정 자체의 즐거움과 기본적인 연기적 과제를 생략한 채, 빠르게 인물을 맡아 연기하고, 기술적인 훈련들을 강조함으로써 연기교육의 중요한본질과 기초를 놓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필자는 청소년 기초연기교육의 첫 시작은 모든 인간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연극적 본능과 놀이 본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먼저 다양한 놀이를 통해 몸과 마음을 깨워 자유롭게 하고, 자신의 다양한 호기심과 충동을 따라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다채로운 상상과 직관, 즉흥성을 따라가며, 자신 안에 내재되어 있는 창작 욕구와 열정, 이 분야에 대한 스스로의 흥미와 재미를 발견하고 경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바라보았다. 이를 위해, 필자가 경험하고 발견한 연극놀이의 다양한 장점들을 기본으로 기존의 연기훈련법들과 연결하고 확장해, ‘즉흥과 놀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활용방안과 가능성을 모색하며 ‘청소년을 위한 즉흥과 놀이로 시작하는 기초 연기 워크샵’을 진행했다. 또 즉흥과 놀이를 통해 연기를 시작할 때 얻어질 수 있는 핵심적 요소를 ‘자유로움’, ‘창의성’, ‘나로부터의 출발’에 두고 프로그램을 설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연극놀이를 활용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배우의 가장 큰 적인 내적, 외적 긴장을 유발하는 장애물들을 빠르고, 쉽게 제거하고, 각 놀이가 요구하는 목표에 따라 배우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다양한 감각과 역량을 발견, 인식하는 계기를 얻다. 또 다양한 ‘즉흥 활동’을 통해 자신 안에서 떠오르는 다양한 이미지들을 자유롭게 상상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새로운 인물과 이야기가 구축되고 생성되는 ‘창조적 과정의 출발점’을 경험할 수 있었다. 과정 중 또 하나의 유의미한 발견은 기존의 대사 분석을 통한 접근방식에 비해 훨씬 더 빠르게 ‘깊이 있는 연기적 몰입’의 단계로 들어갈 수 있었다는 점이며, 자신의 생각과 경험, 상상을 바탕으로 시작하는 ‘나로부터 출발’하는 연기로 인해 자연스럽고 개성 있는 연기의 시작점이 마련된다는 점이었다. 또 본인이 직접 상상하고 만들어낸 상황과 역할은 작가와 배우의 먼 심리적 거리감을 단숨에 줄여, 분석과 해석의 어려움을 건너뛴 채 곧바로 상황과 인물의 핵심에 접근하게 해주었다. 청소년들과 함께하는 놀이와 즉흥을 기반으로 하는 작업을 위해, 우선 리더이자 연기 지도자 스스로가 자유롭고 창의적인 즉흥성과 놀이성의 흐름과 감각을 깨우고, 끊임없이 참여자들과 함께 에너지와 호흡을 공유하고 나눌 수 있는 열정과 집중력, 그룹의 흐름을 형성,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적 역량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과 호기심,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태도를 지닌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 이를 위해 눈에 보이지 않은 감각, 정서, 에너지, 흐름 등을 인지할 수 있는 배우와 같은 열린 감각, 전체 구성과 변화의 흐름을 조절하고 이끌 수 있는 연출가와 같은 예리한 판단력, 그리고 뛰어난 미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종합 예술가적인 관점 역시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속적이고 원활한 청소년들과의 소통과 교류를 위해, 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소재, 주제 및 접근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역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How can free and creative play and improvisation naturally occurring in the drama process be actively utilized in the professional basic acting education process of teenagers?' At the root of this background lies the regret of my experience in acting education in adolescence and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acting education for youth, which I feel in the field as an acting leader who has been teaching youth for years.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teenagers are challenged by acting to find their dream of becoming an actor and start specialized acting education at an earlier age than ever before, but they have recognized that there is no sufficient research or discussion on a 'healthy basic acting curriculum' suitable for teenagers. Additionally, the current youth acting programs are too focused on results, which include performances and entrance exams, and the essential foundation and purpose of acting education are omitted by rushing into characters and emphasizing technical training, omitting the joy and basic tasks of acting itself.  I wished that the beginning of basic acting education for teenagers would begin with waking up the body and mind with various games, following the colorful imagination, intuition, and improvisation that comes to mind with various impulses, and discovering and experiencing their own interest and fun in this field.  To this end, based on the various advantages of drama I experienced and discovered, I connected and expanded with existing acting training methods to explore various ways and possibilities, focusing on "improvisation and play" and conducted a "basic acting workshop that starts with improvisation and play for teenagers." In addition,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the key elements that can be obtained when starting acting through improvisation and play in 'freedom', 'creativity', and 'starting from me', and various approaches were attempted.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quickly and easily removed obstacles that cause internal and external tension, the actor's biggest enemy, through various  "play activities" using drama,  and discovered and recognized various senses and capabilities that actors must have according to the goals required by each play.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freely imagining and newly organizing various images emerging from within oneself through various “improvisation activities", you could experience the "starting point of the creative process" in which your own new characters and stories were built and created.  During the process, I also discovered that the "deep concentration of acting immersion" stage was much faster than the method previously used, and acting "starting from me" based on my thoughts, experiences, and imagination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natural and unique acting. In addition, the situations and roles he imagined and created himself reduced the distant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writer and the actor at once, allowing  him to immediately approach the core of the situation and character while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play and improvisation with teenagers, leaders and acting leaders need to demonstrate their own free and creative improvisation, playfulness, passion, and concentration to constantly share energy and breathing, technical skills to establish and maintain group flow, and creative attitudes to challenge new concepts and ideas.  It was also found that this requires an open sense, such as that of an actor who can recognize invisible senses, emotions, energy, and flows, a keen judgment, such as that of a director who can direct a composition's transformation, and a comprehensive artist's perspective to lead an outstanding aesthetic experience. For continuous and smooth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adolescents, continuous interest and research on materials, topics, and approaches that they can relate to will also be needed.

