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상인력의 전문화 방안 연구

        임나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Abstracts A Study of Specialist Training for KMA Meteorologists Yim Nayoung Advisor : Prof. Ryu Chan-Su, Ph.D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requires a large number of specialist staff, for example to develop numerical models or analyze data from complex observing systems, such as meteorological satellites and weather radar. As well as trying to hire staff with the necessary skills, it is also necessary to train existing staff so that they can fill these specialist positions, even if they already have significant experience in meteorology. In this report I discuss current methods for training meteorologists at KMA, and suggest ways the training might be improved. In particular, I recommend that KMA should try to establish a new educational institute to provide specialist training. In order to realise this goal, KMA will first need to develop plans for presentation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ncluding proposed training programs and management systems for the students. If the plans are accepted by the ministries, they will work with KMA to propose a budget and location for the new institute, so that KMA can then develop proposals for the required government legislation. One possibility would be for KMA to try and obtain general legislation from the National Assembly, but a better option would be to pursue special legislation from the Judiciary. The kind of educational institute required by KMA would need to train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at one time, so could be run as a single department. However, it should aim to provide accreditation for a number of specialisms.

      • 국내대학과 외국대학의 MBA 교육과정 비교 연구

        최지선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MBA 출신이 늘어나면서 MBA 출신이 경쟁력이 없다든지, 심지어는 한물갔다는 지적도 나오는 형편이다. 최근 국내 각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가 많다. 청년구직난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많은 학비를 들여 MBA 졸업장을 받아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하소연도 들린다. 하지만 MBA 출신들은 단지 MBA가 ‘몸값’을 올리기 위한 것만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다양한 경영사례 분석을 통한 이론적 무장과 다양한 분야 인사들과의 광범위한 네트워크, 수업을 준비하면서 보인 열정과 성취감 등은 직장 및 사회생활을 하는 데 남다른 자산이 된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MBA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표를 받은 국내 MBA가 속속 나타나면서 해외 MBA에 비해 실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섣불리 하기 어려워졌다. 국내 MBA와 해외 MBA를 연계한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이 등장해 글로벌 체험폭도 넓어지고 있다. 해외 유학생들이 국내 MBA를 찾는 사례도 점차 늘고 있다. 국내 MBA가 전문성과 글로벌 감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대 후반 혹은 30대 직장인들의 MBA과정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면서 미국을 비롯한 서구의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아니면 국내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고민하고 MBA를 선택하는 분들이 여전히 많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MBA를 준비하는 분들이 외국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아니면 국내 MBA과정에 지원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국내 MBA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외국 MBA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국내 MBA냐, 외국 MBA냐’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에게 맞는 MBA과정을 잘 선택할 수 있도록 참고가 될 사항을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중요한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에 외국 MBA 교육이 도입된 지 12년이 흐른 지금 국내 MBA 교육이 더 경쟁력 있게 발전 할 수 있도록 외국 유수 대학들의 MBA 교육을 분석해보고 우리나라 MBA 교육을 검토해 볼 것이다. 첫째, 경영전문대학원의 도입배경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경영전문대학원(MBA)의 현황을 분석한다. 둘째, 외국대학의 MBA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본다. 셋째, 국내대학의 MBA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본다. 넷째, 국내대학과 외국대학의 MBA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정서와 운영여건 속에서 국내대학의 MBA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는 고려대를 외국대학은 파이낸셜 타임스 순위를 고려하여 미국의 펜실베니아 대학, 시카고 대학을 선정하였다. 국내외 MBA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위해 경영학 교육, 경영전문대학원 프로그램, MBA 교육과정 보고서, 연구 논문, 참고자료 등을 참고하였고, 조사대상 경영대학 홈페이지, 파이낸셜 타임스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정보를 얻었으며, 각 대학들의 MBA 프로그램 안내 책자를 참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BA 교육과정은 국제적으로 검증되고 표준화된 인증을 취득해야한다. 둘째, MBA 교육과정은 살아있는 학문, 사회의 변동, 변화하는 상황을 공부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셋째, 윤리 및 사회적 책임, 리더십 분야를 필수과목으로 개설해야 한다. 넷째, 인턴십 기간 늘리고 참여율도 높여야한다. 다섯째, 전공과목을 학생들이 원하고, 관심 있는 분야가 다양하듯이 그에 맞게 다양하게 개설해야한다. 여섯째, 실전을 통한 원리 습득이 중요하므로 현장에 직접 투입될 수 있는 외국대학의 MBA 교육 과정 프로그램을 적극 수용하고 국내대학 MBA 교육 과정 여건에서 실현할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Today, as the number of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MBA) graduates increases, there is a comment that MBA graduates are not competitive or even they have had their day. Many evaluate that the popularity of MBA courses recently operated by domestic universities is not like it was before. With the ever-increasing youth unemployment, there is a complaint that getting an MBA Diploma, paying much tuition does not help much. However, MBA graduates say that an MBA is not just for making themselves more ‘expensive.’ They explain that theoretical armament through analysis of various management cases, extensive network with personnel from diverse fields, and passion and achievement they have experienced, preparing for classes are unique assets in work and social life. Moreover, as domestic MBA courses have received excellent transcripts in the evaluation of MBA courses one after another, it came to be difficult to evaluate them to be poorer than overseas MBA courses. As various degree programs that link domestic MBA and overseas MBA appear, the global experience gets broader. Gradually more overseas students come to domestic MBA courses. The domestic MBA courses hunt two hares at once, expertise and global mindset. As employees in their late 20s or 30s are increasingly more interested in MBA courses, many of them still are concerned about whether to apply for a Western MBA course, including that in the U.S. or a domestic MBA course in choosing to proceed to an MBA course. Thu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about how domestic MBA courses and overseas MBA courses are operated for the decision of those who prepare MBA whether they would apply for an overseas MBA course or a domestic one and help their important choi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tters that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whether to go to a domestic MBA or an overseas MBA, could refer to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choose the MBA course right for them. In addition, now, when 12 years have passed since overseas MBA education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would analyze MBA education in leading foreign universities and discuss Korean MBA education so that the domestic MBA education would be able to make more competitive developmen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MBA and analyzes the status of MBA in South Korea.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status of MBA in foreign universities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MBA curricula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Fourth,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MBA curricula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and foreign universities. Fifth,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MBA curricula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in emotional and operational conditions of South Korea. This study selected Korea University for South Korean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the University of Chicago, US for foreign universities, considering the Financial Times ranking as the subject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MBA curricula, this study referred to the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MBA programs, MBA curriculum reports, research papers and references. This study got information, searching the web pages of the Business Schools and the Financial Times and referred to the Information Brochure of the MBA program in each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BA curriculum should obtain internationally verified and standardized certification. Second, since MBA curriculum is involved in the living studies of changes in society and the changing situations, it should be a flexible curriculum that could flexibly cope with changes. Third, it should set up the fields of ethics, social responsibility, and leadership as its required subjects. Fourth, it should increase the internship period and participation rate as well. Fifth, it should set up various major courses in the various fields that students want and are interested in. Sixth, since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principles through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accept programs of MBA curriculum of foreign universities, which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e field and actively consider if they could be realized in the circumstances of MBA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ies.

