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IM 복합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통합관리

        김가람,유정호,Kim, Karam,Yu, Jung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6 No.2

        건설산업에 BIM이 확대 적용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유지관리에 BIM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물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BIM기반 건축물 요구정보의 입력과정은 초기 설계단계에서부터 전문가에 의하여 유지관리를 고려한 수작업의 개입이 요구되며, 단계별 및 주체별로 시설물 유지관리 요구정보의 입력항목이 구분되어 있지 않아, 실무에서 이를 모두 입력 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지관리 요구정보는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기반의 건물 모델파일과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으나, 일반 사용자가 유지관리단계를 고려한 IFC 파일을 생성 하는 데에는 정보입력의 수준 및 범위에 대하여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진행 단계별 BIM정보 전달과정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복합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BIM기반 복합객체에 대한 속성정보의 통합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계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BIM정보의 개발상세수준에 따라 개별 제품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계별로 진행되는 BIM기반 데이터 분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속성정보에 대한 혼란을 제거하여 적정한 속성정보의 활용 및 분석결과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construction projects have increased and become more varied, and as such the management of BIM-based facility information is also increasingly important for facility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pecifically product data mapping, however, has some problems in the area of manual data entry and does not adequately consider the exchange requirements of facility mainten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etho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composite object information for BIM-based facility maintenance so that it can handle construction operation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data for a composite object. Therefore, we present a method to map COBie data to related materials of a composite objec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required information mapping between a building model and product data using a BIM library through optimal BIM data adoption. Moreover, it allows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specific product data at the design development phase.

      • 반복적 호모그래피 개선에 의한 강건한 평면 추적

        김가람(Kim. Karam),박정식(Park. Jungsik),박한훈(Park. Hanhoon),박종일(Park. Jong-Il)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7

        평면 추적(planar tracking) 기반의 카메라 추적에 있어, 특징 검출자의 반복성과 특징 기술자(descriptor)의 정합 성능에 따라서 떨림 현상(jitter)이 발생한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와 같은 연산력이 부족한 환경에서 고속화를 위해 특징 검출 및 기술 알고리즘을 간략화 시킬 경우, 이러한 떨림 현상은 심각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 영상을 워핑(warping)하여 특징 점을 재검출한 후 카메라 영상과 참조 영상(reference image) 사이의 호모그래피를 보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특징 검출 및 기술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완하여 떨림 현상을 크게(70% 이상)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 BIM 기반 데이터교환을 위한 라이브러리 활용 프레임워크

        김가람(Karam Kim),유정호(Jungho Yu)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8

        Using library for exchanging object property data has widely adapted to BIM-based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since the object libraries are mixed with product library, there are some problems to exchange the property data using BIM library. Thus, this paper developed a framework for BIM library usage for BIMbased data exchange. To that end, we reviewed the most widely used BIM library management system. Then, we developed the usage process of BIM library including object and product library separately. In addition, we proposed the ontological methodology for data mapping between object and product library. This framework will enable to ensure not only the consistency of object’s property data, but also the accuracy of modeling and engineering tasks through decreased human mistakes of data input process.

      • KCI등재

        여말선초 효행 기록의 변화

        김가람(KIM, Karam) 한국사학사학회 2021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3

