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휘발성유기물질의 처리

        이기섭(Ki Sup Lee),김기은(Gi Eun Kim) 한국생물공학회 2009 KSBB Journal Vol.24 No.1

        For the biosurfactant production process at first Candida bombicola, Sphingomonas yanoikuyae, Sphingomonas chungbukensis and Myxococcus flavescens were studied. As the most productive microorganisms C. bombicola, S. yanoikuyae and S. chungbukensis were selected. During many petrochemical industrial processes variable volatile organic componds are produced and they can cause an unpleasent and unhealthy atmosphere. Usually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treated with chemical detergents. The chemical detergents cannot be easily degradable and can be accumulated in the natu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production process for the biosurfactants, which can substitute some chemical detergents in some chemical processes, with microorganisms. At second the treatment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with the biosurfactant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the treatment with chemical detergent. The production productivities of the biosurfactant with microorganisms were compared. The growth patterns and kinetics of the microbial cells and the surface tension values of the biosurfactants were studied. The changes of the surface tension in variable pH conditions and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s were also studied. The volatile organic carbons were treated in a small plant scal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ndicated that the specific growth rate of S. chungbukensis was the fastest by 0.144 (hr-1). For surface tension, C. bombicola (38.1 dyne/cm) had the lowest value, and solubility of the volatile organic carbon was similar in C. bombicola and S. chungbukensis. (Toluene: about 0.1 Unit, Chloroform: about 0.6~0.7 Unit, Benzene : about 0.5~0.8 Unit). The biosurfactant, which were produced by C. bombicola, was selected for the further study for the volatile organic carbon treatment. With the biosurfactans from C. bombicola could remove the volatile organic carbon about 80% and this removal rate can be comparable with chemical detergent.

      • KCI등재

        서울의 한강수계에서 기온과 풍속이 수조류 도래에 미치는 영향

        이기섭(Ki-Sup Lee),이경규(Kyung-Gyu Lee),유정칠(Jeong-Chil Yoo) 한국조류학회II 2006 한국조류학회지 Vol.13 No.2

        1996년 11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기온과 풍속의 변화가 서울권역의 한강에 우점하는 주요 수조류들의 도래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알고자 하였다. 수조류 도래 개체수(BIRDS)는 관찰일을 포함한 앞으로 3일간 평균 온도(TEMP3)에 유의적으로 상관하였고 결정계수 73% 수준에서 개체수(BIRDS)는 BIRDS = 13,113 - 833 TEMP3 의 희귀직선관계를 보였다. 3일간 평균 풍속(WIND3)에 따른 수조류의 도래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43, NS). 그러나 온도와 풍속을 연관지을 경우에는 결정계수 89% 수준에서 개체수는 BIRDS = 1,922 - 813 TEMP3 + 5,362 WIND3 의 다중회귀 직선관계에 있었다. 따라서 서울 한강수계의 수조류는 온도가 낮고 바람이 센 날일수록 개체수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었다. 종별로 볼 때 흰죽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기온에 대해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온도가 낮을수록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 오리가 기온에 상관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으며 비오리의 개체수(MERG)는 결정계수 91% 수준에 서 MERG = 3,438 - 669 TEMP3 + 31.4 TEMP32 의 2차 곡선 회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서울의 한강수계는 수조류의 안정적인 월동지라기 보다는 겨울 기온이 떨어지거나 기상이 나빠 질 때 도피처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었다. Waterbirds were surveyed twice on each month from Nov. 1996 to Apr. 1997 on Hangang river belonging to the district of Seoul. Total 36 species recorded and average 9,279 individuals (SD=6,052, range 471~17,196, n=12) were found. The dominant species were Common Pochards Aythya ferina, Common Mergansers Mergus merganser, Spot-bill Ducks Anas poecilorhyncha, Mallards Anas platyrhynchos, Common Teals A. crecca and so on. The temperature of Seoul was lowest in January, 1997 falling down to average -3.3℃, and increased after then. The average wind speed was not fluctuated clearly by month, but the wind spee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the daily changes of temperature (r=-0.53, P<0.001, n=181). Waterbirds counts (BIRD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surveying day including 2 days before (TEMP3), and showed linear regressive relationship as BIRDS = 13,113(SE=1,193) - 833 TEMP3 (SE=158) by 73% level of the estimate coefficients (r²=0.73, F₁, ₁₁=27.7, P<0.001). BIRD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average wind speed of the 3 days (WIND3) including the survey date (r=0.43, NS). But multiple regression was significant on 89% level (R²=0.91, F₂, ?= 35.0, P<0.001) as BIRDS = 1,922 (SE=3,341) - 813 TEMP3 (SE=110) + 5,362 WIND3 (SE =1,551). So BIRDS on Hangang river in Seoul would be affected by wind speed as well as the temperature, and BIRDS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became low and wind speed strong. For the dominant species, Common Mergansers showed the strong tendency of correlating to the temperature. That means the birds we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low. The number of Common Mergansers (MERG) showed the regressive relationship of quadratic curve as MERG = 3,438 (SE=346) - 669 TEMP3 (SE=85) + 31.4 TEMP3² (SE=7.9) by 91% level of the estimate coefficients (F₂, ?=46.1, P<0.001). Other 8 dominant species only except Common Pochard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the temperature. But they did not correlated to the wind speed. In conclusion, it was assumed that Hangang river in Seoul did the refuge function when the temperature of winter dropped and the weather became worse.

