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도에서 조류의 생태연못 이용에 관한 연구

        김인규,한승우,김관주,손석준,이준우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Unmanned sensor cameras (camera trapping) were installed in two ecological ponds (Sites 1 and 2) of the forest roa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November 6, 2021, to June 23, 2022,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irds using the ecological pond. The total number of birds using the entire ecological pond was 1,108 individuals from 21 species, with the Azure-winged magpie Cyanopica cyanus, the Oriental Turtle Dove Streptopelia orientalis, and the Chinese Grosbeak Eophona migratoria being the most frequent birds. Site 1 pond had 888 birds of 12 different species, while Site 2 pond had 220 birds of 15 different species. There was a very sligh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ird species that used the two ponds; however,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fter analyz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irds, such as drinking (D), resting (R), bathing (B), and flying (F), it was revealed that at Site 1, drinking (D) was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 with 393 individuals from 7 species, and at Site 2, resting (R) was the most common with 95 individuals from 11 species. The ecological pond was found to be most popular in the spring from March to May, obser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irds’ usage by season. Most birds were found at Sites 1 and 2 between 15:00 and 19:00, an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during the daytime from 10:00 to 15:00. As a result, in the case of ecological ponds built incidentally on forest roads, the number of birds using the old ecological pond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ewly created ecological ponds; however,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peci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ason, and time of birds used. Therefore, ecological ponds a serve as both shelters and sources of drinking water. There was insufficient data on the same type of ecological pond in this study, and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results sufficiently for the four season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future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of creating an ecological pond when building a forest road, as well as the species, behaviors,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birds using the ecological pond. 2021년 11월 6일부터 2022년 6월 23일까지 대전광역시 임도 개설지의 생태연못 2개 지점(Site 1, 2)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생태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총 21종 1,108개체였으며, 가장 많이 이용한 조류는 물까치 Cyanopica cyan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의 순이었다. Site 1 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12종 888개체, Site 2 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15종 220개체로 종수는 Site 2 연못이 많았고, 개체수는 Site 1 연못이 많았으나 두 연못 간 이용하는 조류의 종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체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조류의 행동특성인 물마시기(D), 머무름(R), 목욕(B), 비행(F)을 분석한 결과 Site 1은 물마시기(D)가 7종 393개체로 가장 많았고, Site 2는 머무름(R)이 11종 95개체로 가장 많았으나 두 연못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절별 이용하는 조류를 분석한 결과 Site 1, 2 모두 3월부터 5월인 봄에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시간대별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를 분석한 결과 Site 1, 2 모두 15시부터 19시인 오후에 가장 많은 개체가 이용하였고, 10시부터 15시인 낮 시간에 이용 종수는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임도에 부수적으로 개설되는 생태연못의 경우 오래된 생태연못이 새로 조성한 생태연못 보다 이용하는 조류의 개체수는 많으나, 나머지 이용 종수, 행동특성 및 계절별, 시간대별 이용 조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생태연못은 더위에 대한 피신처 및 식수원으로써의 역할이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동일한 형태의 생태연못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부족함이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계절에 대한 충분한 결과분석도 추가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임도 개설시 생태연못의 조성 필요성과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의 종류와 행동 및 이용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중서부 지역의 논을 이용하는 조류상

        손석준(Seok-Jun Son),최그린(Green Choi),도민석(Min-Seock Do),남형규(Hyung-Kyu Nam)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쌀은 과거부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가장 중요한 작물이며, 벼가 재배되는 논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논 면적이 넓게 분포하여 다양한 조류가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논 이용 조류상에 관한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서부 지역의 논에서 관찰된 조류상의 현황을 정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중서부 지역의 61개 지점의 논에서 휴식 및 취식 중인 조류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44과 144종의 조류가 논을 이용하였다. 그 중 오리과가 가장 많았으며(14%), 그 다음으로 도요과, 백로과, 수리과, 멧새과, 할미새과, 까마귀과, 되새과 등의 순이었다. 논 이용 조류 144종 중 도래시기에 따른 논 이용 조류는 벼 재배기에 33%, 비재배기에 40%, 재배기와 비재배기 모두 관찰된 종은 27%이었다. 또한 관찰된 조류 중 멸종위기종은 약 34.9%이며, 천연기념물 조류는 약 41.3%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중서부 지역 논에 도래하는 조류 군집의 정보 및 특성을 파악하여 서식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논 이용 조류 현황 조사가 필요하고, 나아가 논의 생태적 특성과 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Rice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crop in terms of past effects on global land use a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Although South Korea is know to have a wide range of rice fields and used by various bird species, the actual information on avifauna using rice filed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avifauna observed in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is summariz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to be grasped. From 2013 to 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birds resting and feeding in 61 survey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and a total of 44 families and 144 species of birds used the rice fields. Anatidae was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Scolopacidae, Ardeidae, Accipitridae, Emberizidae, Motacillidae, Corvidae, Fringillidae. Among the 144 species of birds used in rice fields, birds used in rice fields according to season were 33% during growing season, 40% during non-growing season, and 27% in all season. In addition, about 34.9% of the birds observed were endangered species, and about 41.3% were natural monuments. In this study,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in the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were identified and the function as a habitat was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various areas and study the ecological charateristics of rice fields.