      • 대학생의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과시적 자기표현의 매개효과

        김도희 경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증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과시적 자기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신경증(NEO-PI-R), SNS 중독경향성(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 과시적 자기표현(SDSAS)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신경증은 SNS 중독경향성과 과시적 자기표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신경증과 SNS 중독경향성 사이에서 과시적 자기표현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s of neurosis on tendencies towards social media addiction and to consolidate the intermediary effect of ostentatious self-expression within this relationship. A Revised NEO Personality lnventory (NEO-PI-R), university student-oriented addiction measure and exaggerated self-expression measure (measured though a self-focused attention scale) was used to operationalize these above factors, and was then tested on 277 university students though and online questionnaire. Further, a SPSS 23.0, SPSS PROCESS macro 3.5 software was used to calcula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ascertain a correlation relating to the intermediary effec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rist, neurosis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media addiction and ostentatious self-expression. Second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is and social media addiction, ostentatious self-expression was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us,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above findings.

      • PDGF-AB가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의 성장인자 조절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 Cell)는 무한증식이 가능하고, 다양한 조직의 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세포로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임상적인 치료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 자가재생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심장질환의 치료를 위해 줄기세포의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에서 5''-azacytidine을 제외한 분화유도 물질이나 관련 성장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최근 유사분열 인자로만 알려진 PDGF-AB가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식에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나,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서는 그 영향이나 기전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가 심근세포로 분화하는데 있어 PDGF-AB가 5‘-azacytidine에 의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떠한 신호전달기작을 통하여 PDGF-AB의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는가를 확인코자 하였다. 사람의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5''-azacytidine을 처리하였으며, 심근세포 분화에 관한 PDGF-AB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5''-azacytidine, 5''-azacytidine 및 PDGF-AB 그리고 PDGF-AB 와 heparin 처리구의 세 처리구로 나누어 2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심근세포로의 분화유도 후 심근 특이적 표지인자인 troponin-I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5''-azacytidine 처리구와 5''-azacytidine 및 PDGF-AB 처리구에서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하였다. PDGF-A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PDGF-A의 발현이 PDGF-AB 처리에 의한 영향 뿐 아니라 5‘-azacytidine에 의한 심근세포 분화유도에 의해서도 유도되고, PDGF-AB 처리 및 심근세포 분화에 따라 PDGF-A의 발현에 부가적 영향(additive effect)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DGF-B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분화유도 후기에 확인되었으며, VEGF의 발현은 5''-azacytidine과 PDGF-AB를 동시에 처리해 준 처리구에서만 확인되었다. 한편 TGF-β의 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일정하게 나타남으로써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직접적인 작용보다는 paracrine을 통해 분화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의해 조성되는 환경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5’-azacytidine을 이용한 심근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PDGF-AB의 처리는 PDGF-A의 발현을 조절하고, 이는 혈관신생에 필수적 성장인자인 VEGF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특히 PDGF-AB와 heparin 처리구에서 troponin-I의 발현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PDGF-A, -B 및 β-actin의 발현은 확인 되었으며, 이는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가 heparin과 PDGF-AB에 의해 근세포로 분화하였을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PDGF-AB의 영향은 성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주로 PI3K와 MAPK 신호전달기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JAK-STAT 신호전달기작에 의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DGF-AB는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는 없으나 심혈관계 세포로의 분화에 있어 성장인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practical benefits with respect to immune rejection and teratogenesi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many researches have utilized MSCs in stem cell therapy to cure cardiac diseases. However, because of limited self-regenerative capability of cardiomyocytes in vivo, there were very few reports on the differentiation of MSCs to cardiomyocytes using growth factors and other chemicals. Very recently, there was a report that PDGF-AB was involved in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when mouse MSCs were transplanted into cardiac tissues in mouse. But, there was no trial report using a human origin. In this study, therefore, the effects of PDGF-AB on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and its signal transduction in human MSCs (hMSCs) were investigated. Human MSCs were treated with 5''-azacytidine only, 5''-azacytidine+PDGF-AB, and PDGF-AB+heparin, respectively. After 2-weeks of treatment, cardiomyogenic differentiation of hMSCs was analyzed by RT-PCR using PDGF-A, PDGF-B, VEGF and TGF-β primers and immunocytochemistry using cardiac specific troponin-I antibody. The expression of PDGF-A was regulated by both PDGF-AB and 5''-azacytidine