      • KCI등재

        Sex determination in pre-fledgling chicks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based on morphometric measurements

        In-Ki Kwon(권인기),Ji-Yeon Lee(이지연),Jong-Hyun Park(박종현),Eun-Joo Choi(최은주),Ki-Sup Lee(이기섭),Jeong-Chil Yoo(유정칠)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저어새 (Platalea minor)는 깃털색은 암수 동형이나 몸크기는 수컷이 암컷보다 다소 큰 이형을 보이는 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소 전 저어새 유조의 체중, 부척 길이, 부리 길이, 날개 길이 4가지 외부 형태 측정을 통해 성적 크기 이형을 연구하였다. 유전적 성구별 기법을 기반으로 외부측정치 자료를 이용하여 각 변수별 유의성을 고려한 단계적 판별분석과 잭나이프 검증을 실시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포획한 143개체 대상의 분석결과 성적 크기 이형이 가장 큰 측정치는 체중(15.8%)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부척 길이(10.9%), 부리 길이(5.1%), 날개 길이(3.3%) 순으로 나타났다. 부척 길이와 체중이 포함된 판별 함수가 가장 판별력이 높았으며 암수간 성별을 90.9% 정확도로 분류해내었다.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are monomorphic in plumage; however, they present sexual dimorphism in terms of size, with males being slightly larger than females. Here, we examined sexual size dimorphism in the pre-fledgling chicks of Black-faced spoonbills to develop a useful sexing technique based on morphometric measurements. Forward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of sex determination using a molecular technique was performed and tested through jackknife validation. Body mass culmen, wing, and tarsus length of 143 fledglings were measured between 2011 and 2015. Body mass (15.8%) was the most dimorphic variable, followed by tarsus (10.9%), culmen (5.1%), and wing (3.3%) length. The best discriminant function included tarsus length and body mass, which correctly classified 90.9% fledglings of this endangered species.

