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에 나타난 김중업 건축의 특성 연구 : 구조의 형식 및 표현 방법을 중심으로

        서수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1960s marked a period when Kim Chungup moved away from the architectural influence of Le Corbusier. Especially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60s, Kim's work shifted from bold and emotional expressions to more restrained and standardized architectural vocabularies, leaving traces across the newly developing areas of Seoul. Among these,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designed in 1967, displays distinctive formal characteristics, ye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work. Similarly, the 1966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t Yonsei University, which exhibits a strikingly similar form, has also remained unstudied.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to understand Kim Chungup's design intent and expressions, clarify the boundaries between Kim's original design and later additions, and explor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Kim's work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observed in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sign stages of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by studying drawings and sketches to identify the design intentions and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sketches, drawings, and model photographs of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re analyzed to uncover shared features between the two projects. Through this comparison,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ks and how Kim'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is an extension of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t Yonsei University, suggesting that they were essentially a single project. Kim Chungup, who often employed tectonic expressions by exposing structural systems to emphasize structural aesthetics, further developed this approach in the late 1960s. In earlier works, he tended to expose the structural framework or use material contrasts, but by the late 1960s, he began to clearly articulate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tructural elements within the framework.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ed columns and slabs in both projects was found to be closer to Mies van der Rohe's Farnsworth House than Le Corbusier's 'Dom-Ino' system, revealing that Kim Chungup in the late 1960s showed an inclination towards Miesian architecture. This study provides pioneering research on the previously unexamined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and uncovers the forgotten sketches of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t Yonsei University. Furthermore, it distinguishes the tectonic characteristics of Kim's work from the 1960s and earlier. By highlighting the connection between Kim Chungup's pre-Samil Building projects and Mies van der Rohe's architectural approach, this paper offers new perspectives for future research on Kim's architecture and contributes to the study of modern architectural history. The 1960s marked a period when Kim Chungup moved away from the architectural influence of Le Corbusier. Especially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60s, Kim's work shifted from bold and emotional expressions to more restrained and standardized architectural vocabularies, leaving traces across the newly developing areas of Seoul. Among these,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designed in 1967, displays distinctive formal characteristics, ye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work. Similarly, the 1966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t Yonsei University, which exhibits a strikingly similar form, has also remained unstudied.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to understand Kim Chungup's design intent and expressions, clarify the boundaries between Kim's original design and later additions, and explor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Kim's work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observed in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sign stages of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by studying drawings and sketches to identify the design intentions and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sketches, drawings, and model photographs of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re analyzed to uncover shared features between the two projects. Through this comparison,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ks and how Kim'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is an extension of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t Yonsei University, suggesting that they were essentially a single project. Kim Chungup, who often employed tectonic expressions by exposing structural systems to emphasize structural aesthetics, further developed this approach in the late 1960s. In earlier works, he tended to expose the structural framework or use material contrasts, but by the late 1960s, he began to clearly articulate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tructural elements within the framework.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ed columns and slabs in both projects was found to be closer to Mies van der Rohe's Farnsworth House than Le Corbusier's 'Dom-Ino' system, revealing that Kim Chungup in the late 1960s showed an inclination towards Miesian architecture. This study provides pioneering research on the previously unexamined Humanities & Social Science Hall at Hongik University and uncovers the forgotten sketches of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Building Project at Yonsei University. Furthermore, it distinguishes the tectonic characteristics of Kim's work from the 1960s and earlier. By highlighting the connection between Kim Chungup's pre-Samil Building projects and Mies van der Rohe's architectural approach, this paper offers new perspectives for future research on Kim's architecture and contributes to the study of modern architectural history. 1960년대는 김중업 건축세계에 있어 '르 꼬르뷔지에'의 건축으로부터 벗어난 시기로, 특히 1960년대 후반은 전반의 과감하고 감성적인 시도들과 달리 보다 절제되어 보편화된 어휘로 당시 막 개발되기 시작한 서울 곳곳에 흔적을 남겼다. 이 중 1967년 설계된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은 특징적인 조형성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다룬 연구는 전무하다. 한편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과 상당히 유사한 조형성을 보이는 작품으로 1966년에 진행된 연세대학교 가정대 계획안이 있으나 이 또한 어떠한 연구도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김중업의 설계 의도와 표현을 파악하고 김중업 설계 영역과 증축 영역을 명확히 하고, 연세대학교 가정대 계획안에서도 볼 수 있는 인문관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에 담긴 김중업의 건축적 특성과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의 설계부터 증축과 현황까지 자료를 목록화하고,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특징과 설계 의도를 파악한다. 또한, 연세대학교 가정대 계획안의 스케치, 도면, 모형 사진을 분석하여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과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들을 알아내고, 이를 통해 두 작품의 연관성과 김중업의 건축적 특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은 연세대학교 가정대 계획안의 연장선에 있으며, 사실상 하나의 프로젝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김중업은 구조 체계를 명확히 드러냄으로써 구조미를 추구하는 구축성의 표현을 종종 사용해 왔는데, 이전에는 구조체를 외부로 노출하거나 재료의 차이를 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1960년대 후반의 김중업은 구조체 내부의 구축 요소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명확히 드러내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프로젝트에서 보이는 노출 기둥과 슬래브의 관계가 르코르뷔지에의 '돔-이노' 보다 미스의 판스워스 하우스 주택에 가까우며, 이 시기의 김중업에게 미스의 건축으로의 경향성을 갖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전에 연구되지 않았던 홍익대학교 인문관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제공하며, 잊혔던 연세대 가정대 계획안의 스케치를 발굴하였으며, 1960년대와 그 이전의 김중업의 구축성 표현의 특징을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삼일빌딩 이전의 김중업 건축 연구에서 미스와의 연관성을 조명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현대 건축사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다.

