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x determination in pre-fledgling chicks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based on morphometric measurements

        In-Ki Kwon(권인기),Ji-Yeon Lee(이지연),Jong-Hyun Park(박종현),Eun-Joo Choi(최은주),Ki-Sup Lee(이기섭),Jeong-Chil Yoo(유정칠)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저어새 (Platalea minor)는 깃털색은 암수 동형이나 몸크기는 수컷이 암컷보다 다소 큰 이형을 보이는 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소 전 저어새 유조의 체중, 부척 길이, 부리 길이, 날개 길이 4가지 외부 형태 측정을 통해 성적 크기 이형을 연구하였다. 유전적 성구별 기법을 기반으로 외부측정치 자료를 이용하여 각 변수별 유의성을 고려한 단계적 판별분석과 잭나이프 검증을 실시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포획한 143개체 대상의 분석결과 성적 크기 이형이 가장 큰 측정치는 체중(15.8%)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부척 길이(10.9%), 부리 길이(5.1%), 날개 길이(3.3%) 순으로 나타났다. 부척 길이와 체중이 포함된 판별 함수가 가장 판별력이 높았으며 암수간 성별을 90.9% 정확도로 분류해내었다.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are monomorphic in plumage; however, they present sexual dimorphism in terms of size, with males being slightly larger than females. Here, we examined sexual size dimorphism in the pre-fledgling chicks of Black-faced spoonbills to develop a useful sexing technique based on morphometric measurements. Forward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of sex determination using a molecular technique was performed and tested through jackknife validation. Body mass culmen, wing, and tarsus length of 143 fledglings were measured between 2011 and 2015. Body mass (15.8%) was the most dimorphic variable, followed by tarsus (10.9%), culmen (5.1%), and wing (3.3%) length. The best discriminant function included tarsus length and body mass, which correctly classified 90.9% fledglings of this endangered species.

      • KCI등재

        칠산도의 저어새 번식 현황과 둥지장소 특성

        권인기 ( In Ki Kwon ),강정훈 ( Jung Hoon Kang ),이기섭 ( Ki Sup Lee ),이지연 ( Ji Yeon Lee ),김인규 ( In Kyu Kim ),유정칠 ( Jeong Chil Y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5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한 칠산도는 1991년 국내에서 최초로 저어새 번식이 확인된 이래로 전 세계 개체군의 증가와 더불어 2000년대 중반부터 번식개체군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칠산도의 저어새 번식 현황 및 둥지장소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2013년 5월에서 8월까지 번식기 동안 번식쌍 수, 둥지터 크기, 경사도, 둥지기반 재료, 둥지간 거리, 둥지주변 엄폐물의 유무, 섬 내 번식 면적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칠산도에서 2013년에 번식을 시도한 49개의 둥지 중 25개 둥지에서 최소 1개체 이상의 유조가 이소에 성공하였다. 25개 둥지에서 이소한 유조는 총 55개체였으며, 둥지 당 평균 이소성공 유조는 2.2개체였다. 사산도와 육산도를 대상으로 저어새 둥지장소의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섬 내에서 저어새가 실제 번식한 면적은 사산도의 경우 77.8㎡(섬 전체 면적의 0.10%), 육산도의 경우 93.4㎡(섬전체 면적의 0.09%)로 섬 내 좁은 지역에 밀집하여 번식하였다. 둥지장소는 돌 위보다 주로 흙 위나 흙과 나무가 복합된 형태의 지면에 유채(Brassica napus)가 있는 장소가 선택되었다. 저어새의 둥지터 크기는 평균 장경 49.59±6.53㎝, 평균 단경 41.00±5.82㎝, 둥지의 위쪽 평균 경사도는 20.85±9.96°, 아래쪽 평균 경사도는 34.09±17.75°였으며, 가장 가까운 둥지간의 평균 거리는 130.82±84.17㎝였다(n=22). 22개의 번식 둥지 중 15개 둥지(68.2%)가 엄폐물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둥지 앞쪽으로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5개(33.3%), 둥지 뒤쪽으로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9개(60.0%), 앞뒤 모두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1개(6.7%)로 둥지 후방부에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A breeding pair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was firstly recorded on Chilsando Islands, Younggwang, Jeollanamdo Province in 1991. Since the mid 2000s, breeding population on the breeding sites has gradually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reeding status and nest sit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from May to August, 2013 on Chilsando Islands. We recorded number of nests, length and width of the nest base, slope around the nests, nest materials, distances from the nearest nest, presence of nest cover and nesting area. In 2013 breeding season, 25 of 49 nests produced at least one successful fledging. A total of 55 youngs were successfully fledged and number of fledging per nest was 2.20 individuals. Nesting area was 77.8 ㎡and 93.4 ㎡for Sansando and Yuksando Islet, respectively. Soil and soil mixed with tree root were preferred for substrate of nest base over rock and Brassica napus was dominantly selected as nest materials by Black-faced Spoonbills. Nest characteristics of 22 nests in Sasando and Yuksando Islet varied 49.59±6.53 ㎝(mean ± SD) for length of nest base, 41.00±5.82 ㎝for width of nest base, 20.85±9.96° for slope above the nest, 34.09±17.75° for slope below the nest and 130.82±84 ㎝for distances from the nearest nest. Fifteen pairs (68.2%) occupied where nest cover existed. Nest cover were located in front of the nest for 5 pairs, back of the nest for 9 pairs and both front and back of the nest for 1 pair.