      • KCI등재

        칠산도의 저어새 번식 현황과 둥지장소 특성

        권인기 ( In Ki Kwon ),강정훈 ( Jung Hoon Kang ),이기섭 ( Ki Sup Lee ),이지연 ( Ji Yeon Lee ),김인규 ( In Kyu Kim ),유정칠 ( Jeong Chil Y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5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한 칠산도는 1991년 국내에서 최초로 저어새 번식이 확인된 이래로 전 세계 개체군의 증가와 더불어 2000년대 중반부터 번식개체군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칠산도의 저어새 번식 현황 및 둥지장소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2013년 5월에서 8월까지 번식기 동안 번식쌍 수, 둥지터 크기, 경사도, 둥지기반 재료, 둥지간 거리, 둥지주변 엄폐물의 유무, 섬 내 번식 면적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칠산도에서 2013년에 번식을 시도한 49개의 둥지 중 25개 둥지에서 최소 1개체 이상의 유조가 이소에 성공하였다. 25개 둥지에서 이소한 유조는 총 55개체였으며, 둥지 당 평균 이소성공 유조는 2.2개체였다. 사산도와 육산도를 대상으로 저어새 둥지장소의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섬 내에서 저어새가 실제 번식한 면적은 사산도의 경우 77.8㎡(섬 전체 면적의 0.10%), 육산도의 경우 93.4㎡(섬전체 면적의 0.09%)로 섬 내 좁은 지역에 밀집하여 번식하였다. 둥지장소는 돌 위보다 주로 흙 위나 흙과 나무가 복합된 형태의 지면에 유채(Brassica napus)가 있는 장소가 선택되었다. 저어새의 둥지터 크기는 평균 장경 49.59±6.53㎝, 평균 단경 41.00±5.82㎝, 둥지의 위쪽 평균 경사도는 20.85±9.96°, 아래쪽 평균 경사도는 34.09±17.75°였으며, 가장 가까운 둥지간의 평균 거리는 130.82±84.17㎝였다(n=22). 22개의 번식 둥지 중 15개 둥지(68.2%)가 엄폐물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둥지 앞쪽으로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5개(33.3%), 둥지 뒤쪽으로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9개(60.0%), 앞뒤 모두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1개(6.7%)로 둥지 후방부에 엄폐물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A breeding pair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was firstly recorded on Chilsando Islands, Younggwang, Jeollanamdo Province in 1991. Since the mid 2000s, breeding population on the breeding sites has gradually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reeding status and nest sit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from May to August, 2013 on Chilsando Islands. We recorded number of nests, length and width of the nest base, slope around the nests, nest materials, distances from the nearest nest, presence of nest cover and nesting area. In 2013 breeding season, 25 of 49 nests produced at least one successful fledging. A total of 55 youngs were successfully fledged and number of fledging per nest was 2.20 individuals. Nesting area was 77.8 ㎡and 93.4 ㎡for Sansando and Yuksando Islet, respectively. Soil and soil mixed with tree root were preferred for substrate of nest base over rock and Brassica napus was dominantly selected as nest materials by Black-faced Spoonbills. Nest characteristics of 22 nests in Sasando and Yuksando Islet varied 49.59±6.53 ㎝(mean ± SD) for length of nest base, 41.00±5.82 ㎝for width of nest base, 20.85±9.96° for slope above the nest, 34.09±17.75° for slope below the nest and 130.82±84 ㎝for distances from the nearest nest. Fifteen pairs (68.2%) occupied where nest cover existed. Nest cover were located in front of the nest for 5 pairs, back of the nest for 9 pairs and both front and back of the nest for 1 pair.