      • 대학 주변지역 활성화를 위한 캠퍼스 경계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 경계부를 중심으로

        정인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In the past, domestic universities had mostly b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perty exclusively for small number of specific classes with the functions being restricted to education and research use of its campuses were limited to certain people only. However, as the society gets modernized, things become complexed and various lifestyles have emerged. Thus, the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ies has continuously changing to include, in addition to teaching and research, diverse functions such as sharing culture and welfare for local community and lifetime learning for interaction with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requirements of the age. However, as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becomes fierce due to opening of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rising from low birth rate, each university has to accept creative management and the concept of economy innovative improvement plans are needed not just for software aspect for specialization but for hardware aspect considering interrelation with space associated with the programs and buildings. In the early days of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in Seoul, most of them were located outside of the city and neighboring areas around the campuses were consisted with minimum amount of residential area and local living facilities that would solve housing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due to rapid expansion and development, the city became overcrowded and the same happened in the areas surrounding universities. Each university is required to make a big change in campus boundaries, not to mention expansion of additional facilities within the campus due to an increase in students and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Campuses of former urban universities still focused on internally oriented development with the limitation of being isolated from their neighborhood. This causes decrease of comfort in the limited area of the campuses. To overcome this, there are many development projects being carried out recently, such as street activation around universities and urban regeneration. However, this does not create flexible boundary that is complementary to its neighborhood but business environment only accelerating gentrification where existing residents leave their hometown. Thus, universities should not seek development separated from local community any more but create flexible boundary expanding to its neighborhood getting out of the limited campus to pursue various development and multi-purpose spaces so that the usefulness of the boundary can offer help to its local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boundaries of urban type campuses in Seoul and more than 80 % of the residential areas were found to b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although various boundary activation plans are being made now, neighborhood of residential areas were identified to have closed characteristics. Study was carried out on how to improve campus neighborhood focusing on that of Hongik University, among the urban campuses analyzed, where residential and commerce areas are mixed and characterized with unique school and residential property.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neighborhood and border of Hongik University has shown that the location of cultural consumption spaces featuring local characteristics had at least 2 local integration (integration r=3) of space syntax and it was analyzed to be similar with that of average local integration of the neighborhood which was 1.96. However, according to online postings such as those on Instagram, it was noted that cultural consumption area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with low space phase, were visited by many who want to experience specialized products and atmosphere showing that space and products distinctive from other regions can increase psychological access. Commercialization of residential areas is carried out starting in areas with high phase due to urban space structure and expansion of commercial areas is causing gentrification. Thus, not just solution for this but improvement plan for border areas is required for the sake of residents. The locations of the Hongik University boundary which can be easily activated were found to be from Hongmunguan to the second dormitory and Wausanro22-gil.Suggestions were made under division into facilities required for the university as introduction program, facilities for the local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for the university as well as the local community. Facilities for the university includes educational space such as art library and media center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research lab supporting start-ups and industrial collaboration open lecture halls for interaction with the public workspace such as art workshop and studios supporting creating of artworks. Facilities for the region are cultural and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multi-purpose museum where exhibitions and sales are available to support art and culture activities multi-purpose theater where different culture can be experienced space for various culture and art clubs sports center and public parking lot for practical support. Also a specialized retail store is needed to featur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and to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and open facilities which are for both the university and the region are required. Considering such facilities needed, the plan to improve the border of the Hongik University is: First, advancing its identity as an art university. For this, local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hub space should be provided for artists and facilitate the cooperation and the space should be used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with average persons to build identity of the region and promote the space through special experience for visitors. Second, creation of art-specialized street to offer convenience both to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he nature of alleys should be preserved but should be more accessible for easier walking; open spaces and rest areas should be created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n addition, they should be turned into spaces for introducing artworks made in startup workshops and studios to create a street specialized in culture and art which will be needed by local residents, the university and visito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itute a boundary where art related startup shops and enterprises are combined to create identity of the region for the sake of mutual development of local facilities and the region. Also complementary cooperation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outside by inside of the university is required via open campus. Such improvement measures on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border will make the university's identity clearer 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 strengthened. Providing interactive space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flexible border will turn the university into a sustainable one that will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diversifying era. 