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의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에 관한 연구- 국세통칙법 제23조 제2항 제1호를 중심으로 -

        길용원,신만중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8 국제법무 Vol.10 No.2

        일본의 경우 과세처분에 대한 경정사유 중 후발적 사유에 의한 경정청구에 대해서 해석에 따른 적용여부가 문제된 사안에 관해 법원 등에 따르면 그 사유의 인정 요건으로서 ① 납세자의 예측가능성 즉 신고 시 예측하지 못한 사유가 생길 것, ② 귀책성 즉 예측하지 못한 데 있어 귀책사유가 없을 것을 들고 있다. 따라서 “납세자의 예측가능성”과 “납세자의 귀책성”이라는 2가지 관점에서 후발적 사유의 적합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발적 사유인 국세통칙법 제23조 제2항 제1호의 경우에는 납세자의 제소에 따라 소송이 진행되며, 통칙법 시행령 제6조 제1항 제2호의 경우에도 납세자 간 계약의 해제 등이 모두 납세자의 의사가 개입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잠재되어 있다. 또한 국세통칙법 제23조 제2항 제1호의 “과세표준 등 또는 세액 등의 계산의 기초가 된 사실에 관한 소송에 대한 판결 등”에서 “판결 등”과 관련하여 “판결”의 모든 또는 판단된 내용의 모두(판결 이유 중의 판단도 포함)를 대상으로, 경정청구를 인정하는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이어 기판력 등 판결의 효력과 관련하여 경정청구가 인정되는 범위가 제한되는지에 대해서는 법조문상 명확하지 않아 그 판단기준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2항 제1호에서 이와 유사한 규정을 두고 있는바, 그 의미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일본의 학설과 판례는 일정한 시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판결”의 적합성의 요건으로 객관성과 합리성을 가지는 판결일 것이 요구된다. 당사자가 공모에 의해서 오로지 조세부담을 면할 목적으로 실체와 엇갈린 판결을 얻은 경우에는 후발적 사유에 기한 경정청구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동호의 “판결”에 해당함을 부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조 제2항 제1호의 적용요건으로서 명문의 요건 이외에 통상의 경정청구의 기간 내에 경정청구를 하지 않은 것이 “부득이한 이유”가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통상의 경정청구의 기간인 1년을 넘어 행하는 경정청구에는 판결 등의 이유가 있는 것만으로 허용되지 않고 납세자에게 귀책성이 없는 것도 요구된다. “부득이한 이유”는 모호하고, 항상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할 것인지 의문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조세부담의 불공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우려되고 조세법률주의의 요청에 기한 법리적 타당성이 지속적으로 문제될 수 있으므로 과세관청 및 법원 등은 후발적 사유의 판단기준을 유형화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명확히 한다면 납세자의 예측가능성이 더욱 도모될 것이다. Article 23 (2) of the Japanes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states that “Where the transactions or act, etc. which forms the basis of calculation of the tax base and the amount of taxes in the initial return, determination or correction, is confirmed as a different one by a final judgment (including any reconciliation or other act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judgment) in the lawsuit against it”. This provis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paragraph of Article 45-2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in South Korea. In light of these points, the discussions in Japan provide us with considerable insights. And Korea’s claim of reassessment has been claimed by scholars critical of the revised return system and is known to have been based on the provisions of Article 23 of the Japanes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Article 6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Therefore, it is worth seeing the discussion process of the Japanese system regarding the request for rectification. In order to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Judgment” set forth in Article 23 (2) of the Japanes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two requirements are needed, which are not mentioned in the text. The first is a “true judgment”, which means that decisions made with the sole purpose of avoiding the burden of taxes and decisions that are not objectively and reasonably well-grounded, such as confirming facts that are clearly different from objective facts, are not accepted. Secondly, there must be “compelling reasons” for taxpayers not to file a request for rectification during the ordinary period for such request. In other words, the court recognizes the later occurring reason based on the “Imputable” and the “Predictable”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request for rectification based on the latter reason. In particular, the key criteria for the practice is “Imputable” which has no reason to be responsible for what taxpayers have not predicted.

      • KCI등재

        실질과세 측면에서의 위법소득 과세문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길용원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7 세무와 회계 연구 Vol.6 No.3