      • KCI등재

        Bird accidents in Southern Mongolia

        Onolragchaa Ganbold,Gi-Chang Bing(빙기창),Erdenetushig Purevee,Munkhbaatar Munkhbayar,Won-Suk Choi(최원석),Ariunbold Jargalsaikhan,In-Hwan Paik(백인환),Zoljargal Purevdorj,Namsrai Jargal,Woon-Kee Paek(백운기)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몽골의 초원이나 사막과 같은 개방지역에 설치된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조류 감전사고는 매우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류피해조사를 위해 2017년 몽골 남부지역의 준사막 지역에 설치된 15-kV의 송전선로에 4월, 7월, 9월 등 총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50개의 전신주 구간에서 총 12종 45개체의 감전사한 조류를 확인하였다(10㎞마다 1.12% 사망률). 주요 감전 피해 조류는 멸종위기종인 Falco cherrug (n=11)와 Milvus migrans (n=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과 같이 개방된 환경에서의 조류를 위한 잠자리 또는 휴식처의 부족은 보다 많은 조류의 감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몽골의 다른 개방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고현장에서 종동정이 어려운 개체의 경우, 시료의 유전자 증폭 등을 통해 DNA 분석을 실시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몽골의 개방지역에서 조류의 감전사고는 조류에게 발생하는 위험요소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맹금류에게 빈번하며, 간헐적으로 이동철새에게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방된 지역일 경우 조류의 감전사고가 더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조류의 위험요소를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은 멸종위기종과 같은 종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ird electrocution on contact with electricity lines is well reported and is quite common in Mongolian open areas. We visited 15-kV electricity distribution pole lines in a Southern Mongolian semi-desert region three times in 2017, in April, July, and September, to assess their risks to birds. The carcasses of 45 electrocuted birds representing 12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250 poles (overall mortality rate of 1.12% every 10 km). The majority of these electrocuted birds were endangered Saker Falcon (n=11) and common Black Kite (n=11). The lacks of roosting or perching sites in our study sites (indeed other open areas in Mongolia) may resulted for such high rate bird electrocution. A 751-base pair (bp) cytochrome c oxidase I (COI) gene was amplified for DNA 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carcasses that were difficult to identify directly. Our findings revealed the high electrocution risk for birds in Mongolian open areas, especially for the birds of prey, with relatively low-efficiency electrocution mitigation approache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isk of bird electrocution, particularly in the open areas. This will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 임도와 산림지역의 조류군집 특성 비교

        임신재(Shin-Jae Rhim),이우신(Woo-Shin Lee),박성진(Sung-Jin Park),이은재(Eun-Jae Lee),이주영(Ju-Young Lee),김민진(Min-Jin Kim),강정훈(Jeong-Hoon Kang) 한국조류학회II 2007 한국조류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의 활엽수림에서 임도가 개설된 지역과 개설되지 않은 산림지역에서 서식지 특성 빛 조류 군집 구조를 조사하여 임도가 조류군집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2005년 8월부터 2006년 5월 사이의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임도지역에서는 하층 및 관목층이 매우 발달되어 있었으며, 산림지역에서는 상층임관이 발달해 있었다. 조류군집 조사결과 임도지역에서는 총 19종, 산림지역에서는 18종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번식기 조류군집의 길드분석 결과 임도지역에서는 관목층에서 자원을 이용하는 조류가 많은 반면, 산림지역에서는 관목층에서 자원을 이용하는 조류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도지역과 산림 지역에서 조류군집의 길드 구조의 차이는 두 지역의 산림환경구조의 차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between forest road and forest interior areas from August 2005 to May 2006 in deciduous forest, Jincheon, Chungbuk Province, Korea. Canopy layer was more developed in forest interior area than forest road area. Understory vegetation of forest road area was more developed than forest interior area. Nineteen and eighteen bird species were observed in forest road and forest interior area, respectively. In forest road area, there were many bird species which were used the resources at bush and understory vegetation. Aslo, there were many bird species did at canopy layer in forest interior area. We found that the structure of habitat seems to be an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for a bird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조류학 연구동향

