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β-Glucan 추출에 미치는 온도, 용매 농도 및 pH의 영향

        이상훈,귀영,기종,이미자,태집,이준수,정헌상,Lee, Sang Hoon,Jang, Gwi Yeong,Kim, Kee Jong,Lee, Mi Ja,Kim, Tae Jip,Lee, Junsoo,Jeong, Heon Sa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추출조건에 따른 귀리겨 ${\beta}$-glucan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추출온도($40{\sim}60^{\circ}C$),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0~20%) 및 pH(5~9)를 변수로 중심합성계획법으로 설계하여 ${\beta}$-glucan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beta}$-glucan의 추출속도는 추출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에는 완만하였다. 총괄물질전달계수는 $3.363{\sim}8.552{\times}10^{-6}cm/min$ 범위로 낮은 추출온도에서는 추출용매의 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추출온도에서는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지만 pH에 의한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pH는 중성일 때보다 산성이나 알칼리성일 때 ${\beta}$-glucan의 추출량이 증가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라서 ${\beta}$-glucan 수용액의 점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총괄물질전달계수가 높을수록 crude ${\beta}$-glucan 수용액의 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점도, 추출율 및 총괄물질전달계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요인들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solvent concentration, and pH on the ${\beta}$-glucan extraction. Oat bran ${\beta}$-glucan was extracted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experiment factors, such as temperature (40, 45, 50, 55, and $60^{\circ}C$), ethanol concentration (0, 5, 10, 15, and 20%), and pH (5, 6, 7, 8, and 9). Under the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beta}$-glucan extraction rate and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oat bran ${\beta}$-glucan, and viscosity of oat bran extracts were investigated. As increasing the extraction time, the extraction rate of ${\beta}$-glucan increased.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beta}$-glucan ranged from $3.36{\times}10^{-6}$ to $8.55{\times}10^{-6}cm/min$, indicating the lowest at the extraction condition of $45^{\circ}C$, 15% and pH 8, and the highest at $50^{\circ}C$, 0% and pH 7. It was significantly greater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and decreasing ethanol concentrations of extraction solvent, except for solvent p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the extraction rate of ${\beta}$-glucan, and the viscosity of extract.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보리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이상훈(Sang Hoon Lee),귀영(Gwi Yeong Jang),현영(Hyun Young Kim),우관식(Koan Sik Woo),황인국(In Guk Hwang),기종(Kee Jong Kim),이미자(Mi Ja Lee),태집(Tae Jip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2

        열처리에 따른 보리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새쌀보리, 새찰쌀보리 및 흰찰쌀보리를 110℃~150℃에서 2시간 열처리하였으며, 총 및 수용성 β-glucan 함량, 순도, 분자량, 점도 및 재용해율을 살펴보았다. 3품종 보리의 총 β-glucan 함량은 7.77~8.40% 범위였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1.59~14.65% 범위로 증가하였으나, 140℃와 150℃에서는 6.30~8.33%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β-glucan의 함량은 무처리의 4.14~4.79%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6.11~10.29%까지 증가하였으며, 150℃에서는 3.01~5.60%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β-glucan의 순도는 3품종 모두 130℃까지는 31~37% 범위이었으나 140℃ 이상에서는 91%까지 증가하였다. 분자량은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더 컸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새쌀보리는 606,463 Da에서 1,404 Da으로, 새찰쌀보리는 698,541 Da에서 1,617 Da으로, 그리고 흰찰쌀보리는 669,539 Da에서 1,550 Da으로 감소하였다. β-Glucan 수용액의 점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높았고 흰찰쌀보리보다 새찰쌀보리가 높았다. 재용해율은 무처리의 50~55%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150℃에서는 96.75~97.99% 범위로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otal and soluble β-glucan contents, pur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heated barley varieties: Saessalbori (SSB), Saechalssalbori (SCSB), and Hinchalssalbori (HCSB). The barleys were h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of 110, 120, 130, 140 and 150℃ for 2 hours. The total β-glucan contents of raw SSB, SCSB, and HCSB were 8.40, 7.77 and 8.28%, and the soluble β-glucan contents were 4.79, 4.14, and 4.61%, respectively. After heating at 130℃, the total β-glucan contents increased to 11.59, 14.6, and 13.36%, as did the soluble β-glucan contents to 4.21, 7.96, and 7.23%, respectively. The purities of soluble β-glucan of the raw barleys were 35.11, 32.74 and 25.62%, but after heating at 150℃, it increased to 83.43, 91.02, and 88.01%,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 and viscosity of the β-glucan solu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The re-solubility of raw barley β-glucan was about 50%, but it was increased to 97%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ting of β-glucan can improve the utilization of barley β-glucan.