        Article 59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it as “Types and rates of taxes shall be determined by Act.” This means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t is one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tax law. The primary purpose of guaranteeing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and stabilization of legal life. As another principle,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refers to taxation based on real substance rather than form. Tax evasion cases, which are subject to taxation problems in Korea, are similarly problematic in Japan. Illegal income means that the process of obtaining income is illegal. It may be classified as criminal illegal income and civil illegal income that is Invalid activity, cancellation act, and the like. Although there is no clear provision in the tax law, many theories and Supreme Court precedents are positive for taxation. Due to indefiniteness of regulation about it,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can be a key factor. Some argue that taxation on illegal income is not related to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t is only a matter of the scope of taxable income under the Act. However, it can not be denied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illegal income. Article 59 of the Japan Income Tax Act stipulates it as “Where a person who is deemed to be a beneficiary of a revenue arising from an asset or a profit-making business does not enjoy the profits and enjoys enjoying the profits, the profits shall apply to the person who enjoys the benefits of this Act.” Article 11 of the corporate tax laws is not different. Basically, two theories conflict with regard to the meaning of ‘substanc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regarding positive for taxation in illegal income. We hope to find a solution to the dispute in our country through discussions on Japanese illegal income. This problem concerning the taxation of illegal income obviously reflects the economic substance. So this is not just about the interpretation of income concepts. In the case of Korea, the Supreme Court has recently ruled on illegal income, as a result, the academia has been once again focused on illegal income. Problems relating to the loss of illegal income are consequently linked to the attribution of income. The changes in the Supreme Court's rulings would be based on economic substance and avoiding normative attitudes. It seems to have taken a neutral position. The ruling is reasonable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taxpayers’ interests, and is considered to account for taxes. 일본 소득세법 제12조는 “자산 또는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을 법률상 귀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자가 단지 명의인으로 그 수익을 향수하지 않고 그 이외의 자가 그 수익을 향수하는 경우에는 그 수익은 그것을 향수하는 자에 귀속하는 것으로 하여 이 법률의 규정을 적용한다”고 하며, 같은 내용이 법인세법 제11조, 지방세법 제24조의2의 2 등에 규정하고 있다. 이를 ‘실질소득자 과세의 원칙’이라고 한다. ‘실질’의 의미에 관하여 학설상 법률적 귀속설과 경제적 귀속설의 대립이 있으나 법률적 귀속설이 통설과 판례의 입장으로 평가받는다. 일본의 경우 명문의 규정은 없으나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를 긍정하고 있다. 오늘날에 있어서는 담세능력을 증가시키는 경제적 이득을 현실로 지배하는 한 그 사법상의 효력 여부에 관계없이 위법소득도 소득이 된다는 사고가 지지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의 근거는 소득개념론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실질과세원칙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우리에게 있어서도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는 실정법상 과세소득의 범위에 관한 문제이지 실질과세의 원칙의 적용과는 관계가 없다는 주장도 일부 있으나, 실질과세의 원칙이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의 근거를 이루고 있거나 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행 소득세법은 그동안의 개정을 통해 뇌물, 알선수재 및 배임수재에 의하여 받은 금품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나 민사상 하자 있는 법률행위로 인한 소득의 경우에는 명문의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 세법해석론적 접근을 통한 방법이 고려될 것이며, 그것이 실질과세 원칙일 것이다. 다만, 대법원은 이 경우에도 과세 적격성은 일반적으로 긍정하나 언제든지 입법이 불완전한 상황에서의 위법소득과세에 대한 다툼이 문제될 수 있으며, 제한적 소득개념을 취하는 우리에게 있어 위법소득에 관한 문제는 다각도의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개념적 측면에 국한하여 판단할 경우 소득세법상의 제한적 소득개념과 법인세법상의 포괄적 소득개념이 배치되는 부분에 있어 일관된 판단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그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중 하나를 일본에서의 논의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우리와 실질과세의 원칙에 관한 이론적 유사성이 상당한바, 또한 최근 대법원이 2012.1.18.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하여 ‘실질’의 의미를 ‘경제적 실질’의 의미로 해석할 가능성을 열어 준 것에 비추어 본 논제의 검토는 위법소득에 관한 문제의 법적 구성에 있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 세법상의 신의칙에 관한 이론적 고찰-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길용원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5