      • 중국 지방도시의 문화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한·중 지방도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선순환 교육시스템 연구 : 조선대학교와 저쿠우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21세기는 경제·문화·과학기술이 급성장하는 시대이자 학령인구감소, 수도권과 지방 경제발전의 불균형 시대이다. 한국에서 출산율 하락, 학령인구감소,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최근 몇 년 사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업의 발전 및 자본의 집중화로 인하여 많은 전문인력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방에는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지방의 우수자원이 계속 빠져나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결국 수도권과 지방 간 경제발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고,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격차가 더욱 심화되면서 국가의 균형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현재 중국도 비슷한 상황으로, 2010년과 2020년 중국의 제6차 및 제7차 전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현재 학령인구가 점차 감소하고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어 인구구조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부격차, 인구절벽, 수도권 집중 등은 중국과 한국이 직면한 공통적인 문제이며 그 근원은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은 '균형발전', 중국은 '공동부유'와 관련된 정책을 펴고 있다. 한국과 중국 모두 수도권과 지역발전의 양극화 해소와 빈부격차 해소, 사회적 생산성 향상으로 수도권과 지방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책의 목표이다. '균형발전'과 '공동부유'를 실천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바로 인재 자원이다. 인재의 공급은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 불가분의 관계이며, 따라서 국가의 '공동부유'나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교육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결 조건이다. 연구자는 한국에 유학을 와서 한국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과 이해, 한국 대학교의 수업 과정을 통하여 한국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이 체계적이고 사회와 산업발전에 대한 대응에 빠른 데 반해, 중국 지방도시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과 발전이 사회와 산업발전의 대응에 다소 느리고, 불균형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한국의 인구감소와 빠른 산업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지방도시 대학교인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선순환 교육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연구자의 직장인 저쿠우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를 비롯한 중국의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 애니메이션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화, 첨단화, 다양한 창의력을 가진 인력양성 방안이 절실하다. 한국 애니메이션산업은 현재 세계 3위이며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애니메이션교육 방면에서도 선두에 서 있다. 반면 중국 대학교의 현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은 다소 불균형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과 인접해 있어 문화적·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환경이 비슷하다. 이 때문에 두 나라가 발전하면서 겪는 문제점도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큰 발전을 이룬 한국의 애니메이션산업과 산업의 근간인 전문인력양성에 주목하였고, 이를 위해 한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을 참고하여 중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수도권 집중화로 인하여 학생과 전문인력이 수도권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방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의 산업체에 공급해야 하며 정책적인 부분에서는 공공기관과 연대하여 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산업의 선순환 발전을 도모하는 교육시스템을 운영하는 한국의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를 벤치마킹하여 중국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발전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문화산업과 애니메이션, 한국의 '균형발전'과 중국의 '공동부유'등 산업과 사회적 현안 및 정책에 대해 진단하였다. 본 논문 후반부에서는 한·중 양국의 대학 애니메이션학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중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중국전매대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산동공예미술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저쿠우사범대학교 3개 대학교와 한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한국예술종합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호서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조선대학교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하여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 3가지 측면에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정리 및 비교 분석하면서 이론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결과 많은 논문들이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 다른 많은 연구들은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3가지를 교육 연구의 주된 연구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의 논문은 선행연구의 '교과과정'이나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의 내용과는 달리 '교육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는데,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지방도시 대학교로서 수도권 대학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운영하는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에 대한 교육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심화 내용으로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특성화하고 있는 '교과, 비교과' 및 '국제화, 산학협력' 등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육시스템'과 관련하여 첫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중국의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학과 입시제도를 분석,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 국제 교류 등에 대하여 한·중 수도권, 중소도시, 지방도시의 6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한국의 3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학생의 졸업 후 취업 및 진로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시스템 분석을 위하여 두 대학의 애니메이션교육 및 운영 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도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과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업체, 대학교, 공공기관의 선순환 시스템에 기반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훌륭한 산업체에는 우수한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훌륭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기관의 지원 정책과 지방도시의 문화산업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문화생태계를 위해, 첫째, 국가 및 지방도시의 지원정책, 둘째, 문화산업화 및 관련업체의 활성화, 셋째, 전문인력양성 교육 등이 상호 연계된 선순환이 필요하고 이를 '문화생태계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감소와 수도권 집중화 등의 문제점을 당면한 중국 지방도시의 대학교와 지방도시의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의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중국의 공동부유 정책과 한국의 균형발전 정책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찾고,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선순환 발전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중 애니메이션학과 교육시스템을 상세하게 분석, 연구 및 정리하였고 연구결과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산업적 요구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 교육시스템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그리고 중국의 타 지방도시의 대학교의 교육시스템 개선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2년 2년간 진행한 연구로서 코로나로 인하여 중국과 한국대학교의 현장 방문 등 실제 조사연구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중국 및 한국의 6개 대학을 선정하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전면적인 연구로서 완벽하지 않은 부분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입시/교육/취업 외 장비 교육환경 등 인프라와 담당교수 등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한계도 있지만 차후 기회가 된다면 이 주제를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The 21th Century witnesses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lso decreased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imbalanced development and local economy. According to research,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growth rate,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population concentration is aggravating in Korea in recent years. In addi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capital concentration, many professionals are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ack of local professionals and the loss of local excellent resources have led to uneve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deep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and becoming an obstacl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Currently, China also witnesses similar conditions. In the year 2010 and 2020, according to the 6th and 7th nationwide census, the school 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population aging is accelerating, leading to an imbalanced population structure. Therefore, wealth gap, population faulting, and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are common problems that Korea and China face, whose root cause lies in the imbalanced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governments in the two nations issued the national policys of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The policy goals of Korea and China are to eliminate the polarization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area, wealth gap, increase social productivity, leading to the 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region. The important