      • 칠산도에서 둥지터 조성과 둥지재료 공급이 저어새 번식 개체군 증가에 미치는영향

        권인기 ( In Ki Kwon ),이기섭 ( Ki Sup Lee ),강정훈 ( Jung Hoon Kang ),이지연 ( Ji Yeon Lee ),김인규 ( In Kyu Kim ),유정칠 ( Jeong Chil Y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저어새는 IUCN 적색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분포 지역은 동아시아에 국한되어 있으며 번식 개체군의 90% 이상이 한반도의 서해안의 무인도에서 번식을 하며 중국과 러시아에 소수의 번식개체군이 존재한다. 저어새 개체수는 1990년대 초반 300여 개체에 불과하였으나 점점 그 수가 증가하여 2014년에는 2, 800여 개체가 확인되었다. 1900년대 초반에는 한반도 전역에서 쉽게 관찰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한국전쟁 이후에는 1991년 전남 영광군 칠산도에서 저어새의 번식이 확인된 것이 최초 기록이며, 전 세계 개체군의 증가와 더불어 국내 번식개체군이 증가하고, 번식지가 추가로 발견되어 현재까지 알려진 국내 저어새 번식지는 각시암, 각회도, 갑죽도, 구지도, 남동유수지 저어새섬, 매도, 백령도, 비도, 상여바위, 서만도, 석도, 수리봉, 수하암, 요도, 유도, 이도, 칠산도, 함박도, 황서도 등 총 19개이며, 칠산도를 제외한 모든 번식지가 경기만 일대의 갯벌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다. 칠산도의 경우 우리나라 최남단의 저어새 번식지로서 최근 몇 년간 번식개체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3년의 조사 결과 칠산도의 7개 섬 중저어새가 번식하는 섬은 5개로 일산도, 이산도, 삼산도, 사산도, 육산도이며, 사산도의 경우 저어새의 둥지가 분포하는 지역의 면적이 50. 24㎡로 섬 전체 면적의 0. 16%, 육산도의 경우 93. 43㎡로 섬 전체 면적의 0. 19%에 불과할 정도로섬 내 좁은 지역에 밀집하여 번식하였다. 이는 섬의 면적에 비하여 저어새의 둥지재료로 이용될 만한 식생이 빈약하고 안정적인 둥지터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적절한 둥지터 조성, 식생 복원, 둥지재료 공급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상태에서 번식지를 조성해 준다면 번식 개체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칠산도 중 사산도와 육산도에서 둥지터 조성과 둥지재료의 공급이 번식개체군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여 향후저어새 서식지 복원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013년 사산도와 육산도의 저어새 번식조사 결과 저어새의 둥지터 크기는 장경 평균 48. 87cm, 단경 평균 40. 83cm 였으며, 둥지 상단부 경사도는 평균 24. 64°, 둥지 하단부경사도는 평균 34. 29°, 가장 가까운 둥지간의 거리는 평균 130. 52cm로 나타났다(n=23). 둥지재료로 사용된 식물은 고사리, 수영, 소리쟁이, 명아주, 쇠무릎, 유채 등이었으며, 둥지터의 기질은 크게 흙, 돌, 흙과 초본류의 혼합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저어새가 도래하기 전인 2014년 3월 말에 입도하여 과거에 번식을 했던 둥지터를 중심으로 땅을 고르고 돌과 나무를 이용하여 둥지간에 경계를 만드는 방법으로 사산도에 3개 지역(남쪽, 서쪽, 정상부) 총 30개의 둥지터, 육산도에 1개 지역(남쪽) 총10개의 둥지터를 조성하고 볏짚, 고춧대, 둥지터 주변에 존재하는 마른 초본류, 가는 나뭇가지 등을 둥지재료로 공급 하였으며, 저어새의 둥지재료의 이용도나 번식경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일부 둥지터에 무인센서카메라(Reconyx HyperFire 900)를 설치하여 주·야간 촬영을 실시하였다. 또한, 5월 초와 6월 말에 입도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된 둥지터의 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번식기 중 입도를 했을 경우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둥지 당 머무르는 시간을 1분 이내로 제한하였다. 