      • 칠산도에서 둥지터 조성과 둥지재료 공급이 저어새 번식 개체군 증가에 미치는영향

        권인기 ( In Ki Kwon ),이기섭 ( Ki Sup Lee ),강정훈 ( Jung Hoon Kang ),이지연 ( Ji Yeon Lee ),김인규 ( In Kyu Kim ),유정칠 ( Jeong Chil Y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저어새는 IUCN 적색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분포 지역은 동아시아에 국한되어 있으며 번식 개체군의 90% 이상이 한반도의 서해안의 무인도에서 번식을 하며 중국과 러시아에 소수의 번식개체군이 존재한다. 저어새 개체수는 1990년대 초반 300여 개체에 불과하였으나 점점 그 수가 증가하여 2014년에는 2, 800여 개체가 확인되었다. 1900년대 초반에는 한반도 전역에서 쉽게 관찰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한국전쟁 이후에는 1991년 전남 영광군 칠산도에서 저어새의 번식이 확인된 것이 최초 기록이며, 전 세계 개체군의 증가와 더불어 국내 번식개체군이 증가하고, 번식지가 추가로 발견되어 현재까지 알려진 국내 저어새 번식지는 각시암, 각회도, 갑죽도, 구지도, 남동유수지 저어새섬, 매도, 백령도, 비도, 상여바위, 서만도, 석도, 수리봉, 수하암, 요도, 유도, 이도, 칠산도, 함박도, 황서도 등 총 19개이며, 칠산도를 제외한 모든 번식지가 경기만 일대의 갯벌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다. 칠산도의 경우 우리나라 최남단의 저어새 번식지로서 최근 몇 년간 번식개체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3년의 조사 결과 칠산도의 7개 섬 중저어새가 번식하는 섬은 5개로 일산도, 이산도, 삼산도, 사산도, 육산도이며, 사산도의 경우 저어새의 둥지가 분포하는 지역의 면적이 50. 24㎡로 섬 전체 면적의 0. 16%, 육산도의 경우 93. 43㎡로 섬 전체 면적의 0. 19%에 불과할 정도로섬 내 좁은 지역에 밀집하여 번식하였다. 이는 섬의 면적에 비하여 저어새의 둥지재료로 이용될 만한 식생이 빈약하고 안정적인 둥지터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적절한 둥지터 조성, 식생 복원, 둥지재료 공급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상태에서 번식지를 조성해 준다면 번식 개체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칠산도 중 사산도와 육산도에서 둥지터 조성과 둥지재료의 공급이 번식개체군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여 향후저어새 서식지 복원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013년 사산도와 육산도의 저어새 번식조사 결과 저어새의 둥지터 크기는 장경 평균 48. 87cm, 단경 평균 40. 83cm 였으며, 둥지 상단부 경사도는 평균 24. 64°, 둥지 하단부경사도는 평균 34. 29°, 가장 가까운 둥지간의 거리는 평균 130. 52cm로 나타났다(n=23). 둥지재료로 사용된 식물은 고사리, 수영, 소리쟁이, 명아주, 쇠무릎, 유채 등이었으며, 둥지터의 기질은 크게 흙, 돌, 흙과 초본류의 혼합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저어새가 도래하기 전인 2014년 3월 말에 입도하여 과거에 번식을 했던 둥지터를 중심으로 땅을 고르고 돌과 나무를 이용하여 둥지간에 경계를 만드는 방법으로 사산도에 3개 지역(남쪽, 서쪽, 정상부) 총 30개의 둥지터, 육산도에 1개 지역(남쪽) 총10개의 둥지터를 조성하고 볏짚, 고춧대, 둥지터 주변에 존재하는 마른 초본류, 가는 나뭇가지 등을 둥지재료로 공급 하였으며, 저어새의 둥지재료의 이용도나 번식경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일부 둥지터에 무인센서카메라(Reconyx HyperFire 900)를 설치하여 주·야간 촬영을 실시하였다. 또한, 5월 초와 6월 말에 입도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된 둥지터의 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번식기 중 입도를 했을 경우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둥지 당 머무르는 시간을 1분 이내로 제한하였다. 사산도의 남쪽과 서쪽의 둥지터 조성지에서는 저어새의 번식하지 않았으며, 정상부의 조성지 주변에서 2쌍이 번식을 하였고, 육산도의 경우 둥지터 조성지에서 저어새가 번식을 하였다. 번식을 하지 않은 사산도 둥지터 조성지의 경우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을 통해 정착 초기에 저어새의 주기적인 방문이 있었지만, 야간에 둥지터에서 쥐가 활동하는 것 또한 확인되어 잠재적 알 포식자인 쥐에 의한 교란으로 번식을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육산도의 경우 확인할 수 없는 번식 방해 요인으로 인해 둥지터 조성 후 35일이 지나 번식을 시작하였으나 남아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빠르게 정착하여 둥지재료의 공급이 번식을 시도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사산도의 경우 번식쌍이 2013년 23쌍에서 2014년 8쌍으로 감소했고, 육산도는 2013년 10쌍에서 2014년 11쌍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산도의 저어새 번식쌍 수는 2013년 10쌍에서 2014년 18쌍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강화도 남단의 각시암, 영종도 북단의 수하암, 인천 송도 남동유수지 저어새섬의 경우 번식지의 면적이 작고 식생이 거의 없기 때문에 둥지터 조성과 둥지재료 공급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칠산도의 경우 번식이 가능한 대체 공간이 있기 때문에 포식자, 인간에 의한 방해 등의 교란이 발생했을 경우 둥지터 조성, 둥지재료 공급과 같은 자원의 공급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저어새가 선호하는 서식지 환경과 번식의 방해요인을 파악하여 효과 적인 번식유도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서식밀도모델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김화정 ( Hwa Jung Kim ),허위행 ( Wee Haeng Hur ),김진한 ( Jin Han Kim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4 생태와 환경 Vol.4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distribution model of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according to the anthropogenic and natur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crane in Cheorwon, Korea.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act power and its range of the indirect anthropogenic influence to feeding flock density in cranes from the road,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civilian control zone (CCZ), greenhouse and natural influence such as roosting site and available feeding area. Available feeding area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crane`s feeding site selection. The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cranes near the residenti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area far from the area, and tended to increase within 2.5 km distance. The increasing tendencies of feeding flock density from military facilities and high traffic volume road were similar, but the density in military facilities increased within 800 m, and the density from high traffic volume road increased within 2 k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and the road with high traffic volume had significant effect on foraging densities to the certain range. As the distance from the road with low traffic volume and roosting site increased, feeding flock density tended to decrease. The density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side the CCZ were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outside the CCZ, especially for the Red-crowned crane. As a result, density of Red crowned cranes inside the CCZ was 5.2 times higher than that of outside, while that of white-naped cranes was 2.2 times bigger. If the density of greenhouse is lower than 40 km-2, crane`s feeding flock density in the low greenhouses density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greenhouses density are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eeding flock density if the density of the green houses is higher than 40 km-2. The model for the Red-crowned Crane was related with available feeding area, distance from residential area, civilian control zone and distance from high traffic road. The model of the White-naped Crane was related with available feeding area, distance from roosting site and distance from lake. Finally, the estimated feeding flock density of cran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nsity model according to the natural and anthropogenic factors.