resource to realiz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is human resource, and the supply and nurturing of talent is closely linked to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is the precondition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nationwide. When researchers come to Korea for further study, through the in-depth study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t is found that the Korean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going through further improvement, and faster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the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development in the Local City University of China is slow and unbalanced in confronting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researcher analyzes and studies the decreased population and changing industry, and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the Department of Manga and Animation, Chosun University, Regional City University. They also proposed that counter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the cultural ecosystem of the university that the researchers work in, that is, Department of Animatio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Chinese Local City Universities. For the Chinese comic education development, personnel cultivating program that is international, cutting-edge, and with innovative conciousness, is seriously needed. The Korean Comic industry ranks third in the world, and its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developing soundly. Korean cartoon education occupies a leading place in the world. On the contrary, the current comic education system in Chinese universities is witnessing unbalanced development. China borders Korea, with similar culture, historical background,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Therefore, the two nations are witnessing similar problems in their development process. In case of similar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ement plan that is suitable for Chinese comic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Korean com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and using Korean comic education system as reference. Especially for solving the problem of local hollowing because of students and professional talents' coming to the capital circle, excellent talents should be fostered through quality education to serve local companies. Combined with national policy, the cultural ecosystem should be stimulated through the bond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this thesis will draw lessons from the education model of cultural industry virtuous cycle system in the Department of Cartoon Animation, Korea Chosun University, and proposes reform plans suitable for the animation development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in China. When conducting the preliminary thesis theory research and sorting out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papers analyzing the curriculum setting of college animation education. Most are focusing on three educational studies: "education, teaching, and education infrastructure(environment and facility)". However, this thesis is different. The key of this research is in "education system". As a local university, to maintain its balanced development with capital circle universities, Chosun University's education system in its animation department takes three curriculum projects as the pillar, including "entrance exam, education project, employment". The deepened part in the research content conducted a concentrated study of the specialized "teaching curriculum,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and industry-academy cooperation"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Chosun University. About the "education system", this thesis firstly analyzes and sorts out the animation major entrance exam institutions in three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Second, the education program refers to the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curriculum and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six universities in the capital circle of Korea and China, middle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university. Thirdly, contrast and analysis is made about the employment and future after the animation department students in three colleges in Korea and China became graduates. At last, to analyze the education systems of the animation departments in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more detailed content contrast and analysis is conducted in terms of animation education and operation of the two universities.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study of the animation department in the Gwangju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of the Korean and Chinese Local City.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theoretical research of the related industry and social problems and policies of the cultural industry, animation, Korean "Balanced Development" and Chinese "Common Prosperity". The second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entrance exam system, education program, and employment in Korean and Chinese Capital Circl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n medium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city, Korea Hushi University, Korea Chosun University,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Shandong Institute of Arts and Crafts,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After the author analyzes the pape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education and cultural industry in local universities should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virtuous cycle system among the company, university, and public institutions. Industrial development requires excellent talent, and the excellent education that nurtures talent. To nurture professional talent, support policies from government institutions and cultural industrialization in local cities are needed. Finally, to realize the virtuous cycl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ecosystem, policy support of the national and local cities is needed. Cultural industrializ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related enterprises are needed. Thirdly, an interconnected virtuous cycle of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is neede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eco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virtuous cycle substitution plan of the China Local City University and Local City Cultural Industry Revitaliz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population decrease and capital cycle talent concentration. This study will comp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education systems, to find out the effective plan that suits the Chinese common prosperity policy and Korean balanced development policy, and to provide good basic information to study the cultural ecosystem cycle development method in local city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detailed analysis, research and sorting out are made of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department education system in Chosun University can rapidly respond to the cultural change and social and industrial needs.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its cultural ecosystem is expected to be the plan for improving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local city universities in China. The production of this thesis is in the period from 2021 to 2022, with two years' study. Because of Covid 19, the field visit i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and other realistic research has its space limitation. In addition,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of six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are analyzed, and other universities are not involved. Therefore, the research content is not comprehensive enough, with room for improvement. Besides, this paper has limitation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yond the three main research contents of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 and employment, includ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However, if there are any opportunities, comprehens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is topic.