treatment, and their effects were additive. In contrast, PDGF-B expression was confirmed in all treatment groups. VEGF was only expressed in 5''-azacytidine+PDGF-AB treated group, whereas TGF-β was expressed analogously in all treatment groups, which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differentiation via paracrine effect. Although the microenvironment induced by differentiated cardiomyocytes was not precisely characterized, addition of PDGF-AB to differentiated cardiomyocytes by 5''-azacytidine induced the expression of PDGF-A and VEGF, implying the indirect involvement of PDGF-AB in angiogenesis. Especially, PDGF-AB+heparin treated group showed expression of PDGF-A, -B, and β-actin except troponin-I, indicating that PDGF-AB+heparin treatment might induce myocyte differentiation. Furthermore, PDGF-AB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hMSCs mainly through PI3K and MAPK signal pathways (P<0.05) but not through JAK-STAT signaling route. Taken together, PDGF-AB did not directly induce cardiomyogenic differentiation of hMSCs but regulate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during cardiomyocyte differentiation.

      • 임신부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위험요인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임신부들의 영양 섭취 실태와 건강 위험 인자를 조사하고, 임신부의 영양 상태와 건강 위험인자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서울 소재 3개의 종합병원을 내원한 평균 연령 30.1±3.5세의 임신부 564명이었다. 조사 대상 임신부의 일반사항, 신체 계측치, 과거 임신 결과, 식습관 등은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영양소 섭취량은 반정량식품섭취빈도법(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을 이용하였으며, 임신 결과는 병원의 의료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 임신부의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은 각각 2519.7±804.8kcal와 98.2±38.8g이었으며, 칼슘과 철분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권장량을 상회하고 있었다. 신생아 Apgar score를 7점 미만과 7점 이상의 두 군으로 나누어 조사 대상 임신부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5분에 측정한 Apgar score가 높은 군의 비타민 B_(2) 섭취량이 점수가 낮은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조사 대상자의 신체 계측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신생아 출생 체중은 임신부의 신장(p<0.05), 임신 전 체중(p<0.001), 임신 중 총 체중 증가량(p<0.00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임신부의 임신 전 BMI는 임신 중 총 체중증가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신생아 출생 체중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임신 전 BMI로 조사 대상자를 저체중군(<18.5), 정상체중군 (18.5∼22.9), 과체중군(≥23)으로 분류하여 과거 임신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저체중군의 자연 유산 경험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OR 0.43, Cl 0.22∼0.82). 과체중군에서는 사산 경험(OR 4.21, Cl 1.19∼14.93), 저체중아 출산 경험(OR 6.24, Cl 1.03∼38.00)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과체중군은 재태기간도 유의적으로 짧았다(p<0.01). 또한 과체중군은 정상체중군보다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OR 1.80, Cl 1.13∼l,89), 과체중군의 반 이상인 52% 제왕절개수술 방법으로 분만하고 있었다. 흡연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흡연군의 제왕절개수술 대응비가 비흡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OR 1.80, Cl 1.02∼3.17), 다른 임신결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음주 경험이 있는 임신부가 출산한 신생아의 1분에서 측정한 Apgar score는 음주 경험이 없는 임신부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 서울 지역 임신부는 영양상태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체중 ·저체중과 같은 부적절한 임신 전 BMI와 음주, 흡연 등과 같은 건강 위험 요인이 임신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 사산, 낮은 Apgar 점수와 같이 좋지 않은 임신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체중관리를 하고, 술과 담배와 같은 건강 위험 요인들은 피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effects of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on pregnancy outcome. The subjects were 564 pregnant women aged 30.1±3.5 years in Seoul from 2001 through 2002. General and obstetric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eating habits were surveyed by trained interviewers. Nutrient intakes were collected using the method of 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egnancy outcome collected after delivery. The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pregnant women were 2519.7±804.8kcal and 98.2±38.8g, respectively. Mean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calcium and iron exceeded 100% of RDA for pregnant women. And the positive association has been found between vitamin B_(2) intake and Apgar score at 5 minutes (p<0.05). Pregnant total weight gain was 14.4±4.4kg, which was showed normal weight gain. The mean birth weight of neonates was 3.25±0.46kg. Infant weight at bir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height (p<0.05), pre-gravid weight(p<0.001), and total weight gain(p<0.001) of pregnant women. Maternal pre-gravid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weight gain(p<0.01), and pre-gravid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birth weight(p<0.05).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pre-gravid BMI: low weight(pre-gravid BMI≤18.5), normal weight(18.5<pre-gravid BMI<23.0),over weight(pre-gravid BMI≥23.0). Maternal overweight was a higher risk of sitll birth(OR 4.21, CI 1.19∼14.93), low birth weight(OR 0.43, CI 0.22∼0.82) and cesarean deliveries(OR 1.80, CI 1.13∼1.89).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were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Smoking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esarean deliveries (OR 1.80, CI 1.02∼3.17). And alcohol consumption group showed lower Apgar scores at Imin than control (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utritional status of pregnant women was adequate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etus. Pre-gravid counseling about reducing smoking or alcohol consumption, and optimizing maternal weight is needed to decrease adverse outcomes.

