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인물탐구활동이 유아의 역사적 태도 및 시간개념에 미치는 영향

        권은주(Kwon EunJu),정도진(Chung Do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인물탐구활동이 유아의 역사적 태도 및 시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경북 K시에 소재한 유치원 만5세반 2개 학급 50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하여 4명의 지역사회 역사인물이 선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4주 동안 총 12회의 역사인물 탐구활동이 실시되었으며, 통제집단은 우리나라를 생활주제로 만 5세 누리과정에 근거한 일반적인 교육활동이 진행되었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독립표본 t검증에 의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사회 인물탐구활동은 유아의 역사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지역사회 인물탐구활동을 경험한 유아의 시간개념은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지역사회 인물탐구활동은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유아에게 우리 고유의 정체성을 찾고 소중함을 알게 하는 기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역사적 태도 및 시간개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 of community figure research activity related to social study on the young children"s time concept and historical attitude. The study targeted 50 five-year-old children – 25 children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25 children for the control group – from two different classes of kindergarten located in K city, Gyeongbuk, and four community historical figu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or the experiment group, a total of 12 community figure research activities related to social study were performed throughout four week period, and as for the control group, common education activity based on Nuri Curriculum centering on life topic of our country for the 5-year-old children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experiment, pre-test and post-test were performed for the children. For the collected data,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community figure research activity related to social study gave a positive effect to the children"s historical attitude. Second, the time concept of children, who experienced such community figure research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munity figure research activity related to social study did not only provide the children chance to discover their unique identity from historical figure and to know the preciousness of their nation, but also brought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time concept and historical attitude.

      • KCI등재

        유아 메타인지 민속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권은주(Kwon EunJu),정경화(Chung KyungHw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4

        본 연구는 유아 메타인지 민속놀이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민속놀이 선정기준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및 전통문화, 민속놀이 전문가로 구성된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정된 문항은 총 26문항으로, 메타인지 하위영역 중 “계획”에 ‘생각해보기’, ‘이야기해보기’, ‘필요함 알기’, ‘준비하기’, ‘계획하기’, ‘구성하기’ 6문항, “모니터”에서는 ‘친숙해지기’, ‘관찰하기’, ‘탐구하기’, ‘찾아보기’, ‘함께하기’, ‘집중하기’ 6문항, “조절”에서는 ‘재현하기’, ‘보완하기’, ‘다양하게 즐기기’, ‘체험하기’, ‘반복하기’, ‘실천하기’ 6문항, “평가”에서는 ‘초대하기’, ‘감상하기’, ‘사용하기’, ‘표현하기’, ‘적용하기’, ‘발표하기’, ‘촉진하기’, ‘자긍심 가지기’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 메타인지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새로운 실증적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s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meta-cognitive folk game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election standard of folk games. We conducted Delphi research, which targeted 30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raditional culture, and folk games. A total of 26 questions were selected among the sub-areas of meta-cognition, which include six questions related to "thinking", "talking", "knowing necessities", "preparing", "planning", and "composing" for a ‘plan’, six questions related to ‘becoming familiar", "observing", "researching", "seeking for", "being together", and "concentrating" for a ’monitor’, six questions related to "reproducing", "complementing", "enjoying diversely", "experiencing", "repeating", and "practicing" for a ‘control’, and eight questions related to "inviting", "appreciating", "using", "expressing", "applying", "presenting", "facilitating", and "having self-esteem" for an ‘evaluation’.

      • KCI등재

        영유아 놀이 관찰기록 공유를 통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변화

        권은주(Eunju Kwon),남미경(Mikyoung Nam)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보육교사의 영유아 놀이 관찰기록은 영유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놀이 속에서 이루어지는 배움의 가치를 발견하고, 교사가 놀이를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유아 놀이 관찰기록을 부모와 공유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실천역량을 제고하고, 부모의 놀이 인식과 참여 태도를 긍정적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영유아의 놀이를 관찰기록하고, 그것을 부모와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역량과 부모의 놀이 참여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S시와 G시, 대구광역시 S구에 소재한 4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1명과 부모 158명을 참여대상으로 하였으며, 7주간의 영유아 놀이 관찰기록과 부모와 공유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유아 놀이 관찰기록 공유를 통해 보육교사는 놀이에 대한 이해와 영유아 존중 및 놀이 지원의 실천역량이 변화되었다. 둘째, 부모는 영유아 놀이에 민감하고 반응적이며 즐겁게 놀이하는 놀이 참여 태도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행하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이해 증진 및 가정과의 연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Childcare teachers' records of observation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 play can b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discovering the value of learning in play, and knowing how teachers should support play. In addition, by sharing the observation record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 play with par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actical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and improve parents' play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attitude in a positive dir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change in the childcare teacher's play-centered childcare process practice competency and parents' play participation attitude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nd recording infants' play and sharing it with parents. In this study, 31 childcare teachers and 158 parents of 4 daycare centers located in S-city and G-city of North province of Gyeongsang and distrik of S of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the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through post-mortem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haring of observation record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 play, daycare teachers' understanding of play,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practical ability to support play have changed. Second, parents have changed into a play participation attitude that is sensitive, responsive, and fun to play with infants and toddl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o seek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who implement infant/toddler and play-centered childcare courses, and to improve parents' understanding of the play-centered childcare process and how to connect with families.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관계에서 인성적 언어통제의 매개효과