      •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통합교육에 관한 지도방안 연구 : 조선시대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김은자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Abstract A Study on Effective Instruction for Integrated Education of Art and Korean History - Centering on Paintings in Joseon Dynasty - In current society, knowledge has been increasing in all kinds of academic areas due to rapid development of industries. To deal with the flood of knowledge, we should not stick to previous education styles that focused on specialized and segmentary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an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 which enhances complexity and interdependence of knowledge is required. Integrated education is designed to link students with different academic experiences in time, space and contents under intentional guidance to help students develop holistic character. In the integrated education, overlaps between subjects can be avoided through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knowledge acquired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new situations for good understanding. Although art is a very important subject to form human character demanded in this age, as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insignificant subject because school education focuses on a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number of lessons per week has been decreased and only practical skills have been emphasized in art class. So school education is not active in teaching traditional styles of Art that is as historically valuable as the Art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n integrated instruction by linking Art with Korean History for an effective education of Art culture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Korean art.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period because it helps students understand art in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periodical, regional, personal and cultural conditions, and national spirit of Korean people, and it is assumed that teaching with historical record as media is effectiv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ntegrated education of Art with Korean History can maximize educational purposes of the two subjects. Its effect and benefits are presented as follows : (A) It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two subjects widely. (B) It can avoid repetitions and maximize efficiency of class. (C) It can motivate students to have interest and curiosity in learning (D) It can develop an ability to think comprehensively. Chapter I presented purposes, necessity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involving integrated education of Art with Korean History Chapter II made theoretical reviews on integrat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based on reports by several researchers. Chapter III speculated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ose in art history of Joseon period to present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real integrated education. Chapter IV suggest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real integrated education for art history class. This study focused on linking what is taught in each class to enhance expertise and benefits of each subject in an aspect of integrating subjects. The integrated unit of ?Art and History of Joseon period in works of art? was suggested as a plan of integrating cultural subjects, and a program was organized in steps of foundation, development and decline of Joseon period in order to expand understanding and aesthetic experiences of art and Korean history. As contents to learn do not exist as fragmentary knowledge and are reorganized based on integrated thinking skills of learners, it is more meaningful.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encourage art teachers to be engaged in independent studying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develop new programs in more varied ways. 국문초록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와의 통합교육에 관한 지도방안 연구 - 조선시대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 현대의 사회는 산업화의 빠른 발전으로 인하여 모든 학문영역에서의 자식의 양이 증가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지식의 홍수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되고 분절화 되는 학문적 성취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독자적인 교육만으로는 대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지식의 복합성과 상호 관련성을 증대시키는 통합적 접근방법이 필요로 한다. 통합교육과정은 학교의 의도적인 지도하에 학생들을 시간적, 공간적, 내용영역에 있어 각각 다른 학습 경험들을 상호 관련, 통합을 하여 전체로서의 학습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전인적인 인간상으로 발달, 변화하게 하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통합교육은 중복되면서 연관성을 지닌 개념들과 접할 가능성이 있는 학과간의 학습을 통하여 중복학습을 피하고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응용시켜 보다. 발전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미술은 요즈음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과목이지만 우리나라의 현행 고등교육에서 미술교과는 대입입시라는 제도아래 중요치 않는 과목으로 인식이 되어 학교의 수업의 시수가 줄어들고, 수업의 내용은 실기의 수업으로 편중 되어 있어 미술사 영역에 해당하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전통 양식적 미술의 교육에는 적극적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술사에 대한 교육적 상황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학습자들에게 우리나라의 미술의 역사적 문화 정체성을 기반으로 미술문화를 효과적으로 교육을 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써 국사 교과와의 통합지도를 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국사에 있어서 본인은 조선시대 국사에 대하여 연구를 하고자 한다. 시대적, 지역적, 개인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 되는 것을 이해하고, 더불어 민족의 정신을 이해함과 동시에 도움이 되는 교과이며 그 수업 방식 자체가 사료를 매개로 하여 교육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므로 미술교과의 미술사 영역과 통합의 관련성이 상당히 높다, 이에 따라서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통합적 교육 방안연구는 두 교과의 교육적 목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와의 통합으로 인하여 기대되는 효과 및 장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통합으로 인하여 폭 넓은 연계적 도움과 상호 간의 이해를 증가시킨다. ㈁, 교과의 반복을 피하며 수업의 효율성을 극대화가 가능하다. ㈂, 학습자에게 흥미와 관심을 줄 수 있으며 동기 적 유발에도 효과적이다. ㈃, 타 교과와의 고리로 인하여 통합적 사고력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Ⅰ.장에서는 본연구자는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통합교육의 것을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한점을 명시를 한다. Ⅱ.장에서는 통합교육과 미술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여 기초적인 이해를 구한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시대적 배경이 되는 조선시대의 역사적 특징과 미술사적 특징에 대하여 고찰을 하였고 본 논문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통합적 수업을 계획하기위한 충분한 이론적 배경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미술사 수업을 위한 통합지도의 실제로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연구를 하고 제안하는데 그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한 방법으로 교과의 통합이라는 측면을 가지고 각 교과의 전문성과 장점을 살리기 위해 각 교과의 수업 내용을 연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문화교과의 통합의 의한 방안으로 "조선시대의 미술과 역사"라는 통합적 단원을 설정하고, 조선시대를 성립, 발전, 쇠퇴의 단계의 비추어 프로그램을 구성한 결과 미술과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이해와 미적 경험이 확대 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고 학습의 내용이 단편적인 지식으로 존재를 하는 것이 아니기에 학습자의 통합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어 보다 의미 있는 학습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 학습방법에 대한 자율적인 연구가 미술교사들의 중심축이 되어 실시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 더욱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를 생각하며 바란다.