        진채령(Chaelyeong Jin),어수형(Soo Hyung Eo)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국내 조류학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금까지 어떤 분야에서 연구를 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어떤 분류군에서 어떤 주제로 조류학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지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조류학회지 논문 372편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개체군 및 군집 모니터링, 미기록종 보고 및 번식생태, 조류 체내 중금속 오염 등의 주제와 관련한 단어가 연구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청둥오리, 민물도요, 흰뺨검둥오리 등 특정 조류에 연구가 편중되었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국내 조류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하여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연구주제와 분류군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For balanced development of ornithological research in Korea, it is important to review what birds and what research topics have been studied so far. W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trends of domestic ornithological research using text-mining and co-word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ing 372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rnithological journals, words related to research topics such as population and community monitoring, first record of species and breeding ecology, and heavy metal pollution in birds have been widely used in research articles. Except for subjects such as monitoring and first record of species,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widely. It was also found that research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birds such as Anas platyrhynchos, Calidris alpina, and Anas poecilorhyncha. The present study, which analyzed the research topics and avian taxa that were relatively active until now and those which were insufficient, suggests what we should do in the futur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ornithological research in Korea.

      • KCI등재후보

        동해안 연안 어업에 의한 해양성 조류의 피해

        박헌우,최순규,정진문,김진한,김화정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2

        동해안의 어업구역은 겨울철 해양성 조류의 도래지와 공간적으로 중복되어 그물에 의한 혼획 피해 사례가 간간이 관찰되고 있었으나 그 실태에 대한 조사는 미흡하였다. 이에 겨울철 동해안 연안에 도래하는 해양성 조류의 보호와 관리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으므로 2008년 1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동해시에서 고성군 대진까지 31개 포구를 대상으로 어업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성 조류의 혼획에 의한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25종 1,219개체의 해양성 조류가 그물에 의한 혼획으로 희생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조류는 바다쇠오리(Synthliboramphus antiquus) 962개체(78.9%), 큰회색머리아비(Gavia arctica) 71개체(5.8%) 등이었다. 아비류(Gaviidae), 바다비오리(Mergus serrator), 가마우지류(Phalacrocoracidae) 등은 조사기간 내 지속적으로 혼획되고 있었다. 바다쇠오리는 혼획의 시기가 일정치 않았으나 혼획 발생 시 다수의 개체가 피해를 입는 특징이 있었다. Overlapping between fishing areas and winter visitor habitat at east coast of Korea has caused the incidental catch of seabirds in coastal fisheries, but the extent of seabird bycatch in Korea was unknow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the middle of November 2008 to the end of February 2009 to identify the mortality of winter birds caused by coastal fisheries in the East Sea. Survey ranges including 31 ports from Goseong-gun to Donghae City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1,219 seabirds were bycatched and killed in fishing nets. The most commonly bycatched species were the Ancient Murrelet (Synthliboramphus antiquus) with 962 individuals (78.9%) killed by coastal fisheries, followed by the Arctic Loon(Gavia arctica) with 71 (5.8%) bycatches. Regarding the seabird bycatch casualties in Loons, Cormorants and Red-Breasted Merganser were damaged continuously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is study. The number of bycatched Ancient Murrelet was not consistent, but it was damaged by large-scale.

      •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수컷의 새끼 살해 행동

        최창용(Chang-Yong Choi)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2

        조류에서 새끼 살해(infanticide)는 주로 만성성 조류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1997년 6월 29일 충청남도 태안군 천리포수목원의 연못 내부에서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수컷 1개체가 암컷과 새끼로 구성된 가족군을 공격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새끼 1개체가 수컷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이런 현상은 높은 밀도로 서식하는 소규모 서식지에서 자원 경쟁을 줄이기 위한 행동일 수도 있으나, 암컷의 추가 번식을 유도하기 위한 수컷의 고의적인 살해 행동일 가능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조성성 조류에서 발생한 새끼 살해에 대한 관찰 기록은 일본의 흰뺨검둥오리 암컷이 자원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살해 사례 이후 두 번째 보고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기록은 조성성 조류에서 추가적인 번식 기회를 얻기 위한 의도의 새끼 살해(sexually selected infanticide)가 확인된 최초 보고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Infanticide is generally recorded in altricial, but not in precocial avian species. A male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attacking a conspecific family group comprising a female and her six offsprings was observed on 29 June 1997 in a small pool at the Chollipo Arboretum, Taean-gun, Chungnam Provincem Korea. As a result, one of six youngs was killed from the aggressive behavior and the others fled away with a female. Because there was no clear reason or evidence of strong resource competition between a free-ranging male and ducklings, infanticide by an adult male was probably intended to take an additional chance of mating. This is the second report on confirmed infanticide in precocial birds following the first report that a female Spot-billed Duck killed the offsprings of neighbors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Japan. However, this report suggests that sexually selected infanticide is also occurred in precocial birds.