        Article 1(2) of the Japanese Civil Code states that “the exercise of rights and performance of duties must be done in good faith.” This is referred to as the principle of good faith, or a provision on good faith. The principle applies in a case where: (a) a person presents an argument that goes against his past words and deeds, thereby resulting in the infringement of a third party’s interests; and (b) such argument is invalidated. Wheth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s applicable to tax laws is still being debated. While the Korean law has directly incorporated the good faith principle in its tax law through codification, Japan has not done so yet. In ligh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Korean law is mostly focused on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good faith principle, whereas the Japanese law concern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itself, and this is the reason for persistence of the argument that there is no room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od faith principle in tax laws based on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Whether the good faith principle applies 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tax authority and taxpayers has much relevance for the modern day tax administration. A question might arise: if the tax authority’s past practices violate the relevant statutes, and later the argument that runs counter to such practices (e.g., taxation disposition) turns out to be legitimate, does the good faith principle apply in such instance? If the good faith principle does not apply, the tax authority may opt for a legitimate argument initially made or decide to impose tax.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ntends to ensure: (a)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xpayers and tax administrations; and (b) that the tax authority does not impose a duty to pay tax on taxpayers for what is not primarily designated as the legal elements. Also, under the principle, the tax authority may not unilaterally decide not to collect tax or exempt a certain taxpayer from his tax liability, in an effort to uphold the equity of taxation and fairness in tax burden sharing. In that regard,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particularly the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the good faith principle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may subject to restriction with regard to the principle of the equity of taxatio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study of tax law has been a topic of controversy, because the good faith principle itself (a) clearly violates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or the rule of law structurally; and (b) serves as a critical means of change. Yet, the judicial cases and theories have so far affirme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seemingly because, as the Tokyo Regional Court stated in its judgment, the practical function of the good faith principle or societal demands of protecting taxpayer confidence have reached a level where they cannot be disregarded any longer. However, the said judgment merits consideration with respect to the fact that: (a) while the judgment recognizes the demands of maintaining taxpayer confidence by weighing these interests; (b) it only restrictively applies the good faith principle by using such words as “at the expense of” or “at least” in determining the requirements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od faith principle in an actual trial. 일본 민법 제1조 제2항은 “권리의 행사와 의무의 이행은 신의에 따라 성실하게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신의성실의 원칙 또는 신의칙에 관한 조항이라 한다. 이는 어떤 자의 과거의 언동에 반하는 주장을 인용할 경우, 그 언동을 신뢰한 상대방의 이익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한다면 그 자의 해당 주장을 법률상 불허한다는 것이다. 이 신의칙을 조세법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논의가 되고 있는 사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법에서 직접 신의성실의 원칙이 적용되는 것을 명문화하여 입법적으로 어느 정도 해결하였으나, 일본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여 우리와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우리의 경우 논의의 대상이 주로 적용범위에 관한 부분이라면 일본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적용 여부 자체에 관한 논의가 있으며, 조세법률주의를 근거로 조세법분야에는 신의칙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는 주장이 계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과세관청과 납세자와의 관계에 있어 신의칙이 적용되는지 여부의 문제는 복잡하고 전문화된 현대의 조세 행정에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것임을 부정할 수 없다. 과세관청의 과거의 언동이 법령에 위반하고 사후에 이에 반하는 주장(예를 들어 과세처분 등)자체가 적법한 경우에 신의칙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신의칙의 적용이 없다고 하면 사후에 과세관청은 본래의 적법한 주장을 하거나 또는 과세처분을 할 수 있게 된다. 조세법률주의가 의도하는 것은 조세 법률관계에 있어 납세자의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과세관청으로 하여금 일차적으로 법률의 요건으로 정해지지 않은 사실에 대해서 납세자에게 납세의무를 부과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원칙은 과세의 평등, 부담의 공평 등의 요청에 따라 과세관청은 법률에서 정하는 조세 채권을 일방적으로 포기하거나 면제하는 것도 용납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이런 점에서 조세법률주의, 특히 합법성의 원칙과의 관계에서 신의칙의 적용요건과 범위는 스스로 제한이 걸린다. 조세법 분야에 있어서 신의칙의 적용이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은 신의칙 자체가 형식적으로 조세법률주의 또는 법률에 의한 행정의 원리와 분명히 저촉되며, 중대한 변경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례나 이론이 굳이 그 적용가능성을 긍정한 것은 도쿄 지방재판소 판결이 언급한 신의칙의 현실적 기능이나 납세자의 신뢰보호라고 하는 현실에 있어서의 사회적 요청이 더 이상 무시 못 할 정도의 수준에까지 도달하였다고 인식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이들의 이익 형량을 통해 납세자의 신뢰보호의 요청을 수긍하면서도 실제 재판에 있어서 그 적용요건을 판단함에 있어 “희생해도”, “적어도”라는 표현을 통해 극히 제한적으로 신의칙을 적용하여 판시하고 있는 점은 사실상 신의칙 적용을 부정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암호자산에 대한 과세상 취급 및 법제도 정비과정의 시사점