사산도의 남쪽과 서쪽의 둥지터 조성지에서는 저어새의 번식하지 않았으며, 정상부의 조성지 주변에서 2쌍이 번식을 하였고, 육산도의 경우 둥지터 조성지에서 저어새가 번식을 하였다. 번식을 하지 않은 사산도 둥지터 조성지의 경우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을 통해 정착 초기에 저어새의 주기적인 방문이 있었지만, 야간에 둥지터에서 쥐가 활동하는 것 또한 확인되어 잠재적 알 포식자인 쥐에 의한 교란으로 번식을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육산도의 경우 확인할 수 없는 번식 방해 요인으로 인해 둥지터 조성 후 35일이 지나 번식을 시작하였으나 남아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빠르게 정착하여 둥지재료의 공급이 번식을 시도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사산도의 경우 번식쌍이 2013년 23쌍에서 2014년 8쌍으로 감소했고, 육산도는 2013년 10쌍에서 2014년 11쌍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산도의 저어새 번식쌍 수는 2013년 10쌍에서 2014년 18쌍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강화도 남단의 각시암, 영종도 북단의 수하암, 인천 송도 남동유수지 저어새섬의 경우 번식지의 면적이 작고 식생이 거의 없기 때문에 둥지터 조성과 둥지재료 공급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칠산도의 경우 번식이 가능한 대체 공간이 있기 때문에 포식자, 인간에 의한 방해 등의 교란이 발생했을 경우 둥지터 조성, 둥지재료 공급과 같은 자원의 공급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저어새가 선호하는 서식지 환경과 번식의 방해요인을 파악하여 효과 적인 번식유도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경남 홍도일대에서 번식하거나 중간기착하는 조류

        영수(Young-Soo Kwon),김동원(Dong-Won Kim),이후승(Who-Seung Lee),권인기(In-Ki Kwon),백운기(Woon-Kee Paek),유정철(Jeong-Chil Yoo) 한국조류학회II 2007 한국조류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5년까지 경상남도 통영시 홍도 일대에 중간기착하거나 번식하는 조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서식지 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홍도 일대에서 중간 기착하거나 번식한 종은 총 152종 25,488개체였다.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된 종은 괭이갈매기, 슴새, 벌매, 지느러미발도요 및 붉은배새매 순이었다. 홍도에서 관찰된 조류는 대부분 이동시기에 중간기착지로 이용하였고 일부 종은 번식지로 사용하였다. 이번 조사로 홍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는 102종이 추가되었으며 홍도가 중요한 이동철새의 중간기착지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conservation based on the passing or breeding birds on Hongdo Island from 1997 to 2005. Birds passing or breeding on Hongdo Island were total 152 species, 25,488 individuals. The dominant species wer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Oriental Honey Buzzards (Pernis ptilorhynchus), Red-necked Phalaropes (Phalaropus lobatus) and Chinese Sparrowhawks (Accipiter soloensis). Most birds used Hongdo Island as breeding or stopover sites. The total 102 species were newly recorded. This study shows that the Hongdo Island is located on the migrating route for birds.

