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공간의 아니마, 아니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임민택 ( Mintaek Lim ),백정훈 ( Junghoon Bae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 인간은 단지 남성, 여성이기만 한 것이 아니고 각자 독립적 성향을 가진 존재이다. 공간 또한 남성적 공간, 여성적 공간이 아닌 각자 독립적 성향을 가진 종합적인 공간으로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브랜드공간은 브랜드 정체성을 위하여 과도하게 특성 성별의 시각적 특징만을 상징화하는 페르소나 공간으로 치장되어 있다. 이러한 치장된 공간은 브랜드의 특정 성향을 대변해주는 역할을 할 수는 있겠지만 방문 고객의 무의식 속의 진정한 친밀감을 형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칼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을 통하여 공간의 자기실현이 진정한 의미의 공간 개성의 실현임을 증명하고 이의 확장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칼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에 대해여 고찰하고, 이의 사회현상학적 관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아니마 아니무스 이론이 단순히 사람의 인격에만 투사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공간 속의 투사가 가능함을 고찰하였다. 사례 조사를 통하여 남성성, 여성성이 강조된 공간 속에서의 반대 성의 시각적 특징이 드러난 요소를 고찰하여 남성성과 여성성이 조화된 공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결과) 아니마 공간의 사례 조사에서는 남성적인 페르소나를 가진 공간이었지만 내부에 여성성을 표현해주는 디자인이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서 고객들은 내면의 편안함과 친숙함을 느낄 수 있었다. 반면 아니무스 공간의 사례 조사에서는 여성적인 페르소나를 가진 공간이었지만 내부에 남성성을 표현해주는 디자인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반대성별의 공간적 특징을 브랜드 페르소나 공간에서는 특히 보완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해당 공간의 개성이 실현됨을 사례 조사 분석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결론) 자기실현은 한 사람의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한 전체정신이며 진정한 의미의 개성의 실현이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인격뿐만 아니라 공간 디자인에도 투사된다. 아니마 아니무스를 고려한 공간 디자인을 통해서 각자 외면의 페르소나를 보완해줄 내면의 자기를 체험할 수 있는 방향성으로 브랜드 공간이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contemporary society, human beings are not just men and women but the existences with independent characters of their own. The space should not be divided into masculine and feminine ones but should be designed as a comprehensive one with independent tendencies for both of them. However, some brand spaces are decorated with persona ones that excessively symbolize visual features of a certain gender for the brand identity. Such decorated spaces may do a role to speak for the tendency of a certain feature of the brand but it would be difficult to get the authentic familarity in unconsciousness of the visitors. This study is about to prove through Carl Jung``s Anima and Animus theories that self-realization of space is realization of the authentically meaningful space character and to suppose to expand and apply them.(Method) Carl Jung``s Anima and Animus theories were gone through, as well as their social-phenomenological points of view. Based on that, it is studied that Animus theory is possibly projected not only into personality but also into brand space. Through case study, it also looked at the elements revealing visual features of opposite sexes in the space, and presented orientation of the space where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emphasized. (Results) In case study of Anima space, there was a design to express femininity inside of the space that has masculine persona, and through which women customers were able to feel comfortable and familiar inside of them. In case study of Animus space on the other side, there was a design to express masculinity inside of the space that has feminine persona. Such spacial features of opposite sexes should especially be supplemented in a brand persona space, and the case study and analysis have proved through which that the character of the pertinent space would be realized. (Conclusions) Self realization is the whole spirit where a person``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re integrated, and the authentic realization of the character. Such point of view is projected not only on an individual character but also on space design. Brand space should be designed in the direction where people can experience themselves deep inside them to supplement their own exterior persona through the spatial design considering Anima and Anim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