      • 오스트리아 국립예술대학교 음악전공 교육과정 연구 : 학사학위 과정을 중심으로

        김소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의 서양음악 교육은 제도와 그에 따른 운영에 있어서 서양의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다. 서양은 19세기 이후에 음악의 학문적인 연구와 음악교육학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한국은 20세기 초에 서양음악을 도입하게 되면서 해방 전후 대학의 음악교육과 서양 음악교육이 이루어 졌다. 음악 교육은 실기교육과 이론교육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국과는 다르게 유럽에서는 실기 위주의 교육을 콘서바토리에서 중점적으로 배우고 이론 교육과 실기교육을 중점으로 배우는 곳을 우니버시티 라고 부른다. 유럽의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음악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습득하고 배우고 있는데 이 논문은 서유럽에 한정지어 오스트리아 국립음악대학교를 위주로 비엔나국립음악대학교와, 그라츠국립음악대학교, 잘츠모차르테움에 대한 학사과정에 대하여 입학정보와 교육과정 졸업과정에 대하여 조사 연구를 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고등 음악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혀 없기 때문에 졸업생과의 인터뷰 또는 뉴스와 해당 학교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조사 연구가 이루어 졌다. 본 연구자는 후학들이 직접 유럽으로 유학을 가지 않고서도 오스트리아의 국립음악대학에 대한 교육과정과 국내 음악대학들의 학사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인식을 가져 올 수 있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Western music education in Korea leads to think about Western history in the system and its operation. While the academic research and eduction of Western music developed after 19th century, Korea introduced Western music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western music education of before and after liberation. Music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practical and theoretical education. Unlike in Korea, in Europe, students are focusing on practical education in conservatory and universit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s. Based on long history of Europe, this thesis is limited into research study for Austria’s National Music Universities, such as Vienna National Music University, Graz National Music University, Mozarteum University Salzburg bachelor’s degree, admission, graduation and curriculum informations. This study is based on interviews with graduated students or media and the website of the school due to the unavailability of precedent research on the existing high school music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ers are expecting to provide information for current students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Music University of Austria and the curriculum of the bachelor’s education in domestic music colleges without having to study abroad to Europe.