과거 국내 대학들은 대부분 소수의 특정 계층을 위한 교육기관이자 전유물로써 그 기능이 교육과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고, 대학 캠퍼스 또한 특정 이용자들만을 위한 제한적 시설이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학의 역할과 기능도 시대의 요구에 발맞춰 학문 전달의 기능과 연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위한 문화·복지 등의 나눔 기능, 일반 대중과의 교류를 위한 평생 교육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확충해나가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최근 교육의 개방화·세계화 및 저출산 문제로 인한 취학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대학들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각 대학들은 창의적 경영과 경제적 개념을 갖출 수밖에 없는 현안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특성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은 물론이고 그 프로그램과 연계된 공간, 건물들과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하드웨어적 측면의 혁신적인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들의 설립 초기에는 대부분이 도심 외곽지역에 위치하였으며, 이 시기의 캠퍼스 주변은 대학생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최소의 주거지와 이들을 위한 근린생활시설들로 형성되어졌다. 하지만 도시의 급격한 확장과 개발로 인하여 도시는 과밀화 되었으며, 대학 주변지역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다. 각 대학들은 학생들의 증가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다양한 개발 사업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캠퍼스 내부의 추가시설확충 뿐만 아니라, 캠퍼스 경계부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전의 도심형 대학들의 캠퍼스는 내부 중심적 개발에 머물러 있었으며, 국내 대학 주변지역은 캠퍼스와 단절된 경계를 이루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제한된 캠퍼스 부지내의 쾌적한 환경이 점차적으로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해 최근에 대학 주변의 가로활성화, 도시재생 등 많은 사업들을 통해 경계부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은 주변지역과의 상호보완적인 유연한 경계부 개발보다는, 상업시설에만 편중된 개발로 인하여 기존주민들과의 상생보다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만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더 이상 지역사회와 분리 개발되기 보다는 한정된 캠퍼스를 벗어나 주변지역과 유연한 경계부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발과 다기능적인 공간들을 만들어 캠퍼스 경계부의 다양한 활용성을 토대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도심형 캠퍼스의 경계부를 분석한 결과 80%이상 주거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경계부 활성화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주거 인접부분의 경계부는 대부분이 폐쇄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사된 도심형 캠퍼스 중 주거와 상업이 혼재되어 있고 타 대학과 차별화된 학교 특성과 지역적 특성이 있는 홍대를 중심으로 캠퍼스 경계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홍대 캠퍼스 주변지역 및 경계부를 세부적으로 조사한 결과, 지역특성이 있는 상업시설인 문화적 소비공간의 입지는 공간구문론의 부분통합도에서 2이상인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주변지역의 평균 부분통합도인 1.96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과 같은 온라인 게시물을 참조할 때 공간 위상이 낮은 곳이라도 지역적 특성이 있는 문화적 소비공간에서는 특화된 상품 및 분위기를 경험하기 위한 많은 방문자 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지역과 차별화된 공간 및 제품으로도 심리적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지의 상업화는 도시공간구조상 위상이 높은 지역부터 상업화가 이루어지며, 상업 공간의 확장에 따라 기존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버리고 이탈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뿐만 아니라, 기존 주민들을 위한 경계부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홍대 경계부 중 활성화되기 쉬운 입지는 홍문관으로부터 제2기숙사 사이의 와우산로 22길로 분석되었으며, 도입 프로그램으로 학교의 필요시설과 지역의 필요시설, 학교와 지역의 교류시설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학교의 필요시설은 교육공간으로 지역성 및 대학의 특성을 고려 시 예술전문 도서관, 미디어 센터, 창업 및 산업협력을 지원하는 연구실, 대중과 연계 가능한 오픈 강연장 및 강의실,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공방 및 스튜디오와 같은 작업실이 있다. 지역의 필요시설은 문화시설 및 지원시설로 문화예술을 지원할 수 있는 전시판매가 가능한 복합 미술관,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복합 공연장, 다양한 문화예술분야 관련 동호회실 등이며, 직접적으로 삶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시설로 스포츠 센터 및 공용주차장이 있다. 또한 학교 특성 및 지역성을 나타내고 지역주민과 교류할 수 있는 특성화된 리테일 상점이 필요하며, 학교 필요시설 및 지역필요시설이 복합화 된 개방형 시설들이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필요시설을 고려하여 홍대 캠퍼스 경계부 개선을 위한 방안은 첫째, 예술대학으로서의 아이덴티티 향상이다. 이를 위해 지역산학 협력단을 만들고, 예술인의 거점공간을 제공하며, 지역산학 협력단과 예술인 거점공간을 일반인과 교류할 수 있는 소통 공간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방문자에게 특별한 체험을 통한 스페이스 마케팅을 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 주민 및 방문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예술특화가로 조성이다. 골목길의 특성을 보존하되 접근성을 향상하여 보행의 편의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 및 방문자를 고려한 오픈스페이스와 휴게공간을 조성하여야 한다. 또한 이 공간들은 창업공방 및 작업실에서 만든 문화예술품을 소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문화예술 특화가로를 형성하여 지역주민과 학교, 방문자 모두에게 필요한 공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셋째, 주변시설 및 지역과의 연계 발전을 위해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예술관련 창업 공간과 기업이 조합된 경계부 구성이 필요하며, 오픈 캠퍼스를 통해 대학 내 외부의 적극적 연계를 통한 상호 보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홍대 캠퍼스 경계부의 개선방안은 홍대의 정체성을 더 명확히 하고 지역성을 강화시켜줄 것이며, 유연한 경계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교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다변화되고 있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대학으로 변모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위한 컨테이너 거점시설 조성 연구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를 중심으로

        엄미란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조치원읍 신안1리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으로 홍익대학교 캠퍼스와 인접해 있다. 최근 세종시 조치원읍의 도시재생사업인 청춘 조치원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사이에 위치한 신안1리에 캠퍼스타운 조성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민들과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캠퍼스타운에 맞는 지역사회 교류의 장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마을 거점시설을 조성하는 연구 방안을 제시한다. 마을이나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시설을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력과 참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반영하여 거점시설의 위치와 용도를 선정하고 주민과 학생이 공유할 수 있도록 스마트한 컨테이너 거점시설 에 대한 연구방안을 제시한다. 신안1리 주민들 중 다수는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학생을 대상으로 원룸임대업이나 식당 등의 상업을 하고 있다. 