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체험가치와 공유가치창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김글,장동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3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체험가치를 통한 공유가치창출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 복합문화공간 체험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50부의 설문결과를 수집하였다. 주요 변수는 체험가치, 공유가치창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이며 변수들 간의 관계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체험가치는 공유가치창출과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와 정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을 띄고 있었다. 공유가치창출은 직접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면, 공유가치창출은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그에 따라 브랜드 충성도가 형성되는 간접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체험이 공유가치창출과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체험 기회 및 대상을 확대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하며,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인지과학 측면의 기술적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기업이 의도한 공유가치가 소비자가 향유하는 문화적 혜택에서 그치지 않고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전략’의 수립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ng shared value through cultural complex space of companies o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n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rporate, consumer, and social shared value through the expansion of cultural complex spac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general adults who have experience of visiting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and 3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main variables are experiential value, creating shared value, brand image, brand loyal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xperiential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ng shared value and brand image enhancement, and brand image is closely related to brand loyalty. Shared value cre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brand loyal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reating shared value leads to the formation of the brand image and the indirect effect that the brand loyalty is formed accordingly. The shared value that the company intends sh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uthentic strategy' that can not only endure the cultural benefit enjoyed by consumers but also imprint corporate brand image.

      • KCI등재

        체험경제이론의 4Es가 기업과 브랜드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 복합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김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 업은 복합문화공간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복합문화공간 체험을 체험경제이론에서 제시한 오락적, 교육적, 심미적, 일탈적 체험으로 구분하여 효과 검증을 목적 으로 하였다. 기업 복합문화공간을 체험한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 32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 하여 체험경제이론에서 제시한 4가지 체험유형이 기업과 브 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과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 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체험경제이론에서 제시한 4가지 체험유형 중 오락적 체험은 기업과 브랜드 이 미지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적, 심미적, 일탈 적 체험은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과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 복합문화공간 의 체험은 기업과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며, 결과적으로 브랜 드 충성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체험유 형에 따라 영향력 차이가 나타나 기업에서는 이를 고려한 복 합문화공간의 구성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o 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corporate soci al responsibility compani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by dividing the exp erience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into entertain ment, educational, aesthetic, and deviant experiences suggested in the experiential economy theory. The data of 32 3 general adults who have experienced corporate multicul tural spaces were collected and using the structural equat ion model, the effect of the four types of experience sugg ested in the experiential economy theory on the image of a company and brand, and the effect of the image of a company and brand on brand loyalty was analyzed. Amo ng the four types of experience suggested in the experien tial economy theory, entertainment experiences had a pos itive effect on both the corporate and brand image, but educational, aesthetic, and deviant experi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both corporate and brand image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the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enhances the ima ge of the company and the brand, and consequently contr ibutes to the improvement of brand loyalty. However, the re are differences in influ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experience, so companies need to configure a complex cul tural space and develop a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i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 관련 연구 동향

        김글,장동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향을 체계 적으로 정리하여 향후 디자인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할 기 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4차 산 업혁명’과 ‘디자인’을 키워드로 정하여 논문검색 사이트를 통 해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의 게재연도, 게재 학술지, 주제어,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연구 동향 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과 디자 인에 관련한 연구는 2016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 며, 주로 예술체육학 관련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연구의 주제 어는 디자인 방법론, 융합기술, 디자인 교육, 디자인 유형, 디자 인 개념에 관한 주제어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연구내용 을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 변화에 적응하기 위 한 디자인의 제안에 관한 연구와 디자인의 방향과 디자인 역 량을 탐색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문헌을 조사하거나 사례 분석을 통해 결 론을 도출하는 질적연구방법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연구방법의 확대와 다양화가 필요하다. 둘째, 디자이너의 역할을 재고하고 역량을 재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 째, 학문 간 융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디자인은 그 특성상 기술과의 융합뿐만 아니라 경영학, 교육학 등 다학제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특히 디자인에서 인문학적 사고는 필수 요소이므 로 이와의 융합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통해 디자인 의 가치를 높이고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와 방안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su 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design field by syst ematically organi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4th in dustrial revolution and design. To analyze research trends, we select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sign’ as ke ywords and collected journal articles through a thesis sear ch site. The collected papers were classified into the year of publication, journal, key word, research content, and res earch method, an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s a re 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research related to th 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sign has been conducted in earnest since 2016, and has been mainly published in ac ademic journals related to arts and physical education. Ke y words of the study showed a large distribution of design methodology, convergence technology, design education, d esign types, and design concepts.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research on the design proposal and the researc h on the direction and capability of the design showed a large distribution.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l 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 rch direction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method. Secon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rethink the role of designers and redefine their capabilities. Third, research on interdisciplinary convergen ce is needed. Design should create new design value thro ugh convergence with various disciplines as well as with technology. In particular, humanistic thinking in design is an essential element, and fusion with it is necessary. Ther e is a need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value of design through convergence with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d ucation.