        길용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조세와 법 Vol.16 No.1

        In Korea, a revision to the tax law, which sets the method of taxation on virtual asset income, was set to take effect, but taxation has recently been suspended. It has been postponed for two years until 2025. However, taxation-related issues are still important. Specifically, virtual asset income was classified as other income and taxed separately at a 20% tax rate. Considering that the above revised tax law is a legislation at the beginning of taxation, some point out that access to virtual asset income is inherently problematic, and it is likely to face various unexpected problems in light of the early implementation. What can be referred to for an appropriate response to this is the policies and directions of countries that have already imposed taxation. As the revised tax law stipulates that residents' virtual asset income is other income, we would like to prioritize discussions on Japan's taxation system, which taxes crypto asset transaction income as miscellaneous income in principle. The fundamental reform of the taxation system is not easy, and it may be more realistic to look at the theories and precedents that have been the center of Japan's legislative process and discussions, given that they show considerable similarities to our revised tax law. The Japanese Income Tax Act does not have explicit regulations on income from crypto asset transactions, but the National Tax Agency treats it as miscellaneous income in principle through guidelines. However,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National Tax Service guidelines. This is because the basis for taxation on crypto assets has not been clearly explained. Due to the diversity of crypto assets, it is argued that tax treatment based on the purpose of holding or trading is necessary. Our revised tax law also intends to uniformly tax virtual asset income as other income, bu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lassification criteria considering the concept and nature of virtual asset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resent criteria for judgment in enforcement ordinances so that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nature of virtual assets and the appropriate taxation system can be applied. 우리나라는 가상자산소득에 대한 과세방법 등을 정한 세법 개정안이 시행을 앞두고 있었으나 2025년까지 연기된 상황이다. 하지만 여전히 과세와 관련된 문제는 중요한 사항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거주자의 가상자산소득에 대해 기타소득으로 분류하여 20%의 세율로 분리과세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가상자산의 과세정책과 관련해 기존에는 비트코인의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여부에 대한 과세관청의 유권해석이 전부였으나, 해외 주요국들이 이미 과세 중이고, 주식 등 다른 자산도 양도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입법화한 것이다. 위 개정 세법이 이제 과세를 막 시작하는 단계에서의 입법임을 감안하더라도 가상자산소득에 대한 접근이 본질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고, 또한 시행초기인 점에 비추어 예상치 못한 여러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것이 이미 과세를 하고 있는 나라의 정책과 방향이다. 우리 개정 세법과 내용에 있어 상당히 유사한 면을 보이고, 기본적인 세법체계 또한 크게 다르지 않은 일본의 과세상 취급과 관련 쟁점 등을 살펴보고자한다. 일본 소득세법은 암호자산 거래소득에 관한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지만, 국세청은 지침을 통해 원칙적으로 잡소득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는 암호자산의 정의나 개념에 관해 자금결제법을 차용함에 따라 자금결제수단으로서의 성격을 고려하여 그 매각 또는 사용으로 인해 얻은 이익을 양도소득이 아닌 잡소득으로 분류한 것이다. 소비세법상으로도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비과세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양도소득 해당성이 검토되고 있다. 결국 암호자산의 다양화로 인해 보유목적이나 거래목적에 따른 암호자산의 세무상 취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일본은 암호자산의 성질에 따른 과세체계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작년 6월 금융청은 스테이블 코인 규제관련 가이드라인 발표하여 스테이블 코인 중 일부를 자금결제법상 전자결제수단 정의에 포함시켰고, 올해 1월 국세청은 NFT 규제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적극적인 대응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 개정 세법 역시 일률적으로 기타소득으로 과세하고자 하는데, 가상자산에 대한 개념과 성질을 감안한 분류기준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즉, 가상자산의 성격에 따른 분류와 이에 합당한 과세체계가 적용될 수 있도록 판단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와 같이 단순히 특금법상의 정의규정을 통해서는 가상자산의 세분화가 크게 진전되고 있는 상황에 적절한 대응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법령상 양도나 대여, 교환 등을 포섭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가상자산 거래를 유형화하고 특히 가상자산의 하드포크, 에어드랍, 마이닝・스테이킹・랜딩 등에 대한 과세처리를 명확히 필요가 있다. 일본의 암호자산 규제 관련 가이드라인(세무처리지침 등)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상속세및증여세법상 의제·추정규정의 입증책임에 관한 연구

        길용원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가천법학 Vol.6 No.4

        입증책임이란 요건사실의 진위가 불명한 경우에 대처하여 요건사실의 부존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급하여 소송당사자 일방에 대하여 그에게 유리한 법규부적용의 불이익을 부담시켜서 판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송당사자의 승패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속이나 증여의 경우에는 납세자에게 자료가 편중되어 있어서 즉 증거의 거리와 증거의 지배를 대부분 납세의무자가 하고 있어서 과세관청에 입증의 곤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러한 입증책임의 곤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세법의 규정과 달리 많은 추정규정과 의제규정 두고 있다. 하지만 추정규정과 의제규정은 과세관청의 입증책임을 완화 또는 입증필요의 전환을 시키는 점에 있어서 입증책임분배원칙에 대한 예외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입법은 되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고, 그 해석도 엄격할 필요가 있다. 즉 납세의무자의 헌법 제23조의 재산권과 헌법 제27조의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점에서 국민의 예측가능성을 고려한 입법이 요구된다. 궁극적으로 조세법률주의를 실질적으로 잠탈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한 고려를 통한 입법이 요구된다. 특히 의제규정의 경우에는 추정규정과 달리 반증을 통한 번복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민의 구제가능성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입법이 요구된다. 특히 명의신탁의 증여의제규정인 상증법 제45조의2와 관련하여 위헌가능성과 최근 대법원 판례의 ‘조세회피의 목적’과 관련된 변화된 입장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추정규정 중 재산취득자금의 증여추정 규정인 상증법 제45조 1항에서의 입증의 범위에 관하여 종전의 규정과 달리 ‘다른 자로부터’의 문구가 삭제되어 기존과 다른 입증책임론이 필요한 것이 아닌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Tax litigation has various peculiarities. For example, a large number of targets, and is done repeatedly, expertise is required. This specificity affects the burden of proof. The burden of proof, as well as the wording of the law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spirit of fairness.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sets forth a couple of provisions which deem certain types of property acquired by the taxpayer as inherited or gifted.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lso has other provisions which presume that the taxpayer has inherited or has been gifted certain property even if he actually has is not clear. Such provisions are necessary because the tax authorities sometimes find it difficult to prove that the taxpayer has inherited certain property or that he has been made a gift. One of the reasons for such difficulty is that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has other provisions which presume that the taxpayer has inherited or has been gifted certain property even if he actually has is not clear comprehensively taxes any property rights that have been inherited or gifted no matter what types of property rights are involved. The other reason is that a succession or gift almost always occurs between closely related parties. Especially, Article 45 has the potential to be attracted to the Constitution. And the purpose of tax evasion in connection with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is necessary to look.