학교 주변은 먹을거리나 유흥점이 거의 대부분인 문화적, 예술적으로 고립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신안1리 지역은 학생들 대부분이 재학 중에만 잠시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보면, 신안1리는 인근 원룸에 거주하는 학생들과 주민들 간의 교류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주민들은 홍익대학교 학생들의 재능기부와 마을행사 참여를 원하고 있으나 학생들은 지역사회 커뮤니티 참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인근지역인 신안1리를 대상으로 주민과 학생들의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으며,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종시 조치원읍 신안1리를 중심으로 주민과 학생들에게 각각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의견을 조합하여 앞으로 캠퍼스타운이 성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컨테이너를 활용한 거점시설은 주민들과 학생들의 만남의 공간을 제공하는 시작점에 있어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가 공유할 수 있는 거점시설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도농지역 캠퍼스타운 활성화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As part of Youth Jochiwon Project, which is a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Jochiwon, Sejong City, a campus town that connects Hongik University and Shinan-ri has recently become financially viable. This project aims to establish a ‘local base camp’ where residents and student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mmunity center for residents and students using sustainable architecture containers. The purpose is to contribute to urban regeneration efforts. In order for a campus town to be created, it is important to have a sense of community with active cooperation from residents. H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Hongik University students in creating a campus town. By sharing the results with resident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encourage encounters and interaction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university students. Jochiwon-eup Shinan-ri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jong City adjacent to Hongik University, Sejong Campus. Many Shinan-ri's residents cater to students by operating commercial businesses, such as studio rentals and restaurants. The area around Hongik University Sejong Campus is physically isolated from central Jochiwon with minimal provision of culture and art amenities. Most students stay only briefly during semester and leave upon graduation, never to return. Until now,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residents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business-based with almost no sense of shared community.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in this study show that residents want Hongik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village events as well as donate their talents to the local commun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have little interest and do not feel any need to do so. There are no studies on community spaces for residents and students in Shinan-ri and Hongik University. To fill this gap,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about creating a successful campus town by giving voice to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 문화예술지역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이해관계자 간 갈등구조 분석 : 홍대 앞 상권을 중심으로

        한설아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본래 젊은 계층의 특징 있는 문화지역을 대표하던 홍대 앞 지역이 대기업의 자본 유입 이후 이전의 정체성이 상실되고 점차 대중적인 공간으로 변모함에 따라, 여러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갈등이 유발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홍대 앞은 대학가와 일반주거지역이 혼합된 지역으로서, 가속화되고 있는 홍대 앞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주체를 파악하고, 각 주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갈등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으로 문헌연구, 내용분석, 심층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우선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5년간의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해 홍대 앞 상업화 과정에서 총 7개의 갈등주체가 추출되었다. 각 주체들은 갈등의 특성상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하나의 갈등 주제에 연계된 주체는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5개의 이해관계자 혹은 이해관계자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장 많은 갈등 주제는 임대료 상승에 관한 갈등이었으며, 그에 따라 파생되어진 소상인들의 고통과 문화예술인들의 홍대 앞 이탈현상으로 인한 갈등들이 주를 이루었다. 신문기사 내용분석에서 추출된 갈등주체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홍대 앞 갈등구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홍대 앞 소상인과 지역주민은 임대료 및 상권에 대한 갈등을, 문화예술인, 방문객, 학생은 홍대 앞 문화에 대한 갈등을 지니고 있다. 둘째, 갈등주체들은 홍대 앞 상권변화의 기점을 단순 대기업의 진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공항철도의 개통, 중국인 관광객의 대거 유입, 상가 강제철거 등으로 세분화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각 주체는 서로 상이한 갈등을 겪고 있으며, 특히 홍익대학교 학생이 갈등주체 중 가장 다양한 양상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넷째, 각 주체가 인식하고 있는 갈등의 이해관계자는 서로 상응구조가 아닌, 일방향적 구조가 주를 이룬다. 다섯째, 갈등 해소를 위하여 소상인과 지역주민은 대체로 시위, 항의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문화예술인과 학생은 이주, 민원제기 등 현실에 순응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 갈등주체들은 갈등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행정적 대책마련의 필요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갈등이 종료된 이후에도 대부분의 갈등주체가 홍대 앞 방문 또는 거주, 활동 등을 유지하겠다는 의견을 제시함에 따라 홍대 앞이라는 공간이 지닌 장소적 특수성은 현재 전개되고 있는 갈등과 관계없이 유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conflict from various interest involved people is arising, as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originally representing culture and arts areas, lost its identity after importing capital and gradually change into commercial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ain conflict parties of commercial process in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and analyzes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m. As for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s and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At first, the content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s from 2000 to 2014 reported that a total of seven conflict parties are found in the process of the commercialization in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For one conflict part, 2~5 stakeholders or stakeholder groups were involved. The most popular conflict topic was these increases in rentals, and that was what might cause retailers’ pains and cultural artists’ breakaway from the neighborhood. They were all what would bring about other conflicts in return. Findings of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nflict parties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Hong Dae neighborhood as follows. First, when the cultural artists, visitors and students are having conflicts over the culture in the neighborhood of Hong Dae, the retailers and the local residents are going through conflicts related to rentals and commercial supremacy. Second, every conflict parties are being suffered from all these different conflicts and in particular, the students of Hongik University as the conflict participants have turned out to be experiencing the most diverse aspects of the conflicts. Third, in terms of the interested parties of the conflicts that are perceived by each of the parties, they are dealing with one-sided structures but not these mutual corresponding structures. Fourth,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s, the cultural artists and the students are taking passive attitudes but as for the retailers and the local residents, they are mostly willing to demonstrate or protest. Fifth, the conflict parties suggest that administrative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no matter what to solve the conflicts. Last but not least, most of the conflict parties answered that they will keep visiting and residing as well as working in the Hong Dae neighborhood even after the conflicts are all settled down, and that has led the study to confirm that the local characteristic of this special space is still valid regardless of those currently-developing conflicts.