      • KCI등재후보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가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발아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Sook-Young Cho),남현영(Hyun-Young Nam),최창용(Chang-Yong Choi),채희영(Hee-Young Cha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광나무(Ligustrum japonicum)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및 도서지방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열매의 결실기는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조류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는 과실이 드물어 광나무 열매가 추운 겨울동안 관찰되는 새들에게 중요한 먹이자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남 홍도에서 겨울철 열매를 맺는 광나무와 이를 이용하는 조류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2009년 12월 하순부터 2010년 1월 초순까지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조류에 의한 섭식활동이 광나무 종자의 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0년 1월부터 7월까지 180일간 종자의 발아여부 및 시기를 파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는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 1종만이 관찰되었으며 인위적으로 과육을 제거한 종자와 직박구리의 소화기관을 통과한 종자는 자연상태 그대로 파종된 열매와 비교하여 발아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아시기는 크게 단축되었다. 결국 광나무는 먹이자원이 부족한 겨울철 직박구리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직박구리는 광나무 종자의 발아시기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박구리가 열매를 섭취하고 이동하여 종자를 산포시킴으로써 광나무 군락의 종내 경쟁을 줄이고 새로운 곳에서 정착할 수 있는 기회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와 식물 간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서로에게 이익을 주며 더 나아가 도서지역의 산림보전 및 자연 복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Ligustrum japonicum is a broad-leaved evergreen tree distributed in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Korea. The fruiting season of L. japonicum is a winter between October and January when foods for animals are generally scarce; hence the species may be an importance source of foods for birds wintering in these areas. We aimed to understand interactions between winter-fruiting trees and birds: (1) identification of avian species consuming L. japonicum fruits and (2) the effect of fruit ingestion by birds on its seed germination. We monitored avian species consuming the fruits and carried out germination experiments with seeds in different conditions from December 2009 to July 2010 on Hong-do Island Korea. The Brown-eared Bulbul (Microscelis amaurotis) was the only observed species that consumed the fruits of L. japonicum during the period. Pulp and coat-removed seeds and ingested seeds by bulbuls were germinated significantly earlier than intact seeds. However germination rates of the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bird ingestion of L. japonicum fruits helps earlier germination or farther dispersal of its seeds so that the tree may be advantageous in intraspecific competition in the community and have the increased opportunity to generate new colonies. Understanding symbiotic interactions between birds and plants on a small remote island may give a clue for future restoration of damaged vegetations on islands in Korea

      • KCI등재후보

        봄철 하태도의 조류 번식 및 이동 양상

        김동원(Dong-Won Kim)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2

        2004년 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하태도에서 조류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80종 10,261개체였다. 이동시기는 같은 과에 속하는 종들 간에도 달랐으며 이동 기간 역시 다양하였다. 번식이 확인 또는 추정되는 조류는 가마우지, 매, 칼새, 직박구리, 때까치, 바다직박구리, 휘파람새, 섬개개비, 동박새 등이었다. 대부분의 조류는 하태도를 중간기착지로 이용하거나 섬 상공을 경유하여 이동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조류 Ⅰ급 종은 노랑부리백로, 흰꼬리수리, 매, 멸종위기야생조류 Ⅱ급 종은 붉은해오라기, 물수리, 벌매, 솔개, 조롱이, 참매, 말똥가리, 새홀리기, 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삼광조가 각각 관찰되었다. 포획-재포획 조사를 통한 낮은 재포획율로 미루어 하태도에 중간기착한 새들의 대부분은 빠르게 섬을 떠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Hataedo Island during the spring migration period in 2004. Birds observed or captured in Hataedo Island were total 180 species, 10,261 individuals. Migration pattern was various even in the same Family. Breeding birds or potential breeder in Hataedo Island were Temminck's Cormorant (Phalacrocorax capillatus),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Pacific Swift (Apus pacificus), Brown-eared Bulbul (Hypsipetes amaurotis), Bull-headed Shrike (Lanius bucephalus), Blue Rock Thrush (Monticola solitarius), Japanes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Pleske's Warbler (Locustella pleskei), Japanese White-eye (Zosterops japonicus). Almost all species used Hataedo Island as a stopover site or flew over the Island. Endangered birds specie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were Chinese Egret (Egretta europhotes),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Peregrine Falcon including level Ⅰ, and Japanese Night Heron (Gorsachius goisagi), Osprey (Pandion haliaetus),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hus), Black Kite (Milvus migrans), Japanese Sparrowhawk (Accipiter gularis),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Common Buzzard (Buteo buteo), Eurasian Hobby (Falco subbuteo),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Black Paradise Flycatcher (Terpsiphone atrocaudata) including level Ⅱ respectively. Birds landed on the Island seemed to leave as fast as possible in respect of low recapture rate on capturerecapture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