      • 私立大學會計制度와 敎育原價 計算에 관한 硏究

        박찬수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university should support itself in the financial field to cope actively with changes of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to secure the original function and independence of the university, Most Korean private universities, however, do not accomplish self-supporting financing substantially. In other words, the economic resources of the university are too deficient to perform researches and instructions, and its independence in management is not secured. The university that is bent on simple and external growth in the meantime has to rationaliz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rational and scientific techniques, and the authorities have to develop policies assuring the independence of the university to the utmost against regulation and interference. This study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cost information, the necessity for cost control, the calculation method of educational financing, and a concrete application method, Cost information is the basis for appropriation of university expenses that is able to withdraw all costs accompanying and produced by educational activities, and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preparation of rational atmosphere that appropriates the same price to the same cost by aiming the balance of students charge. The private university should rationally appropriate university expenses; these are the largest income source for the private university and make rational, independent decision-making, for example, rationalization of students charge, investment for facilities, an increase in departments and personnel, supplementing the faculty by using the analysis for the break-even point, and rational merit rating for staff. Especially, private universities should prepare the opportunity to secure the required resources for facilities and equipment purchase, which are troubles for private universities, by considering to public opinions for the cost of university development. Restructuring problems of within the university like forming divisions and abolishing colleges to get out of current high cost system that are on unconditional generalization for universities, numerous department establishment without my characteristics, a college composed of one department or one to be fulfilled carefully on the basis of sympathy with constituents at the side of peculiar purpose specialization and long-term vision of university. Those must not change to a cost-first doctrine or an efficiency first doctrine. The university, criticized as the lowest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application of cost information, should leap to being a world university by preparing relative competition predominance as well as sound maintenance of the university by operating a management strategy or educational matters control on the basis of cos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of cost information is the most important management tool for managing the university.

      • Imipenem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 균주 중 특정 인테그론을 가진 균의 빈도 및 유전형 분석

        정옥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23

        배경: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transposable element 중의 하나인 integron이 세균들 간에 수직적, 수평적으로 전이되어 내성유전자를 쉽게 전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특정 integron의 전파를 장기적으로 추적한 보고는 별로 없다. 2004년에 조선대병원에서 돌발감염을 일으킨 주된 IRAB 균이 함유한 integron내 gene cassette를 분석한 결과 aadA1 유전자 안에 IS26이 삽입되어 있는 특이한 gene cassette (Integron-IS26)가 발견되었다. 이 Integron-IS26의 gene cassette 구조가 특이하기 때문에 이 integron을 가진 IRAB 균의 지역적, 시기적 분포를 추적해봄으로써 integron의 전파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원에서 5년간 수집한 IRAB 균주들과 전국 여러 병원에서 수집한 IRAB 균주들을 대상으로 이 integron의 양성률을 검사함으로써 integron의 전파양상을 추적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 추적하고자 하는 Integron-IS26을 가진 IRAB 균의 지역적, 시기적 분포를 알기 위해 검사한 대상 균주는 전국각지의 여러 병원들에서 분리한 IRAB 153주와 조선대학병원에서 5년간 수집한 IRAB 62주로 총 215주였다. 전국각지의 여러 병원들에서 분리한 IRAB 균주들의 구성은 서울 35주, 경기 17주, 강원 20주, 충청 17주, 전북 25주, 전남 74주(조선대학병원 검체 62주 포함), 경북 5주, 경남 20주, 제주 2주 였다. 조선대학병원에서 5년간 수집하여 검사된 검체의 구성은 2003년도 균주 15주, 2004년도 10주, 2005년도 4주, 2006년도 9주, 2007년도 24 주였다. 연구 대상인 Integron-IS26을 가진 IRAB 균을 검출하기 위해 그 integron의 특이한 gene cassette연쇄에 근거를 두어 고안한 시동물질을 이용하여 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국 각지의 다른 여러 병원들에서 분리한 IRAB 215주에서 Integron-IS26의 양성률을 조사해본 결과 호남지역에 있는 두 대학병원에서 29주 (13%)가 양성을 보였을 뿐 다른 지역의 균주들은 모두 음성 결과를 보여 타 지역으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Integron-IS26 PCR에 양성인 검체가 분리되었던 조선대와 전북대 병원의 연도별 양성률을 살펴보면 조선대는 평균 40%, 전북대는 평균 12.5%의 양성률을 보였다. 조선대 병원에서 5년간 수집한 IRAB 62주 중 Integron-IS26을 가진 IRAB 균의 양성률은 2003년에 0주 (0%), 2004년에 7주 (70%), 2005년에 2주 (50%), 2006년에 6주 (66.7%), 2007년에 12주(50%)로서 돌발감염이 일어나기 전에는 없었으나 돌발감염이 일어났던 2004년부터 지속적으로 분리되었고 해가 지나도 비슷한 양성률을 유지하였다. REP-PCR을 시행하여 대상 균주들의 type을 비교한 결과 Integron-IS26 PCR에 음성인 균주들 중 A type이 가장 흔하였고 그 외 F, G, B, D, H, I 형 등 다양한 type이 보였으나 Integron-IS26 PCR에 양성인 균주들은 주로 B, C, E type을 보인 균주들이 많았다. 결론: 한 특정 integron을 가진 IRAB 균의 양성률은 이것이 처음 분리된 본 병원에서 높게 유지되고 해가 지나도 비슷한 양성률을 유지하여서 균 간의 전파력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다른 지역에 있는 병원에서는 양성률이 낮았다. 이 Integron-IS26 PCR에 양성인 균주들의 clonality를 살펴보기 위해 REP-PCR을 시행한 결과 B, C, E type 등 여러 다양한 type을 보였고 연도별로도 여러 다양한 type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 Integron-IS26 이 다양한 IRAB 균주들 중에서 수평전파를 잘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歷代時調選의 문헌적 특성 연구