      • 지역문화를 공유하는 대학기숙사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를 중심으로

        김종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최근 서울과 수도권으로 대학이 편중되면서 주변에 있는 건물의 임대료 상승 과 임대 공급부족으로 대학 기숙사의 수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숙사 신축은 지역주민들이 생존권 및 일조권 침해, 음주소음, 성범죄 등의 이유로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고 대학과 주민, 대학생과 주민간의 감정싸움과 소송으로 사회적 비용과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현실이다. 대학 기숙사 시설들은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지대로서 대학 기숙사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연계는 도심 활력을 일으키고, 도시 이미지를 강화하는 한편 주변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재생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대학 기숙사 시설들은 대학 캠퍼스 울타리 내에 건립되어왔으며, 지역 사회와 격리된 형태로 발전되어왔다. 이처럼 대학 지원 기능중 하나인 대학 기숙사는 도심 활력증대, 문화지대 형성, 교육공간의 도시적 확장을 통한 새로운 도시이미지 강화, 지역 사회와 대학의 커뮤니티 강화 차원에 새롭게 고찰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과 연계하여 기숙사생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편의, 문화, 복지, 여가시설 등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함으로서 생활만족도 증대 측면에서도 지역 사회와 대학 기숙사의 적극적인 연계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문화를 공유하는 공간으로서의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공간을 제한하기 위하여 지역문화에 있어 주민의 참여 의의와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 역할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방문객, 주민, 학생들의 자발적 문화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간 프로그램과 디자인 표현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의 현황을 조사,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서울 홍익대학교 제2기숙사를 선정하여 공간계획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상 지역의 역사성과 대상지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의 폭넓은 세대가 공감할 수 있으며, 타 지역과 차별화된 공간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과 공간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공용 공간, 커뮤니티 공간, 상업 공간, 전시·체험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각 공간 구성에 맞추어 1층은 복합 커뮤니티 공간프로그램으로 세탁카페, 주민자치센터, 도서관등을 배치하였고, 지하 1층에는 문화 체험중심의 공간 프로그램으로 LP 라이브러리, 소극장, 전시장등을 배치하였다. 셋째, 2장의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을 개방성, 공공성, 복합성, 가변성으로 정리하였고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디자인 계획을 제시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개방성의 적용으로, 메인 출입구에서 큰 열린 계단 광장과 양쪽 벽에 홍대지역의 자유로운 문화를 나타내는 그래피티(Graffiti)등의 열린 공간들을 계획하여 커뮤니티와 지역주민과의 연계, 방문자와의 관심과 참여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공성의 적용으로, 공간을 통한 소통과 공동의 유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간 표현을 위해 푸드코트(Food Court)와 LP 라이브러리, 소극장등의 공간과 자연스러운 만남과 소통이 이루어지는 실내 정원등의 휴식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복합성의 적용으로, 공간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사람들과의 교류 및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카페안에 빨래방, 주민자치센터, 어린이보호소, 세미나룸을 계획하였고, 야외무대, 소극장, 오픈 라이브러리등의 공간을 계획하여 행사 및 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수용 할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였다. 가변성의 적용으로, 지역사회의 폭넓은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시도와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변적이고 다목적인 공간을 제시하였다. 종합하면, 지역문화를 공유하는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첫째, 학교시설은 지역사회의 공공시설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요즘 학교는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실정이고, 또한 현재의 지역사회 내에는 규모가 큰 시설들을 제외하고 소규모 공공 문화시설이 수적으로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사회의 공공 문화시설과 학교시설의 복합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공공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해야한다. 또한 지역의 공공 문화시설의 문화·교육의 기회를 제공을 하여 지역주민의 보급 및 질적인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대학 기숙사의 입지는 기숙사 거주인 들의 거주 만족도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대학 기숙시설 주변지역의 활성화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대학 기숙사는 지역민들과 지리적으로 밀접해 있어 지역의 커뮤니티의 장으로 활용하기 적합하다. 이에 시설 공간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특별 교실 같은 개발공간과 문화·복지시설 공간을 구성하고 고려해야한다. 셋째,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로 활용하기 위한 개방공간은 이용에 따라 융통성 있는 변화가 가능하게 하여 이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용시켰다. 따라서 일부 특별한 공간은 가변적 공간으로 계획하고 실내 활동이 외부로 확장 가능한 공간형태를 가지도록 고려해야한다. 대학 기숙사 시설은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결지대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지역 활성화 발전을 위한 대학 기숙사 시설은 개방성, 공공성, 복합성, 가변성을 살린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 계획과 디자인 표현특성들을 공간디자인 계획에 활용해야 하며, 향후 지역사회와 연계 및 공유를 위한 대학 기숙사 내 커뮤니티 시설의 발전을 위하여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colleges concentrate on Seoul and the capital area, the demand problem of the college dormitory is emerging due to the rental rise of the nearby buildings and the lack of the lease supply. However, local residents are objecting to newly building the dormitory for the reason of the intrusion of right to live and right to sunshine, drinking and noise, sexual crime, and the social cost and energy is being wasted due to the emotional fight and lawsuit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residents. College dormitory facilities are an important connecting zone that connects the college and the community. The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college dormitory and the community brings about the downtown vitality and reinforces the city image while creating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ecycling effect of the nearby region. Nevertheless, the domestic college dormitory facilities have been built within the college campus fence and have developed away from the community. Like this, the college dormitory, one of the college support functions, needs to be considered newly in terms of the downtown vitality boost, cultural zone formation, reinforcing a new urban image through the urban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community strengthening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llege. Also, the systematic study for the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llege dormitory is necessary in terms of the increase in the life satisfaction by providing the dormitory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with the accessibility to various conveniences, cultures, welfares, and leisur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pprehended the resident participation significance and the importance of the dormitory community space role regarding the local culture to restrict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as a space sharing the local culture, and drew the space program and the design expression way to attract the voluntary culture participation of visitors, residents, and student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omestic/foreign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was surveye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and the second dormitory of Hongik University in Seoul was selected as the subject to suggest the space plan as follows. First, the space that the wide generation of the region could sympathize and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was suggested by reflecting the place characteristic and the historically of the target region. Second, the space was comprised of the public space, community space, commercial space, and exhibition/experience spac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space analysis contents. The laundry café, community center, and library were arranged on the 1st floor by the composite community space program in accordance with each space composition, and the LP library, little theater, and exhibition center were arranged as the space program focusing on the culture and experience on the 1st basement. Thir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was divided into the openness, publicity, complexity, and vari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in chapter 2, and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design plan was suggested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By applying the openness, open spaces such as the graffiti that represented the free culture of Hongdae region on both walls and in the big open stairs at the main entrance was planned to indu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local residents and the visitors’ concern and participation. By applying the publicity, the space such as the food court, LP library, and little theater and the rest space such as the indoor garden where the natural meeting and communication are realized were suggested to express the space that could attract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space and the joint bond. By applying the complexity, the laundry room, community center, children shelter, and seminar room in the café were planned as a space to exchange and communicate with people by accepting the space diversely, and the space for accepting the event,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 was suggested by planning the space such as the outdoor stage, little theater, and open library. By applying the variability, the variable and multi-purpose space was suggested for different forms of new attempts and use to be done depending on various demands of a lot of members of the community. To sum up,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sharing the local culture, First, the school facility functions as a public facility of the community. However, today’s schools do not display this function properly and the small-sized public culture facilities are substantially inadequate except the large-sized facilities in the current community. Therefore, the public function of the community should be activate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should be maintained through the compositeness of this community’s public cultural facility and the school facility. Also, the chance of culture and education of the regional public cultural facility should be provided for local resident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Second, the location of the college dormitory needs to be examined newly in the aspect of the residence satisfaction of dormitory residents and in terms of the activation of the region around the college dormitory facility. Also, the college dormitory is appropriate to be used as a community place of the region because it is close geographically to local residents. Hereby the development space such as the special classroom and the culture/welfare facility space should be constituted and considered for the facility space to be shared. Third, the open space for using the educational facility or cultural facility was designed for the user-oriented program to be operated by facilitating the flexible change depending on the use. Therefore, some special spaces should be planned as the variable space and the indoor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to be expanded outside. The role of the college dormitory facility as a connecting zone between the college and community is important. Hereby when it comes to the college dormitory facility for the local activation development, the college dormitory community space plan and the design expression features which emphasized the openness, publicity, complexity, and variability should be utilized for the space design plan, and various and aggressive follow-up studies based on this study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facility in the college dormitory for the connection and sharing with the community.