        Considering filial piety as important, Joseon sought to establish a society in which filial piety could be practiced in various ways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However, Confucian filial piety could not have been fully established overnight as the nation wished. In response, Joseon attempted to spread filial piety through various policies, including publishing ethics books such as Samgang Haengshildo and awarding prizes to filial piety. However, the reformation in the pre-modern era had to take a very long time. Confucian filial piety took place slow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records of filial piety well shows this process. Records of filial piety began to appear in earnest when books on filial piety were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These records suggested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by describing various cases of filial piety. However, even if all of them dealt with filial piet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filial piety and the cases of filial piety that each record focused on. To sum this up, it is as follows. The HyoHaengrok (효행록) deals only with the Chinese case, but the Samganghaengsildo (삼강행실도) mainly deals with the Chinese case, adding that it is an example of the filial behavior of the Korean treditional countries. The Goryeo History (고려사) mainly deals with records of filial piety of Goryeo. Among them, Chinese cases were the most frequent cases of good for parents in their daily lives. In contrast, the cases of Korean traditional countri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cases of damage one’s own body issued in unusual situations. However, gradually, the good for parents of Koreans began to appear in the records of filial piety, and the funeral and memorial for parents began to emphasize the practice of Confucianism. This feature is especially evident when the same case is published in various records, such as Chaesun(채순) and Wicho(위초). Even if the main event has not changed, new content is added. This is a good example of how actions that were not previously recognized as filial piety have been recognized as filial piety or their importance has changed. It also shows that there is a change in perception of filial piety, with the most notable feature being the diversification of the method of filial piety. It began to recognize that acts in everyday life, not those that took risks for their parents who were in danger due to hunger, infectious diseases, war, and disease, were also considered filial piety. This lowered the standard for filial piety, Second, the period of filial piety was extended. Filial filial behavior continued not only to the parents while their parents were alive, but also to the funeral and parental commemoration process after the parents died. Through this, filial piety did not end with the death of the parents, but became an act that the son and daughter should do throughout their life. In the process, the subject of filial piety expanded not only to living parents but also to dead parents. Finally, the ceremony for dead parents is changing into a Confucian-style act. 孝를 중요하게 여긴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효를 실천할 수 있는 사회를 건설하고자 한다. 그렇지만 국가의 바람대로 하루아침에 유교식 효행이 완전히 정착될 수는 없었다. 이에 조선은 『三綱行實圖』 등의 윤리서를 발간하고, 효자에게는 포상을 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효행을 전파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전근대시대의 교화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다. 유 교식 효행도 오랜 시간 단계를 밟아가며 천천히 이루어졌고, 이 과정을 잘 보여 주는 것이 바로 효행 기록이다. 효행 기록은 고려 말 조선 초 효행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효행 서적이 발간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기록들은 다양한 효행 사례를 서술함으로써 효행의 실천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렇지만 모두 효행을 다루고 있다 하더라도 각 기록들이 중점적으로 다루는 효행 사례 및 효행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효행록』은 중국 사례만을 다루고 있으나, 『삼 강행실도』는 중국의 사례를 주로 다루되 한반도 국가들의 효행 사례로 덧붙이 고 있다. 『고려사』에서는 고려의 효행 기록만을 주로 다룬다. 이러한 가운데 중 국의 사례들은 일상 생활 속 지속적이며 정성을 다하는 ‘부모 공양’ 사례가 가장 빈번하였다. 이에 비하여 한반도 국가들의 사례는 비일상적인 상황에서 발행하 는 ‘신체 훼손’의 사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렇지만 점차적으로 조선인의 ‘부모 공양’이 효행 기록에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점차적으로 유교식 상 장례 실천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러한 특징은 蔡順과 尉貂처럼 동일 한 사례가 다양한 기록에 실릴 때 잘 드러난다. 주요 사건은 변하지 않았다고 하 더라도 새로운 내용이 첨가되는 것이다. 이는 이전에는 효행으로 인식하지 않 던 행위들이 효행으로 인식되거나, 그 행위에 대한 중요성이 달라졌음을 보여 주는 좋은 사례라 하겠다. 또한 효행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생김을 알 수 있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특 징은 효행의 방법이 다양화된다는 것이다. 굶주림이나 전염병, 전쟁, 와병 등으 로 위기에 처한 부모를 위하여 위험을 무릅쓴 행위가 아닌 일상 생활 속에서의 행위도 효행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효행의 기준을 낮춤으로써 효행 이 특수한 행위가 아닌 일상적인 행위라는 점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로 는 효행의 기간이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부모가 살아 있을 때 부모에게만 하는 행위가 아닌 부모가 죽은 후 장례 및 부모 기념 과정을 통해서도 효행이 이어지 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효행은 부모가 죽으면서 끝나는 것이 아닌, 자식이 평생 에 걸쳐 행해야 하는 행위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효행의 대상자가 살아있는 부 모뿐만 아니라 죽은 부모까지로 넓어졌다. 마지막으로 죽은 부모를 위한 추숭 행위가 유교식 행위로 바뀌어간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부모의 묘소를 조성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면 점차적으로 3년상 여묘살이 등을 거행하였다는 기록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고려사』 「효우」에서는 유교식 상장례를 거행하지 않는 것 을 비판하며 『주자가례』를 준수하는 사례도 등장하기 시작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BIM 기반 인허가 요구정보 생성 방안

        김가람(Karam Kim),유정호(Jungho Yu),김인한(Inhan Kim) (사)한국CDE학회 2015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0 No.1

        Us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design information to analyze various engineering processes has been widely adopted in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since typical building permit processes often require traditional 2D-based design information for submission and to obtain building approval, there are some challenges in delivering such data thru BIMbased design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d a methodology to generate and meet information requirements for permit applications and approvals based on BIM-based design information. To that end, we analyzed the required information necessary to make submissions for building approvals using the Seumter system. We then suggested a process to collect the required information from BIM-based data, and classified this into two types: BIM-internal and BIM-external information requirements. In addition, we proposed three algorithms to extract and to match between extracted BIM data and BIM-internal information requirements using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The proposed methodology enables to ensure the efficiency and the accuracy when providing data for building permit review and approval.