      • KCI등재

        Plastic Marine Debris Used as Nesting Materials of the Endangered Species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Decreases by Conservation Activities

        이기섭,장용창,홍선욱,이종명,권인기,Lee, Kisup,Jang, Yong Chang,Hong, Sunwook,Lee, Jongmyoung,Kwon, In Ki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 2015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18 No.1

        해양 생물에 대한 교란은 해양쓰레기의 악영향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해안에 있는 수하암이라는 섬에서 수행된 조사를 바탕으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를 포함하고 있는 저어새 둥지의 비율이 계산되었다.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있는 둥지의 비율은 2010년 71%에서 2011년 37%, 2012년 33%로 줄어들었다. 전체 둥지의 개수는 2010년 28개에서 2011년 38개, 2012년 43개로 늘어났다. 이 번식지에 2011년과 2012년에 나뭇가지와 볏짚 등의 자연물 둥지 재료가 공급되었는데, 이런 보호 활동이 위와 같은 변화의 한 원인으로 보인다. 해양쓰레기의 악영향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보호 활동이 필요하다. Disturbance to marine wildlife is a serious negative impact of marine debris. In this study, the percentages of Black-faced Spoonbill nests that included plastic marine debris were calculated from surveys conducted on an islet named Suhaam off the western coast of South Korea. The percentages of nests including plastic decreased from 71% in 2010 to 37% in 2011 to 33% in 2012. The total number of nests increased from 28 in 2010 to 38 in 2011 to 43 in 2012. These differences in nests and nesting materials were possibly due to natural nesting materials such as tree branches and rice straws that were provided at the breeding site as a protective action in 2011 and 2012. Additional conserv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further negative impacts from marine debris.

      • KCI등재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조류 군집 분석

        황종경 ( Jong-kyeong Hwang ),한승우 ( Seung-woo Han ),조해진 ( Hae-jin Cho ),남형규 ( Hyung-kyu Nam ),유성연 ( Sung-yeon Yoo ),권인기 ( In-ki Kwon ),이준우 ( Joon-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낙남정맥의 6개의 중점조사지역(길마재, 천왕산, 여항산, 무학산, 천주산, 신어산)에서 지형, 환경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지점별로 조류 서식지 유형별 2개씩의 고정조사구를 선정하여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낙남정맥 6개의 중점조사지역을 조사한 결과 총 48종 1,181개체의 조류가 확인되었다. 서식지 유형별 조류 출현종은 개발지에서 35종 567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종다양도는 임도에서 2.66로가장 높았다.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영소길드 분석결과(Pearson Chi-square test, χ<sup>2</sup>=16.681, p<0.05) 개발지, 계곡부, 임도 모두 수관층(Canopy) 영소길드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채이길드 분석결과(Pearson Chi-square test, χ<sup>2</sup>=16.217, p<0.005) 개발지는 관목층(bush), 계곡부와 임도는 수관층 채이길드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길드 분석결과 낙남정맥의 임도구간은 대경목 임목과 천이된 초본류가 지빠귀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조류에게 충분한 영소 및 먹이자원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낙남정맥의 다양한 서식지가 조류서식에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Nak-nam Jeongmaek. Of the Nak-nam Jeongmaek, six priority research areas, Gilmajae, Mt. Cheonwang, Mt. Yeohang, Mt. Muhak, Mt. Cheonju, Mt. Sineo, with consideration to terrai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fixed plots for each bird habitat type were selected for each site and were surveyed identified 48 species with 1,181 individual birds.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ccupying a particular habitat type were found in the developed land with 35 species and 567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at 2.66 in the forest roa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esting guild analysis of Nak-nam Jeongmaek (Pearson Chi-square test, χ2=16.681, p<0.05) by each habitat type, the communities that belong to the canopy nesting guild showed a high frequency in the developed land, the valley, and the forest road. The results of the Pearson Chi-Square test (χ2=16.217, p<0.005) showed that the communities that belonged to the bush foraging guild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developed land, and the communities that belonged to the canopy foraging guild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valley and the forest roa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various habitats of the Nak-nam Jeongmaek provide a variety of resources for bird habitat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