      • KCI등재

        일본 고향납세제도의 답례품 경쟁에 관한 고찰 -이즈미사노시 고향납세사건 판결을 중심으로-

        길용원 한국조세법학회 2023 조세논총 Vol.8 No.1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was introduced this year. The system is based on the Japan's hometown tax payment system(so-called ‘Furusato Nouzei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discussion on Japan's hometown tax payment system. This system gives tax credits to those who donate to local governments. It is said that the hometown tax payment system has taken root to some extent now, but it is not without side effects in the process. As local governments actively offered gifts to receive more donations, the competition for gifts became overheated. In response, the central government asked local governments to take responsible action. Nevertheless, some local governments distorted the purpose of the system by providing expensive gifts. In this process, the design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2019, and the Izumisano city was not designated, and a lawsuit was filed. In some aspects of the hometown tax payment system, the return gift had a positive socioeconomic effect, but not a few were negative. For this reason, the gift is sometimes described as a double-edged sword. The undeniable fact is that without the gift, the hometown tax payment system could not have grown to this extent.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return gift is also important in Korea's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Japan's problems concerning the gift competi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sponses. 우리나라는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의 대책으로 모색된 「고향사랑 기부금에 관한 법률」이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법은 지역 인구유출의 가속화에 따른 인구 분포의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 간의 재정 격차를 완화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세수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정된 것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고향사랑 기부금제도는 일본의 고향납세제도를 모티브로 삼고 있다. 지금은 고향납세제도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것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부작용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지방자치단체가 더 많은 기부금을 얻기 위해 답례품 제공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답례품 경쟁의 과열 사태가 발생하였고, 고향납세제도의 기초를 이루는 기부라는 법적 틀이 무시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에 총무대신은 기술적 조언(지방자치법 제245조의4 제1항)의 형태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각 통지를 발표하면서, 고향납세제도의 취지에 따른 책임 있는 대응을 지방자치단체에게 요청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여전히 과도한 답례품을 제공하는 등 제도의 취지를 왜곡하고 있어서 제도적인 대응을 강구하고자 고향납세지정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즈미사노시(泉佐野市)의 지정신청에 대해 총무대신이 지정을 하지 않는 취지의 결정을 하면서 이 처분의 위법성이 다투어졌고, 원심인 오사카고등재판소는 이즈미사노시장의 청구를 기각하였으나 최고재판소는 청구를 인용하였다. 이즈미사노시 사건은 위임입법의 법적통제에 관한 문제 이외에 고향납세제도 자체의 문제도 일부 논의 되었는데, 특히 원심인 오사카고등재판소는 고향납세제도가 원래 기부자가 거주하는 지방자치단체에 감수를 가져오는 문제를 포함한 제도인데, 여기에 답례품 경쟁이 더해짐으로써 지방자치단체 전체의 재원 총액의 증가는 예상되지 않는데도 답례품 조달비용을 포함한 모집경비의 금액이 점점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본래의 특색 있는 사업 등 공공지출에 충당할 수 있는 총액도 감소하는 사태가 발생하므로, 이를 근본적으로 시정하기 위해서는 고향납세제도의 폐지나 답례품의 금지라는 조치가 고려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고, 대상판결의 법정의견은 고향납세제도 자체의 문제에 관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미야자키 유코(宮崎裕子) 재판관, 하야시 케이이치(林景一) 재판관이 보충의견을 통해 이에 대해 언급하기도 하였다. 고향납세제도에서 답례품이 사회경제적으로 긍정적으로 작용한 면도 있지만 부정적으로 작용한 면 또한 적지 않았다. 이로 인해 답례품은 양날의 검과 같다고 표현되기도 한다.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은 답례품이 없었다면 고향납세제도가 이렇게까지 성장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고향사랑기부금제도에서도 답례품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본의 답례품 경쟁에 관한 문제와 대응의 추이를 관심 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향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계 혹은 도시와 지방의 관계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도 추적관찰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출자자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에 관한 연구 - 개정입법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길용원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명지법학 Vol.15 No.2