      •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 및 특성에 관한 분석 :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관점에서

        진창종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nsition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of residential areas and to find characteristics of culture-led gentrification. A case study is conducted in Hongik University Area, Seoul, South Korea. Often called "Hongdae-ap" in Korean, the area is one of the most vibrant cultural center and famous tourist attraction. Leading to the main analysis, this study sums up the previous studies qualitatively expecting that artistic and cultural capital might be a main reason to attract visitors and increase stores and thus to trigger commercialization of residential areas. To test the hypothesis quantitatively, this study relies on three step analysis. The first step is to build time-series maps with the number of commercial enterprises. Industrial classification data for ten year period (2000∼2010)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commercialization. The time-series maps help find the general trend of changing number of commercial enterprises among about 80 analysis zones i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mapping result, the ten-year period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2000∼2003) shows commercial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nterprises was focused analysis zones near 'Hongik university' subway station and 'Eoulmadang-ro', the linear pedestrian corridor leading to the station. In the second period (2004∼2007), commercialization is spilled over to the nearby residential areas. In the third period (2008∼2010), the commercial- ization was slowed down in the entire study area. The second step 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commerciali- zation through regression modeling. Analys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commercialization about each periods. With three types of explanatory variables (built environments, natural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s), three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for commericaliz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commercial enterprises for each priod. The first model analyzing the trend between 2000 and 2003 shows that proximity to wide roads and to cultural facilities and existence within commercial land-use zones turns out to b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of commercial enterprises. Second model analyzing the second period between 2004 and 2007 shows that proximity to (type 2) residential areas and to cultural facility is the main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Third model analyzing the period between 2008 and 2010 finds that commercialization is spilled over to the area with low land price and proximity to 'Eoulmadang-ro' is also the factor for commercialization. Final and third step is to fi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entrification in Hongdae area. To interpret the trend, population and land price variation was used. For the last ten years, land price has increased rapidly whil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area has reduced. It is inferred that commercialization of Hongdae area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 It triggered and expedited regeneration of the study area but at the same time some residents were pushed out of the area for increasing rent and housing prices.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급격한 변화와 상업화를 이룬 홍대앞에 대하여,그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문화적 요소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주도하였음을 검증함으로써,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홍대앞 문화 보호의 필요성을 역설하고자 진행되었다. 변화과정 분석에 앞서, 홍대앞의 상업화를 유도한 방문객 증가에 대하여 그 주요요인인 홍대앞의 예술·문화적 장소성에 대한 정리를 통해 홍대앞 문화의 다양성과 예술·문화적 장소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본론에서는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2000∼2010년 간 홍대앞의 변화과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상업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대리지표로 사업체수 자료를 활용하였고, 그 연도별 변화추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업체수의 세부 구역별-시기별 증감 정도와 증가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도별 사업체수 변화의 패턴을 확인한 결과, 3∼4년 단위로 그 특징을 구분 지을 수 있었다. 초기(2000∼2003)에는 홍대입구역과 어울마당로 상권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시기로 볼 수 있으며, 중기(2004∼2007)는 초기의 발달구역과 더불어 그 인접구역 및 ‘주택가’ 로 상권이 전이된 시기로 볼 수 있고, 후기(2008∼2010)는 증가의 폭이 다소 줄어들며 안정기를 보이고 있으나 일부 구역에서 새롭게 급증하고 급감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즉, 시기별로 ‘증가 - 전이 - 안정’의 단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구역별로 상업화의 진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2000∼2003, 2004∼2007, 2008∼2010) 기준년도 대비 사업체수 증감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건조 환경, 자연 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지표 관련 변수를 독립변수로 구성하여 사업체수 변화량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홍대앞의 상업화 과정에 있어서 사업체수가 초기에는 대로변, 상업지역 위주로 증가를 이루었으며, 중기에 들어서 블록 내부의 주거지역에 본격적으로 침투하기 시작하였고, 후기에는 어울마당로 주변으로 상권이 안정화되었으며 지대가 낮은 주거지 위주로 사업체수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문화관련 사업체수 변수가 초기와 중기에 걸쳐 사업체수 증가에 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문화관련 업종이 홍대앞의 상업화를 선도한 주요 요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가변화와, 인구·가구·주택수의 변화를 통해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홍대앞은 지난 10년 동안 사업체수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지가가 