      • 이미지 메이킹 인식이 자아 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진학과 취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이미지 메이킹과 자아 존중감에 대한 인식을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 후의 결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미지 메이킹 교육을 통해 자신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환기시키고 나아가 자아 존중감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올바르고 다양한 내용의 이미지 메이킹 교육의 확산 기회와 학문적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이미지 메이킹 교과목을 이수하였거나, 20시간 이상 이수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자 200명을 선별하여 그들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선정된 175명 만을 통계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과 후의 이미지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이미지 인식 전체 점수를 포함하여 관리능력, 인식태도, 표현자신감 하위영역 모두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미지 인식에 대한 모든 가설은 채택되었다. 즉, 이미지 인식 전체 점수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13.638, <.001), 교육 후 점수 4.35(±.60)가 교육 전 점수 3.64(±.71)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에 차이가 있었는지 알아본 결과, 자아 존중감 전체 점수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 는데( =-5.347, <.001), 교육 후 점수 4.02(±.51)가 교육 전 점수 3.70(±.75)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 존중감 차이는 자아 존중감 전체 점수를 포함하여 자존감, 긍정적 인식 등 하위영역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에게만 가설이 채택되었고, 이미지 메이킹 교육 전과 후를 비교해 보았을때 자아 존중감의 자기 관리에 긍정적 인식에 보다 더 긍정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한편, 독립 변수별 하위 종속변수는 이미지 메이킹 교육을 이수한 사람들의 성별에 따른 이미지 인식과 자아 존중감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력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전문대 재학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교 재학 집단이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이미지 인식과 자아 존중감의 차이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효과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리능력, 인식태도, 표현자신감과 자존 감, 긍정적 인식, 자기 관리에 대하여 높은 점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이미지 인식과 자아 존중감에 있어서 전체 교육 전, 후의 점수에서 학력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10.412, <.001), 전문대 재학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교 재학 집단이 고등 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 집단이 고등학교 재학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표현자신감 과 자아 존중감 전체에서 교육 전과 교육 후 점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력이 높아질수록 이미지 메이킹 교육에 있어서 효과가 높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making and self-esteem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image making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are going to enter the university. Therefore, it is to raise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their value through image making education and to raise self esteem. Through this, we tri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spread the correct and diverse contents of image making education and academic basic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who completed the course of image making or completed 20 hours or more. For the study method, 200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to them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he differences in image recognition before and after the image making class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both the management ability, the recognition attitude, and the expression confidence sub - domain including the total image recognition score. Thus, all hypotheses about image recognition were adopted.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image recognition was significant (t= -13.638, <.001), and the post-instructional score 4.35 (± 60) was higher than the pre-instructional score 3.64 (± 71).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self-esteem, the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t= -5.347, <.001). 75). Also, the difference of self - este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sub - domains such as self - esteem, self - esteem, and positive perception.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only hypotheses were adopted for them, and that there is a more positive difference in positive perceptions of self - esteem lecture self - esteem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image - making education was rejected. On the other hand, subordinate variables by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no difference in image recognition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people who completed image making training.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ttendance group,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was higher than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and the post graduate college group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ttendance group.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image recognition and self - esteem according to ag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as age increased. That is, there was a high score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ability, awareness attitude, expressive self - esteem, positive perception, and self - management. In other words, in the image recognition and self-estee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before and after the whole education (t= 10.412, <.001), and the college attendance group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ttendance group.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showed differences in pre - and post -education scores in express self - esteem and self - esteem.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