        Taxes that are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be collected from taxpayers and the securing of tax revenues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form a financial basis. However, taxation is based on social phenomena that are complex, rapid and divers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tax evasion by various judicial systems. Since the procurement and expenditure of financial resources have a high degree of public interest and public nature, the tax law provides special provisions in order to secure tax receivables in response to such public welfare. This is the second tax liability system of the investor. This system is the responsibility of others who are responsible for others, and the legitimacy of the law is inherent in the provision of intrinsic limitations of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And is also a grave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limited liability under the Commercial Code. These issues have been amended to gradually limit the extent and limits of liability of investors who bear the secondary tax liability. However, the legislation of the recent revision has expanded the scope of the object to the listed corporation, and its effectiveness becomes a problem. The investor‘s secondary tax liability system is a certain tax regulation. In the case of a listed corpo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double-limit the taxation law because it is subject to sufficient supervision and restrictions by other provisions. This is the legislation that only considered the convenience of collection. The secondary taxation of oligopoly shareholders is focused on human factors,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cept for tax equality to avoid tax avoidanc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by the truthfulness of the acquisition of the actual income from the company. But to regulate the form of the company. 출자자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는 본래 납세의무자의 재산으로 조세채권액을 충당 할 수 없을 때 법률이 정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한하여 제3자에게 그 부 족한 국세 등 체납액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납부책임을 확장시키는 제도를 말한다. 출자자에게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규정에 따라 책임을 지우려면 ① 본래의 납세의무자가 법인(상장, 비상장법인 불문)일 것, ② 출자자가 과점주주이며, 이 중 에서 일정한 범위의 해당하는 자일 것, ③ 납세의무자인 법인이 납부할 국세 등이 있을 것, ④ 징수부족액이 발생하였을 것이라는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위 제도는 타인에게 책임을 묻는 타인책임으로서 재산권 침해라는 내재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 는 규정으로 그 법적 정당성이 문제된다. 외국에서 입법례를 찾아볼 수 없는 제도 이며, 상법상 유한책임의 원칙에 중대한 예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종래에는 제2차 납세의무를 부담하는 출자자의 책임범위 및 한도를 점점 제한하는 쪽으로 개정되었다. 하지만 국세기본법이 2015. 1. 1. 법률 제12848호로 개정되면서 제2차 납세의무 대상법인을 오히려 기존의 비상장법인 뿐 만 아니라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과점주주까지 포함하여 그 범위를 확대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개정법에서 본래의 납세의무자의 범위를 상장법인에까지 확대한 것이 종전의 비상장법인에 국한한 것과의 법적 타당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는 지 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2차 납세의무제도의 입법취지와 법인의 상장여부와의 상관성 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현행 개정법에서는 출자자의 제2차 납세의무 대상법인에 유가증권시 장 상장법인의 과점주주를 포함시켜 오히려 제2차 납세의무 대상을 더 넓히고 있으 므로 조세회피 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방안이 없을 경우 조세정의와 평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제도라는 성질과 상장법인 과점주주의 경우 주식의 소유정도 또는 실질적인 권리행사에 따른 경영에 대한 사실상 지배 등의 문 제발생이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제2차 납세의무의 성립을 정당화시키는 현실적 상황 에 대한 고려 없이 오히려 대상의 확대로 제3자의 재산권 침해가능성을 높이고 거 래안전을 더 악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즉 상장법인의 경우 다른 규정에 의하여 충 분한 감독과 제한을 받고 있어 굳이 세법에서 이중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없고, 그 실효성에도 의문이 든다. 제2차 납세의무부과의 문제는 법인의 형태의 접근이 아니라 본래의 납세의무자인 회사로부터 현실적인 수익의 취득여부에 따라 그 취급을 달리하는 문제로 파악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법인이 불법·부당한 방법으로 본인에게 귀속시켜야 할 소득 등을 과점주주 등 특수관계자에게 분여함으로 인하여 당해 법 인이 납부하여야 할 국세 및 가산금 등을 체납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그 이익을 분여받은 과점주주 등 특수관계자에게 그 이익의 한도로 제2차 납세의무를 지는 것 이 제2차 납세의무의 본래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형태의 개정이 요청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부담금규제의 조세법적 고찰

        길용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조세와 법 Vol.7 No.1

        a一般的に負担金という特定事業と関連して、特定の事業に利害関係を持つ者についてその事業に必要な費用を負担することにする金銭支給義務をいう。特に租税性負担金の場合には、反対給付のない強制的な徴収としてその機能と効果の面で租税と相当類似性を持っている。つまり財政調達目的の特別負担金は、租税と類似した性質の負担金として基金や特別会計または公共機関の収入で処理され、その使用用途が指定されているために、この機能と効果的な側面で実質的に目的税と同じ性質といえる。負担金管理基本法では、法的性格が他の非租税性負担金と租税性負担金みんなを規制しているといっても、同法第3条の別表に列挙された負担金の賦課の手続きが全て同一の原理によって規律することは妥当ではなく、負担金管理基本法で租税性負担金の場合にはビチョセ的な性格の負担金と区別して租税のような厳格な別途の規律方式が必要である。特別会計や基金の場合、予算の総和主義の原則にも重大な例外として、財政運用の非効率性と財政民主主義に反する恐れがあるので、一般予算外の予算項目を撤廃することが考慮できるが、現実的に不可能な面が存在するので一般の負担金の数を減らして租税性負担金の場合には、一般租税との類似性によって租税に準じたほど規律ができるので、租税への転換を考慮すべきことだ。そして、異議申請制度が負担金の賦課に対する納付義務者の実質的救済手段であることにもかかわらず、関連、個別の法令には、具体的な手続き規定が不十分であったり、問題なった場合が相当して異議申立て制度の実効性確保が困難な状況だ。したがって、負担金管理基本法の改善が要請される。負担金賦課処分について納付義務者が納付期限内に負担金を納付できなかった場合には加算金を賦課することができるが、その料率が国税徴収法第21条の加算金の場合より高く設定されている場合がある。したがって、負担金管理基本法で各負担金の加算金率を国税徴収法に従うようにする規定を新設する必要がある。 일반적으로 부담금이란 특정사업과 관련하여 특정한 사업에 이해관계를 가지는 자에 대해 그 사업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공법상의 금전지급의무를 말하는데, 특히 조세성 부담금의 경우에는 반대급부 없는 강제적인 징수로서 그 기능과 효과의 측면에서 조세와 상당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즉 재정조달목적의 특별부담금은 조세유사적성질의 부담금으로서 기금이나 특별회계 또는 공공기관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그 사용용도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능과 효과적인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목적세와 같은 성질이라 할 수 있다. 부담금관리기본법에서 법적성격이 다른 비조세성 부담금과 조세성 부담금 모두를 규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동법 제3조의 별표에 열거된 부담금의 부과절차가 모두 동일한 원리에 의해 규율하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며, 부담금관리기본법에서 조세성 부담금의 경우에는 비조세적인 성격의 부담금과 구별하여 조세와 같은 엄격한 별도의 규율방식이 필요하다. 특별회계나 기금의 경우 예산총계주의원칙에도 중대한 예외로서 재정운용의 비효율성과 재정민주주의에 반할우려가 있으므로 일반예산외의 예산항목을 철폐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면이 존재하므로 일반 부담금의 수를 줄이고 조세성 부담금의 경우에는 일반 조세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조세에 준한 정도 규율이 가능하므로 조세로의 전환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의신청제도가 부담금부과에 대한 납부의무자의 실질적 구제수단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개별 법령에는 구체적 절차 규정이 불충분하거나 흠결된 경우가 상당하여 이의신청제도의 실효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부담금관리기본법의 개선이 요청된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직무발명보상금 과세에 관한 논의-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길용원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文集 Vol.46 No.2