        김태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A Study on Phil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okdaesijoseon󰡕 Kim Tae-hee Advisor : Prof. Lee Sang-Won. Major in Korean Literature and Linguistic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rpose of Lee Byeong-gi's publishing 󰡔Yeokdaesijoseon󰡕 in 1940 by collecting only ancient ones at the time when modern sijos took root in the scene to a certain degree. The publication of anthologies practically stopped after the middle 1920s when the movement of sijo restoration started. Ancient sijos were introduced under the title of "Chosun sijos" or "Myeong sijos" in various magazines with few sijo collections published. As a gyoju version, 󰡔Yeokdaesijoseon󰡕 included notes about each of its works. Since it was the first attempt by Garam Lee Byeong-gi to include notes in sijo collections, the investigator decided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 patterns. The sijo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20th century were categorized into anthologies that valued musical quality and poetry collections that were intended as reading materials. Just like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 was a focus on anthologies that emphasized musical quality. However, there was a shift from "a culture of listening and singing" to "a culture of seeing and reading" in society. Reflecting the shift, anthologies were gradually replaced by reading materials. And 󰡔Yeokdaesijoseon󰡕 exhibits characteristics as such a reading material. 󰡔Yeokdaesijoseon󰡕 is a sijo collection that's completely intended as a reading material and pursued only literary quality discarding musical elements of sijos. Thus there was the full-blown creation of modern sijos where musical quality was excluded. But the problem was that there should be something to refer to when creating modern sijos. It was around that time when collections of ancient sijos were born in the form of a reading material containing many masterpieces of high literary or artistic value. Since they understood sijos were creations of individual writers and sijo collections were reading materials to read and appreciate, they placed the greatest importance on pyeong sijos whose authors were known and which presented individuals' dear memories in simple forms. 󰡔Yeokdaesijoseon󰡕 was no exception selecting and containing works whose literary and artistic value was high rather than sijos that were proper for singing purposes. 󰡔Yeokdaesijoseon󰡕 is a gyoju version that offered historical research based on vast amounts of literature data. In addition to providing notes for difficult words and phrases, it adopted the modern notation method to present the works instead of paraphrasing them into modern language. It also provided ample explanations about the motives, backgrounds, and writers. Such attempts by Lee paved the way for the collections of ancient sijos published later, which gives huge significance to his 󰡔Yeokdaesijoseon󰡕. It's especially noteworthy that he set up his own criteria based on a large group of ancient literature and tried to research the writers with as many facts as possible. In fact, his research of the writers seems to have been reflected in textbooks later to a great degree. All those findings add educational significance to 󰡔Yeokdaesijoseon󰡕.

      •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활용한 대학의 환경개선 연구 : 중국 남양공과대학교 1호관을 중심으로