        이경돈(Yi kyungdon),권은주(Kwon eun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과의 관계에서 교사의 인성적 언어통제 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과 창의 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성적 언어통제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ny(1986)가 제시 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기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교사의 연령과 학력, 경력에 따라 창의적 인 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하위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의 인성적 언어통제는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인성적 언어통제는 교사의 인성이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 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사가 창의적 인성을 지니고 있더라도 언어통제에 따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교사의 상호작용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ersonal verbal control type in the teacher role relationship to promote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Participating teachers were inspected their creative personalities, teacher roles to promote creativity, and personal verbal control typ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ny (1986).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factors of the teacher role to promote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In addition, teachers' personal verbal control type partly influenced the teacher role relationship to promote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In other words, teachers' personal verbal control type plays a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when their personality acts to promote creativity. Therefore, it suggests how important teachers' interaction is while the verbal control type has an impact on teachers' role to promote creativity even though they already have creative personality.

      • KCI등재

        구리염 수용액에서 알루미늄의 이상 반응 거동을 소재로 한 탐구학습 자료 개발

        강성원 ( Seongwon Kang ),권은주 ( Eunju Kwon ),노영주 ( Youngju Noh ),배중연 ( Joongyeon Bae ),심보경 ( Bokyoung Sh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4

        표준환원전위 차이에 의하면 수용액 속에서 구리 이온과 금속 알루미늄은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킨다. 그런데 실험에서 반응을 관찰하면 알루미늄은 질산 구리, 황산 구리 수용액에서 반응하지 않고 염화 구리 수용액에서만 반응한다. 두 가지 수용액에서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알루미늄의 산화피막이 보호막으로 작용한 때문이고, 염화 구리 수용액에서 반응하는 것은 염화 이온에 의한 공식(pitting corrosion) 현상으로 산화피막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반면 아연은 질산 구리, 황산 구리, 염화 구리 수용액 속에서 모두 반응한다. 본 교육 자료는 알루미늄이 서로 다른 구리염 수용액에서 선별적으로 반응하는 원인을 학생들이 직접 고등학교 수준의 화학 지식과 준비물만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간단한 실험으로 증명까지 할 수 있음을 보이고,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탐구활동 학습 자료를 제공한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의 핵심인 실험적 증명 과정을 즐겁게 체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사회과 지리영역에서 도시 관련 내용에 대한 다중스케일적 수업 적용 방안 모색

        이동민 ( Dong-min Lee ),권은주 ( Eunju Kwon ),최재영 ( Jae Yung Choi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지리영역에서 도시 관련 내용에 대한 다중스케일적 수업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도시는 다양한 기능과 경관이 복합적인 패턴을 이루며 구성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한 가지 스케일의 단편적인 이미지로 고착하여 이해하는 대신 `다중스케일적 공간`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의 생활 무대인 동시에 다수의 초등학생들의 일상생활과도 관련되는 공간이기에, 도시 공간의 다중스케일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교육적으로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를 주제로 한 다중스케일적 학습활동을 구성해 보았다. 이 사례에서는 서울에 대하여 `인구가 많은 도시`,`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 라는 `지역인식의 단일스케일적 고착`에서 벗어나 스케일에 따른 다양한 인구 분포 및 이에 따른 스케일 간의 경관, 기능 차이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을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시도가 실제수업에서 활용 될 수 있다면, 학생들이 도시 공간, 나아가 자신들의 삶의 터전이자 맥락이 될 다양한 장소, 공간, 지역 등을 보다 다중스케일적이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the use of a multi-scalar approach to primary geography class focusing on urban contents. A city is a space with complex spatial pattern consisting of diverse functions and landscapes. Therefore, it needs to be approached as a multi-spatial space rather than as a fragmentary image fixed by a single-scalar recognition. The multi-scalar approach on urban space has particular educational importance because a city has a spatial context where children, including primary students, live and grow.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ulti-scalar instructional method of primary geography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instructional method focused on overcoming the fixation of a regional recognition by a single scale, such as “Seoul is a crowded city” or “Seoul is the largest city in South Korea.” A multi-scalar regional learning activity was developed to cultiv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calar diversity of landscapes, population, and functions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This attempt is expected to improve primary geography education, which can encourage primary students`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scalar spaces, places, and regions where they live, act, and gr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