        산업재산권,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의 경제적 가치가 날이 갈수록 커지는 시대에 제대로 된 지식재산권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그 전제로써 합리적인 조세지원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에 종전과 달리 조세법 영역에서도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식재산권 거래 등에 대한 과세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그 예로 직무발명보상금의 소득구분에 관한 문제를 들 수 있다. 근래 일본에서는 직무발명보상금에 대해 급여소득(근로소득)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꽤 보이는 것 같다. 이는 그동안의 일본 과세관청의 기본적인 입장과 다른 것이다. 이러한 견해가 우리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소득세법이 직무발명보상금을 근로소득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세법상 소득구분의 이론적·현실적 타당성 등을 검토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유사한 체계를 갖고 있는 일본의 논의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직무발명과 관련해 일본 특허법은 우리나라의 발명진흥법과 비교하여 전반적인 체계나 내용, 취지 등에 있어 상당히 유사한 면을 갖고 있다. 이에 문제되는 쟁점 등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꽤 있고, 이것이 세법상 보상금의 취급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론 시기에 따라 각국의 사정이 서로 다른 점에 비추어 대응책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단순한 비교는 타당치 않을 수 있으나, 직무발명제도의 변화에 따른 보상금에 대한 인식 변화는 참고할 가치가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 현행 발명자주의에 대한 개선이 요청되는 상황에서 일본의 변화는 큰 의미를 갖는다. 만약 사용자주의가 도입된다면 보상금을 단순히 권리의 양도 대가로만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을 수 있고, 특허 받을 권리를 사용자 등이 원시 취득하는 점에서 오히려 종업원으로서의 ‘지위’가 강조되어 급여와 동일하게 취급하자는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이러한 사고가 일부 반영된 것이 나고야 국세국의 2017.1.27. 「직무발명에 따른 특허 받을 권리를 사용자에게 원시적으로 귀속시킨 제도상의 ‘상당한 이익’에 관한 세무상 취급에 대하여」란 질의에 대한 회신이다. 정리하자면 최근 급여소득으로 보는 견해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직무발명보상금은 근본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종업원에게 지급되는 돈이라는 점, 2015년에 특허법이 개정되면서 특허 받을 권리가 원시적으로 사용자에게 귀속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상당한 대가'에서 '상당한 이익'으로 용어가 변경된 점 등이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In an era when the economic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grows day by day, tax suppor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reasonabl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ystem. On the other hand, unlike in the past,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ax law and actively discusses the issue of taxation on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s. An example of this is a problem regarding income classification of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arguments in Japan that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should be treated as salary income. This is different from the basic stance of the Japanese tax authorities. The reason why this view attracts our attention is that despite many criticisms, Korea's income tax law categorizes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as earned income.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specifically the discussion of Japan, which has a system similar to that of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theoretical and realistic validity of income categories under the current tax law. In the case of Japan, unlike us, the tax law does not directly specify what type of income the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of work is. While emphasizing the need for a logical approach to this point, the legal nature of the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is first identified as a prerequisite to determine if the requirements are met from the provisions that define the scope of each income. The Japanese Patent Law has a very similar aspect in terms of the overall system, content and purpose of the korean invention promotion act. There are many cases where similar aspects are shown in the controversial issues, and this has affected compensation under the tax law. Of course, a simple comparison may not be appropriate, as each country may have different countermeasures in light of different circumstances, but it is worth referring t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compensation due to changes in the job invention system. Furthermore, in the case of South Korea, Japan's change is of great value at a time when improvement to the current inventorship system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저작권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길용원 언론중재위원회 2018 미디어와 인격권 Vol.4 No.2