      • KCI등재

        철원지역 두루미 취식지의 핵심지역 설정을 위한 MCP, 커널밀도측정법(KDE)과 국지근린지점외곽연결(LoCoH) 분석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두루미(Grus japonensis)의 이용분포 내에서 행동권 분석의 기법인 MCP(최소볼록다각형법), KDE(커널밀도측정법), LoCoH(국지근린지점외곽연결)를 이용하여 이용면적과 핵심서식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기법의 차이와 의미를 고찰하도록 하였다. 두루미의 분포자료는 철원지역 2012년 2월 17일 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MCP에 의한 두루미류 서식영역은 140㎢이었다. KDE 분석에서 띠폭에 해당하는 ?값을 1000m, CVh, LSCVh로 달리하여 KDE 등치선을 생성하였을 때, 핵심지역에 해당하는(Kernel 50% 이상) 면적은 33.3㎢(KDE1000m), 25.7㎢(KDECVh), 19.7㎢(KDELSCVh) 이었다. 결과적으로 띠폭에 대한 기본값(1000m)-CVh(554.6m)-LSCVh(329.9m) 순으로 변수를 작게 입력할 경우 핵심면적 개수는 늘어나고,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형태의 복잡성은 증가하였다. 두루미류의 KDE 분석에 의한 핵심지역의 선정에서 적합한 띠폭변수는 CVh 값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LoCoH분석에서는 서식범위와 핵심지역 (50% 등치선 이상의 지역)의 면적이 k값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점차 큰 핵심지역으로 합쳐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핵심지역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k 값은 24로 나타났으며, 전체 개체군의 핵심지역은 18.2㎢로 전체 서식면적의 16.5%를 차지하였다. 최종적으로, LoCoH 분석은 두 개의 큰 핵심서식지를 제시하였으며, 이것은 KDE에 의한 핵심지역에 비하여 작은 수의 핵심지역을 제시한 것이었다. 국내의 게재논문 및 발표자료를 포함한 연구에서 KDE는 대부분 기본설정으로 분석되었으며, 띠폭에 의한 변수를 고려한 것은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띠폭변수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We tried to find out the core feeding site of the Red-crowned Crane(Grus japonensis) in Cheorwon, Korea by using analysis techniques which are MCP(minimum convex polygon), KDE(kernel density estimation), LoCoH(local nearest-neighbor convex-hull). And, We discussed the difference and meaning of result among analysis methods. We choose the data of utilization distribution from distribution map of Red-crowned Crane in Cheorwon, Korea at 17th February 2012. Extent of the distribution area was 140㎢by MCP analysis. Extents of core feeding area of the Red-crowned Crane were 33.3㎢(KDE1000m), 25.7㎢(KDECVh), 19.7㎢(KDELSCVh), according to the 1000m, CVh, LSCVh in value of bandwidth. Extent, number and shape complexity of the core area has decreased, and size of each core area have decreased as small as the bandwidth size(default:1000m, CVh: 554.6m, LSCVh: 329.9). We would suggest the CVh value in KDE analysis as a proper bandwidth value for the Red-crowned crane`s core area zoning. Extent of the distribution range and core area have increased and merged into the large core area as a increasing of k value in LoCoH analysis. Proper value for the selecting core area of Red-crowned Crane`s distribution was k=24, and extent of the core area was 18.2㎢, 16.5% area of total distribution area. Finally, the result of LoCoH analysis, we selected two core area, and number of selected core area was smaller than selected area of KDE analysis. Exact value of bandwidth have not been used in studies using KDE analysis in most articles and presentations of the Korea. As a result, it is needed to clarify the exact using bandwidth value in KDE studies.