      • KCI등재

        산소 발생 반응 용 전기화학촉매로 사용되는 CoFe2O4 나노 입자 합성 및 특성 분석

        이주영,김글한,양주찬,박유세,장명제,최승목 한국전기화학회 202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23 No.4

        전기 물 분해 기술 중 주요 과제 중 하나는 귀금속의 Ir과 Ru 기반의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고성능, 저비용의 산소 발생 반응 (OER) 촉매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oSO4와Fe(NO3)3 수용액을 1차 가열 후 KNO3와 NaOH 추가 반응을 이용한 침전법을 이용하여 OER 촉매로 사용 가능한 역스피넬 구조의 약 44 nm 크기를 갖는 CoFe2O4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다. CoFe2O4 나노 입자의 합성 시간을 조절하여 입자 및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였다. CoFe2O4 나노 입자의 합성 시간이 6시간일 때, 높은 전도성과 전기 화학 표면적을 가졌다. 이 CoFe2O4 (6 h)는 전류 밀도 10 mA/cm2의 과전압 및 Tafel slope는 각각 395 mV 및 52 mV/dec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촉매는 10 mA/cm2에서 18시간 동안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냈다.

      • KCI등재

        전착법을 이용한 촉매-기판 일체형 구리 코발트 산화물 전극 개발 및

        김도형,김글한,최승목,이지훈,정재훈,이경복,양주찬 한국표면공학회 2022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5 No.3

        The production of hydrogen via water electrolysis (i.e., green hydrogen) using renewable energyis key to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society. However, most current electrocatalysts arebased on expensive precious metals and require the use of highly purified water in the electrolyte. We demonstrated the preparation of a non-precious metal catalyst based on CuCo2O4 (CCO) viasimple electrodeposition. Further, an optimization process for electrodeposition potential, solutionconcentration and electrodeposition method was develop for a catalyst-substrate integrated electrode,which indicated the highly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of the material in electrochemical tests andwhen applied to an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zer.

      • KCI등재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이 공유가치창출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김글 ( Kim Gyul ),장동련 ( Chang Don R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경제적 풍요는 사람들에게 여가와 문화향유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기업의 복합문화공간은 소비자들의 문화향유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기업 이미지 및 충성도를 높임으로써 사회적 가치와 사업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이 공유가치창출과 기업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복합문화공간의 효과성을 규명하고, 기업 복합문화공간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상생의 장소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기업 복합문화공간 방문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8부를 제외하고 350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공유가 치창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은 공유가치창출과 기업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긍정적 지각은 공유가치창출의 수준을 높일 뿐만 아니라 기업이미지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유가치창출의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이미지는 개선됨을 나타냈다. 또한 장소성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장소성은 공유가치창출을 매개로 기업이미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의 복합문화공간이 소비자의 문화향유에 대한 욕구를 충족을 통해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이 복합문화공간에서 새롭고 다양한 문화 경험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 디자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Economic richness is likely to induce recreation and cultural enjoyment.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meets a need of cultural enjoyment of consumer as well as based on which, simultaneously aims at social and business value by elevating corporate image and loyalty. In a sense, with an effect of sense of place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on shared value creation and consideration of corporate image examined,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o suggest an designation which could make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place for reciprocal growth become. For the purpose, normal adults of 358 who experienced of visiting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were sampl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total data of 350 excluding 8 respondents who were incomplete among the data collected were utilized to analyze a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place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on shared value creation and corporate image. The findings showed as follows. First, sense of place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had the direct positive effect on shared value creation and corporate image. This result revealed that positive cognition toward the sense of place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not only fostered shared value creation but also had the desirable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Second, shared value creation had the direc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which showed the high level of shared value creation, the better corporate image. In addition, sense of place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had the indirec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which showed the sense of place the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mediating shared value creation. Consequently, the study implicates that with the need of cultural enjoyment of consumer met the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could contribute to shared value creation as well as have the positive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In the future, indispensability of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design to satisfy the novel and diverse cultural experience and foster the corporate image in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 should be suggested for corpo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