      • KCI등재

        16세기 초 유교식 효행의 변화-문소전의 장순왕후 신주 도난 사건을 중심으로-

        김가람(KIM, Kara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서강인문논총 Vol.- No.61

        유교 국가를 지향하며 개국한 조선은 『朱子家禮』를 기반으로 하는 일상생활 속 제례의 지속적인 실천을 효행으로 설명하며 이의 확산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15세기 조선은 가묘 및 신주를 통한 죽은 부모에 대한 지속적인 유교식 의례도 효행으로 간주하기 시작하는 등 효행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마치 죽은 부모가 살아 있는 것처럼 일상적인 공간에서 지속적인 효행을 실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일상생활 속 지속적인 효행의 실천은 조선이 지향하던 유교식 효행의 하나였다. 왕실 또한 文昭殿을 설립하며 왕의 혈통을 중심으로 하는 일상적인 효행을 실천한다. 그러한 가운데 문소전에 봉안한 장순왕후의 신주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조정은 이를 부모의 죽음으로 설명하며 흉례를 거행한다. 즉 가묘와 신주는 의례를 위한 도구가 아닌 죽은 부모를 대신하는 신성성을 획득한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16세기 초에는 士林을 중심으로 효행의 엄격한 적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등장한다. 15세기까지 국가는 상장례와 제례의 확산을 위하여 일상생활 내 의례 확산 및 실천에 집중하였는데, 16세기에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의례 실천의 진정성을 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은 禮와 孝가 동일한 것만은 아니라며, 문소전의 의례를 非禮로 규정하고 폐지를 요구한다. 이때 사림들은 문소전의 의례가 종묘의 역할과 겹치고, 의례가 너무 번독하여 정성이 깃들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었다. 己卯士禍 이후 中宗 대에 문소전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은 더 이상 없었으나, 여전히 많은 이들이 문소전에 대한 비판에 동조하였다. 즉 先祖를 위한 의례도 정성을 들이지 않으면 예가 아닐 수 있다는 새로운 인식이 확산하고 있었던 것이다. Joseon, which was founded to pursue Confucianism, sought to establish the Confucian order of Joseon based on the “Jujagye”(주자가례). In this process, filial piety based on “Jujagye” was actively utilized, and the continuous practice of rituals in daily life was explained as filial piety. In additi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of Confucian filial piety was pursued through various method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rituals related to Confucian filial piety. As such, the scope of filial piety expand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 filial piety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As a result, Joseon in the 15th century began to regard continuous Confucian rituals for dead parent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family tombs, called of “gamyo”. This allowed the people to practice continuous filial piety in a daily space as if their dead parents were alive. And the continuous practice of filial piety in daily life was one of Joseon"s Confucian filial piety. Among these, the royal family also intends to establish “Munsojeon” (문소전) to practice daily filial piety centered on the royal lineage. In addition, the Confucian-style listing ceremony in the early 16th century will gradually become a good practice through distribution of books on filial piety, reward policies, and various policies in the 15th century. The same recognition of the Confucian ceremony and filial piety can be seen through the theft of Queen Jangsoon’s ancestral tablet in Munsojeon. After the theft of Queen Jangsoon"s ancestral tablet in Munsojeon, the royal court held a memorial service explaining it as the death of their parents.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that rituals for dead parents through “gamyo” and ancestral tablet are one of filial piety has been established. The nation"s efforts throughout the 15th century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Confucian rituals and filial piety in Joseon society, which led to calls for strict application of filial piety in the early 16th century. Until the 15th century, the state focused on the spread and practice of ceremonies for parent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spread public ceremonies and rituals. However, in the 16th century, people who took a step further from these national policies began to demand the sincerity of ritual practice. They argue that examples and filial piety are not the same. After the “Gimyosahwa”, criticism of Munsojeon during the King Jungjong period no longer appeared, but many sympathized with the criticism of Munsoje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growing new perception that ceremonies for their ancestor might not be an example if one does not put one"s heart into i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