        누구나 간단히 디지털의 복사나 데이터의 편집, 인터넷상에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 오늘날에는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것이 다반사가 되는 것과 동시에 그 이용태세가 다양화되고 있다. 즉, 고도의 설비를 가지지 않는 아마추어의 경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저작물을 창작, 반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네트워크 관련 비즈니스가 등장하고 종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콘텐츠 이용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통신기술ㆍ정보기술이 발달한 현대에 있어 일상적인 표현행위 또는 발신행위가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이 없는지 판단이 요청되고, 이로 인해 저작권법이 표현의 자유에 대해 어떤 위축효과를 줄 수 있는 존재라면 헌법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은 때로는 타자의 창작 활동(표현 활동)을 제약하는 일이 있으며, 과연 그러한 것이 허용되는 것인지 또한 어느 정도의 제약이 존재한다면 그 수준은 적절한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저작권과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의 보장의 정도를 어느 정도까지 인정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 표현의 자유의 보장 범위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일면 저작권은 표현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저작권법에 상당한 영향을 준 일본에서조차 일본 헌법 제21조가 규정하는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성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이 근래의 일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우리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저작권은 표현의 자유에 친화적인 목적을 내세우면서도 그것을 달성하는 수단은 표현의 자유에 정면으로 반하는 일종의 모순된 관계성을 가지는데 이를 저작권의 패러독스(copyright's paradox)라고 한다. 즉 창작자에 대한 저작권의 인정은 저작물 이용자에 대한 저작물을 통한 표현행위를 할 자유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창작자의 저작권보호와 저작물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보장 사이에서의 균형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일본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을 보면, 창작 활동의 촉진이라고 하는 저작권법의 목적이 표현의 자유와 목표로 하는 방향성이 동일한 것에 착안해, 저작권법을 “표현의 자유의 엔진”으로 파악하는 미국 대법원의 입장을 둘러싸고 논의가 양분되고 있다. 즉, 한편에서는 그러한 입장을 비판하고, 어디까지나 개인의 표현 행위의 자유와 그것을 규제하는 입법인 저작권법은 서로 대립관계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되고 있으나 다른 한편에서는 미국 대법원의 견해에 귀 기울여 이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생각도 있는 것이다. 과연 저작권법이 표현의 자유의 엔진인지, 만약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이유로 2개의 헌법상 권리의 대립이 완화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위해 저작권과 표현의 자유 관계 구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로서 비교법적으로 미국에 관한 논의는 일부 있으나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모태라 할 수 있는 일본의 저작권법과 표현의 자유에 관한 논의는 거의 없는 바, 일본에서의 논의를 통해 표현의 자유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자각하고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저작권의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change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opyright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the primar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analog media such as books, records, and canvas. However, in recent years, audio and word files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through these digital devices and across the Internet. Today, anyone can easily make a digital copy, edit data, and share information. It has become a daily occurrence to use the work of another person in a multitude of ways. At the same time, even amateurs who do not have sophisticated facilities can easily create and distribute their works at low cost, which authors and copyright holders of famous works are diversifying. At present, with the developments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becomes questionable whether an individual can carry out the most reasonable acts of expression and transmission without violating the copyright of others. When people express or issue things, it becomes a matter of concern to the Constitution if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goes too far in the individual’s mind that they avoid the act of expression itself or they decide to deliver it in a different form altogether. If copyright law could have atrophic effects on freedom of expression, will constitutional problems arise? Although copyright is a right directly related to expressive activities, it is only recently that its relationship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as stipulated by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of Japan, has been seriously discussed in the region. In recent years, research on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copyright law and constitutional law has been actively increasing in Japan. Given the present theoretical circumstances, it is noted that the object of copyright law, the promotion of creative activities, can be found in the same direction where freedom of expression is sought. Discussions are divided over the position of the U.S. Supreme Court, which considers copyright law as an engin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argued tha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freedom of individual expression and copyright law. However, some people are inclined to take the view of the U.S. court and insist on accepting it positively. Can copyright law be the engin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Even if it were the engin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could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rights be eased by this connec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first,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and freedom of expression must be defined, taking into account the nature of copyright and the problems that arise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In considering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copyright laws, the researchers first look at the constitutional position of copyright. The Japanese Constitution does not include words such as “copyright” 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definition of copyright concerning the Constitution is not always clear. As mentioned above,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has provisions on patents and copyrights. However, this sits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Constitution guarantees patent rights and copyrights, Congress has the power to enact laws on them. Does that mean copyright is not constitutional? In Japan, the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and freedom of expression has been frequently discussed in recent years, and there are limited references regarding the legal position of copyright. The concept of “expression” in freedom of expression is thought to have expanded in the hopes that it protects the possibility of new dialogue obtained from the daily development of technologies. However, that does not mean that the scope of freedom has been extended without delay, but it is important to note, at least here, that new technologies have given rise to some depth in the qualitati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