동반 상승하였으며, 거주인구는 줄어드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홍대앞의 변화 과정을 낙후된 주거지가 재활성화되고, 기존 거주민이 지대상승으로 인해 밀려나가는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홍대앞의 젠트리피케이션은 지역이 유명해지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된 긍정적인 면과 주거지의 상업화로 인한 거주공간의 감소와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인근 홍익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및 예술가들을 포함하는 기존 거주자들이 외부로 밀려나가는 부정적인 면을 모두 담고 있는 한편, 인구분포 변화 분석을 통해 홍대앞에서 밀려나간 인구가 타 지역으로 이동한 것이 아닌 비교적 지가상승이 덜 발생한 홍대앞 주변지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 홍대 지역 문화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창작스튜디오 계획 : Landscape urbanism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지훈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21세기는 문화예술의 세기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 산업을 지원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문화 활동에 투자한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향수권을 내세우는 각종 이론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가 마련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문화예술의 세기’로 규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 공간이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홍대 앞 거리는 이미 자생적으로 생겨난 여러 문화를 가지고 있다. 미술, 디자인, 대중음악, 춤, 공연, 영상 등 인디정신과 언더정신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인디 혹은 언더문화로 불리는 비 제도권 문화와 다양한 이벤트가 있는 홍대 앞은 사람과 프로그램이 주가 되어 지역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람들의 행위를 담아 낼 수 있는 장소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지만 깨끗이 치우고 다듬어 진 곳엔 상업적인 대학문화가 부분적으로 관입되어 가면서 홍대 앞 특유의 문화를 잠식 시키고 있으며 이는 결국 여느 대학가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변해가게 될 것이다. 이를 홍대 지역의 문화적 감수성이 묻어나는 스타일로 만들어 나가고, 일상의 모습을 담아내는 것을 통해 홍대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이 기념비적 문화시설을 통해 살아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당인리 발전소로부터 이어진 폐선부지에 무허가 건물들로 형성된 ‘홍대 앞’ 365거리의 문화적 활성화를 돕고자 제안되었다. 365거리는 자본의 유입으로 점차 상업적으로 변질되며 가로의 성격을 변화 시켜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대지를 문화적으로 활성화하기위하여 홍대의 문화적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창작스튜디오라는 건축적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하기 위한 도구로서 랜드 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의 특성을 적용한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창작스튜디오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개념 및 주요역할과 필요성 을 고찰하고 스튜디오의 시설 및 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창작스튜디오의 계획 방향을 설정한다. 제 3장에서는 대지선정 및 분석으로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 조성계획안에 대한 고찰과 계획대상지에 대한 정체성과 공간분석을 한다. 제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된 건축계획 방향을 바탕으로 홍대지역의 문화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창작스튜디오 계획을 제안한다. 지역 문화시설로서 증대되는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이용자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하여 편의를 제공하며 효과적으로 홍대 앞 거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21st century is regarded as the period for culture and art. Many countries in the globe support industries about cultural activities in government perspective, and various companies pays for the cultural and artistic ceremonies and happenings. Coming with 21st century, some significant views about cultures and their supporting legislations and in Korean society, and various kinds of cultural spaces has been built to encourage the paradigm of 'the century for culture and arts'. This study has investigates the street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in short, Hongdae), which has prospered its own cultures. Individually dependent atmosphere such as arts, design works, commercial music, dances, performances, media arts are gathered together, and these show most informal street cultures with various kinds of events, and authentic local atmosphere. However, this cultural features are disappearing with the influx of commercial collegiate characteristics, and it finally cleans the Hongdae are with less programs and performances, and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the other universities' streets. This study aims to maintain its own sensibilities with its own street styles, and daily lives in the area, while memorable spaces or buildings are remained with cultural variety. This study is coming from the attempt to prosper Hongdae 365 Street in culturally development with unauthorized buildings from Dangin-ri powerplant. 365 Street has been changed to commercial area with inflow of capital. So this study suggests a creative studio as an architecture program, which can at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Hongdae area, and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as a planning tool. This is the content and order of the study- 1. Sets the purposes and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explains the method of the study. 2. Looks out the definition, main roles and necessities of creative studio and landscape urbanism, and makes a framework of the studio designing from the facilities and space analysis. 3. Analyzes the identity and space of the studio, with the planning of local area development, and location selection and candidate sites. 4. Based on the approach of studio built up and its design attemption, suggests to build the creative studio for cultural infrastructure setup.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boom up the Hongdae area’s cultural atmosphere effectively, while satisfying the users’ shoes and fulfilling the cultural demand with proper facilities.