      • KCI등재

        홍국균 발효가 발아현미의 Monacolin K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훈(Sang Hoon Lee),귀영(Gwi Yeong Jang),민영(Min Young Kim),신제(Shinje Kim),이연리(Yuon Ri Lee),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8

        발아 온도와 기간에 따른 발아현미 홍국배양물의 홍국색소, monacolin K, citrinin 및 페놀 화합물 생성량과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아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증가하였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A500), 오렌지색(A470) 및 황색(A400) 색소 생성량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총 monacolin K는 현미(215.85 mg/kg)가 백미(40.41 mg/kg)보다 높았으며, 32°C에서 1일간 발아시킨 발아현미(1,263.04 mg/kg)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발아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곰팡이 독소인 citrinin은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 온도와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7°C에서 4일간 발아시킨 발아현미에서 13.80 mg/g과 1.30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과 총 항산화력은 발아에 의해 증가되어 32°C에서 1일간 발아시킨 발아현미에서 각각 22.16 mg TE/g과 62.27 mg AAE/g으로 가장 높았으나 발아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홍국색소와 monacolin K 생성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질로 발아현미가 유용하며, 배양에 사용된 Monascus pilosus 305-9는 citrinin을 생성하지 않고 monacolin K 생성량을 증가시켜 식품의 기능성 증진용 소재 및 균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monacolin K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onascus-fermented brown rice with different germin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Brown rice was germinated at 32, 35 and 37°C for 1∼4 days, after white rice (WB), brown rice (BR), and germinated brown rice (GBR) were fermented with M. pilosus 305-9 at 30°C for 20 days. The redness, yellowness and Monascus pigments increased after germination. Total monacolin K content increased from 215.85 mg/kg of BR to 1,263.04 mg/kg of GBR (32°C/1 day), whereas monacolin K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 in germination period. Citrinin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Total polyphenol (TPC) and flavonoid contents (TFC) increased with increase in germination temperature and period, whereas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TAA) decreased due to reduction of Monascus pigment content. The TPC and TFC showed the highest values (13.80 mg/g and 1.30 mg/g, respectively) in GBR (37°C/4 day), whereas EDA and TAA showed the highest values (22.16 mg Trolox equivalent/g and 62.27 mg ascorbic acid equivalent/g, respectively) in GBR (32°C/1 da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germination temperature and period for increasing monacolin K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as found to be at 32°C for 1 da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 pilosus 305-9 was a useful strain for increasing monacolin K content without producing citrinin in functional foods and pharmaceutical industrial regions.

      • KCI등재

        연구논문 : 알칼리 가수분해에 따른 보리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이상훈 ( Sang Hoon Lee ),귀영 ( Gwi Yeong Jang ),기종 ( Kee Jong Kim ),이미자 ( Mi Ja Lee ),태집 ( Tae Jip Kim ),이준수 ( Jun Soo Lee ),정헌상 ( Heon Sang Jeo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3

        알카리 가수분해에 따른 보리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새쌀보리, 새찰쌀보리 및 흰찰쌀보리에 0.2~1.0 N NaOH를 처리하였으며, 총 및 수용성 β-glcuan의 분자량, 점도 및 재용해율을 살펴보았다. 3품종 보리의 총 β-glcuan 함량은 7.77~8.40% 범위이었으며, 알칼리 가수분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6.89~7.54%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β-glcuan의 함량은 무처리의 4.16~4.80% 범위에서 알칼리 가수분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4.30~4.82%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용성 β-glcuan의 순도는 3품종 모두 30.91~35.79% 범위이었으나,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해 74.02~81.41%까지 증가하였다. 분자량은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더 컸으며, 알칼리 가숩ㄴ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크게 감소하였다. β-glcuan 수용액의 점도는 알칼리 가수분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높았고, 흰찰쌀보리보다 새찰살보리가 높았다. 재용해율은 무처리의 50~55% 범위에서 알칼리 가수분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1.0 N NaOH 처리구에서 80.00~87.66% 범위로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otal and soluble β-glucan contents, pur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kali hydrolyzed barley varieties: Saessalbori (SSB), Saechalssalbori (SCSB) and Hinchalssalbori (HCSB). The barleys were hydrolyz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odium hydroxide (0.2~1.0 N) for 12 hours. Total β-glucan contents of raw SSB, SCSB and HCSB were 8.40, 7.77 and 8.28%, and soluble β-glucan contents were 4.80, 4.16 and 4.61%, respectively. The total β-glucan contents after alkali hydrolyzed at 1.0 N NaOH were 7.54, 6.89 and 7.54%, also soluble β-glucan contents were 4.82, 4.30 and 4.55%, respectively. The degree of purity of soluble β-glucan in SSB, SCSB, and HCSB were 35.79, 30.91 and 33.90%, respectively. They were increased to 74.02, 75.28 and 81.41% after hydrolyzed at 1.0 N NaOH,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 and viscosity of soluble β-glucan solutions were decreased as sodium hydroxid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re-solubility of raw barley β-glucan was about 50%; however, it was increased to approximately 87% as sodium hydroxid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