      • KCI등재

        두루미류의 취식무리 크기 및 구성과 도로에 대한 회피 : 도로의 영향 vs 통행에 의한 영향?

        유승화 ( Seung Hwa Yoo ),이기섭 ( Ki Sup Lee ),김인규 ( In Kyu Kim ),강태한 ( Tae Han Kang ),이한수 ( Han S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1

        두루미류의 취식무리 크기 및 구성과 도로 유형별, 취식무리 규모에 따른 분포거리 연구를 월동기인 200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총 8회 실시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취식무리는 주로 2~4개체로 구성된 무리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혼종무리 보다는 단일종의 취식무리가 많았다. 두루미와 재두루미간 취식무리 크기별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루미의 포장도로(PR)와의 평균거리는 비포장농로(UPR), 포장농로(PFR), 비포장농로(UPFR) 도로와의 거리에 비하여 멀었다. 재두루미의 경우 도로로부터의 이격거리는 농로로부터의 거리와 차이가 있었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종간 도로유형 별 이격거리는 포장도로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두루미류가 차량 출입이 잦은 도로를 차량 출입이 낮은 농로에 비하여 선호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포장도로에서 5개체 이상의 두루미 취식무리는 전체 취식무리와 5개체 미만의 취식무리에 비하여 도로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었다. 재두루미는 5개체 이상의 취식무리가 5개체 미만의 취식무리에 비하여 포장도로 및 포장농로와 비포장농로에서 이격거리가 멀었으며, 비포장도로에서는 무리크기에 따른 이격거리의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무리의 크기가 큰 경우 방해요인에 대한 영향이 일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루미류의 큰 취식무리가 주변을 감시하는 효율이 무리크기가 작은 경우보다 높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n the feeding crane`s size, formation and distribution distance subsequent to road pattern and feeding flock`s size during the wintering season eight times at the Cheolwon basin in Korea from December 2005 until February 2006.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eding flocks of the 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 were found to mainly consist of two to four individuals. Mono-specific feeding flocks were more identified than hetero-specific feeding flocks in both 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s. There exis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by size between the feeding 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s. The crane`s average distribution distance from the paved road was much farther than from the unpaved road, paved farm road and unpaved farm road. In case of the white-naped crane, there was a difference in its distance length from between the road and farm road and there exis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aved road in the distance length by road pattern between these two bird species[Red-crowned and White-naped Crane]. Such a result indicates that crane species don`t prefer the road with frequent vehicular traffic to the road with low vehicular traffic. 5 or more individuals of feeding flocks of the Red-crowned Crane were located at a farther distance length from the paved road comparing to less than 5 individuals of the whole feeding flocks and less than 5 individual feeding flocks. 5 or more individuals of feeding flocks of the White-naped Crane were located at a farther distance length from the paved road, paved farm road and unpaved farm road than less than 5 individuals of feeding flocks of the White-naped Crane; however,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distance length subsequent to their group size. Conclusively, it was found out that the flocks with a larger size were more greatly affected by interrupting factors. Considering such results, there seems to be a more relation to the fact that larger size feeding flocks of crane species have a higher efficiency in the lookout for their surrou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