        서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higher education in recent ten years, there have been a larger and larger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year by year. Many university buildings are too old to meet the current teaching needs, and the old buildings consume a great amount of energy. Despite many disadvantages, completely demolishing and reconstructing the buildings will result in a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t a high cost. Thus, it is very imperative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eaching buildings at universities. Based on the theory of sustainable design, this paper uses the design concept and technical method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clarifies the transformation goal, and puts forward the design strategy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in an attempt to address some problems in teaching buildings at universities, such as outdated design concept, the failure of hardware facilitie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modern teaching, low comfort and poor flexibility of classrooms. This paper specifically includes the following four parts: The first part involves the first and the second chapters. Firstly, the first chapter puts forward the research background, summarizes the basic concepts and literature, and analyzes the research purpose and significance; The second chapter elaborates on the basic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in detail. The second part covers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sustainable design of university buildings. Based on theories, this chapter analyzes and compares the teaching building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the third teaching building of Tsinghua University in China, and researches the design methods.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the strategies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teaching buildings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f China and South Korea. The third part is the fifth chapter. This chapter selects the No.1 teaching building with the longest history in Nanyang Institute of Technology as the research object and conducts the sustainable design based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strategy that has been proposed above. The fourth part is the conclusion. This part concludes the content of the paper, and points out the research shortcomings, and provides a reflection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hina's existing sustainable architecture. 근 10년간, 중국의 고등교육이 빠르게 발전해 왔다. 이에 따라 대학교 재학생의 수량이 해마다 늘고 있지만, 대학교 건축물의 대부분이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현재의 교학 욕구에 만족시키지 못하며, 이런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이 거대한 편이다. 비록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건축물을 완전히 철거하는 것 또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하며, 경제적으로 비용이 크다. 그러므로 대학교 건축물에 대한 환경개선은 매우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이론에 기반을 두어, 대학교 건축물에 존재한 ‘디자인 이념의 오래됨, 장비 시설이 현대적 교학 요구를 만족하지 못함, 강의실의 쾌적성이 낮음’ 등과 같은 문제에 집중하여 지속가능한 건축의 디자인 이념과 기술 방법을 활용해 환경개선의 목표를 확립하고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 네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1장과 2장이다. 먼저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배경을 제출하여 논문에서 쓰이게 된 기초적인 개념과 문헌을 위주로 서술하며, 연구 목적과 의의를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기초적 개념에 대해 세부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3장과 4장이다. 3장에서는 대학교 건축물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론과 결합하여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 ECC와 중국의 칭화대학교 3호관을 사례로 삼아 분석을 통해 그들이 활용한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어 4장에서는 한중 사례를 구체적으로 비교분석을 통해 대학교 건축물의 환경개선 방안을 총괄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5장이다. 본 논문에서 중국의 남양공과대학교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1호관을 선택하고 환경개선의 목표 대상으로 삼았다. 주로 4장에서 제출한 환경개선 방안과 결합하여 1호관에 대해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마지막 부분은 본 논문의 결론이다. 논문을 재정리하고 연구의 부족한 점을 제출하며, 중국의 기존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환경개선에 대한 사고와 연구 전망을 서술하였다.

      • 朝鮮時代 人物肖像畵에 表現된 傳神寫照 硏究

        심강식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Joseon Dynasty(1392-1910) had the most development and widest variety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Korea's art history. It witnessed formation of its peculiar style as well as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aintings including such varied themes as landscape, figures, birds, flowers and vases all of which were used for artistic appreciation and historical documentation. A portrait reproduces specific figures in a painting, with the theme of people's posture. Its characteristics differ from those of other painting styles. Originally, portraits illustrated and documented human attributes such as personality, spirit and character, beyond simple appearance. And when it was sublimed to inspire vitality, it was considered successful. So it was often said that it represented the person's outer and inner spirit. Portraits were considered precious because they represented the figures themselves rather than just painting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meaning in art history and importance of the portraits of Joseon period in painting history by reviewing as many portraits of the Joseon Dynasty as possible. The painting of this period were influenced by the Confucian ideas, and there were organized painting groups through which noble scholars were active in paintings and they produced a considerable number of superior portraits. As a new flow of the early Joseon Dynasty, Confucian philosophy expanded its power. Confucian rules and established forms for showing respect to ancestors were considered important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appearing in this time were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seven-division or eight-division of left face was statistically overwhelming. In Goryeo Dynasty, the right side of the face was highlighted, but in Joseon Dynasty, a left-facing posture was used. In Joseon Dynasty, the delicate techniques of Goryeo Dynasty were replaced, and lines were used to display their best function. Based on the idea of respecting ancestors and giving thanks for their hard work, the number of family shrines and memorial halls rapidly increased. Therefore, the demand for portraits increased enormously and they were painted by professional painters. At this time, a new technique to display high dignity of the face through delicate representation of the forehead, the nose, the chin, and the cheekbones appeared, which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ortraits of the middl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fucian philosophy collapsed and practical science appeared. The new trend of science was found in portraits and it was called Hun-Yeom-Beop, a painting technique using shading. It was concerned with free posture with natural curves of the face, which focused on representation of realistic figures. It was derived from Chae-yong-shin-hwa-beop, a painting technique. Naturalism was found only in the portraits of As the objects of portraits were noble human figures, the painting procedure was complicated and strictly controlled. It was thought that the painting process of kings' portraits had an effect on the production of general portraits. Human figures are physical while thoughts and minds are metaphysical. Our ancestors thought that if painters did their utmost to make a precise representation of human outer figures, the inner features could also be represented. They thought it was a basic principle of portraits that painters should identify the peculiar character of the objects completely. At that time, the representation of clothing was simplified, but a focus was given on the face to describe personality and characters of human figures. Also, the painters described hair, beards, spots and even scars with delicacy, attempting to paint a persons' outer and inner spirits. In looking over the portraits of the early,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it was found that the painters put their best effort to describe the objects precisely, and keeping precision of description in their mind, they tried to represent ideas, personality and characters of the objects. In the early Joseon, the focus of portraits was on the whole body, but in the late period, it was in a standing position. In the early period, a focus was on lines, but in the late period, the ultimate goal was to achieve faithful traditional representation of volume overcoming the limits of lines. In composition, the figures had a static posture with calmness and elegance, which highlighted the outer and inner spirits of the figures. Thus, the portraits with Korean elegance and aesthetics occupied clear and definite positions in the history of painting. When the western painting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Joseon period, the former focused on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figures while the portraits of the latter intended to describe personality, philosophy and ideas as well as appearance of human fig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