      • 대학가 노후 다세대·다가구 주택 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정기진 弘益大學交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재 도시의 구조는 8.15 광복과 6.25 전쟁 후 서울뿐만 아니라 대도시로 인구가 대거 유입되면서 도심 과밀화로 인한 도심 주변 구릉지와 하천, 철도 변 등 도시 빈민가와 판자촌이 도시 내에 만연하게 퍼져갔다. 서울시는 도심지로 몰려드는 서민들을 위한 주택공급 문제를 해결하고자 1960년대 무허가 건물 철거와 이전을 통해 도시를 정비하는 사업을 대대적으로 시행 하였다. 1960년 전반기 도시계획구역 확대를 시작으로 후반기에는 대규모 토지구획정리사업과 주택지 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교통시설과 택지조성, 주택 건립의 건수가 90% 이상에 달할 정도로 주택 보급을 통한 인구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썼다. 주거의 표준화, 대량생산 형태의 물량 위주 주택 공급으로 1980년대에는 가장 보편적인 주거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1995년까지 단독주택이 주된 주택이었으나 2000년부터 아파트(47.7%)가 주택 유형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아파트의 연구와 정책들로 인한 고급 주거 이미지로 인해 직장인, 신혼부부 등 주택을 구입할 능력이 부족한 계층이나 1~2인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핵가족화,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과 같은 20, 30대의 젊은 층들이 다세대· 다가구 주택으로 몰리게 되었다. 1990년대의 사회·제도적 변화로 인한 주택의 양산으로 현재(2016년 기준)는 전체 주거 비율의 47.7%를 차지하고 있지만, 대학 주변 20년이 지난 다수의 노후 주택으로 세입자들의 거주 및 가로 환경이 악화되고 폐쇄적이며 획일화된 주택지에 살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노후 다세대·다가구 주택지 내의 획일화되고 폐쇄적인 건물 환경과 가로를 개선하고 1~2인 위주의 세입자들을 위한 건물 활용에 대한 시스템과 법적 개선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 소재 대학 중 홍익대학교의 주변을 대상으로 지정 하였다. 홍익대학교 주변 주택의 특성상 학교와 상업, 업무 지역에 밀집해 있으며 노후 다세대·다가구 주택이 일부 가로와 거주자의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므로 일부 건물군을 선택하여 문제점과 개선책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학가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현황 및 노후도를 조사, 참고하여 고찰한 후 국·내외 문헌 조사, 인터넷 검색, 현장조사를 기준으로 현재 운영 중인 홍대 주변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규모 및 건축계획, 법규 문제를 분석하여 서울 도심지 내 노후 주택 개선을 통한 쾌적한 환경의 주택 계획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특히 주택 간의 최소 이격거리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불법 증축된 부분으로 인한 가로 환경, 맞벽 부분, 주택가 옥상 활용에 대한 건축적 해결책으로 대학가 노후 주택의 새로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시한다. 제 1장에서는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선행연구논문을 참고하여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방법을 설정한다. 제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개념과 기준, 변천 과정, 제도의 변화 과정을 정리하여 현재 주택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과 특성을 분석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현재 주택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정리하고, 개선 방안을 선행연구논문을 통해 알아본다. 제 4장에서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계획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 5장과 6장에서는 서두에서 노후 주택을 활용하여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가로를 활성화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위한 참여형 스마트 지도 만들기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를 중심으로

        김규남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과학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신안1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자리하고 있어 지역 주민보다 대학생 인구가 많은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이다. 이 지역은 도농지역이라는 특성상 젊은 대학생들이 거주하기에는 편의시설이 부족하며 어두운 길거리는 신변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의 문제점들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대학생들의 삶이 반영된 지속가능한 신안1리만의 지도를 구상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하고 편리한 그리고 친환경적인 캠퍼스타운 조성을 위한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의 참여형 스마트 마을지도 만들기 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농지역과 캠퍼스타운에 대한 개념 정리와 마을지도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조사하였고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현황조사로 구성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지역 구성비가 지역주민 대비 대학생의 비율이 많음 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대학생들을 위한 시설과 장소는 부족하고 대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참여나 역할에는 소극적 인 것을 알 수 있다. 설문조사의 결과, 통학로 이용은 안전한 통학로보다는 최단 거리의 샛길 통학로를 선호하고, 캠퍼스타운 내 자주 가는 장소와 상징장소는 접근성과 인식성이 좋은 마을회관 건너편의 큰 나무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불편사항으로는 병·의원의 부재, 공공시설 및 문화시설 등의 부족으로 꼽았고 개선 요구로는 골목길 정비, 빈집 활용, 저렴한 주거공급, 광장 및 공공장소 설치 등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다. 현장 조사결과, 샛길 통학로 열악한 보행 환경과 안전 시설물 현황을 통해 안전에 취약한 골목 현황, 그리고 공공시설 및 편의시설의 부족 현황과 빈집(빈 상가)의 존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신안1리에 위치한 홍익대학교주변 안전한 골목지도라는 의미의 (가칭) “신안홍길(신나고 안전한 홍대주변 길)”이라는 캠퍼스타운 지도를 만들고 지역의 지리적 정보, 그리고 다양한 활동들을 지속적으로 제공과 시‧공간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다음 단계이다. 오프라인 지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매핑 지도를 제안하여 마을 구성원인 대학생-지역주민-학교-지자체 간 협력과 지역발전을 위한 상생 방안 마련 등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대학생 관점에서의 캠퍼스 타운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생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구와 필요인 주거, 교통, 안전, 의료, 복지, 교육에서부터 창작, 문화, 그리고 생산까지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마을지도를 활용한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사용을 통하여 지역주민과 학생이 주체가 되는 젊음과 예술을 바탕으로 활력이 넘치는 도농지역 캠퍼스타운을 추구한다. Jochiwon-eup Shinan1ri is an urban-rural campus town where Sejong Campus of Hongik University and Sejong Campus of Korea University are located, and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local resident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urban-rural area, there are insufficient amenities to use. There are many dark streets which make students feel uneasy about saf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 way to improve the urban-rural campus town and to plan a sustainable Shinan1ri’s new map to reflect the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articipatory smart village map of the campus town in the urban-rural area for the safe, convenient, and eco-friendly campus town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campus town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village are investigated. The research method is composed of a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a present-condition investigation. The literature survey shows that there are more students than local residents. The convenient facilities and places for college students are insufficient. Students are reluctant to a participation and role in town community.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students prefer the shortest pathway to the safe school pathway, and that the large tree across the town hall is a favorite place and a representative site in the campus town. Students feel inconvenience due to the lack of vending machine, public facility, and cultural facility, and request various matters such as maintenance of alleys, use of empty houses, supply of cheap house, and installation of public areas and plazas. The field survey shows that pedestrian environment is poor and unsafe. In addition, a lack of public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an existence of vacant houses (empty shop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produce a campus town map named "Shinan Honggil (a beautiful and safe way around Hongik University)", meaning "safe alley map around Hongik University". It is the next step of this research to provid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various activities of the region continuously and to share a time and spatial change of the region in real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offline map, this study proposes a smart map that applies smart technology to enable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uch as cooper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local residents, school, and local governments, and a win-win plan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smart map which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requirement of campus town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ity students helps community do various activities relating to housing, transportation, safety, medical care, welfare, education, creation, culture, and production. The research proposes the vigorous, young and artful campus town that both local resident and student become a subject through free access and use of space using the smart map of the vil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